김현기 (1924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현기(1924년)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서울대학교 상과대학을 졸업하고 이리농림고등학교 교사, 월간 인물계 사장, 조선식산은행 근무 등의 경력을 거쳤다. 1952년 민주당 발기인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신민당 감찰위원, 정무위원, 당기위원장 등을 역임하며 신민당 운영을 주도했다.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전국구로 당선된 이후 4회 연속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제10대 국회의원 재임 중 간경변으로 사망했다. 경제에 정통한 정치인으로 평가받았으며, 1970년대 경제 개발 정책에 대한 비판과 대안 제시로 주목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함라초등학교 동문 - 조남조
조남조는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중앙일보 정치부장을 거쳐 제11, 12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산림청장, 전라북도지사, 한국프레스센터 이사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중앙고등보통학교 동문 - 마해송
마해송은 일제강점기 및 대한민국의 아동문학가이자 언론인으로, 방정환 등과 색동회를 조직하여 아동문학 운동을 전개했으며, 광복 후에는 작품을 통해 사회상을 비판하는 등 대한민국 아동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 중앙고등보통학교 동문 - 김상만 (언론인)
김상만은 동아일보 창립자의 장남으로, 동아일보 사장, 회장, 명예회장을 역임하며 동아방송 개국, 잡지 재발간 등 사세 확장에 기여했고, 자유언론실천운동을 전개하여 국제신문발행인협회 '자유의 금펜상'을 수상하기도 했으며, 언론, 교육, 국제 교류 분야에서 다양한 활동을 했다. - 민중당 (1965년) - 유옥우
유옥우는 자유당에서 정계 입문 후 야당에서 활동하며 여러 차례 국회의원을 지냈고, 한일협정 반대 운동 중 옥고를 치렀으며 정치 테러를 당하기도 했으나, 국가보위입법회의 참여 경력으로 비판받기도 한 정치인이다. - 민중당 (1965년) - 송요찬
송요찬은 일제강점기 일본군 부사관으로 복무하고 대한민국 국군 소위로 임관하여 4·3 사건 진압을 지휘했으며, 5·16 군사정변 이후 요직을 두루 거쳤으나 정치적 갈등으로 구속된 인물이다.
| 김현기 (1924년) | |
|---|---|
| 기본 정보 | |
![]() | |
| 출생 | 1924년 |
| 사망 | 2011년 12월 15일 (향년 87세) |
| 직업 | 대한민국 정치인 |
| 경력 | |
| 소속 정당 | 민주공화당 |
| 주요 경력 | 제8대 국회의원 제9대 국회의원 제10대 국회의원 |
2. 학력
- 함라공립보통학교 졸업
- 서울 중앙고등보통학교 졸업
- 1947년: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학사
3. 경력
- 이리농고 교사
- 식산은행 근무
- 월간 《인물계》 사장
- 1952년: 민주당 창당 발기인
- 1966년: 신민당 감찰위원, 중앙상임위원
- 1973년: 신민당 정무위원, 전라북도도당위원장
- 1976년: 신민당 중앙당 당기위원장
- 민정당 대통령 및 국회의원선거 회계책임자
- 신민당 전북 제2, 3지구당위원장
-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전국구로 당선된 후 4선 국회의원 역임.[2]
3. 1. 정치 입문 전
전라북도 익산에서 태어났다.[2] 중앙중학교, 중앙고등학교를 거쳐 1947년 서울대학교 상과대학을 졸업했다. 이리농림고등학교에서 교사를 지내면서 월간 "인물계"를 창간했다.[2] 그 외에도 한국산업은행의 전신인 조선식산은행에서 근무했다.[1]3. 2. 정치 활동
1952년 민주당 발기인으로 정계에 입문했다.[2] 1966년 신민당 감찰위원 및 중앙상임위원을 역임했고, 1973년에는 신민당 정무위원, 1976년에는 신민당 중앙당 당기위원장을 맡았다.[2] 민정당 대통령 및 국회의원 선거 회계 책임자, 신민당 전라북도 당 위원장 및 전북 제2·3지구 당 위원장 등을 역임했다.[1]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전국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된 이후, 4회 연속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2]
4. 평가
경제에 정통한 정치인으로 알려져 있었다. 1970년대 경제 개발 정책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과 합리적인 대안 제시로 주목받았다. 동료 의원이었던 천명기는 김현기 의원 사망 당시 "경제 전문가를 잃었다"라며 애석함을 표했다[4].
5. 사망
6. 역대 선거 결과
| 연도 | 선거명 | 대수 | 직책 | 선거구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 1967년 | 총선 | 제7대 | 국회의원 | 신민당 | 3,554,224표 | 32.7% | 전국구 19번 | 당선 | 초선, 승계 | |
| 1971년 | 총선 | 제8대 | 국회의원 | 전북 이리시·익산군 | 신민당 | 58,016표 | 59.36% | 1위 | 당선 | 재선 |
| 1973년 | 총선 | 제9대 | 국회의원 | 전북 군산시·옥구군·이리시·익산군 | 신민당 | 53,972표 | 29.19% | 2위 | 당선 | 3선 |
| 1978년 | 총선 | 제10대 | 국회의원 | 전북 군산시·옥구군·이리시·익산군 | 신민당 | 62,622표 | 27.50% | 1위 | 당선 | 4선 |
참조
[1]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rokps.or.kr/[...]
2023-05-02
[2]
웹사이트
김현기(金顯基)
https://encykorea.ak[...]
2023-05-06
[3]
웹사이트
持病(지병)악화 金顯基(김현기)의원 別世(별세)
https://newslibrary.[...]
1979-08-15
[4]
웹사이트
金顯基(김현기)의원 別世(별세)소식에"또 經濟通(경제통) 잃었다"
https://newslibrary.[...]
1979-08-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