깊은손가락굽힘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깊은손가락굽힘근은 손가락을 굽히는 역할을 하는 아래팔의 근육이다. 자뼈, 뼈사이막, 아래팔의 깊은근막에서 시작하여 네 개의 힘줄로 갈라져 손목굴을 지나 손가락뼈에 닿는다. 앞뼈사이신경과 자신경의 지배를 받으며, 손목, 손허리손가락관절, 손가락뼈사이관절의 굽힘에 관여한다. 얕은손가락굽힘근보다 깊숙이 위치하며, 먼쪽손가락뼈사이관절을 굽힐 수 있는 유일한 근육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깊은손가락굽힘근 | |
---|---|
개요 | |
![]() | |
라틴어 | musculus flexor digitorum profundus |
어원 | 'la: deep bender of the fingers (깊은 손가락 굽힘근)' |
기시 | |
위치 | 자뼈 몸통 앞쪽 및 내측면의 위쪽 3/4 뼈사이막 아래팔의 심부근막 |
정지 | 손가락 말절골 바닥 |
신경 분포 | |
신경 | 근육의 외측 부분: 정중신경 (전골간신경) 근육의 내측 (척골) 부분: 척골신경 근육 가지 (C7-Th1) |
혈액 공급 | |
동맥 | 전골간동맥 |
작용 | |
작용 | 손과 모든 손가락사이관절을 굽힘 |
대항근 | |
대항근 | 손가락폄근 |
2. 구조
깊은손가락굽힘근(깊은손가락굽힘근)은 자뼈 몸통 앞쪽과 안쪽 표면의 위쪽 3/4, 뼈사이막, 아래팔의 깊은근막에서 시작된다. 근육에서는 네 개의 힘줄(각각 둘째부터 다섯째 손가락으로 향함)이 나와 먼쪽손가락뼈의 바닥으로 닿는다. 이 힘줄들은 얕은손가락굽힘근의 힘줄들과 마찬가지로 아래팔을 내려가 손목굴을 지난다. 둘째 손가락으로 가는 힘줄은 아래팔 먼쪽에서 먼저 나누어지지만 나머지 세 개의 힘줄들은 손바닥에 이를 때까지 성긴결합조직으로 연결되어 있다.[14]
깊은손가락굽힘근은 얕은손가락굽힘근보다 깊게 위치하지만 더 먼쪽까지 닿는다. 따라서 깊은손가락굽힘근의 힘줄은 얕은손가락굽힘근의 힘줄을 뚫고 지나가 먼쪽손가락뼈까지 가서 붙으며, '관통근'이라고도 불린다.[2] 손의 벌레근은 깊은손가락굽힘근 힘줄의 노쪽 측면에서 시작된다.[13]
2. 1. 신경 분포
깊은손가락굽힘근은 앞뼈사이신경과 자신경이 분포하는 복합근육이다. 안쪽(넷째와 다섯째 손가락을 굽히는 부분)에는 자신경(C8, T1)이 분포한다.[15][16][17] 가쪽(둘째와 셋째 손가락을 굽히는 부분)에는 정중신경,[15][17][18] 특히 앞뼈사이신경(C8, T1)이 분포한다.[19]아래팔의 굽힘근 중 정중신경이 근육에 분포하는 유일한 신경이 아닌 경우는 깊은손가락굽힘근과 자쪽손목굽힘근뿐이다. 아래팔에서 정중신경은 얕은손가락굽힘근과 깊은손가락굽힘근 사이에서 주행한다.[19][20]
한편 이러한 신경 분포 때문에 정중신경을 검사할 때는 둘째 손가락을, 자신경을 검사할 때는 다섯째 손가락을 이용할 수 있다.[14]
2. 2. 변이
둘째 손가락으로 가는 힘줄이 종종 독립적인 힘살을 가지는 경우가 있다.[13] 가운데 손가락 힘줄은 종종 별도의 근육 배를 가지고 있다.[2]3. 기능
깊은손가락굽힘근은 손목(손목뼈중간관절), 손허리손가락관절, 손가락뼈사이관절의 굽힘근이다.[13] 특히 깊은손가락굽힘근은 먼쪽손가락뼈사이관절을 굽힐 수 있는 유일한 근육이다.[14] 손의 자체기원근육인 벌레근은 깊은손가락굽힘근의 힘줄에 붙어 있다. 따라서 굽힘근들은 벌레근이 손가락뼈사이관절의 폄근 역할을 하는 것을 도울 수도 있다. 벌레근이 손의 손바닥 쪽에서 시작하여 등쪽 널힘줄에 닿기 때문에, 손가락을 완전히 펴고 손허리손가락관절을 굽히기 위해 깊은손가락굽힘근으로부터 힘이 전달된다.
더 먼쪽의 관절들에서 깊은손가락굽힘근에 의해 만들어지는 장력은 손목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손목의 굽힘이 일어나면 그 지점에서 근육이 짧아지게 만들어 더 먼쪽에서 생성되는 장력이 감소한다. 만일 손목이 완전히 굽혀진 상태라면 손가락을 완전히 굽히는 것이 어려워진다.[21]
4. 다른 동물들에서
많은 영장류에서 깊은손가락굽힘근은 긴엄지굽힘근과 섞인다. 사람과에 속하는 영장류에서는 깊은손가락굽힘근의 힘살이 각각 분리된 힘줄을 가진다.[22] 긴팔원숭이과의 경우 깊은손가락굽힘근과 긴엄지굽힘근의 힘살이 나누어져 있으나, 구세계원숭이에서는 두 근육이 손목굴을 지나서야 나누어진다.[22] 개코원숭이의 깊은손가락굽힘근은 손가락 간의 구별이 덜 되어 있어 개코원숭이들이 각각의 손가락을 따로따로 조절하기 어렵게 만든다.[22]
5. 추가 이미지
참조
[1]
웹사이트
https://www.anatomya[...]
[2]
문서
Platzer 2004, p 162
[3]
간행물
Anatomy, Shoulder and Upper Limb, Hand Flexor Digitorum Profundus Muscle
https://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4
[4]
간행물
Anatomy, Shoulder and Upper Limb, Hand Flexor Pollicis Longus Muscle
https://pubmed.ncbi.[...]
StatPearls Publishing
2024
[5]
저널
Flexor tendon injury, repair and rehabilitation.
2015-01
[6]
간행물
CHAPTER 1 - Anesthesia Complications in Head and Neck Surgery
http://www.sciencedi[...]
Mosby
2009-01-01
[7]
간행물
Chapter 32 - Referred pain from muscle/myofascial trigger points
http://www.sciencedi[...]
Churchill Livingstone
2011-01-01
[8]
간행물
Chapter 12 - Common Peripheral Nerve Problems
http://www.sciencedi[...]
Mosby
2007-01-01
[9]
간행물
Chapter 43 - Anatomic Landmarks for Selected Nerves of the Head, Neck, and Upper and Lower Limbs
http://www.sciencedi[...]
Academic Press
2015-01-01
[10]
간행물
CHAPTER 16 - Regional Anesthesia
http://www.sciencedi[...]
Mosby
2011-01-01
[11]
서적
Joint Structure and Function: A Comprehensive Analysis
F.A. Davis
2011
[12]
문서
Tocheri et al. 2008, pp 556-7
[13]
문서
Platzer 2004, p 162
[14]
서적
국소해부학셋째판
[15]
저널
Flexor tendon injury, repair and rehabilitation.
January 2015
[16]
간행물
CHAPTER 1 - Anesthesia Complications in Head and Neck Surgery
http://www.sciencedi[...]
Mosby
2009-01-01
[17]
간행물
Chapter 32 - Referred pain from muscle/myofascial trigger points
http://www.sciencedi[...]
Churchill Livingstone
2011-01-01
[18]
간행물
Chapter 12 - Common Peripheral Nerve Problems
http://www.sciencedi[...]
Mosby
2007-01-01
[19]
간행물
Chapter 43 - Anatomic Landmarks for Selected Nerves of the Head, Neck, and Upper and Lower Limbs
http://www.sciencedi[...]
Academic Press
2015-01-01
[20]
간행물
CHAPTER 16 - Regional Anesthesia
http://www.sciencedi[...]
Mosby
2011-01-01
[21]
서적
Joint Structure and Function: A Comprehensive Analysis
F.A. Davis
2011
[22]
문서
Tocheri et al. 2008, pp 556-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