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뼈는 팔꿈치에서 손목까지 이어진 아래팔의 긴 뼈로, 팔꿈치와 손목 관절을 형성하며, 전완의 구조를 지지한다. 뼈의 구조는 근위부, 몸통, 원위부로 나뉘며, 활차절흔, 척골 경상돌기 등의 특징을 갖는다. 자뼈는 요골과 함께 전완을 이루며, 다양한 근육의 부착 부위 역할을 한다. 골절은 몬테지아 골절, 흄 골절 등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보존적 치료가 가능하다. 다른 동물에서는 근육 부착과 날개 깃털 부착 표면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지 뼈대 - 손목뼈
    손목뼈는 손을 구성하는 8개의 뼈로 이루어져 노뼈, 자뼈, 손허리뼈와 연결되어 손의 다양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며, 드물게 부속 뼈가 발견되기도 하고 연골내 골화를 통해 발생한다.
  • 상지 뼈대 - 위팔뼈
    위팔뼈는 어깨부터 팔꿈치까지 이어진 팔에서 가장 긴 뼈로, 어깨관절과 팔꿈치 관절을 형성하며 팔과 어깨 움직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골절이나 탈구 시 신경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 긴뼈 - 정강뼈
    정강뼈는 무릎과 발목 사이 다리에 위치한, 넙다리뼈 다음으로 큰 뼈로서 종아리뼈와 함께 다리를 구성하며 체중을 지탱하고 무릎 및 발목 관절의 중요한 부분을 이룬다.
  • 긴뼈 - 위팔뼈
    위팔뼈는 어깨부터 팔꿈치까지 이어진 팔에서 가장 긴 뼈로, 어깨관절과 팔꿈치 관절을 형성하며 팔과 어깨 움직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골절이나 탈구 시 신경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자뼈
개요
사람 척골의 예시, 빨간색으로 표시됨 (표준 해부학적 자세).
사람 척골의 예시, 빨간색으로 표시됨 (표준 해부학적 자세)
라틴어ulna
발음IPAc-en|ˈ|ʌ|l|n|ə
다른 이름팔꿈치 뼈
세부 정보
관절해당 없음 (정보 없음)
위치내측 전완골
척골의 방향척측
위치 설명척골은 노뼈의 내측, 즉 몸의 외측에 위치한다. 노측과는 반대이다.
식별
AnatomographyPartsIDFMA23466
DA해당 없음 (정보 없음)
MeshNameUlna
그레이 해부학52
그레이 해부학 단락해당 없음 (정보 없음)
위키데이터 IDQ9689

2. 구조

자뼈는 위팔뼈(상완골)와 손목 사이를 잇는 긴 뼈로, 팔꿈치 쪽에 가까울수록 굵고 손목으로 갈수록 가늘어진다. 표준 해부학적 자세에서는 팔의 안쪽에 위치한다.[9]

팔꿈치 근처에서 자뼈는 주두 돌기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상완골의 주두 오목에 맞는 갈고리 모양의 구조이다. 이는 과신전을 방지하고 상완골 도르래와 경첩 관절을 형성한다. 또한 노뼈 머리를 위한 노뼈 패임과 근육이 부착되는 자뼈 거친면이 있다. 근위단에는 활차절흔이라고 하는 특징적인 구조를 가지며[10], 상완골 활차를 감싸듯이 상완골과 관절한다.

자뼈는 요골과 함께 팔의 아래팔(전완) 구조를 지지하며, 골수강(수강)이 존재하는 관상골, 즉 장골[9]에 분류된다. 요골과는 반대로 근위단이 더 굵고 원위단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가늘어진다.[9] 원위단에는 붓돌기를 가진다.[11]

2. 1. 근위부 (팔꿈치 쪽)

자뼈 근위부는 팔꿈치 관절을 이루는 중요한 부분으로, 팔꿈치머리, 갈고리돌기, 반달절흔, 요골 절흔 등의 구조를 가진다.[4]

  • 팔꿈치머리: 자뼈의 위쪽과 뒤쪽에 있는 크고 두꺼우며 굽은 융기이다. 위쪽으로 구부러져 팔꿈치를 펼 때 위팔뼈의 팔꿈치오목에 들어간다.
  • 갈고리돌기: 자뼈의 위쪽과 앞쪽에서 앞으로 돌출된 삼각 융기이다. 팔꿈치를 굽힐 때 위팔뼈의 갈고리오목에 들어간다.
  • 반달절흔: 팔꿈치머리와 갈고리돌기에 의해 형성된 큰 오목으로, 위팔뼈의 도르래와 관절을 이룬다.
  • 요골 절흔: 갈고리돌기의 가쪽 면에 있는 좁고 길쭉한 관절 오목으로, 노뼈 머리의 원주형 관절 표면을 받는다.


왼쪽 자뼈의 근위부. 가쪽 면


자뼈 근위부는 넓고, 팔꿈치머리는 고리 형태를 가지고 있어 위팔뼈의 팔꿈치오목에 끼워진다. 이것은 젖힘을 방지하며 위팔뼈도르래와 경첩 관절을 형성한다. 노뼈머리가 닿는 노패임, 근육들이 붙는 자뼈거친면 등도 근위부에 존재한다.

활차절흔 - 근위단, 전면상


척골 주두돌기 - 원위단, 전면상


근위단에는 활차절흔이라고 하는 특징적인 구조를 가지며[10], 상완골 활차를 감싸듯이 상완골과 관절한다.

2. 2. 몸통 (골간)

자뼈 몸통은 위쪽 부분에서 각기둥 모양이며, 뒤쪽과 가쪽으로 볼록하게 굽어져 있다. 중앙 부분은 곧고, 아래쪽 부분은 둥글고 매끄러우며 약간 가쪽으로 굽어져 있다. 위에서 아래로 점차 가늘어지며, 세 개의 모서리와 세 개의 면을 가진다.

; 모서리

  • 앞쪽 모서리는 위쪽에서 갈고리돌기의 뚜렷한 안쪽 각에서 시작하여 아래쪽에서 붓돌기의 앞쪽에서 끝난다. 잘 정의된 위쪽 부분과 매끄럽고 둥근 중앙 부분은 깊은 손가락 굽힘근을 기시하게 한다. 아래쪽 4분의 1은 네모엎침근의 기시점으로 사용된다. 이 모서리는 앞쪽 면과 안쪽 면을 구분한다.
  • 뒤쪽 모서리는 위쪽에서 팔꿈치머리 뒤쪽 부분의 삼각형 피하 표면의 꼭지점에서 시작하여 아래쪽에서 붓돌기의 뒤쪽에서 끝난다. 위쪽 4분의 3은 잘 표시되어 있으며, 널힘줄에 부착되어 자쪽 손목 굽힘근, 자쪽 손목 폄근, 깊은 손가락 굽힘근에 공통 기시를 제공한다. 아래쪽 4분의 1은 매끄럽고 둥글다. 이 모서리는 안쪽 면과 뒤쪽 면을 구분한다.
  • 뼈사이 능선은 위쪽에서 두 개의 선이 합쳐져 시작하며, 이는 노뼈 패임의 끝에서 수렴하여 위침근의 일부가 기시하는 삼각형 공간을 사이에 둔다. 아래쪽에서는 자뼈의 머리에서 끝난다. 위쪽 부분은 날카롭고, 아래쪽 4분의 1은 매끄럽고 둥글다. 이 능선은 뼈사이막에 부착되며 앞쪽 면과 뒤쪽 면을 구분한다.[9]


; 면

  • 앞쪽 면은 위쪽이 아래쪽보다 훨씬 넓으며, 위쪽 4분의 3은 오목하고 깊은 손가락 굽힘근을 기시한다. 또한 오목한 아래쪽 4분의 1은 네모엎침근에 의해 덮여 있다. 아래쪽 4분의 1은 네모엎침근의 기시 범위를 표시하는 비스듬히 아래쪽과 안쪽으로 향하는 능선에 의해 나머지 부분과 분리된다. 뼈의 위쪽 3분의 1과 중앙 3분의 1의 접합부에는 비스듬히 위쪽으로 향하는 영양관이 있다.
  • 뒤쪽 면은 뒤쪽과 가쪽으로 향하며, 위쪽은 넓고 오목하다. 중간 부분은 볼록하고 다소 좁으며, 아래쪽은 좁고 매끄럽고 둥글다. 위쪽 부분에는 노뼈 패임의 뒤쪽 끝에서 뒤쪽 모서리로 아래쪽으로 뻗어 있는 비스듬한 능선이 있다. 이 능선 위의 삼각형 표면은 팔꿈치근의 부착을 받고, 능선의 위쪽 부분은 위침근을 부착시킨다. 이 아래에서 표면은 때때로 수직선이라고 불리는 세로 능선에 의해 두 부분으로 세분된다. 안쪽 부분은 매끄럽고 자쪽 손목 폄근에 의해 덮여 있으며, 가쪽 부분은 더 넓고 거칠며 위에서 아래로 위침근, 긴 엄지 폄근, 긴 엄지 폄근, 고유 손가락 폄근을 기시한다.
  • 안쪽 면은 위쪽이 넓고 오목하며, 아래쪽은 좁고 볼록하다. 위쪽 4분의 3은 깊은 손가락 굽힘근을 기시하고, 아래쪽 4분의 1은 피하에 있다.

2. 3. 원위부 (손목 쪽)

손목 근처의 자뼈에는 두 개의 융기가 있다. 가쪽의 더 큰 융기는 둥글고 관절면을 이루는 자뼈 머리이다. 안쪽의 더 좁고 튀어나온 부분은 비관절 융기인 자뼈 붓돌기이다.[11]

  • 자뼈의 '''머리'''는 관절면을 나타내는데, 그 중 타원형 또는 반월형 모양의 일부는 아래쪽을 향하고 있으며, 손목 관절에서 자뼈 머리를 분리하는 삼각 섬유 연골의 위쪽 면과 연결된다. 나머지 부분은 가쪽을 향하며 좁고 볼록하며 노뼈의 자뼈 패임에 들어간다.
  • 붓돌기는 뼈의 안쪽과 뒤쪽에서 튀어나와 있으며, 머리보다 약간 더 아래로 내려가 있고, 둥근 끝은 손목 관절의 자쪽 곁인대(collateral ligament)에 부착된다.


머리는 삼각 관절 디스크의 꼭대기가 부착되는 함몰부와 뒤쪽의 자쪽 손목 굽힘근의 힘줄이 지나가는 얕은 고랑에 의해 붓돌기와 분리된다.

손목의 관절을 통과하는 수직 단면으로, 윤활강을 보여준다.


왼쪽 아래팔의 뼈. 앞면.


왼쪽 아래팔의 뼈. 뒷면.


손목의 인대. 앞면


손목의 인대. 뒷면.


2. 4. 미세 해부학

자뼈는 긴 뼈의 일종으로, 길고 좁은 골수강(수강)을 가지며 치밀뼈(피질골)로 둘러싸여 있다. 뼈사이모서리와 등쪽면에서 치밀뼈가 가장 두껍고, 끝으로 갈수록 얇아진다.[5]

치밀뼈 층은 팔꿈치머리 뒤쪽으로 층판을 이루는 해면뼈(해면골)가 되어 이어진다. 치밀뼈 층 아래에는 잔기둥(골소주)이 팔꿈치머리와 갈고리돌기를 향해 다른 잔기둥들과 얽히면서 뻗어있다.[5]

갈고리돌기 아래에는 치밀뼈의 작은 영역이 있으며 여기서 잔기둥들은 위쪽으로 커브를 틀어, 얇은 치밀뼈 층으로 코팅되어있는 반달패임의 면에서 비스듬히 끝난다. 아래쪽의 잔기둥은 좀 더 세로로 뻗어있다.[5]

2. 5. 발생

자뼈는 세 개의 골화 중심에서 뼈가 된다. 각각 몸통, 손목 끝, 위쪽 주두 근처의 팔꿈치 끝에 하나씩 골화 중심이 있다.

자뼈는 세 개의 중심에서 골화되어 뼈를 형성하며, 여기에 표시되어 있다.


골화는 자뼈 몸통의 중앙 부근에서 임신 8주경에 시작되어 곧 뼈의 대부분으로 확장된다.

출생 시 끝 부분은 연골로 되어 있다. 약 4년쯤에 머리 중앙에 중심이 나타나고, 곧 자뼈 붓돌기로 확장된다. 약 10년쯤에 주두의 끝 부분 근처에 중심이 나타나는데, 이 돌기의 주요 부분은 몸통의 위쪽 확장으로 형성된다. 위쪽 골단은 약 16세에 몸통과 결합하고, 아래쪽 골단은 약 20세에 결합한다.

3. 관절

자뼈는 다음과 같은 뼈들과 관절을 이룬다.


  • 위팔뼈 도르래와 팔꿈치 관절의 오른쪽에서 경첩관절로 연결된다. 이때 자뼈의 도르래패임을 통해 연결된다.[4]
  • 노뼈와 팔꿈치 근처에서 중쇠관절로 연결되어, 노뼈가 자뼈 위로 올라오게 해 엎침이 가능하게 한다.[4]
  • 노뼈의 원위부에서 자패임과 함께 연결된다.[4]
  • 뼈사이막을 통해 인대결합으로 노뼈와 연결된다.[4]
  • 근위단에서는 척골 활차절흔이 위팔뼈 활차와 관절하여 완척 관절(팔꿈치 관절의 일부)을 형성하고, 노뼈와 상요척 관절(팔꿈치 관절의 일부)을 형성한다.[12]
  • 원위단에서는 노뼈와 하요척 관절을 형성한다.[13]

4. 근육 부착

자뼈에는 여러 근육들이 부착되어 팔의 움직임에 관여한다.

근육영문명기시/정지
위팔세갈래근Triceps brachii muscle정지
팔꿈치근Anconeus muscle정지
위팔근Brachialis muscle정지
원엎침근Pronator teres muscle기시
자쪽손목굽힘근Flexor carpi ulnaris muscle기시
얕은손가락굽힘근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muscle기시
깊은손가락굽힘근Flexor digitorum profundus muscle기시
네모엎침근Pronator quadratus muscle기시
자쪽손목폄근Extensor carpi ulnaris muscle기시
손뒤침근Supinator muscle기시
긴엄지벌림근Abductor pollicis longus muscle기시
긴엄지폄근Extensor pollicis longus muscle기시
짧은엄지폄근Extensor pollicis brevis muscle기시
집게폄근Extensor indicis muscle기시



이 표는 자뼈에 부착되는 근육들의 기시/정지 여부를 나타낸다. 각 근육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기시 근육 (자뼈에서 시작하는 근육)



자뼈에서 시작하는 근육은 다음과 같다.

근육영문명자뼈 부착 부위
원엎침근Pronator teres muscle갈고리돌기 (위팔뼈 안쪽위관절융기에서도 기시)
자쪽손목굽힘근Flexor carpi ulnaris muscle팔꿈치머리와 자뼈 뒤쪽면 (위팔뼈 안쪽위관절융기에서도 기시)
얕은손가락굽힘근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muscle갈고리돌기 (위팔뼈 안쪽위관절융기와 노뼈 몸통에서도 기시)
깊은손가락굽힘근Flexor digitorum profundus muscle갈고리돌기, 자뼈 앞쪽내측면
네모엎침근Pronator quadratus muscle자뼈 몸통 앞쪽 원위부 (뼈사이막에서도 기시)
자쪽손목폄근Extensor carpi ulnaris muscle자뼈 뒤쪽모서리 (위팔뼈 바깥쪽위관절융기에서도 기시)
손뒤침근Supinator muscle자뼈 근위부 (위팔뼈 바깥쪽위관절융기에서도 기시)
긴엄지벌림근Abductor pollicis longus muscle자뼈 뒤쪽면 (노뼈 뒤쪽면에서도 기시)
긴엄지폄근Extensor pollicis longus muscle자뼈 뒤쪽 몸통 (노뼈 뒤쪽 몸통과 뼈사이막에서도 기시)
짧은엄지폄근Extensor pollicis brevis muscle자뼈 뒤쪽 몸통 (노뼈 뒤쪽 몸통과 뼈사이막에서도 기시)
집게폄근Extensor indicis muscle자뼈 뒤쪽 몸통 원위부 (뼈사이막에서도 기시)

4. 2. 정지 근육 (자뼈에 끝나는 근육)

위팔근은 자뼈갈고리돌기에 정지하며 팔을 굽히는 역할을 한다.[20] 위팔세갈래근은 팔꿈치머리에 정지(공통힘줄을 통해)하여 팔을 펴는 역할을 한다.[21] 팔꿈치근은 팔꿈치머리 가측에 정지하여 팔을 펴는 것을 돕는다.[21]

근육영문명정지/기시붙는 곳
위팔세갈래근Triceps brachii muscle정지팔꿈치머리 (공통힘줄을 통해)
팔꿈치근Anconeus muscle정지팔꿈치머리 (가측으로)
위팔근Brachialis muscle정지자뼈갈고리돌기


5. 임상적 의의

자뼈 골절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유형이 있다.


  • 몬테지아 골절 - 자뼈 근위 1/3의 골절과 요골두의 탈구
  • 흄 골절 - 주두의 골절과 관련된 요골두의 전방 관절 탈구


보존적 치료는 자뼈 골절이 원위 2/3에 위치하고, 자뼈만 포함하며, 단축이 없고, 10° 미만의 각도 및 50% 미만의 변위가 없는 경우에 가능하다.[6] 이러한 경우, 팔꿈치 위까지 뻗는 정형 외과 깁스를 적용해야 한다.[6]

6. 다른 동물에서

네발동물에서 노뼈는 아래다리의 하중을 주로 떠받치는 뼈이며, 자뼈는 근육이 붙는데 중요하다. 많은 포유류에서 자뼈는 노뼈와 부분적으로, 혹은 완전히 융합되어 있다. 하지만, 처럼 완전히 융합되어있는 경우라도, 팔꿈치머리는 여전히 존재한다.[23]

조류와 다른 공룡에서 자뼈는 둘째깃털 부착 표면을 형성한다. 이들은 종종 깃털 결절 형태로 골학적 증거를 남기며, 그렇지 않으면 피복 정보가 없는 화석에서 깃털을 식별할 수 있게 해준다.[8]

화석 (위) 및 현생 (아래) 조류의 자뼈에 있는 깃털 결절

7. 용어

과거 중국 의학에서는 자뼈를 "비골"이라고 불렀으며, 스기타 겐바쿠는 『해체신서』에서 "요비골"로 번역했다[22]。오오츠키 겐타쿠는 『중정해체신서』에서 "척골"로 번역했는데[22], 이는 고대 로마에서 팔꿈치부터 가운데 손가락까지의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큐빗)로 사용한 것에서 유래하여, 고대 중국 의 신체척 중 하나인 "척"을 적용한 것이다[22]

참조

[1] 서적 OED
[2] 웹사이트 ulna http://www.merriam-w[...]
[3] 웹사이트 ULNA | Meaning & Definition for UK English https://www.lexico.c[...] Lexico.com
[4] 웹사이트 Radius and ulna https://www.kenhub.c[...] 2024-08-21
[5] 웹사이트 Ulna http://www.innerbody[...]
[6] 서적 Orthopaedic Trauma: The Stanmore and Royal London Guide https://books.google[...] CRC Press
[7] 서적 The Vertebrate Body Holt-Saunders International
[8] 간행물 Feather Quill Knobs in the Dinosaur Velociraptor http://doc.rero.ch/r[...] 2007-09-21
[9] 문서 森ら
[10] 문서 森ら
[11] 문서 森ら
[12] 문서 森ら
[13] 문서 森ら
[14] 문서 森ら
[15] 문서 森ら
[16] 문서 森ら
[17] 문서 森ら
[18] 문서 森ら
[19] 문서 森ら
[20] 문서 森ら
[21] 문서 森ら
[22] 간행물 解剖学骨名「尺骨」の由来を巡って医学文化史の世界を瞥見する https://doi.org/10.2[...] 学校法人物療学園 大阪物療大学
[23] 서적 The Vertebrate Body Holt-Saunders Internationa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