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도솔새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도솔새족은 벼과에 속하는 족으로, 작은 이삭이 쌍으로 배열된 꽃차례를 가지는 식물들을 포함한다. 이 족은 14개의 아족으로 분류되며, 약 92속 1224종으로 구성된다. PACMAD 분지군에 속하며, 기장아과 내에서 "centothecoid clade" 다음으로 분기된 분지군이며, 새족과 자매군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도솔새족 - 옥수수
    옥수수는 멕시코 남부 원산의 벼과 식물로, 오래전부터 재배되어 전 세계로 퍼져나갔으며 식용, 사료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옥수수 또는 maize라고 불린다.
  • 나도솔새족 - 율무
    율무는 동남아시아 원산의 한해살이풀로 씨앗이 식용 및 약용으로 쓰이며, 한국에서는 구황작물이었으나 현재는 건강식품으로 소비되고, 한약재로는 이뇨, 진통, 강장 효과가 있는 의이인이라 불린다.
  • 1824년 기재된 식물 - 아세롤라
    아세롤라는 말피기아속에 속하는 상록 관목 또는 작은 나무로, 비타민 C가 풍부하며 붉은색 체리와 유사한 과실을 식용하며 카리브해, 남아메리카 북부, 중앙아메리카가 원산지이고 브라질이 세계 최대 생산국이다.
  • 1824년 기재된 식물 - 물대족
    물대족은 여러 속으로 구성된 식물 분류군이며, 물대속을 포함하여 PACMAD 분지군에 속하고 아리스티다아과, 기장아과와 근연 관계에 있다.
나도솔새족 - [생물]에 관한 문서
계통 분류
상위 분류군기장아과
학명Andropogoneae Dumort. (1824)
이명Sacchareae Dumort. (1824)
Coiceae Nakai (1943)
Euchlaeneae Nakai (1943)
Imperateae Godr. & Gren. (1855)
Maydeae Dumort. (1824, nom. illeg.)
Ophiureae Dumort. (1824)
Rottboellieae Kunth (1829)
Sacchareae Rchb. ex Horan. (1847, as Saccharinae)
Tripsaceae C.E. Hubb. ex Nakai (1943)
Zeeae Rchb. (1828, unranked)
Zeeae Nakai (1943)
하위 분류
아족본문 참조
본문 참조
모식속나도솔새속 (Andropogon L.)
설명
설명나도솔새족은 벼과의 한 족이다.

2. 형태

나도솔새족 식물은 일반적으로 작은 이삭이 쌍으로 배열된 꽃차례를 가진다. 열성이며 자루가 없는 작은 이삭은 불임성이며 자루가 있는 작은 이삭에 의해 덮인다. 까락이 있는 종의 경우, 이는 열성적이고 자루가 없는 작은 이삭에서 발견되는 영(稃, lemma)의 연장으로 나타난다.[5]

3. 하위 분류

나도솔새족에는 여러 하위 분류가 있다. 크게 3가지 분류 방식이 존재한다.[6]

Soreng 등(2017)은 나도솔새족을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


  • ''incertae sedis''
  • * ''Apluda''
  • * ''Chrysopogon'' (동의어 ''Vetiveria'')
  • * ''Eulaliopsis''
  • * ''Microstegium'' (동의어 ''Ischnochloa'')
  • * ''Sehima''
  • * ''Thelepogon''
  • Arthraxoninae
  • * ''Arthraxon''
  • Tripsacinae
  • * ''Elionurus''
  • * ''Oxyrhachis''
  • * ''Rhytachne''
  • * ''Tripsacum''
  • * ''Urelytrum''
  • * ''Vossia''
  • * ''Zea'' (동의어 ''Euchlaena'')
  • Chionachninae
  • * ''Chionachne''
  • * ''Cyathorhachis''
  • * ''Polytoca''
  • * ''Sclerachne''
  • * ''Trilobachne''
  • Coicinae
  • * ''Coix''
  • Rottboelliinae
  • * ''Chasmopodium''
  • * ''Eremochloa''
  • * ''Glyphochloa''
  • * ''Hackelochloa''
  • * ''Hemarthria''
  • * ''Heteropholis''
  • * ''Jardinea''
  • * ''Lasiurus''
  • * ''Loxodera''
  • * ''Manisuris''
  • * ''Mnesithea''
  • * ''Ophiuros''
  • * ''Phacelurus'' (동의어 ''Thyrsia'')
  • * ''Ratzeburgia''
  • * ''Rottboellia'' (동의어 ''Coelorachis'')
  • * ''Thaumastochloa''
  • Ischaeminae
  • * ''Andropterum''
  • * ''Dimeria''
  • * ''Ischaemum''
  • * ''Kerriochloa''
  • * ''Nanooravia''
  • * ''Pogonachne''
  • * ''Triplopogon''
  • Germainiinae
  • * ''Apocopis''
  • * ''Germainia''
  • * ''Lophopogon''
  • * ''Pogonatherum''
  • Saccharinae
  • * ''Agenium''
  • * ''Asthenochloa''
  • * ''Cleistachne''
  • * ''Erianthus''
  • * ''Eriochrysis'' (동의어 ''Leptosaccharum'')
  • * ''Euclasta'' (동의어 ''Indochloa'')
  • * ''Eulalia''
  • * ''Hemisorghum'' (''Sorghum''의 동의어)
  • * ''Homozeugos''
  • * ''Imperata''
  • * ''Lasiorhachis''
  • * ''Leptatherum'' (동의어 ''Polliniopsis'')
  • * ''Miscanthidium''
  • * ''Miscanthus'' (동의어 ''Diadranthus'', ''Rubomons'', ''Triarrhena'', ''Tenacistachya'')
  • * ''Narenga''
  • * ''Polytrias''
  • * ''Pseudodichanthium''
  • * ''Pseudopogonatherum''
  • * ''Pseudosorghum'' (''Eulalia''의 동의어)
  • * ''Saccharum''
  • * ''Sarga''
  • * ''Sclerostachya''
  • * ''Sorghastrum''
  • * ''Sorghum'' (동의어 ''Vacoparis'')
  • * ''Trachypogon''
  • * ''Tripidium''
  • * ''Veldkampia''
  • Andropogoninae
  • * ''Anadelphia''
  • * ''Andropogon'' (동의어 ''Hypogynium'')
  • * ''Bhidea''
  • * ''Bothriochloa''
  • * ''Capillipedium''
  • * ''Clausospicula''
  • * ''Cymbopogon''
  • * ''Dichanthium''
  • * ''Diectomis''
  • * ''Diheteropogon''
  • * ''Elymandra''
  • * ''Eremopogon''
  • * ''Exotheca''
  • * ''Heteropogon''
  • * ''Hyparrhenia''
  • * ''Hyperthelia''
  • * ''Iseilema''
  • * ''Lakshimia''
  • * ''Monocymbium''
  • * ''Parahyparrhenia''
  • * ''Pseudanthistiria''
  • * ''Schizachyrium''
  • * ''Spathia''
  • * ''Spodiopogon'' (동의어 ''Eccoilopus'')
  • * ''Themeda''


Welker 등(2020)은 나도솔새족 내 14개 아족, 92개 속, 약 1224개 종을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

  • 아족 아르트락소니나에(Arthraxoninae)
  • * ''아르트락손''(Arthraxon)
  • 아족 트립사키나에(Tripsacinae)
  • * ''트립사쿰''(Tripsacum)
  • * ''옥수수''(Zea)
  • 아족 키오나크니나에(Chionachninae)
  • * ''키오나크네''(Chionachne)
  • * ''폴리토카''(Polytoca)
  • * ''트릴로바크네''(Trilobachne)
  • 아족 리타크니나에(Rhytachninae)
  • * ''록소데라''(Loxodera)
  • * ''옥시라키스''(Oxyrhachis)
  • * ''리타크네''(Rhytachne)
  • * ''유렐리트룸''(Urelytrum)
  • * ''보시아''(Vossia)
  • 아족 크리소포고니나에(Chrysopogoninae)
  • * ''크리소포곤''(Chrysopogon)
  • 아족 로트보엘리이나에(Rottboelliinae) = 코이키나에(Coicinae)
  • * ''카스모포디움''(Chasmopodium)
  • * ''코익스''(Coix)
  • * ''로트보엘리아''(Rottboellia)
  • 아족 라체부르기이나에(Ratzeburgiinae)
  • * ''에레모클로아''(Eremochloa)
  • * ''글리포클로아''(Glyphochloa)
  • * ''하켈로클로아''(Hackelochloa)
  • * ''헤마르트리아''(Hemarthria)
  • * ''헤테로폴리스''(Heteropholis)
  • * ''마니수리스''(Manisuris)
  • * ''므네시테아''(Mnesithea)
  • * ''오피우로스''(Ophiuros)
  • * ''라체부르기아''(Ratzeburgia)
  • * ''토마스토클로아''(Thaumastochloa)
  • * ''티르시아''(Thyrsia)
  • 아족 이스케미나에(Ischaeminae) = 디메리이나에(Dimeriinae)
  • * ''안드로프테룸''(Andropterum)
  • * ''디메리아''(Dimeria)
  • * ''에울라리오프시스''(Eulaliopsis)
  • * ''이스케뭄''(Ischaemum)
  • 아족 게르마이니이나에(Germainiinae)
  • * ''아포코피스''(Apocopis)
  • * ''게르마니아''(Germania)
  • * ''임페라타''(Imperata)
  • * ''로포포곤''(Lophopogon)
  • * ''포고나테룸''(Pogonatherum)
  • 아족 소르기나에(Sorghinae)
  • * ''클레이스타크네''(Cleistachne)
  • * ''라시오라키스''(Lasiorhachis)
  • * ''사가''(Sarga)
  • * ''수수''(Sorghum)
  • 아족 사카리나에(Saccharinae)
  • * ''억새''(Miscanthus)
  • * ''슈도소르검''(Pseudosorghum)
  • * ''사탕수수''(Saccharum)
  • 아족 아플루디나에(Apludinae)
  • * ''아플루다''(Apluda)
  • * ''아스테노클로아''(Asthenochloa)
  • * ''참새피''(Eulalia)
  • * ''호모제우고스''(Homozeugos)
  • * ''폴리트리아스''(Polytrias)
  • * ''소르가스트룸''(Sorghastrum)
  • * ''트라키포곤''(Trachypogon)
  • 아족 안티스토리이나에(Anthistiriinae)
  • * ''보트리오클로아''(Bothriochloa)
  • * ''카필리페디움''(Capillipedium)
  • * ''시보포곤''(Cymbopogon)
  • * ''디칸티움''(Dichanthium)
  • * ''에레모포곤''(Eremopogon)
  • * ''유클라스타''(Euclasta)
  • * ''헤테로포곤''(Heteropogon)
  • * ''이세일레마''(Iseilema)
  • * ''테메다''(Themeda)
  • 아족 안드로포고니나에(Andropogoninae)
  • * ''아나델피아''(Anadelphia)
  • * ''안드로포곤''(Andropogon)
  • * ''비데아''(Bhidea)
  • * ''디엑토미스''(Diectomis)
  • * ''디헤테로포곤''(Diheteropogon)
  • * ''엘리만드라''(Elymandra)
  • * ''엑소테카''(Exotheca)
  • * ''히파르레니아''(Hyparrhenia)
  • * ''히페르텔리아''(Hyperthelia)
  • * ''모노심비움''(Monocymbium)
  • * ''시자키리움''(Schizachyrium)
  • 불확정 분류
  • * ''아게니움''(Agenium)
  • * ''엘리오누루스''(Elionurus)
  • * ''에리오크리시스''(Eriochrysis)
  • * ''자르디네아''(Jardinea)
  • * ''케리오클로아''(Kerriochloa)
  • * ''라시우루스''(Lasiurus)
  • * ''렙타테룸''(Leptatherum)
  • * ''마이크로스테기움''(Microstegium)
  • * ''파라히파르레니아''(Parahyparrhenia)
  • * ''파케루루스''(Phacelurus)
  • * ''슈도포고나테룸''(Pseudopogonatherum)
  • * ''세히마''(Sehima)
  • * ''스포디오포곤''(Spodiopogon)
  • * ''텔레포곤''(Thelepogon)
  • * ''트리피디움''(Tripidium)
  • * ''클라우스오스피쿨라''(Clausospicula)
  • * ''락슈미아''(Lakshmia)
  • * ''포고나크네''(Pogonachne)
  • * ''슈도안티스티리아''(Pseudanthistiria)
  • * ''슈도디칸티움''(Pseudodichanthium)
  • * ''스파티아''(Spathia)
  • * ''트리플로포곤''(Triplopogon)
  • * ''벨드캄피아''(Veldkampia)


각 분류에 대한 주요 속은 "기타 주요 속"과 "상세 하위 분류" 하위 섹션에 이미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간략하게 언급만 한다.

3. 1. 기타 주요 속

아족속(Genus)
개사탕수수아족
개쇠치기풀아족
게르마이니아아족
나도솔새아족
솔새아족
쇠보리아족
수수새아족
염주아족
잔디바랭이아족
키오나크네아족
트립사쿰아족


3. 2. 상세 하위 분류

아족
개사탕수수아족(Saccharinae)
개쇠치기풀아족(Rottboelliinae)
게르마이니아아족(Germainiinae)
나도솔새아족(Andropogoninae)
솔새아족(Anthistiriinae)
쇠보리아족(Ischaeminae)
수수새아족(Sorghinae)
염주아족(Coicinae)
잔디바랭이아족(Dimeriinae)
키오나크네아족(Chionachninae)
트립사쿰아족(Tripsacinae)


4. 계통 분류

PACMAD 분지군영어에 속하며, 기장아과 내에서 "centothecoid clade" 다음으로 분기된 분지군이다.[19][20] 나도솔새상족(Andropogonodae)에 속하며, 새족과 자매군이다.

Soreng 등(2017)의 분류와 Welker 등(2020)의 분류에[6] 따른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

Soreng 등(2017)Welker 등(2020)


참조

[1] 백과사전 Shaanxi Viking 1953
[2] 논문 A worldwide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Poaceae (Gramineae)
[3] 서적 Grass Diversity of Kerala Endemism and its Phytogeographical Significance. In MK Jananrdhanan & D. Narasimhan (Eds.) Plant diversity, Human welfare and conservation. https://www.research[...] Goa University. 2003
[4] 웹사이트 Taxonomic revision of the subtribe Dimeriinae Hack of Andropogoneae Panicoideae Poaceae in Peninsular India https://shodhganga.i[...] 2008
[5] 논문 Phylogenetics of Andropogoneae (Poaceae: Panicoideae) Based on Nuclear Ribosomal Internal Transcribed Spacer and Chloroplast trnL–F Sequences https://scholarship.[...] 2020-04-14
[6] 논문 Phylogenomics enables biogeographic analysis and a new subtribal classification of Andropogoneae (Poaceae—Panicoideae) 2020
[7] 간행물 Observations sur les Graminées de la Flore Belgique 1824
[8] 간행물 Spicilegium florae rumelicae et bithynicae 1846
[9] 간행물 Reliquiae Haenkeanae 1830
[10] 간행물 Kew Bulletin 1972
[11] 간행물 Reliquiae Haenkeanae 1830
[12] 간행물 Reliquiae Haenkeanae 1830
[13] 간행물 Reliquiae Haenkeanae 1830
[14] 간행물 Kew Bulletin, Additional Series 1986
[15] 간행물 Kew Bulletin, Additional Series 1986
[16] 간행물 The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II. Monocotyledons 1934
[17] 간행물 Kew Bulletin 1981
[18] 간행물 Analyse des Familles des Plantes 1829
[19] 저널 New grass phylogeny resolves deep evolutionary relationships and discovers C4 origins 2012
[20] 저널 A worldwide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Poaceae (Graminea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