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차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꽃차례는 식물에서 꽃이 줄기에 배열되는 방식을 의미한다. 무한꽃차례와 유한꽃차례로 크게 나뉘며, 각 꽃차례는 총상꽃차례, 수상꽃차례, 산방꽃차례, 산형꽃차례, 두상꽃차례, 육수꽃차례, 원추꽃차례, 미상꽃차례, 취산꽃차례, 배상화서, 복합꽃차례 등 다양한 형태로 세분화된다. 꽃차례의 발달은 유전자, 곤충, 온도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꽃차례의 구조는 식물의 번식 성공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꽃차례 - 총상꽃차례
총상꽃차례는 포도송이를 뜻하는 라틴어 'racemus'에서 비롯된 용어이다. - 꽃차례 - 산형꽃차례
산형꽃차례는 여러 개의 꽃자루가 한 점에서 나와 우산 모양을 이루는 꽃차례를 의미하며, 복산형화서는 산형꽃차례가 다시 산형꽃차례를 이루는 형태이다. - 꽃 - 무궁화
무궁화는 한국의 국화로 여겨지는 낙엽 관목으로, 여름 동안 다양한 색깔의 꽃을 피우며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되고, 강한 생명력을 지닌 역사적으로 중요한 식물이다. - 꽃 - 매실나무
매실나무는 중국 남부 원산의 장미과 낙엽 교목으로, 이른 봄에 향기로운 꽃을 피우고 여름에 청매와 황매로 나뉘는 열매를 맺으며 관상용, 식용, 약용으로 재배되고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식물형태학 - 나무
나무는 목부를 형성하고 육상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문화적으로 숭배받지만, 멸종 위기에 처해 보존 노력이 필요한 식물이다. - 식물형태학 - 뿌리
뿌리는 식물체의 지하 기관으로, 물과 양분 흡수, 지지, 저장, 호르몬 생성, 공생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다양한 형태와 특수 기능을 가진 뿌리도 존재하고, 식량, 약재 등으로 활용되며 환경 보호와 부정적 영향 모두에 관여한다.
꽃차례 | |
---|---|
개요 | |
정의 | 꽃의 배열 방식 또는 꽃이 줄기나 가지에 배열된 형태 |
중요성 | 식물 분류 및 식별에 중요한 특징 |
기능 | 수분 매개자 유인 종자 확산 생식 성공률 증가 |
기본 유형 | |
무한 화서 (indefinite inflorescence) | 가장 바깥쪽 또는 아래쪽 꽃부터 피기 시작하여 점차 안쪽 또는 위쪽으로 개화 진행 중앙의 생장점이 계속 성장하여 새로운 꽃을 형성 예시: 총상꽃차례, 산방꽃차례, 산형꽃차례, 두상꽃차례, 미상꽃차례, 육수꽃차례, 복산형꽃차례, 권산꽃차례 |
유한 화서 (definite inflorescence) | 중앙의 꽃부터 피기 시작하여 점차 바깥쪽으로 개화 진행 중앙의 생장점이 꽃으로 변하여 더 이상 성장하지 않음 예시: 단정꽃차례, 복산방꽃차례, 권산꽃차례 |
세부 유형 (무한 화서) | |
총상꽃차례 (raceme) | 긴 꽃대축에 짧은 꽃자루를 가진 꽃들이 붙어 있는 형태 |
산방꽃차례 (corymb) | 꽃대축의 아래쪽에 달린 꽃일수록 꽃자루가 길어져 전체적으로 평평한 형태 |
산형꽃차례 (umbel) | 꽃자루들이 꽃대축의 한 점에서 나와 우산 모양을 이루는 형태 |
두상꽃차례 (head, capitulum) | 꽃대축이 짧고 넓적하며, 많은 작은 꽃들이 모여 머리 모양을 이루는 형태 |
미상꽃차례 (spike) | 긴 꽃대축에 꽃자루가 없는 꽃들이 붙어 있는 형태 |
육수꽃차례 (spadix) | 굵고 육질의 꽃대축에 많은 작은 꽃들이 빽빽하게 붙어 있으며, 불염포로 싸여 있는 형태 |
복산형꽃차례 (compound umbel) | 산형꽃차례가 다시 산형꽃차례로 모여 이루어진 형태 |
권산꽃차례 (cincinnus) | 꽃자루가 한쪽 방향으로만 발달하여 꼬인 모양을 이루는 형태 |
세부 유형 (유한 화서) | |
단정꽃차례 (cyme) | 꽃대축 끝에 달린 꽃이 먼저 피고, 그 아래쪽에서 가지가 나와 꽃이 피는 형태 |
복산방꽃차례 (compound corymb) | 산방꽃차례가 다시 산방꽃차례로 모여 이루어진 형태 |
권산꽃차례 (dichasium) | 중앙 꽃 아래에서 두 개의 가지가 나와 각각 꽃이 피는 형태 |
2. 무한꽃차례
'''무한꽃차례'''(무한화서, 無限花序)는 꽃차례의 옆 또는 일부분에서만 꽃이 피는 것으로, 대개 꽃대의 아래쪽(또는 바깥쪽)에서 위쪽으로 향해 꽃이 핀다. 이것은 꽃대가 자라는 동안에는 꽃이 무한히 필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이름이 붙여졌다.[3]
- 단정꽃차례: 단꽃차례로도 불리며 단 한 개의 화축으로 이루어져 있다. (튤립, 얼레지, 까치무릇, 양귀비)
- 총상꽃차례: 갈라지지 않은 하나의 화축에 작은꽃가지가 발달한 꽃들이 배열되어 있다. (범꼬리, 짚신나물)
- 수상꽃차례: 총상꽃차례와 비슷하게 생겼으나 각 꽃의 작은꽃가지가 매우 짧거나 없다. (밀, 쇠무릎지기, 질경이)
- 산방꽃차례: 꽃가지의 끝이 거의 같은 높이로 자라서 꽃이 가운데를 향해 피어난다. (유채, 냉이, 무, 벚나무)
- 산형꽃차례: 우산 모양의 꽃차례로, 꽃차례 축의 끝 부분에 한 점으로부터 작은꽃가지가 동일한 길이로 꽃을 달고 있다. (앵초, 청미래덩굴, 석산, 미나리)
- 두상꽃차례: 꽃가지가 퇴화해 줄기의 정점으로 많은 꽃들이 몰려있다. (민들레, 센토레아, 서향, 엉겅퀴)
- 육수꽃차례: 꽃차례의 주축이 육질로 두껍게 부풀어 오른 형태이다. (앉은부채, 천남성, 부들)
- 원추꽃차례: 총상꽃차례의 꽃에 해당하는 부분에 총상꽃차례가 달리는 복합꽃차례의 일종이다. (벼과)
- 미상꽃차례: 바람으로 꽃가루받이를 하는 단순한 꽃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화축이 길게 늘어져 있다. (버드나무과, 자작나무과)
2. 1. 총상꽃차례 (Raceme)
갈라지지 않은 하나의 화축에 작은꽃가지가 발달한 꽃들이 배열되어 있다. 범꼬리, 짚신나물 등이 이에 해당한다.[8] 주축이 길게 뻗고, 줄기가 있는 꽃이 간격을 두고 달려 있는 형태이다. 등나무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24]
2. 2. 수상꽃차례 (Spike)
수상꽃차례는 총상꽃차례와 비슷하게 생겼으나 각 꽃의 작은꽃가지가 매우 짧거나 없는 꽃차례이다. 밀, 쇠무릎지기, 질경이 등이 이에 해당한다.[8]2. 3. 산방꽃차례 (Corymb)
꽃가지의 끝이 거의 같은 높이로 자라서 꽃이 가운데를 향해 피어난다. 유채, 냉이, 무, 벚나무 등이 이에 해당한다.[8] 주축이 짧고, 그보다 긴 줄기를 가진 꽃이 간격을 좁혀서 생긴다.[24]
2. 4. 산형꽃차례 (Umbel)
우산 모양의 꽃차례로, 꽃차례 축의 끝 부분에 한 점으로부터 작은꽃가지가 동일한 길이로 꽃을 달고 있다. 대부분 무한꽃차례이나 유한꽃차례에서 보이는 경우도 있다. 앵초, 청미래덩굴, 석산, 미나리 등이 이에 해당한다.[8] 미나리과의 특징이다. 주축이 극히 짧아, 거의 없어지고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꽃은 같은 곳에서 나오는 것처럼 보인다. 원래는 당산을 나타내는 「산」을 사용하여 '''산형화서'''라고 썼다.[24]

2. 5. 두상꽃차례 (Head)
꽃가지가 퇴화해 줄기의 정점으로 많은 꽃들이 몰려있다. 유한꽃차례에서도 두상꽃차례의 형식이 나타나며, 이런 형식의 경우 중앙에 모여있는 꽃들이 먼저 피기도 한다. 민들레, 센토레아, 서향, 엉겅퀴가 그 예이다.[8]

'''두상화서'''(頭狀花序, head영어)는 꽃자루의 주축 끝이 평평해지고, 자루가 없는 꽃이 그곳에 밀생하는 것이다. 수상화서가 극단적으로 빽빽하게 모인 것이다. 국화과 등이 이에 해당된다.
2. 6. 육수꽃차례 (Spadix)
꽃차례의 주축이 육질로 두껍게 부풀어 오른 형태이다. 앉은부채, 천남성, 부들 등이 이에 해당하며, 천남성과 식물의 특징적인 꽃차례이기도 하다.[8]2. 7. 원추꽃차례 (Panicle)
총상꽃차례의 꽃에 해당하는 부분에 총상꽃차례가 달리는 복합꽃차례의 일종으로, 복총상화서라고도 불린다. 벼과 등이 이에 해당한다.2. 8. 미상꽃차례 (Catkin)
단성화가 이삭 모양으로 맺히고, 아래로 처지는 꽃차례이다. 말랐을 때는 화서의 기부에서 떨어져 나간다. 버드나무과, 자작나무과 등의 것을 특히 미상꽃차례라고 부른다. 바람으로 꽃가루받이를 하는 단순한 꽃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화축이 길게 늘어져 있다. 유한꽃차례이기도 하다.[8]3. 유한꽃차례
유한꽃차례는 꽃이 꽃대의 위쪽(정단화)에서부터 아래쪽을 향해 피어나는 꽃차례로, 무한꽃차례보다 원시적이다.[25]
식물 기관은 단축 성장 또는 단생 성장과 복축 성장 또는 취산 성장의 두 가지 방식으로 성장할 수 있다. 꽃차례에서 이 두 가지 성장 패턴은 각각 무한화서 및 유한화서로 나타나며, 정단화 형성 여부와 꽃차례 내 개화 시작 위치를 통해 구분된다.
- 무한화서: 단생 성장. 정단아가 계속 자라며 측면 꽃을 형성하고, 정단화는 형성되지 않는다.
- 유한화서: 복축 성장. 정단아가 정단화를 형성한 후 생장을 멈추고, 다른 꽃들은 측면 아에서 자란다.
무한화서와 유한화서는 각각 '개방형' 및 '폐쇄형' 꽃차례라고도 불린다. 무한화는 유한화에서 파생되었으며, 서로 다른 종에서 여러 번 독립적으로 발생했다.[6]
유한화서에서는 정단화가 대개 가장 먼저 성숙하고(선구적 발달), 다른 꽃들은 줄기 밑에서부터 성숙하는 경향(상향 개화)이 있다. 꽃이 줄기 꼭대기에서부터 성숙하기 시작하면 기저 개화, 중앙 꽃이 먼저 성숙하면 분산이라고 한다.
단순 유한꽃차례는 보통 사이모스(cymose)라고 불린다. 사이모스 꽃차례의 주요 종류는 취산꽃차례이며, 다음과 같이 더 세분화된다.
- 1개의 이차 축만 존재: 단축취산꽃차례
- 이차 싹이 항상 줄기의 같은 쪽에 발달: 나선취산꽃차례 또는 보스트릭스
- 연속적인 꽃자루는 같은 평면에 정렬: 드레파니움
- 이차 싹이 줄기에서 교대로 발달: 전갈취산꽃차례
- 연속적인 꽃자루는 일종의 나선형으로 배열: 신시너스 (지치과와 닭의장풀과의 특징)
- 연속적인 꽃자루는 같은 평면에서 지그재그 경로를 따름: 리피디움 (붓꽃과의 많은 종)
- 2개의 이차 축 존재: 복취산꽃차례
- 이차 축이 여전히 복취산: 디카시움 (석죽과의 특징)
- 이차 축이 단축취산: 이중 전갈취산꽃차례 또는 이중 나선취산꽃차례
- 3개 이상의 이차 축 존재: 다축취산꽃차례

총상꽃차례와 유사한 취산꽃차례는 보트리이드라고 하며, 끝에 꽃이 있는 총상꽃차례와 같아 일반적으로 '총상꽃차례'라고 잘못 불리기도 한다.
포엽의 겨드랑이에서 자라는 축소된 총상꽃차례 또는 취산꽃차례는 속생꽃차례라고 한다. 정생취산꽃차례는 복취산꽃차례의 구조를 가진 속생꽃차례이며, 꿀풀과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축소된 포엽을 가진 많은 정생취산꽃차례는 흔히 '이삭'이라고 불리는 이삭 모양의 꽃차례를 형성할 수 있다.
3. 1. 취산꽃차례 (Cyme)
취산꽃차례(聚繖次例, cyme)는 유한꽃차례의 한 종류로, 본 꽃대에서 갈라져 나온 작은 꽃가지가 마주나기(대생)를 이루며 꽃이 3개씩 한 단위로 묶여 있는 것이 특징이다.[25] 미나리아재비, 수국, 작살나무, 백당나무 등이 대표적이다.[26]꽃차례를 이루는 작은 꽃가지의 개수 및 위치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뉘며, 정단화를 달고 있는 끝부분 전까지 여러 개의 마디 사이를 형성하면 원추꽃차례와 비슷한 모습이 된다.[25] 뭉쳐져서 산형꽃차례처럼 보일 수도 있는데, 엄밀히는 '산형취산꽃차례'라고 하지만 일반적으로 '산형꽃차례'라고 한다.
결정 단순 꽃차례는 보통 '''사이모스'''(cymose)라고 불리며, 라틴어 ''cyma''('양배추 싹'이라는 뜻)에서 유래되었고, 그리스어 ''kuma''('부어오른 것'이라는 뜻)에서 파생되었다.[9][10]
3. 1. 1. 단출취산꽃차례 (Monochasium)
권산꽃차례라고도 한다. 한쪽의 꽃가지가 완전히 퇴화한 쪽으로 말려 있으며, 바깥쪽에는 꽃 하나가 달린 작은 가지가 하나씩 배열되어 있다. 주축 선단의 꽃 아래쪽에서 하나만 옆가지가 나오고, 옆가지 선단의 꽃 바로 아래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옆가지가 나오는 것을 반복한다. 물망초, 꽃마리, 지치 등이 이에 해당한다. 연속적인 꽃자루는 같은 평면에 정렬된다.[25]3. 1. 2. 이출취산꽃차례 (Dichasium)
닭의장풀에서 볼 수 있는 이출취산꽃차례(Dichasium)는 취산꽃차례의 한 종류이다. 취산꽃차례는 주축 끝에 꽃이 달리고, 그 아래에서 옆가지가 나와 끝에 꽃이 달리는 기본 패턴이 반복되는 형태이다. 이출취산꽃차례는 2개의 이차 축이 존재하며, 이 축들이 여전히 복취산 형태를 유지하는 석죽과 식물의 특징적인 꽃차례이다.[25]3. 2. 배상꽃차례
배상꽃차례는 대극과에서 나타난다.[25]4. 복합꽃차례
단일꽃차례가 모여 복잡한 구조를 이루는 것을 복합꽃차례라고 한다. 복합꽃차례는 단일꽃차례가 배열되는 방식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4. 1. 복수꽃차례
수상꽃차례가 이삭 모양으로 배열하는 복합꽃차례로, 밀이 그 예이다.4. 2. 복산형꽃차례
산형꽃차례가 산 모양으로 배열하는 복합꽃차례로, 미나리과가 그 예이다.4. 3. 수상총상꽃차례
수상꽃차례가 총상으로 배열하는 복합꽃차례이다. 사초속이 그 예이다.[8]4. 4. 두상기산꽃차례
두상꽃차례가 기산상으로 배열하는 복합꽃차례의 한 종류로, 민솜방망이가 대표적인 예이다.5. 기타 특수 꽃차례
국화과는 '''두상화서(calathid)'''라고 불리는 특화된 머리(head)로 특징지어진다. 보통 'capitulum' 또는 'head'라고 불린다. 벼과는 이삭('''소수''')으로 이루어진 특이한 꽃차례를 가지며, 이것들은 원추꽃차례 또는 이삭으로 배열된다.[11] 대극속은 보통 산형꽃차례로 배열된 '''술잔화'''(cyathium)를 가진다.
일부 종은 가화 또는 유사화서로 축소된 꽃차례를 가지며, 이 경우 꽃차례와 단일 꽃을 구별하기 어렵다.[12]
겉보기에는 하나의 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여러 개의 꽃이 모여 있는 꽃차례는 다음과 같다.
- 두상화서 (head영어): 꽃자루의 주축 끝이 평평해지고, 자루가 없는 꽃이 밀생하는 것. 국화과 등.
- Spadix (botany)|육수화서영어: 수상화서의 주축이 육질로 두껍게 부풀어 오른 것. 천남성과 등.
- 배상화서: 암꽃 하나, 수꽃 몇 개가 모여 꽃차례를 구성한다. 수꽃과 암꽃은 거의 단독의 수술과 암술로까지 퇴화하고, 술잔 모양이 된 총포 안에 들어간다. 대극류.
5. 1. 구화서
침엽수(소나무 등)의 꽃차례 형태이다.5. 2. 무화과형화서/은두화서 (Hypanthodium)
꽃축의 끝이 크게 부풀어 항아리 모양이 되고, 그 항아리 안쪽에 단성화가 밀생하는 형태이다. 무화과속 식물에서 볼 수 있다.[11]5. 3. 소수 (Spikelet)
벼과, 사초과의 경우, 총상꽃차례가 극단적으로 단축되어 인편이 겹쳐진 듯한 구조를 만든다. 이것을 소수라고 부른다. 이러한 식물에서는 소수가 꽃차례의 구성 단위로 간주된다.[11]5. 4. 장식화
수국 등에서 볼 수 있는 장식화는 꽃차례 주변의 꽃이 꽃잎 등만을 특별히 발달시킨 불임의 꽃이다.6. 꽃차례의 발달과 패턴
꽃차례 발달을 조절하는 유전자는 ''애기장대''에서 매우 광범위하게 연구되었다. ''LEAFY'' (LFY)는 ''애기장대''에서 꽃 분열조직의 정체성을 촉진하고 꽃차례 발달을 조절하는 유전자이다.[13] LFY 발현 시기의 변화는 식물에서 서로 다른 꽃차례의 형성을 유발할 수 있다.[14] LFY와 기능이 유사한 유전자에는 ''APETALA1'' (AP1)이 있다. LFY, AP1 및 이와 유사한 촉진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꽃이 줄기로 변환되도록 할 수 있다.[13] LEAFY와 대조적으로, ''terminal flower'' (TFL)과 같은 유전자는 꽃차례 정점(꽃 원기 시작)에서 꽃이 자라는 것을 막는 억제제의 활성을 지원하여 꽃차례 분열조직의 정체성을 유지한다.[15] 두 종류의 유전자 모두 꽃 발달의 ABC 모델에 따라 꽃 발달을 조형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유전자의 동족 유전자에 대한 연구가 최근에 수행되었거나 다른 꽃 종에서 진행 중이다.
꽃차례를 먹는 곤충 초식동물은 생애 적합도(개화 빈도), 꽃차례의 종자 생산량, 식물 밀도 등을 감소시켜 꽃차례의 형태를 형성한다.[16] 이러한 초식동물이 없는 경우, 꽃차례는 대개 더 많은 꽃송이와 씨앗을 생산한다.[16] 온도 역시 꽃차례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고온은 특정 종에서 꽃봉오리의 적절한 발달을 저해하거나 꽃봉오리 발달을 지연시킬 수 있으며, 다른 종에서는 온도 상승이 꽃차례 발달을 촉진할 수 있다.[17][18][19]
꽃의 영양 생장 단계에서 생식 생장 단계로의 전환에는 꽃 분열조직이 생성되는 꽃차례 분열조직의 발달이 포함된다.[20] 식물 꽃차례 구조는 어떤 분열조직이 꽃이 되고, 어떤 분열조직이 줄기가 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21] 결과적으로, 꽃 분열조직의 정체성을 조절하는 유전자는 꽃차례 구조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그들의 발현 영역이 식물의 꽃이 형성되는 위치를 지시하기 때문이다.[20]
더 큰 규모에서 볼 때, 꽃차례 구조는 자가 수분과 타가 수분으로부터 얻는 자손의 질과 양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구조가 수분 성공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Asclepias''(박주가리속) 꽃차례는 같은 식물 내의 꽃차례 간 또는 같은 꽃차례 내의 꽃 사이의 교배로 인해 자가 수분 수준에 의해 결정되는 상한 크기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22] ''Aesculus sylvatica''(미국칠엽수)의 경우, 가장 일반적인 꽃차례 크기가 가장 높은 열매 생산량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3]
참조
[1]
간행물
USA National Phenology Network Botany Primer
https://Www.usanpn.o[...]
USA-NPN Education and Engagement Series 2015-001
2015
[2]
웹사이트
Inflorescence {{!}} Racemes, Spikes & Cyme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11-03
[3]
논문
Inflorescences: concepts, function, development and evolution
2013
[4]
웹사이트
PlantNET - NSW Flora Online - Glossary
http://plantnet.rbgs[...]
2022-05-17
[5]
논문
Desmopsisterriflora, an extraordinary new species of Annonaceae with flagelliflory
2023
[6]
논문
Inflorescence Commitment and Architecture in Arabidopsis
1997-01-03
[7]
서적
'Flowering plants, Dicotyledons: Malvales, Capparales, and non-betalain Caryophyllales. The Families and genera of vascular plants, 5'
Springer
2002
[8]
문서
Oxford English Dictionary. Raceme 2. Bot. A type of inflorescence in which the flowers are arranged on short, nearly equal, lateral pedicels, at equal distances along a single elongated axis
[9]
문서
Collins English Dictionary. 8th Edition first published in 2006
[10]
문서
'Oxford English Dictionary. Cyme(1) Bot. A species of inflorescence wherein the primary axis bears a single terminal flower which develops first, the system being continued by axes of secondary and higher orders which develop successively in like manner; a centrifugal or definite
[11]
서적
Plant Systematics
Academic Press
2010
[12]
논문
The inflorescence: Introduction
1999-10-01
[13]
논문
Genetic Interactions That Regulate Inflorescence Development in Arabidopsis.
1993-06-01
[14]
논문
LEAFY, a Homeotic Gene That Regulates Inflorescence Development in Arabidopsis.
1991-08-01
[15]
논문
terminal flower: a gene affecting inflorescence development in Arabidopsis thaliana
1992-01-01
[16]
논문
Effect of Inflorescence-Feeding Insects on the Demography and Lifetime of a Native Plant
1995-01-01
[17]
논문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Photoperiod on Flower Induction and Inflorescence Development in Sweet Orange (Citrus Sinensis L. Osbeck)
2015-11-27
[18]
논문
High temperature arrest of inflorescence development in broccoli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L.)
1998-01-01
[19]
논문
Effects of Photoperiod, Nitrogen Nutrition and Temperature on Inflorescence Initiation and Development in Onion (Allium cepa L.)
1983-04-01
[20]
논문
Genetic control of branching pattern and floral identity during Petunia inflorescence development
http://dev.biologist[...]
1998-02-15
[21]
논문
Floral Initiation and Inflorescence Architecture: A Comparative View
2007-09-01
[22]
논문
The Reproductive Biology of Asclepias Tuberosa: I. Flower Number, Arrangement, and Fruit-Set
1980-05-01
[23]
논문
Inflorescence Architecture: How Flower Number, Arrangement, and Phenology Affect Pollination and Fruit-Set
1982-04-01
[24]
서적
野外観察ハンドブック 写真で見る植物用語
全国農村教育協会
2004-05-03
[25]
서적
Plant Systematics: A Phylogenetic Approach
신일북스
2008-09-29
[26]
웹인용
취산화서
http://mytreelove.co[...]
2024-12-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