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리타 도모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리타 도모미는 일본의 정치인으로, 가가와현 출신이다. 도쿄 제국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미쓰이 광산에 입사했다가 미쓰이 화학으로 이직하여 문서과장을 역임했다. 1947년 제23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 이후 12선을 기록했으며, 일본 사회당 내에서 스즈키 시게자부로 파벌에 속했다. 사회당 위원장을 역임했으나 당내 갈등을 해결하지 못하고 1977년 사퇴했으며, 1979년 백혈병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가와현립 다카마쓰 고등학교 동문 - 오가와 준야
오가와 준야는 가가와현 출신의 일본 정치인으로, 총무성 관료 출신으로 중의원 의원을 역임하며, 총무대신 정무관을 지냈고, 현재 입헌민주당 소속으로 진보적인 정책 기조를 보이며 날카로운 정부 비판으로 알려져 있다. - 가가와현립 다카마쓰 고등학교 동문 - 후지사와 에마
후지사와 에마는 2001년 잡지 모델로 데뷔하여 배우로 활동하며, 영화와 드라마에 출연했고, 고향 가가와현의 대사로 임명되기도 했다. - 일본사회당 위원장 - 아사누마 이네지로
아사누마 이네지로는 일본 사회당 위원장으로, 사회주의 운동가, 정치인으로서 일본 노농당 창립, 도쿄 시의회 의원, 국회 의원, 사회당 재건, 헌법 9조 개정 및 재군사화 반대 운동을 주도했으나, 1960년 미일 안보 조약 개정 반대 투쟁 중 극우 청년에게 암살당했다. - 일본사회당 위원장 - 도이 다카코
도이 다카코는 일본의 정치인이자 헌법학자로, 일본사회당과 사회민주당에서 활동하며 일본 헌정 사상 최초의 여성 당수이자 중의원 의장을 역임했고, 여성의 정치 참여 확대에 기여, 진보적인 정치 활동을 펼쳤으나, 납북자 문제 대응 및 당 운영에 대한 비판과 친북 성향 논란 등 복합적인 평가를 받는다. - 가가와현 출신 - 오히라 마사요시
오히라 마사요시는 일본의 정치인이자 제68대 내각총리대신으로, 외무대신 시절 한일 및 중일 국교 정상화에 기여했으며, 총리 재임 중 환태평양 연대 구상을 제시하는 등 활발한 외교 활동을 펼쳤으나 총선 직전 심근경색으로 사망했다. - 가가와현 출신 - 야마모토 소이치로
야마모토 소이치로는 쇼도시마 섬 출신으로 사춘기 남녀의 감정 변화를 섬세하게 묘사하는 작풍으로 유명하며, 『장난을 잘 치는 타카기 양』으로 쇼가쿠칸 만화상을 수상한 일본의 만화가이다.
나리타 도모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나리타 도모미 |
원어 이름 | 成田 知巳 |
출생일 | 1912년 9월 15일 |
출생지 | 가가와현 다카마쓰시 |
사망일 | 1979년 3월 9일 |
사망지 | 도쿄도 메구로구 (국립도쿄제2병원) |
출신 학교 | 도쿄제국대학 (현 도쿄대학) |
직업 | 미쓰이 광산 사원 (현 일본코크스공업) 미쓰이화학 사원 |
부친 | 나리타 다카지 |
정치 경력 | |
소속 정당 | 일본사회당 좌파사회당 일본사회당 |
국회의원 | 중의원 의원 |
선거구 | 가가와현 제1구 |
당선 횟수 | 12회 |
임기 시작일 | 1947년 4월 26일 |
임기 종료일 | 1979년 3월 9일 |
퇴임 사유 | 재직 중 사망 |
일본사회당 위원장 | |
직책 | 제7대 일본사회당 중앙집행위원장 |
임기 시작일 | 1968년 11월 30일 |
임기 종료일 | 1977년 12월 13일 |
이전 위원장 | 가쓰마타 세이이치 |
다음 위원장 | 아스카타 이치오 |
2. 초기 생애
1912년 9월 15일 가가와현 다카마쓰시에서 태어났다. 구제 다카마쓰 중학교를 졸업한 뒤 제4고등학교를 거쳐 도쿄제국대학 법학부에 진학했다. 대학 졸업 후 미쓰이광산에 입사했으나, 1941년 미쓰이화학으로 옮겨 1943년에는 문서과장으로 승진했다. 고등학교 시절에는 훗날 사회당 참의원 의원이 된 가메다 도쿠지와 만났다.[1] 아버지는 비료상이었으며 다카마쓰 시의회 의원으로 활동했다.
나리타 도모미는 가가와현 다카마쓰시 출신으로, 비료상이었던 다카마쓰시 의회 의원 나리타 타카지의 아들이다. 구제 다카마쓰 중학교(현 가가와현립 다카마쓰 고등학교)와 제4고등학교(현 가나자와대학)를 거쳐 도쿄대학 법학부를 졸업했다. 다카마쓰 중학교 시절에는 야구부 매니저를 맡았으며, 1년 선배로 카지와라 히데오와 미하라 오사무가 있었다. 대학 졸업 후에는 미쓰이 광산에 입사했고, 1941년에는 미쓰이 화학으로 옮겨 1943년에는 문서과장으로 승진했다. 제4고등학교 시절에는, 후에 사회당 참의원이 되는 가메다 토쿠지와 같은 반이었다.[9]
나리타 도모미는 에다 사부로가 구조개혁론을 제시하자 이를 지지하며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2] 1962년 에다가 사무총장직에서 사임하자, 나리타가 그의 뒤를 이어 사무총장이 되었다. [3] 그러나 우파 성향으로 기울어진 에다와 달리, 나리타는 좌파적 입장을 고수하며 "구조 개혁과의 전쟁" 운동을 주창했다. [4] 1964년 1월 1일, 나리타는 사회신보 기고에서 사회당의 세 가지 약점, 즉 정기적인 조직 활동 부족, 지나치게 정치적 또는 정부적인 이미지, 노동조합에 대한 과도한 의존을 지적했다. 이는 이른바 '나리타 3원칙'으로 불리지만, 그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했다. [10]
1967년 건강보험법 개정안을 둘러싼 당내 갈등으로 사사키 고조 위원장이 사퇴하자, 나리타 도모미는 서기장직에서 물러났다. 그러나 1968년 가쓰마타 세이이치 위원장의 사임 이후, 위원장으로 선출되어 에다 사부로를 서기장으로 임명했다. 이는 경력면에서 에다가 나리타보다 앞섰음에도 불구하고 당내 서열상 나리타가 우위에 있었기에 "역산 인사"라는 평가를 받았다. 1969년 총선에서 사회당이 참패하자 사퇴 의사를 밝혔으나, 사사키 고조파와 사회주의협회의 지지로 위원장직을 유지했다. 이후 에다가 위원장직에 도전하며 서기장직을 사퇴하자 이시바시 마사시가 후임 서기장이 되었고, 나리타-이시바시 체제가 구축되었다. 1971년에는 중국을 방문하여 국모뤄와 공동 성명을 발표, "일본 군국주의 부활"과 "아시아에서의 일본 영향력 장악 시도"를 비판했다. 1973년에는 일본 공산당의 자민당과의 비밀 협상 비판을 강하게 반박했다.
1979년 3월 9일, 백혈병으로 사망했다. 사회당 위원장 재임 시절 당내 갈등을 해결하지 못하고, 혁신 자치체 증가에도 불구하고 사회당의 영향력 감소를 막지 못한 점은 비판받는다. 하지만 미사토자카 투쟁 당시 나리타는 공항 건설 반대 운동에 적극 연대하는 등 진보적인 행보를 보였다. 나리타 공항 하늘과 땅의 역사관에 전시된 나무 신탁의 명인장에는 그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으며, 이는 그가 나리타 공항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했음을 보여준다. 특히 일평 운동과의 연대는 그의 진보적인 사회관과 민중을 위한 그의 정치적 신념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1946년 제2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무소속으로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이후 1947년 제23회 총선거부터 1976년 제34회 총선거까지 총 13번의 선거에서 당선되는 기염을 토했다. 가가와현 제1구에서 일본사회당 소속으로 출마하여, 중선거구제 하에서 활약했다.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3. 정치 입문 및 초기 활동
1946년 총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그러나 이듬해인 1947년 총선거에서 사회당 공천을 받아 당선되면서 정계에 입문, 이후 12선을 기록했다. 사회당 내에서는 스즈키 시게자부로 파벌에 속해 활동했으며, 사회당 분열 시에는 좌파에 속했다. 1955년 사회당 재통합 후에는 총무국장을 역임했고, 1960년에는 아사누마 이나지로 위원장 밑에서 정책심의회장에 취임했다.
4. 구조개혁론과 당내 갈등
5. 일본 사회당 위원장
하지만 당내에서는 친중파인 사사키파와 친소파인 사회주의협회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고, 1974년 사사키와 에다의 화해로 반협회파가 결성되면서 당내 분열은 더욱 심해졌다. 나리타는 이러한 당내 갈등을 해결하는 데 실패했다. 나리타 재임 시기는 혁신 지방자치체가 증가하던 시기였으나, 사회당은 공명당과 일본 공산당의 약진으로 인해 점차 영향력을 잃어갔다. 결국 1977년 참의원 선거 패배의 책임을 지고 위원장직에서 사퇴했고, 1979년 백혈병으로 사망했다. 미노베 료키치의 1967년 도쿄도지사 선거 출마를 적극 지원했으며, 1967년 도쿄도지사 선거에서 미노베의 당선에 기여하였다.[6] [7] [8] [11] [12] [13] [14] [15]
6. 사망과 평가
7. 역대 선거 기록
나리타 도모미는 장기간에 걸쳐 지역구에서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음을 알 수 있다. 특히 1958년부터 1972년까지는 5번 연속 1위로 당선되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그러나 중선거구제의 특성상, 득표율이 높더라도 순위에 따라 당선 여부가 결정될 수 있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참조
[1]
서적
成田君と私
成田知巳追悼刊行会
[2]
서적
Japan at the Crossroads: Conflict and Compromise after Anpo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3]
서적
Japan at the Crossroads: Conflict and Compromise after Anpo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4]
서적
人物戦後政治
岩波書店
[5]
웹사이트
第065回国会 予算委員会 第7号
http://kokkai.ndl.go[...]
国立国会図書館
2019-02-04
[6]
웹사이트
The Power of Politics: How Right-Wing Political Parties Shifted Japanese Strategic Culture
https://scholar.colo[...]
[7]
학술지
Quarterly Chronicle and Documentation
https://www.jstor.or[...]
[8]
학술지
Japan 1973: The End of an Era?
https://www.jstor.or[...]
[9]
서적
成田君と私
成田知巳追悼刊行会
[10]
서적
人物戦後政治
岩波書店
[11]
간행물
アサヒグラフ
朝日新聞社
[12]
뉴스
諾否きょう返答 社党推薦の美濃部氏
朝日新聞
1967-02-17
[13]
학술지
党再生のため全力を(中央執行委員長退任のあいさつ)
日本社会党中央本部機関紙局
[14]
웹사이트
成田知巳(なりたともみ)とは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23-11-22
[15]
웹사이트
第87回 衆議院 本会議 第19号 昭和54年4月10日
https://kokkai.ndl.g[...]
[16]
웹사이트
第065回国会 予算委員会 第7号
https://kokkai.ndl.g[...]
国立国会図書館
2019-02-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