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노베 료키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노베 료키치는 일본의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으로, 1967년부터 1979년까지 도쿄도지사를 역임했다. 도쿄제국대학 경제학부를 졸업하고 호세이 대학 교수를 거쳐, 마이니치 신문 논설위원을 지냈다. 도지사 재임 기간 동안 노인 복지, 환경 규제, 교통 정책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으며, 재일 조선인 및 북한과의 관계 개선에도 힘썼다. 그는 1971년 김일성을 만나 친북 행보를 보이기도 했으며, 재정 적자와 보수 진영의 비판에 직면하기도 했다. 도지사 퇴임 후 참의원 의원으로 활동하다가 1984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사카 젠노스케가 - 고사카 젠타로
일본의 정치인 고사카 젠타로는 나가노현 출신으로 중의원 의원 16선, 노동대신, 외무대신 등을 역임하며 미일 관계 회복과 중일 국교 정상화에 기여하고 자유민주당 내 정책 결정에 관여했다. - 고사카 젠노스케가 - 고사카 겐지
고사카 겐지는 일본의 정치인으로 중의원과 참의원을 역임하고 고이즈미 내각에서 문부과학대신을 지냈으며, 악성 림프종으로 사망 후 종3위와 욱일대수장이 추서되었다. - 가나가와 대학 교수 - 아미노 요시히코
아미노 요시히코는 중세 일본 사회에 대한 독창적인 연구로 알려진 일본의 역사학자로, 농경 중심의 시각을 넘어 비농업민을 조명하고 '니혼진론'을 해체한 그의 연구는 일본 중세사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학계뿐 아니라 일본 문화 전반에도 영향을 미쳤다. - 가나가와 대학 교수 - 후지시마 아키라
후지시마 아키라는 '혼다-후지시마 효과'를 발견하여 일본 국제상을 수상하고 도쿄 이과대학 학장과 광촉매 국제 연구 센터 센터장을 역임한 일본의 화학자이자 교육자이다. - 인민전선 사건 관련자 - 에다 사부로
에다 사부로는 일본 사회당의 서기장과 위원장 대행을 지내며 좌파 정치에 영향을 주었고, 사회당 입당 후 "에다 비전"을 제시하며 당 개혁을 추진했지만 좌파와의 갈등으로 위원장에 오르지 못했으며, 사회시민연합을 결성했으나 폐암으로 사망했다. - 인민전선 사건 관련자 - 스즈키 모사부로
스즈키 모사부로는 일본의 정치인이자 사회주의 운동가로, 시베리아 개입 반대와 마르크스주의에 기반한 반전 평화 사상을 펼치며 일본사회당 위원장으로 활동하다 정계에서 은퇴했다.
미노베 료키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미노베 료키치 |
본명 | 미노베 료키치 (美濃部 亮吉) |
로마자 표기 | Minobe Ryōkichi |
출생일 | 1904년 2월 5일 |
출생지 | 도쿄도 일본 |
사망일 | 1984년 12월 24일 |
사망지 | 도쿄도 시부야구, 일본 |
국적 | 일본 |
학력 | 도쿄 제국대학 경제학부 |
직업 | 정치인, 경제학자 |
가족 | 기쿠치 다이로쿠(조부), 미노베 다쓰키치(부) |
배우자 | 미노베 유리코 |
친족 (정치인) | 기쿠치 다이로쿠(조부), 미노베 다쓰키치(부) |
정치 경력 | |
소속 정당 | 무소속 |
임기 시작 | 1967년 4월 23일 |
임기 종료 | 1979년 4월 22일 |
당선 횟수 | 3회 |
선거구 | 전국구 |
임기 시작 | 1980년 7월 8일 |
임기 종료 | 1984년 12월 24일 |
당선 횟수 | 1회 |
경제학 | |
연구 분야 | 후기 자본주의의 위기적 상황의 제 현상 |
학파 | 마르크스 경제학 (노농파) |
영향을 준 인물 | 오우치 효에 |
영향을 받은 인물 | 도몬 후유지 |
2. 약력
미노베 료키치는 도쿄에서 헌법학자인 아버지 미노베 다쓰키치와 수학자이자 정치가인 기쿠치 다이로쿠의 장녀인 어머니 미노베 다미코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1927년 도쿄제국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 조교, 1929년 동 대학 농대 강사, 1935년 호세이 대학 교수를 역임했다. 1938년 인민 전선 사건으로 스가모 형무소에 수감되기도 했다.[3]
1945년 마이니치 신문 논설위원으로 언론계에 입문, 1946년 내각통계위원회 위원 겸 사무국장을 지냈다. 1949년 도쿄교육대학 교수로 복직 후 경제안정본부, 행정관리청 통계기준부장 등을 역임했다. NHK의 〈쉬운 경제학교실〉 해설자로 대중적 인지도를 높였다.[4][8]
다음은 미노베 료키치의 주요 약력이다.
연도 | 내용 |
---|---|
1904년 | 2월 5일 출생 |
1916년 | 도쿄 고등사범학교 부속소학교(현 쓰쿠바대학 부속소학교) 졸업 |
1921년 | 도쿄 고등사범학교 부속중학교(현 쓰쿠바대학 부속중·고등학교) 졸업 |
1923년 | 구제 제2고등학교 졸업 |
1927년 | 도쿄제국대학 경제학부 졸업, 도쿄제국대학 조수 |
1929년 | 도쿄제국대학 농학부 강사(1932년까지) |
1935년 | 호세이대학 교수 |
1938년 | 인민전선사건으로 체포, 호세이대학 교수직 사임 |
1939년 | 신에쓰화학공업 촉탁 |
1945년 | 마이니치신문 논설위원 위촉 |
1946년 | 내각통계위원회 위원 임명, 사무국장 겸임, 주식회사 정리위원회 위원 취임 |
1949년 | 도쿄교육대학 교수 겸임(1967년까지) |
1950년 | 경제안정본부 참여 취임 |
1952년 | 행정관리청 통계기준부장(1956년까지) |
1967년 | 도쿄도지사 선거에서 사회당·공산당 추천으로 당선 |
1971년 | 도쿄도지사 재선 |
1975년 | 도쿄도지사 3선 |
1979년 | 도쿄도지사 4선 불출마, 도쿄도지사직 사퇴 |
1980년 | 제12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 출마하여 당선 |
1984년 | 12월 24일 사망 |
2. 1. 출생과 성장

미노베 료키치는 1904년 2월 5일 도쿄 혼고구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미노베 다쓰키치는 천황기관설로 유명한 헌법학자였고, 어머니는 문부대신을 지낸 기쿠치 다이로쿠의 장녀 다미코였다.[1] 료키치는 미노사쿠 겐포의 현손이다.
도쿄 고등사범학교 부속 소학교(현 쓰쿠바 대학 부속 소학교)와 부속 중학교(현 쓰쿠바 대학 부속 중학교·고등학교)를 졸업했다.[2] 부속 중학교 동기로는 닛신제분 명예회장 마사다 에이사부로, 도쿄대학 명예교수 키시모토 히데오 등이 있었다. 이후 구제 제2고등학교(현 도호쿠 대학)를 거쳐 1927년 도쿄제국대학 경제학부를 졸업했다.[1]
도쿄제국대학 경제학부에서 마르크스 경제학자 오우치 효에에게 후기 자본주의 위기 상황과 인플레이션에 대해 배웠다.[1] 대학 졸업 후 조수가 되었으나,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태도로 인해 반마르크스파 가와이 에이지로의 분노를 사 모교 경제학부에 강사로 남지 못하고 호세이 대학 경제학부로 옮겨 교편을 잡았다.[1][2]
1929년에는 도쿄제국대학 농학부 강사를, 1935년에는 호세이 대학 교수를 역임하였다. 1938년 인민 전선 사건으로 체포되어 스가모 형무소에서 18개월을 보냈으며, 이로 인해 호세이대학 교수직을 사임하였다.[3] 석방 후에는 농부로 일했다.[3]
2. 2. 학계 및 언론계 활동
1927년 도쿄제국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 조교로 근무하였으며, 1929년 동 대학 농대 강사를 거쳐 1935년에는 호세이 대학 교수로 임용되었다.[1][2] 1937년 코민테른의 반 파시즘 연합전선에 호응한 대학교수들이 일제 검거된 인민 전선 사건으로 교단을 떠나게 된다.[3]1945년 마이니치 신문 논설위원으로 언론계에 입문하였고,[3] 1946년 내각통계위원회 위원으로 임명되어 사무국장을 겸임한다.[7] 1949년 도쿄교육대학 교수로 다시 학계에 복직했다. 이후 경제안정본부, 행정관리청 통계기준부장 등을 거쳤으며, 도지사 출마 직전에는 NHK의 〈쉬운 경제학교실〉 프로그램 해설자로 일반인의 인지도를 높였다.[4][8]
도쿄 제국대학 경제학부에서는 마르크스 경제학자 오우치 히요에에게 사사하여 후기 자본주의의 위기적 상황, 특히 인플레이션에 대해 연구했다.[1] 조수가 되었지만,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안이한 태도로 인사를 간 것이 반마르크스파 카와이 에이지로의 분노를 사, 모교 경제학부 강사로 남는 것이 불가능해졌다. 호세이 대학 경제학부로 옮겨 마르크스 경제학자로서 교편을 잡았으며, 오우치 히요에, 아리자와 히로미와 함께 노농파 마르크스 경제학자로 활동했다.
1960년부터 1962년까지 NHK 교육 TV에서 방송된 『쉬운 경제 교실』에서 경제 문제를 쉽게 설명하는 "아버지" 역으로 출연하여, 도지사 선거 출마 전 텔레비전에 얼굴을 알렸다.[8]
연도 | 내용 |
---|---|
1927년 | 도쿄제국대학 경제학부 졸업, 도쿄제국대학 조수 |
1929년 | 도쿄제국대학 농학부 강사(1932년까지) |
1935년 | 호세이대학 교수 |
1938년 | 인민전선사건으로 체포, 호세이대학 교수직 사임 |
1945년 | 마이니치신문 논설위원 |
1946년 | 내각통계위원회 위원, 사무국장, 주식회사 정리위원회 위원 |
1949년 | 도쿄교육대학 교수 (1967년까지) |
1950년 | 경제안정본부 참여 |
1952년 | 행정관리청 통계기준부장(1956년까지) |
1967년 사회당, 공산당의 추천으로 도쿄 도지사 선거에 출마하여 자민당, 민사당 추천의 마쓰시타 마사토시 릿쿄대 교수와 공명당 추천의 아베 겐이치 시부자와 해운사 사장을 제치고 도지사로 당선되었다.[46] 1971년과 1975년에 연속으로 재선되었으며, 특히 1975년에는 현 도쿄도지사인 이시하라 신타로와 대결하여 승리하였다.[46]
3. 도쿄도지사 시절
일본사회당과 일본공산당을 지지 기반으로 하는 혁신 도지사로서, 1979년까지 12년간(3기)에 걸쳐 도쿄도지사를 역임했다. 1967년 취임 초에는 "광장과 푸른 하늘의 도쿄 구상"을 내걸었다.
1971년 도쿄도지사 선거에서는 3,615,299표를 획득하여 당시 개인이 획득한 득표수로는 역대 최고 기록을 세웠다.
1975년 도쿄도지사 선거에서는 부락해방동맹을 둘러싼 일본사회당과 일본공산당 사이의 불화로 사공공투가 붕괴되었다. 미노베는 일시적으로 불출마를 표명했으나 "이시하라 신타로의 출마에 의한 파시즘의 부활을 막는다"는 이유로 3선 출마를 결심하여, 이시하라에게 신승하였다.[8]
사회당 계열의 도지사였기 때문에, 의회 대책도 겸하여 임기 중에 공명당과 정책 협정을 맺는 등, 공산당에 대한 견제도 적지 않게 했다.
혁신 도정 하의 높은 복지·공공 서비스 무료화, 공영 도박 폐지 등의 정책은 도민들로부터 지지를 얻었지만, 세수 감소로 인해 재정 적자를 초래했다. 마침 1974년 석유 파동이 발생하고, 고도 경제 성장이 점차 둔화되던 시대였다.
또한 미노베 도정 하에서는 도 직원 수를 증가시켜 인건비가 국가 공무원보다 18.3%나 높았고, 급여 수준은 당시 전국 최고였다.[44][20][21] 재정 문제에 직면한 미노베 도정은 궁지에 몰렸고, 도 고유의 세원을 늘리려 했지만, 그것이 자치성의 분노를 사 혁신 자치체 비난으로 발전했다.[22]
3. 1. 주요 정책
미노베 료키치는 1967년 일본사회당, 일본공산당의 추천으로 도쿄 도지사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으며, 1971년과 1975년에 연이어 재선되었다.[46] 1975년 선거에서는 이시하라 신타로와 대결하여 승리하였다.[46]
그는 혁신계 후보로서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정책들을 시행하였다.
1971년에는 일본 도지사로서는 유일하게 평양을 방문하여 김일성과 면담하는 등 대북 정책에서 유화적인 입장을 보였으며, 이 때문에 보수적인 일본인들로부터 "친북 정책"이라는 비판을 받았다.[46]
미노베 도정은 높은 복지와 공공 서비스 무료화 정책으로 도민들의 지지를 얻었지만, 세수 감소로 재정 적자를 초래했다. 1974년 석유 파동과 고도 경제 성장 둔화는 이러한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다. 또한, 도쿄도 직원 수 증가와 국가 공무원보다 높은 인건비[44][20][21]는 재정 문제에 부담을 더했다.
미노베 도정은 재정 문제에 직면하여 도 고유의 세원을 늘리려 했으나, 이는 자치성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22] 결국 "퍼주기 복지에 의한 도 재정 파탄"이라는 이미지가 확산되면서 미노베는 언론의 비판을 받게 되었다.[8]
1969년, 도쿄도는 전국 최초로 고령자 의료비의 건강 보험 개인 부담분을 도가 대신 부담하는 정책을 시행하여 큰 지지를 얻었다. 정부와 자민당은 이를 "건강보험법 위반"이라며 반대했지만, 도쿄도는 독자적인 고령자 의료비 무료화를 강행했다. 이러한 정책은 도민들의 지지를 얻어 자민당의 지방 선거 연패로 이어졌다.
다나카 가쿠에이 수상은 1972년 노인복지법을 개정하고, 1973년 "복지 원년"을 기치로 내걸어 전국적으로 고령자 의료비 무료화를 시행했다.[24] 그러나 같은 해 석유 파동이 발생하여 도쿄도와 국가 재정은 모두 악화되었다.[24] 이후 1982년 노인보건법이 시행되고, 1983년에는 노인건강보험제도가 시행되었다.[24]
프란츠 파농의 철학을 인용하며[29][30] "단 한 사람이라도 반대가 있다면 다리를 놓지 않는다"는 "다리 철학"을 내세워[29] 도로 건설을 일제히 동결하였다.[31][32] 도쿄만 횡단도로 건설을 목표로 했던 협의회에서도 탈퇴했다.[33][34]
학교군 제도는 1967년부터 1981년까지 시행되었으며, 그중 대부분이 미노베 도정 시기에 시행되었다. 비록 학교군 제도 도입 자체는 전임 도지사 시대에 이루어졌지만, 미노베 도정 아래에서 가장 많이 시행되었기 때문에 도쿄도립고등학교 진학 실적 저하의 원인으로 자주 지적된다.[35][36][37]
3. 2. 재일 조선인 및 북한과의 관계
1971년 일본의 현직 도지사로서는 유일하게 평양을 방문하여 김일성과 면담하는 등, 대북정책에서 유화적인 편이었다.[46] 그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대한민국 정부 중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더 가까운 편이었다.[46]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조선총련) 등 북한(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가까운 입장의 관련 시설의 고정자산세를 면제하는 한편, 조선대학교를 각종학교로 인가하였다.[39] 1968년에는 조선대학교를 각종학교로서 전국에서 처음으로 인가했다.[39] 이후 전국의 지방자치단체에서 조선학교에 대한 보조금을 지급하는 움직임이 확산되었다.[39]
1971년에는 평양직할시(평양)를 방문하여 북한 수상 김일성과도 회담하였다.[39] 이는 “도시 외교의 일환”이라는 명목으로, 현직 도도부현지사로서는 유일한 북한 방문이었다.[40] 산케이신문은 김일성 방문을 조선대학교인가의 선물이라고 보도했다.[40]
산케이신문(2016년 5월 7일자)의 보도에 따르면, 미노베 료키치는 1971년 김일성과의 회담에서 “나는 1925년에 대학을 졸업한 이래 약 40여 년간 마르크스 경제학을 공부해 왔습니다. 그러므로 저는 사회주의자이며, 사회주의의 실현을 이상으로 하는 인간입니다. 김일성 원수가 하신 것과 같은 활동은 할 수 없었지만, 일본 국내에서 제가 할 수 있는 일은 했습니다. … 이러한 입장에 있는 저로서는 귀국에서 추진되고 있는 사회주의 건설의 빠른 템포에는 매우 존경하는 마음을 가져왔습니다.”라고 발언하고, 사회주의 하의 평양의 현황을 들어 “자본주의의 패배는 명확하다”고 단정했다.[40]
이런 그의 정책은 보수적인 일본인들로부터 “친북정책”으로 비판받았다.[46] 후에 그가 실시한 재일 조선인에 대한 대부분의 정책은 이시하라 신타로의 취임과 일본인 납치사건이후 무효화되었다.[46]
3. 3. 중국과의 관계
1971년 11월 미노베 료키치는 중화인민공화국을 방문, 당시 자유민주당 간사장이었던 보리 시게루로부터 주은래에게 보내는 서한인 "보리 서한"을 전달받았다.[41]
미노베 시정 하의 도쿄도와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도 베이징시는 1979년 3월부터 자매 도시가 되었으며,[42] 이듬해 4월 도지사에 취임한 스즈키 슈니치 시정에서도 도쿄와 베이징의 교류 관계는 계속되었다.[43]
3. 4. 비판과 논란
미노베 료키치는 도쿄 도지사 재임 시절(1967-1979) 다양한 정책을 펼쳤으나, 다음과 같은 비판과 논란에 직면했다.
하지만, 미노베가 실시한 재일 외국인 의료보험 혜택 정책은 대한민국 국적의 재일 한국인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4. 말년
1979년 3선 임기 종료 후 4선 불출마를 선언했으며, 1980년 사회당 도쿄도 연합회의 후원으로 무소속으로 참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84년 참의원 임기 중 심근경색으로 사망했다.[3][9] 묘소는 다마 령원에 있다.
5. 저서
경제학자이자 정치학자인 미노베 료키치는 많은 저술을 남겼다.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 《고민하는 민주주의》 (苦悶するデモクラシー)
- 《일본경제도설》 (日本経済図説)
- 《세계경제도설》 (世界経済図説)
- 《독재하의 독일 경제》 (独裁制下のドイツ経済) (후쿠다 서방(福田書房), 1935년 2월 14일)
- 《고뇌하는 민주주의》 (苦悶するデモクラシー) (문예춘추신사(文藝春秋新社), 1959년 3월 10일) (1959년 제13회 마이니치 출판문화상(毎日出版文化賞) 수상)
- 《도지사 12년》 (都知事12年) (아사히신문사(朝日新聞社), 1979년 11월 20일)
참조
[1]
웹사이트
大内 兵衛 兵庫ゆかりの作家
https://www.artm.pre[...]
2024-07-13
[2]
웹사이트
第6-8代東京都知事の美濃部亮吉氏/ホームメイト
https://www.homemate[...]
2024-07-13
[3]
뉴스
Ryokichi Minobe, 80; Ex-Governor of Tokyo
https://www.nytimes.[...]
1984-12-26
[4]
웹사이트
When Tokyo was Socialist: the Story of Governor Minobe
https://unseen-japan[...]
2022-10-04
[5]
웹사이트
The Age of in Reform in Japan and Ryokichi Minobe
http://www.historyis[...]
2022-10-21
[6]
뉴스
N Korea group's Tokyo offices 'seized'
http://news.bbc.co.u[...]
BBC News
2003-09-09
[7]
웹사이트
第3回国会 衆議院 不当財産取引調査特別委員会 第12号 昭和23年11月15日
https://kokkai.ndl.g[...]
[8]
웹사이트
ご存知ですか? 4月15日は美濃部亮吉都知事が誕生した日です
https://bunshun.jp/a[...]
2017-04-15
[9]
서적
事典有名人の死亡診断 近代編
吉川弘文館
2010
[10]
웹사이트
一気にわかる都知事選の歴史と意外な「勝利の法則」
https://gendai.media[...]
2016-07-18
[11]
논문
東京都美濃部都政における保育政策に関する先行研究の検討
長崎純心大学
2003
[12]
뉴스
来月から都内の全バス お年寄り無料に
朝日新聞
1974-10-16
[13]
간행물
戦後保育所の歴史
全国社会福祉協議会
1978
[14]
서적
美濃部都政の福祉政策
日本経済評論社
2002
[15]
서적
環境教育指導事典
国土社
1996-09
[16]
웹사이트
写真その他 (5)
https://www.kankyo.m[...]
東京都環境局
[17]
서적
道と路がわかる辞典
日本実業出版社
2001-11-10
[18]
서적
道路地図 びっくり!博学知識
河出書房新社
2005-02-01
[19]
뉴스
美濃部革新都政12年
https://my.bitcasa.c[...]
やまと新聞社
1969-11-06
[20]
서적
霞ケ関三丁目の大蔵官僚はメガネをかけたドブネズミといわれる挫折感に悩む凄いエリートたちから
学陽書房
1981
[21]
논문
『革新自治体』時代の終り
1975-03
[22]
웹사이트
「お任せ」の政治から脱却するために――革新自治体という経験から学べること 『革新自治体』著者、岡田一郎氏インタビュー
https://synodos.jp/p[...]
株式会社シノドス
2018-04-09
[23]
뉴스
朝日新聞
2008-05-25
[24]
웹사이트
『後期高齢者医療制度』はそんなに悪いか?
http://www16.plala.o[...]
[25]
웹사이트
公開シンポジウム 東アジアにおける貧困と脱貧困政策の課題 佛教大学総合研究所共同研究「「脱貧困」戦略の構築ー共生社会のグランドデザイン」プロジェクト
https://aequalis.jp/[...]
佛教大学総合研究所
2015-12-05
[26]
웹사이트
老人医療無料化制度の形成 と国民医療費
http://archives.bukk[...]
2005-03
[27]
웹사이트
<1960~70年代>キーワード:「“老人医療費無料化”がもたらしたもの」
https://www.nhk.or.j[...]
日本放送協会
2015-01-06
[28]
뉴스
減らす分肩代わり 美濃部宣言に区が反逆
中國新聞
1970-01-17
[29]
웹사이트
元東京都知事美濃部亮吉の発言「橋の哲学」の出典を知りたい。「・・・橋を造るとき住民の賛成を得なければ造らない」のような文言だった。
https://crd.ndl.go.j[...]
2008-06-13
[30]
서적
都知事12年
朝日新聞社
1979
[31]
서적
歴代知事三〇〇人 日本全国「現代の殿さま」列伝
光文社
2007
[32]
웹사이트
都知事・美濃部のコスト
http://www.jice.or.j[...]
国土技術研究センター
2014-09-09
[33]
논문
「東京湾横断」建設の理想と現実―大規模「国家プロジェクト」の研究(1)
https://hdl.handle.n[...]
2005-03-31
[34]
서적
望雲
千葉日報社
1974-05-25
[35]
웹사이트
母校・日比谷高校を凋落させた「学校群制度」という愚行
https://webronza.asa[...]
朝日新聞社
[36]
웹사이트
ノーベル賞受賞者、都内高卒は1人 開成、筑駒はゼロ
https://reskill.nikk[...]
日本経済新聞社
2021-11-20
[37]
웹사이트
中学受験「いい大学へ行くため」の考えが危ない訳
https://toyokeizai.n[...]
2021-11-20
[38]
웹사이트
知事のページ:知事の記者会見
https://www.pref.aic[...]
愛知県
2021-11-20
[39]
뉴스
【産経抄】朝鮮大学校認可 小池百合子都知事は過去の知事の過ちを正すか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6-10-25
[40]
웹사이트
【朝鮮大学校 60年の闇(中)】美濃部亮吉都知事が「援護射撃」 慎重論押し切り学校認可 金日成氏への“手土産”
https://www.sankei.c[...]
2019-05-15
[41]
뉴스
日中関係打開めざした「保利書簡」 「いぶし銀の調整役」保利茂(7)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7-05-03
[42]
문서
姉妹友好都市関係樹立文書・合意書
http://www.seisakuki[...]
東京都政策企画局
[43]
웹사이트
鈴木俊一名誉顧問(元都知事)が死去
http://www.jcfa-tyo.[...]
[44]
서적
歴史の十字路に立って 戦後七十年の回顧
PHP研究所
[45]
웹사이트
高校無償化で「バラマキ教育」の競争が始まる
https://archive.is/U[...]
BIGLOBEニュース
2019-12-01
[46]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