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산동 (대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산동은 대구광역시 중구에 속하는 행정 구역이다. 대구부 서상면의 남산 밑에 위치하여 남산이라 불렸으며, 1914년 남산정으로, 1947년 남산동으로 개칭되었다. 대구남산초등학교, 대구명덕초등학교, 경구중학교, 경북여자고등학교, 경북공업고등학교 등이 위치하며, 대구원음방송이 소재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중구의 법정동 - 대봉동
대봉동은 대구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동으로, 1917년 봉덕동과 대명동의 일부가 대구부에 편입되면서 이름이 유래되었고, 한때 남구에 속했으나 현재는 중구에 속하며, 대구불교방송과 아파트 단지들이 위치해 있다. - 대구 중구의 행정 구역 - 대봉동
대봉동은 대구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동으로, 1917년 봉덕동과 대명동의 일부가 대구부에 편입되면서 이름이 유래되었고, 한때 남구에 속했으나 현재는 중구에 속하며, 대구불교방송과 아파트 단지들이 위치해 있다. - 대구 중구의 행정 구역 - 동성로 (대구)
동성로는 대구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상업 지구로, 과거 대구읍성 성곽 자리에 조성되었으며,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2호선이 지나가고, 대구백화점 등 쇼핑 시설과 문화 행사가 열리는 곳이다. - 1965년 폐지 - 그리피스 스타디움
1911년부터 1965년까지 미국 워싱턴 D.C.에 존재했던 그리피스 스타디움은 워싱턴 세네터스의 구단주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경기, 미식축구 경기, 권투 시합 등 다양한 스포츠 및 문화 행사가 열렸으나 1965년에 철거되어 현재는 하워드 대학교 병원이 들어서 있다. - 1965년 폐지 - 가정동 (인천)
가정동은 인천 서구에 위치한 동으로, 과거 가신동에서 분리되었으며, 조선시대 정자가 많았던 것에서 유래되었고, 현재 루원시티 개발과 인천 도시철도 2호선 개통으로 변화하고 있다.
남산동 (대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동 이름 | 남산1동 |
한자 표기 | 南山1洞 |
영문 표기 | Namsan 1(il)-dong |
광역시도 | 대구광역시 |
시군구 | 중구 |
면적 | 0.39 |
세대 | 2,198 |
세대 조사 | 2011.12.31. |
인구 | 4731 |
인구 조사 | 2022년 3월 |
통 | 11 |
반 | 65 |
법정동 | 남산동 |
동주민센터 | 대구광역시 중구 2·28길 18-15 |
홈페이지 | 남산1동 행정복지센터 |
기본 정보 | |
동 이름 | 남산2동 |
한자 표기 | 南山2洞 |
영문 표기 | Namsan 2(i)-dong |
광역시도 | 대구광역시 |
시군구 | 중구 |
면적 | 0.38 |
세대 | 2,347 |
세대 조사 | 2011.12.31. |
인구 | 6709 |
인구 조사 | 2022년 3월 |
통 | 12 |
반 | 65 |
법정동 | 남산동 |
동주민센터 | 대구광역시 중구 명륜로 27-1 |
홈페이지 | 남산2동 행정복지센터 |
기본 정보 | |
동 이름 | 남산3동 |
한자 표기 | 南山3洞 |
영문 표기 | Namsan 3(sam)-dong |
광역시도 | 대구광역시 |
시군구 | 중구 |
면적 | 0.40 |
세대 | 2,314 |
세대 조사 | 2011.12.31. |
인구 | 6648 |
인구 조사 | 2022년 3월 |
통 | 11 |
반 | 67 |
법정동 | 남산동 |
동주민센터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로4길 70 |
홈페이지 | 남산3동 행정복지센터 |
기본 정보 | |
동 이름 | 남산4동 |
한자 표기 | 南山4洞 |
영문 표기 | Namsan 4(sa)-dong |
광역시도 | 대구광역시 |
시군구 | 중구 |
면적 | 0.45 |
세대 | 5,765 |
세대 조사 | 2011.12.31. |
인구 | 11496 |
인구 조사 | 2022년 3월 |
통 | 26 |
반 | 154 |
법정동 | 남산동 |
동주민센터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로1길 42 |
홈페이지 | 남산4동 행정복지센터 |
2. 역사
이 지역은 대구부 서상면에 속했는데, 그 위치가 남산 밑이 되므로 남산이라 하였다. 1914년에 ‘남산정’이 되었고 1947년에 남산동으로 고쳤다. 1945년 해방 전 남산동에는 달성 서씨들의 소유인 논, 밭이 대부분이었고, 현재 동사무소 우측에 시립 화장장과 그 주변에 공동묘지가 있었다. 해방 후 남산4동사무소 동편에 원각사라는 절이 건립되었고, 원각사 주변에 토기와 기와굴이 여섯 군데나 설치되어 있어서 시내 목조와가 건축에 큰 몫을 담당하였다고 한다. 또 유기 가내공업도 이곳을 중심으로 성행했다. 1.4 후퇴 때 이북 피난민 250세대가 이곳에 머물렀는데, 지붕은 천막으로 덮고 둘레 벽은 나무를 세웠으며, 시에서 가마니 500장으로 비바람을 막고 구호양곡을 받아 겨우 생활을 유지하다가 불행하게도 화재를 당하여 구 영남중고등학교(현 보성황실타운) 교실에 집단 수용되기도 하였다.[5]
이후의 행정 구역 변천은 다음과 같다.
날짜 | 행정 구역 |
---|---|
1911년 ∼ 1947년 | 대구부 남산정 |
1947년 4월 1일 | 대구부 남산동 |
1953년 4월 1일 | 대구시 남부출장소 남산구동 |
1963년 1월 1일 | 대구시 중구 남산동 |
1975년 10월 1일 | 구계 변경, 남산1동 일부 편입, 중구 남산2동 |
1980년 4월 1일 | 남구에서 중구로 편입 |
1980년 10월 1일 | 대구시 중구 남산1동, 2동, 3동, 남산동에서 일부 편입과 동시 중구 남산4동으로 개칭 |
1981년 7월 1일 | 대구직할시 중구 남산1동~4동 |
1995년 1월 1일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1동~4동 |
1998년 1월 1일 | 대신1.2동을 대신동으로 통합 |
2. 1. 유래
이 지역은 대구부 서상면에 속했는데 그 위치가 남산 밑이 되므로 남산이라 하였다. 1914년에 ‘남산정’이 되었고 1947년에 남산동으로 고쳤다.[5] 1945년 해방 전 남산동에는 달성 서씨들의 소유인 논, 밭이 대부분이고 현재 동사무소 우측에 시립 화장장과 그 주변에 공동묘지가 있었다.[5] 해방 후 남산4동사무소 동편에 원각사라는 절이 건립되었고, 원각사 주변에 토기와 기와굴이 여섯 군데나 설치되어 있어서 시내 목조와가 건축에 큰 몫을 담당하였다 한다.[5] 또 유기 가내공업도 이곳을 중심으로 성행했다 한다.[5] 1.4 후퇴 때 이북 피난민 250세대가 이곳에 머물렀는데 지붕은 천막으로 덮고, 둘레 벽은 나무를 세웠으며 시에서 가마니 500장으로 비바람을 막고, 구호양곡을 받아 겨우 생활을 유지하다가 불행하게도 화재를 당하여 구 영남중고등학교(현 보성황실타운) 교실에 집단 수용되기도 하였다.[5]2. 2. 연혁
- 1911년 ~ 1947년 대구부 남산정
- 1947년 4월 1일 대구부 남산동[5]
- 1963년 1월 1일 대구시 중구 남산동[5]
- 1975년 10월 1일 구계 변경, 남산1동 일부 편입, 중구 남산2동[5]
- 1980년 4월 1일 남구에서 중구로 편입[5]
- 1980년 10월 1일 대구시 중구 남산1동, 2동, 3동, 남산동에서 일부 편입과 동시 중구 남산4동으로 개칭[5]
- 1981년 7월 1일 대구직할시 중구 남산1동~4동[5]
- 1995년 1월 1일 광역시 개칭으로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1동~4동[5]
3. 지리적 특징
남산1동은 명덕역과 반월당역이 있는 교통의 요충지로, 대구향교, 경북여자고등학교, 남문시장(전통 재래시장), 자동차부속골목, 악기골목 등이 있어 사회, 문화, 경제의 중심지이다.[1]
남산2동은 중구의 중심인 반월당과 인접하고 대구 도시철도 1호선, 2호선, 3호선이 모두 지나가는 교통의 중심지이다. 대구의 중심 상권이 이동하는, 발전 가능성이 매우 높은 지역이며, 300여 개의 인쇄소가 집중되어 있어 대구·경북 인쇄 사업의 중심지이기도 하다.[2]
남산3동은 천주교 대구교구청, 성바오르 수녀원, 희락심인당, SGI 남산문화회관 등 각종 종교 시설이 밀집되어 있다. 성모당, 살트르 성 바오르 수녀원 성당, 성 유스티노 신학교, 살트르 성바오르 수녀원 코미넷관 등 문화재가 있으며, 동쪽에는 대구의 명물 거리인 남산자동차골목, 남산인쇄골목이 있다.[3]
남산4동은 명덕로·큰장길을 경계로 남구, 달서구와 인접하고 있으며, 공동 주택과 단독 주택이 혼재한 주거 밀집 지역이다. 재개발 및 재건축 사업이 진행 중인 개발 예정 지역이기도 하다.[4]
4. 주요 시설
남산1동에는 유림의 본당인 대구향교와 유능한 여성 인재 양성의 산실인 경북여자고등학교가 있다.[1] 남산3동은 천주교 대구대교구청, 성바오로수녀원, 희락심인당, SGI 남산문화회관 등 각종 종교시설이 밀집되어 있고, 성모당, 살트르 성 바오르 수녀원 성당, 성 유스티노 신학교, 살트르 성바오르 수녀원 코미넷관 등 문화재가 있다.[3]
4. 1. 교육
4. 2. 언론
대구원음방송4. 3. 상업 시설
남산1동은 명덕역과 반월당역이 있는 교통의 요충지로, 전통 재래시장인 남문시장과 자동차부속골목, 악기골목 등이 자리 잡고 있는 사회, 문화, 경제의 중심지이다.[1]남산2동은 중구의 중심인 반월당에 인접해 있으며, 대구 도시철도 1호선, 2호선, 3호선이 모두 통과하는 교통의 중심지이다. 대구의 중심 상권이 이동하는 발전 가능성이 매우 높은 지역이며, 300여 개의 인쇄소가 집중되어 있어 대구·경북 인쇄 사업의 메카로 자리 잡고 있다.[2]
남산3동의 동편은 대구의 명물 거리인 남산자동차골목, 남산인쇄골목으로 이루어진 지역이다.[3]
4. 4. 주거
남산1동은 명덕역과 반월당역이 있는 교통의 요충지이며, 남산2동은 대구 도시철도 1호선, 2호선, 3호선이 모두 통과하는 교통의 중심지이다. 남산2동은 300여 개의 인쇄소가 집중되어 있어 대구·경북 인쇄사업의 메카로 자리 잡고 있으며 동 대부분이 재건축·재개발 지역으로 상권과 주거 밀집 지역으로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2] 남산3동은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으로 활력이 넘치는 지역으로 변화할 것으로 기대된다.[3] 남산4동은 공동주택과 단독주택이 혼재한 주거밀집지역이며, 재개발 및 재건축사업이 진행 중인 개발 예정지역이다.[4]4. 4. 1. 아파트
단지명 | 건설사 | 시행사 | 주소 | 입주 | 비고 |
---|---|---|---|---|---|
E편한세상 남산 | ㈜삼호 | 2020년 5월 | |||
롯데캐슬 센트럴스카이 | 롯데건설 | 2021년 9월 | |||
반월당역 서한 포레스트 | ㈜서한 | 2022년 12월 | |||
남산 자이하늘채 | 지에스건설㈜ 코오롱글로벌 | 2022년 3월 | |||
청라 힐스자이 | 지에스건설㈜ | 2023년 2월 | |||
보성 송림맨션 | ㈜보성 | 1992년 12월 | |||
보성 황실타운 | ㈜보성주택 | 1993년 3월 | |||
남산 그린타운 | 보선건설㈜ 효동종합건설㈜ | 대구도시개발공사 | 2005년 4월 | ||
남산휴먼시아 1단지 | ㈜경일건설 | 대한주택공사 | 2008년 10월 | 국민임대 | |
청라센트럴파크 | [http://www.goshinil.co.kr/ ㈜신일] |
참조
[1]
웹인용
남산1동 지역특성
https://www.jung.dae[...]
2022-04-01
[2]
웹인용
남산2동 지역특성
https://www.jung.dae[...]
2022-04-01
[3]
웹인용
남산3동 지역특성
https://www.jung.dae[...]
2022-04-01
[4]
웹인용
남산4동 지역특성
https://www.jung.dae[...]
2022-04-01
[5]
웨이백
유래 및 연혁
http://gu.jung.daegu[...]
2014-0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