낯선 상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낯선 상황 절차는 아동의 애착 유형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 방법으로, 아동과 양육자, 낯선 사람이 함께하는 21분 동안의 일련의 에피소드를 통해 아동의 반응을 관찰한다. 이 절차는 아동의 탐색 정도, 양육자와의 분리 및 재회에 대한 반응, 낯선 사람에 대한 불안 정도 등을 평가하며, 아동의 행동 양상에 따라 안정형, 불안-회피형, 불안-양가/저항형, 비조직화/혼돈형의 4가지 애착 유형으로 분류한다. 이 절차는 애착 관계 연구에 널리 사용되지만, 문화적 차이와 방법론적 한계, 생태학적 타당성 문제 등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애착 이론 - 메리 에인스워스
메리 에인스워스는 '낯선 상황' 실험을 통해 영유아의 애착 유형을 분류하고 애착 관계 개인차 평가 방법을 개발하여 애착 이론 연구에 지대한 공헌을 한 미국의 발달심리학자이다. - 애착 이론 - 성인 애착장애
성인 애착장애는 불안정, 의존, 회피 등의 형태로 나타나며 타인과의 친밀한 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겪는 심리적 상태로, 아동기 애착 장애의 지속, 중독, 충동성, 불안, 우울증 등 다양한 증상과 관련되어 개인의 대인 관계, 정서 조절, 정신 건강에 영향을 미치므로 상담, 약물 치료 등의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지만 사회적 인식 개선 및 한국 사회에 맞는 치료법 개발이 필요하다. - 발달심리학 - 어린이
어린이는 생물학적, 법적, 사회적 정의에 따라 다양한 연령대로 정의되며,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발달을 거치며 놀이와 교육을 통해 성장하며, 아동 노동, 아동 학대, 기후 변화 등의 문제에 직면하여 사회적 안전망 구축이 필요하다. - 발달심리학 - 인지 발달
인지 발달은 인간의 정신적 능력이 성장하며 변화하고 발전하는 과정으로, 피아제, 에릭슨 등 다양한 학자들이 연구했으며, 감각운동기, 전조작기, 구체적 조작기, 형식적 조작기 등의 단계를 거치며 언어 습득, 뇌 발달, 문화적 영향 등 다양한 주제가 연구된다. - 심리학 - 정동 (심리학)
정동은 심리학에서 감정가, 각성, 동기적 강도로 구성되며, 표현 방식, 원인, 뇌 과학적 연구와 관련되며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심리학 - 불안
불안은 미래의 위협에 대한 반응으로,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여러 유형으로 분류되고, 불안 장애는 과도한 불안 반응을 특징으로 하며, 치료 방법이 존재한다.
낯선 상황 | |
---|---|
기본 정보 | |
명칭 | 낯선 상황 (Strange Situation) |
개발자 | 메리 에인스워스 |
개발 연도 | 1969년 ~ 1977년 |
목적 | 유아의 애착 유형 평가 |
대상 연령 | 12개월 ~ 18개월 |
소요 시간 | 약 20분 |
절차 | |
참여자 | 유아 어머니 (또는 주 양육자) |
장소 | 낯선 실험실 환경 |
에피소드 구성 | 어머니와 유아가 함께 방에 들어감 낯선 사람이 들어와 어머니와 잠시 이야기하고, 유아에게 다가감 어머니가 조용히 방을 나감. 낯선 사람은 유아와 함께 있음 어머니가 돌아와 낯선 사람이 나가고, 어머니는 유아를 진정시킴 어머니가 다시 방을 나감. 유아는 혼자 남겨짐 낯선 사람이 돌아와 유아와 함께 있음 어머니가 돌아옴. 낯선 사람은 조용히 나감 |
애착 유형 분류 | |
안정 애착 (Type B) | 어머니가 떠나면 어느 정도 괴로워하지만, 다시 돌아오면 쉽게 위로받고 탐색을 재개함 |
불안정-회피 애착 (Type A) | 어머니에게 거의 관심을 보이지 않으며, 떠나도 별로 괴로워하지 않고 돌아와도 무시함 |
불안정-저항 애착 (Type C) | 어머니에게 매우 밀착되어 있으며, 떠나면 심하게 괴로워하고 돌아와도 쉽게 위로받지 못하며 분노와 저항을 보임 |
혼란형 애착 (Type D) | 일관성 없는 행동 패턴을 보이며, 접근과 회피 행동을 동시에 나타냄. 학대나 방임 경험과 관련될 수 있음 |
평가 | |
장점 | 유아의 애착 유형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표준화된 방법 애착 연구에 큰 기여를 함 |
단점 | 실험실 환경이 실제 상황과 다를 수 있음 문화적 차이를 고려해야 함 혼란형 애착에 대한 추가 연구 필요 |
관련 연구 | |
주요 연구자 | 메리 메인 주디스 솔로몬 |
영향 | 애착 이론 발전 및 다양한 심리 치료 기법 개발에 영향을 미침 |
참고 문헌 |
2. 낯선 상황 절차
낯선 상황 절차는 영아의 애착 행동을 관찰하기 위해 고안된 실험 절차이다.[1] 이 절차는 아이가 21분 동안 놀이를 하는 동안, 양육자와 낯선 사람이 아이가 노는 방을 들어왔다가 나가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는 아이들의 삶에서 나타나는 익숙함과 낯섦의 흐름을 재연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긴장 상태가 나타나며, 이에 따른 아이의 반응을 관찰한다.[1]
아이의 행동을 바탕으로 아이들은 네 그룹으로 분류되었으며, 각 그룹은 양육자와의 서로 다른 종류의 애착 관계를 반영한다.[1]
2. 1. 실험 절차
낯선 상황 절차는 아이가 21분 동안 놀이를 하는 동안, 양육자와 낯선 사람이 아이가 노는 방을 들어왔다가 나가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는 아이들의 삶에서 나타나는 익숙함과 낯섦의 흐름을 재연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긴장 상태가 나타나며, 이에 따른 아이의 반응을 관찰한다. 실험 절차는 다음과 같다.- 부모와 아이가 실험실로 들어간다.
- 부모와 아이만 남는다. 부모는 아이가 탐색하는 것에 관여하지 않는다.
- 낯선 사람이 들어와서 부모와 이야기하며, 아이에게 다가간다. 부모는 눈앞에서 방을 나간다.
- 첫 번째 분리 삽화: 낯선 사람의 행동은 아이의 행동과 맞물린다.
- 첫 번째 재회 삽화: 부모는 아이를 맞이하고 위로한 후에 다시 나간다.
- 두 번째 분리 삽화: 아이는 혼자 남는다.
- 두 번째 분리 삽화의 연속: 낯선 사람이 들어와서 아이의 행동과 맞물린다.
- 두 번째 재회 삽화: 부모가 들어오고 아이를 맞이해주며 아이를 달랜다. 낯선 사람은 눈앞에서 나간다.
이 절차에서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행동 양상을 관찰한다.
- 절차 동안 아이가 새로운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등 탐색을 하는 정도
- 양육자가 방을 나갈 때 아이의 반응
- 아이가 낯선 사람과 남겨졌을 때 보이는 낯선 사람에 대한 불안 정도
- 양육자와 다시 만났을 때 보이는 아이의 행동
2. 2. 관찰 내용
이 절차에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행동 양상이 관찰된다.[1]- 절차 동안 아이가 행한 탐색의 정도 (새로운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것 등)
- 양육자가 방을 나가는 것에 대한 아이의 반응
- 아이가 낯선 사람과 남겨졌을 때 낯선 사람에 대한 불안 정도
- 양육자와의 재결합 시에 보인 아이의 행동
3. 애착 유형
낯선 상황 절차를 통해 관찰된 행동을 바탕으로 영아의 애착 유형은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분류된다.
- 안정형 애착(Secure Attachment): 양육자와의 안정적인 관계를 바탕으로 형성되며, 아이는 양육자가 자신의 애착 욕구에 반응할 것이라고 확신한다.
- 불안-회피형 애착(Anxious-Avoidant Attachment): 양육자를 피하거나 무시하며, 양육자가 자리를 비우거나 돌아올 때 감정을 거의 드러내지 않는다.
- 불안-양가/저항형 애착(Anxious-Ambivalent/Resistant Attachment): 낯선 상황에서 분리 전부터 불안을 보이며, 양육자가 돌아와도 안정을 찾기 어려워한다.
- 비조직화/혼돈형 애착(Disorganized/Disoriented Attachment): 메리 메인이 추가한 유형으로, 낯선 상황에서 양육자가 떠났다가 돌아올 때 아이의 행동이 양육자와의 친밀함을 달성하기 위해 조정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를 말한다.
3. 1. 안정형 애착 (Secure Attachment)
안정 애착은 양육자와의 안정적인 관계를 바탕으로 형성된다. 안정형 애착을 가진 아이는 양육자가 곁에 있으며 자신의 애착 욕구와 소통에 반응할 것이라고 확신한다.엄마에게 안정적으로 애착된 아이는 양육자가 있는 상황에서 자유롭게 탐색하고 놀면서, 탐색의 출발점이 되는 '안정적인 기반(secure base)'으로서 엄마를 이용한다. 아이는 양육자가 있는 상황에서 낯선 사람과도 잘 지내며, 양육자가 떠날 때 확실히 당황하지만 양육자가 돌아오면 행복해한다.
안정 애착 유형 아동은 위급할 때 자신들이 돌아갈 안정적인 기반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는 경우, 가장 활발하게 탐색할 수 있다. 도움이 주어지면 안정감을 강화하고 엄마의 도움이 유용하다는 것을 인지하면서, 앞으로 같은 문제를 대처할 방법을 아이에게 가르치게 된다. 따라서 안정 애착은 위협적이지 않은 환경에서 자원을 배우고 활용하는 데 있어서 가장 적응적인 애착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애착 연구자들에 따르면, 엄마가 이용 가능하고 반응을 잘하고 적절한 방식으로 아이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때, 아이는 안정적으로 애착하게 된다.
3. 2. 불안-회피형 애착 (Anxious-Avoidant Attachment)
불안-회피 불안정 애착 유형의 아동은 양육자를 피하거나 무시하며, 양육자가 실험실을 나가거나 들어올 때 감정을 거의 드러내지 않는다. 이들은 누가 있든 탐색활동을 많이 보이지 않는다. 1970년대 초기까지 이 유형은 수수께끼였다. 불안-회피 유형은 분리되어도 괴로워하지 않고 양육자가 돌아오는 것을 무시하는 A1 하위유형과, 양육자를 무시하거나 외면하는 경향을 가지면서도 부모에게 접근하는 A2 하위유형으로 나뉜다. 애인스워스와 벨(Bell)은 회피유형 아동의 침착한 행동은 사실 고통을 가리는 가면이라는 것을 이론화하였으며, 이후 회피 유형 아동의 심장박동수 연구를 통해 이를 증명하였다.[1][2]애인스워스의 서술 기록에 따르면, 애착 행동이 거절당한 경험이 있는 아이는 스트레스를 받는 낯선 상황 절차에서 양육자를 회피하는 경향을 보였다. 아이의 욕구는 빈번히 충족되지 못하였고, 아이는 욕구를 표현해도 양육자에게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믿게 된다. 애인스워스의 학생인 메리 메인은 낯선 상황 절차에서의 회피 유형 행동은 '엄마의 거절이라는 조건 하에, 어떠한 접근도 가능하다는 것을 허용하는 역설적인 조건 전략'이라고 이론화하였다.[3] 메인은 양육자가 자신의 욕구에 계속해서 반응하지 않는 영아에게 회피가 두 가지 기능을 한다고 보았다. 첫째, 회피 행동은 아이가 양육자에게 조건적인 접근을 유지하게 한다. 즉, 양육자의 보호를 받을 수 있을 만큼 가깝지만 거절당하지 않을 정도로 거리를 두는 것이다. 둘째, 회피 유형 행동을 조직하는 인지적 과정은 양육자와의 친밀함을 바라는 욕구가 충족되지 못한 것에서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리는 데 유용하다. 즉, 아이가 '비조직화된 고통'이라는 감정에 압도되어 자신을 통제할 수 없게 되고 조건적 접근마저 달성하지 못하는 상황을 회피하는 것이다.[4]
3. 3. 불안-양가/저항형 애착 (Anxious-Ambivalent/Resistant Attachment)
불안-양가/저항형 아동은 낯선 상황 실험에서 분리 전부터 불안을 보이며, 양육자가 돌아와도 달라붙어 안정을 찾기 어려워한다. 이들은 양육자의 부재에 대한 반응으로 분노를 보이거나(C1 하위유형), 무기력하고 수동적인 모습(C2 하위유형)을 보인다.[5]한스(Hans) 등은 애인스워스의 애착 유형 중에서 양가적 애착 유형이 가장 이해하기 어렵다고 우려했다. 특히 양가/저항(C)과 비조직화(disorganization)(D) 유형 간의 관계는 앞으로 명확히 밝혀야 할 과제이다.[6][7]
그러나 연구자들은 불안-양가/저항 전략이 예측하기 어려운 양육자의 반응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난다고 보았다. 또한 양육자와 다시 만났을 때 보이는 분노나 무력함은, 관계를 미리 통제하여 양육자를 곁에 두려는 조건부 전략으로 해석될 수 있다.[8][9]
3. 4. 비조직화/혼돈형 애착 (Disorganized/Disoriented Attachment)
비조직화/혼돈형 애착은 메리 메인(Mary Main)이 추가한 네 번째 애착 유형이다. 낯선 상황에서 애착 체계는 양육자가 떠났다가 돌아오는 것을 통해 활성화된다. 이때 영아의 행동이 양육자와의 친밀함을 달성하기 위해 조정되지 않는 것처럼 보이면, 이는 애착 체계의 혼란을 의미하며 '비조직화'로 분류된다. 비조직화/혼돈형 애착으로 분류된 영아의 행동에는 공포, 모순된 행동, 경직, 해리 등이 있다.[12] 리옹스-루스(Lyons-Ruth)는 비조직화 유형 영아의 52%가 양육자에게 계속 접근하고 안정을 찾으려 한다고 보았다.[13]비조직화/혼돈형 애착(D) 유형은 지나치게 포괄적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15] 메리 에인스워스(Mary Ainsworth)는 D 유형이 다양한 유형의 행동을 같은 것으로 다룬다고 우려했다.[16] 조지(George)와 솔로몬(Solomon)은 비조직화/혼란 애착(D)의 지수를 나누어, 일부 행동은 자포자기 전략으로, 다른 일부는 애착 체계가 과도해진 것으로 분류하였다.[17] 패트리샤 맥킨지 크리텐덴(Patricia McKinsey Crittenden)은 비조직화/혼돈 유형으로 분류된 행동 일부는 회피 혹은 양가/저항 전략의 '긴급' 버전으로, 양육자의 보호적 이용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한 기능으로 봐야 한다고 하였다.[18]
메인과 헤세(Hesse)는 비조직화 애착 유형 아이들의 엄마들 대부분이 출산 전후로 중대한 상실경험이나 트라우마를 겪었으며, 심각하게 우울한 상태에서 반응하였음을 발견하였다.[20] 고등학교 졸업 전에 부모 중 한 명과 사별한 엄마들 중에 56%는 그 결과로서 비조직화 애착 유형을 가진 아이를 낳았다.[20] 이후 연구는 해소되지 못한 상실(unresolved loss)의 중요성을 강조한다.[22]
4. 낯선 상황 절차에 대한 비판
마이클 루터는 낯선 상황 절차가 짧은 분리 및 재회가 모든 아이에게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는 점에 의존하고, 단 20분간의 행동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점 등 여러가지 한계가 있다고 설명한다.[24] 또한, 이 절차는 코딩 과정에서 연속적인 차원 대신 개별 범주를 사용하기 때문에 경계선상의 문제를 일으키며, 애착 안정성 개념을 온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다른 연구자들 역시 낯선 상황의 구성 타당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며, 이 절차가 애착을 측정하는 "골드 스탠다드" 척도로 사용되는 것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30][31]
4. 1. 방법론적 한계
낯선 상황 절차는 짧은 분리 및 재회가 모든 아이에게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는 점에 의존한다. 이는 문화적 차이를 고려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특히, 일본과 같이 유아가 어머니와 거의 분리되지 않는 문화에서는 이 절차를 적용하는 데 제약이 있을 수 있다.[26] 또한, 나이가 많은 아이들은 다른 사람이 없을 때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인지 능력이 있기 때문에, 분리가 그들에게 동일한 스트레스를 주지 못할 수 있다. 유아 학교 고학년을 위해 수정된 절차가 개발되었지만, 동일한 접근 방식을 중년기에 사용할 수 있는지는 의심스럽다.[27][28]이 절차는 단 20분간의 행동에 기반을 두고 있어, 아이의 애착 관계의 모든 관련 특성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한계도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집에서의 관찰과 어머니와의 인터뷰를 기반으로 한 Q-sort 절차가 개발되었다.[29] 또한, 코딩 절차가 연속적인 차원 대신 개별 범주를 초래하여 경계 문제를 야기하고, 애착 안정성의 개념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도 있다.
다른 연구자들은 낯선 상황의 구성 타당성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며, 애착의 "골드 스탠다드" 척도로서의 용어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30][31]
4. 2. 타당성 문제
일부 연구자들은 낯선 상황 절차의 구성 타당성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으며,[30][31] 애착의 "골드 스탠다드" 척도로서의 용어에 의문을 제기했다.[31]4. 3. 생태학적 타당성과 보편성
마이클 루터는 낯선 상황 절차가 일본과 같이 유아가 어머니와 거의 분리되지 않는 문화권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고 설명했다.[24][26] 이러한 점은 낯선 상황의 생태학적 타당성에 대한 논란을 일으켰다.[30][31]그러나 비서구 언어 및/또는 문화적 기반을 가진 연구를 포함, 2,000쌍의 유아-부모 간 메타 분석 결과 애착 유형의 전반적인 분포는 A형(21%), B형(65%), C형(14%)으로 나타났다.[32] 이는 Ainsworth et al.(1978)의 원래 애착 유형 분포와 대체로 일치하는 결과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전반적인" 애착 유형 분포 비율에 대한 몇 가지 문화적 차이에 대한 논란이 존재한다. 특히, 북부 독일[33]에서는 회피형(A) 유아가 더 많이 발견되었고, 일본 삿포로[34]에서는 저항형(C) 유아가 더 많이 발견되었다는 두 연구 결과가 주목할 만하다. 일본의 연구 결과는 애착 행동의 개인차 의미에 대한 가장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Behrens, et al.(2007)은 삿포로에서 수행한 연구에서 6세용 Main & Cassidy 애착 유형 분류 시스템을 사용하여 전반적인 규범과 일치하는 애착 분포를 발견했다.[35][36] 이들은 일본의 아마에 개념과 불안정-저항형(C) 상호 작용 스타일이 아마에의 문화적 관행의 결과로 일본 유아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5. 한국 사회와 애착 연구
(주어진 결과물이 없으므로 작업을 수행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논문
Attachment, exploration, and separation: Illustrated by the behavior of one-year-olds in a strange situation
[2]
논문
Attachment as an Organizational Construct
[3]
논문
The “ultimate” causation of some infant attachment phenomena
[4]
논문
Analysis of a peculiar form of reunion behaviour seen in some daycare children
Johns Hopkins
[5]
논문
The insecure/ambivalent pattern of attachment: Theory and research
[6]
서적
Change and Continuity in Ambivalent Attachment Relationship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CUP
[7]
논문
Maternal caregiving strategy—a distinction between the ambivalent and the disorganized profile
[8]
논문
Children classified as controlling at age six: Evidence of disorganized representational strategies and aggression at home and at school
[9]
서적
Danger and development: the organisation of self-protective strategies
Blackwell
[10]
서적
Patterns of Attachment: A Psychological Study of the Strange Situation
Lawrence Erlbaum
[11]
논문
Mother and Infant Patterns of Attachment
[12]
서적
Attachment in the Preschool Years: Theory, Research, and Interven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3]
논문
Parsing the construct of maternal insensitivity: distinct longitudinal pathways associated with early maternal withdrawal
[14]
논문
Early Attachment Organization With Both Parents and Future Behavior Problems: From Infancy to Middle Childhood
[15]
서적
Promoting a secure attachment through early assessment and interventions
Routledge
[16]
서적
Epilogue
Chicago University Press
[17]
서적
The place of disorganisation in attachment theory
Guilford
[18]
서적
The Development of the person: the Minnesota study of risk and adaptation from birth to adulthood
Guilford Press
[19]
서적
Danger and development: the organisation of self-protective strategies
Blackwell
[20]
서적
Attachment in the Preschool Years: Theory, Research, and Interven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1]
서적
Love and Loss
Routledge
[22]
논문
Unresolved states of mind, anomalous parental behavior, and disorganized attachment: A review and meta-analysis of a transmission gap
[23]
서적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dysregulated maternal caregiving: Mothers describe their upbringing and child rear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논문
Clinical implications of attachment concepts: Retrospect and prospect
[25]
논문
Discovery and proof in attachment research
[26]
논문
Infant Temperament, Mother's Mode of Interaction, and Attachment in Japan: An Interim Report
[27]
서적
Attachment Theory and Evidence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28]
서적
Attachment in the Preschool Years: Theory, Research, and Interven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9]
논문
Attachment behavior at home and in the laboratory: Q-sort observations and strange situation classifications of one-year-olds
[30]
서적
Daycare and the Strange Situation
Guilford
[31]
논문
Theory and measure in the psychological field: The case of attachment theory and the strange situation procedure
[32]
논문
Cross-Cultural Patterns of Attachment: A Meta-Analysis of the Strange Situation
https://openaccess.l[...]
[33]
논문
German Children's Behavior Towards Their Mothers at 12 Months and Their Fathers at 18 Months in Ainsworth's Strange Situation
[34]
논문
Examining the strange-situation procedure with Japanese mothers and 12-month-old infants
[35]
논문
Mothers' attachment status as determined by the Adult Attachment Interview predicts their 6-year-olds' reunion responses: A study conducted in Japan
[36]
논문
Categories of response to reunion with the parent at age 6: Predictable from infant attachment classifications and stable over a 1-month period
[37]
논문
Empirical classification of infant-mother relationships from interactive behavior and crying during reunion
[38]
논문
Cross-cultural consistency of coding the strange situation
[39]
논문
Are infant attachment patterns continuously or categorically distributed? A taxometric analysis of strange situation behavi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