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광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광조는 당나라 말기에 건주(虔州)를 점령하고 자사를 칭하며 세력을 확장한 인물이다. 그는 담전파의 도움을 받아 건주를 통치하고, 소주(韶州)를 점령하는 등 세력을 넓혔다. 후량 건국 이후, 후량과 오나라 사이에서 외교적 줄타기를 하며 세력을 유지했다. 910년에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노연창이 뒤를 이었다.
노광조는 난강(현재의 장시성 간저우시 난캉구) 출신으로, 출생 연도는 알려져 있지 않다. 웅장한 체격을 가졌으나 특별한 재능은 없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같은 난강 출신인 담전파의 인정을 받았다.[6]
2. 생애
당나라 말기, 남부 지방이 농민 반란으로 혼란에 빠지자, 담전파는 노광조에게 반란을 일으킬 것을 권유하였다. 노광조는 이를 받아들여 반란군을 일으켰다. 반란군은 담전파를 지도자로 추대하려 했으나, 담전파는 노광조에게 지도자 자리를 양보하고, 반란군에게 노광조의 명령에 따를 것을 강력히 요구하였다.[6]
885년, 노광조는 건주(虔州)를 점령하고 자사를 자칭하였으며, 담전파를 군사로 삼았다.[7]
902년, 남쪽으로 세력을 확장하기 시작했다. 먼저 소주(韶州, 현재의 광둥성 사오관시)를 점령하고 아들 노연창에게 통치하게 했다.[8] 이후 조주(潮州, 현재의 광둥성 차오저우시)를 포위 공격했으나, 청해군(淸海軍, 본부는 오늘날의 광둥성 광저우시) 유후(留後) 유은에게 격퇴되었다.[8] 유은은 소주를 공격했지만, 담전파가 이끄는 노광조의 군대에 의해 격파되었다.[8] 이 승리 이후, 담전파는 자신의 공을 다른 장수들에게 돌려 노광조의 신뢰를 더욱 얻었다.[8]
907년, 주전충이 당나라를 찬탈하고 후량 태조로 즉위하면서 후량이 시작되었다. 노광조는 후량에 조공을 바쳤고, 후량 태조는 건주(虔州)와 소주를 백승군(百勝軍)으로 만들고 노광조를 백승군방어사 겸 오령개통사(五嶺開通使)로 임명하였다.[6]
909년, 홍농군국(훗날의 오나라)이 위전풍을 격파하고 영토를 점령하자, 노광조는 홍농왕 양융연에게 복종하는 표문을 올렸다.[11] 그러나 그는 동시에 후량에도 계속 복종하였다. 910년 1월 10일[10], 후량 태조는 그에게 진남군(鎭南軍, 본부는 오늘날의 강서성 남창시) 절도사 직함을 제수하였다.[11]
910년 말, 노광조는 병에 걸려 위독해지자 담전파에게 지위를 물려주고자 했으나, 담전파는 이를 사양했다. 노광조가 사망한 후, 소주에 있던 아들 노연창이 건주로 돌아와 장례를 치렀다. 담전파는 노연창이 노광조의 지위를 계승하는 것을 지지했고, 양융연과 후량 태조 모두 이 승계를 승인하였다.[5]
2. 1. 배경 및 건주 점령
노광조는 난강(현재의 장시성 간저우시 난캉구) 출신으로, 출생 연도는 알려져 있지 않다. 그는 웅장한 체격을 가졌으나 특별한 재능은 없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그는 같은 난강 출신인 담전파의 인정을 받았다.[6]
당나라 말기, 남부 지방이 농민 반란으로 혼란에 빠지자, 담전파는 노광조에게 반란을 일으킬 것을 권유하였다. 노광조는 이를 받아들여 반란군을 일으켰다. 반란군은 담전파를 지도자로 추대하려 했으나, 담전파는 노광조에게 지도자 자리를 양보하고, 반란군에게 노광조의 명령에 따를 것을 강력히 요구하였다.[6]
885년, 노광조는 건주(虔州)를 점령하고 자사를 자칭하였으며, 담전파를 군사로 삼았다.[7]
2. 2. 건주 통치와 세력 확장
902년, 노광조는 남쪽으로 세력을 확장하기 시작했다. 먼저 소주(韶州, 현재의 광둥성 사오관시)를 점령하고 아들 노연창에게 통치하게 했다.[8] 이후 조주(潮州, 현재의 광둥성 차오저우시)를 포위 공격했으나, 청해군(淸海軍, 본부는 오늘날의 광둥성 광저우시에 있었다) 유후(留後) 유은에게 격퇴되었다.[8] 유은은 소주를 공격했지만, 담전파가 이끄는 노광조의 군대에 의해 격파되었다.[8] 이 승리 이후, 담전파는 자신의 공을 다른 장수들에게 돌려 노광조의 신뢰를 더욱 얻었다.[8]
907년, 주전충이 당나라를 찬탈하고 후량 태조로 즉위하면서 새로운 후량이 시작되었다.[6] 이때 노광조는 후량에 조공을 바쳤고, 후량 태조는 건주(虔州)와 소주를 백승군(百勝軍)으로 만들고 노광조를 백승군방어사 겸 오령개통사(五嶺開通使)로 임명하였다.[6]
909년, 홍농군국(훗날의 오나라)이 위전풍을 격파하고 그의 영토를 점령하자, 노광조는 홍농왕 양융연에게 복종하는 표문을 올렸다.[11] 그러나 그는 동시에 후량에도 계속 복종하였다. 910년 1월 10일[10], 후량 태조는 그에게 진남군(鎭南軍, 본부는 오늘날의 강서성 남창시에 있었다) 절도사 직함을 제수하였다.[11]
2. 3. 후량과 오나라와의 관계
907년, 주전충이 당나라를 멸망시키고 후량을 건국하면서, 노광조는 복잡한 외교 상황에 놓였다. 북쪽으로는 후량에 복종하지 않고 당나라의 연호를 유지하던 홍농(이후 오나라)이 있었고, 남쪽으로는 후량의 제후였던 유은이 있었다.[6][9] 노광조는 후량에 조공을 바쳤고, 후량 태조는 건주와 소주를 백승군(百勝軍)으로 만들고 노광조를 방어사 겸 오령개통사(五嶺開通使)로 임명하였다.[6]
909년, 홍농(오나라)이 위전풍을 격파하고 그 영토를 점령하자, 노광조는 홍농의 왕자 양융연에게 복종을 요청하는 상소를 올렸지만, 동시에 후량에도 계속 조공을 바쳤다.[10] 910년, 후량 태조는 노광조에게 진남군(鎭南軍) 절도사 직함을 부여했다.[11]
2. 4. 사망과 계승
910년 말, 盧光稠중국어는 병에 걸려 위독해지자 담전파에게 자신의 지위를 물려주고자 했으나, 담전파는 이를 사양했다. 盧光稠중국어가 사망한 후, 소주에 있던 아들 노연창이 건주로 돌아와 장례를 치렀다. 담전파는 노연창이 盧光稠중국어의 지위를 계승하는 것을 지지했고, 양융연과 후량 태조 모두 이 승계를 승인하였다.[5]
참조
[1]
서적
New History of the Five Dynasties
https://zh.wikisourc[...]
[2]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3]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4]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5]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6]
서적
신오대사
https://zh.wikisourc[...]
[7]
서적
자치통감
https://zh.wikisourc[...]
[8]
서적
자치통감
https://zh.wikisourc[...]
[9]
서적
자치통감
https://zh.wikisourc[...]
[10]
웹사이트
중앙연구원 음양력 변환기
http://sinocal.sinic[...]
[11]
서적
자치통감
https://zh.wikisourc[...]
[12]
서적
자치통감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