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달변형 회로분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달변형 회로 분석은 회로의 동작을 해석하는 방법 중 하나로, 분기 구성 방정식(BCE), 키르히호프 전류 법칙(KCL) 등을 활용한다. 이 방법은 수정 노드 해석법을 사용하며, KCL과 BCE를 적용하여 연립 방정식을 구성하고 풀이하는 세 단계를 거친다. 비선형 회로의 경우 다이오드와 같은 소자를 포함하여 분석할 수 있으며, 미분대수방정식(DAE) 형태로 표현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자 회로 - 트랜지스터-트랜지스터 논리
트랜지스터-트랜지스터 논리(TTL)는 1961년 제임스 L. 부이에 의해 발명된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기반의 디지털 회로 기술로, 텍사스 인스트루먼츠의 7400 시리즈를 통해 널리 사용되었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디지털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 - 전자 회로 - 연산 증폭기
연산 증폭기는 높은 전압 이득을 갖는 직류 결합 증폭기로, 음의 피드백을 통해 신호 처리 기능을 구현하며, 높은 입력 임피던스와 낮은 출력 임피던스를 특징으로 다양한 증폭기, 필터, 연산 회로 설계에 활용된다.
| 노달변형 회로분석 | |
|---|---|
| 개요 | |
| 분야 | 회로망 분석 |
| 개발자 | C.W. Ho, A.E. Ruehli, P.A. Brennan |
| 개발일 | 1975년 |
| 기반 | 노드 해석법 |
| 상세 정보 | |
| 방법 | 회로의 노드를 식별 각 노드에 대한 KCL 방정식 작성 어드미턴스 행렬을 사용하여 방정식 시스템을 행렬 형태로 표현 선형 대수 기법을 사용하여 미지수 노드 전압에 대해 시스템 해결 |
| 장점 | 희소 행렬 기술에 적합 컴퓨터 구현에 효율적 회로의 크기에 따라 잘 확장됨 |
| 제한 사항 | 전압 소스를 직접 처리하기 어려울 수 있음 (일부 공식화에서는 노턴 등가 또는 소스 변환이 필요할 수 있음) 특수 구성 요소 (예: NIC, 자이레이터)에는 수정이 필요할 수 있음 |
| 사용 분야 | 전기 회로 시뮬레이션 전자 회로 설계 전력 시스템 해석 신호 무결성 분석 |
| 관련 기법 | |
| 관련 기법 | 노드 해석법 스파스 타블로 해석법 |
| 참고 문헌 | |
| 참고 문헌 | "The Modified Nodal Approach to Network Analysis" (Ho, Ruehli, and Brennan, Proc. 1974 Int. Symposium on Circuits and Systems) "The Sparse Tableau Approach to Network Analysis and Design" (Hachtel, Brayton, and Gustavson, IEEE Transactions on Circuit Theory, 1971) |
2. 해석 방법
'''노달변형 회로 분석'''은 소자의 분기 구성 방정식(BCE, Branch Constitutive Equation)과 키르히호프 회로 법칙(KCL, KVL)을 모두 사용하여 전기 회로를 해석하는 방법이다.[3] 특히 '''수정 노드 해석법'''은 이 원리들을 체계적으로 적용하는 기법으로, 주로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거쳐 수행된다.
# '''1단계: 키르히호프 전류 법칙(KCL) 적용''' : 회로의 각 노드에 KCL을 적용하여 전류에 대한 방정식을 세운다. 이때 독립 전압원의 전류 방향과 부호 규칙에 유의한다.[3]
# '''2단계: 분기 구성 방정식(BCE) 적용 및 노드 전압으로 표현''' : 각 회로 소자의 전압-전류 관계를 나타내는 BCE를 노드 전압을 이용하여 표현한다. 이를 통해 분기 전류 변수를 노드 전압 변수로 대체하여 방정식의 변수 수를 줄인다.[3]
# '''3단계: 방정식 결합 및 풀이''' : 1단계에서 얻은 KCL 방정식과 2단계에서 변형된 BCE를 결합하여 노드 전압에 대한 연립 방정식을 구성한다. 필요한 경우, 아직 사용되지 않은 소자 정의(예: 독립 전압원의 전압 값)를 추가하여 방정식을 완성하고 해를 구한다.[3]
이 방법은 때때로 네 단계로 설명되기도 하지만, BCE를 노드 전압으로 바로 표현하는 경우 세 단계로 줄일 수 있다.[3]
2. 1. 1단계: 키르히호프 전류 법칙(KCL) 적용
전기 회로의 각 노드에 대해 키르히호프 전류 법칙(KCL) 방정식을 작성한다. 이는 각 노드에서 들어오고 나가는 전류의 대수적 합은 0이라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다만, '''수정 노드 해석법'''에서는 독립 전압원의 전류 방향을 양극(+)에서 음극(-)으로 흐르는 것으로 간주하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3] KCL 방정식을 세울 때, 각 노드로 들어오는 전류는 음수(-) 부호로, 노드에서 나가는 전류는 양수(+) 부호로 표시하며, 이 전류들의 대수적 합은 항상 0이 된다.
2. 2. 2단계: 분기 구성 방정식(BCE) 적용
회로의 각 노드와 노드 사이의 모든 가능한 지선(Branch)에 분기 구성 방정식(BCE)을 적용한다. BCE는 각 소자의 전압-전류 관계를 나타내는 방정식이다.[3] 이 단계의 목표는 BCE를 사용하여 가능한 많은 분기 전류를 회로의 노드 전압으로 표현하여 제거하는 것이다.일반적으로 노드 전압은 'e'로, 지선(Branch)의 전압은 'V'로 표현한다. 예를 들어, 노드 1과 노드 2 사이 지선의 전압 은 해당 노드 전압의 차이로 나타낼 수 있다. 만약 전류가 노드 1()에서 노드 2()로 흐른다고 가정하면, 지선 전압은 가 된다. 이는 전류가 전압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른다는 기본 원리에 따른다.
BCE를 처음부터 노드 전압으로 작성하면 분석 단계를 줄일 수 있다. 만약 BCE가 지선 전압으로 먼저 작성되었다면, 지선 전압을 노드 전압으로 대체하는 추가적인 단계가 필요할 것이다.[3] 이 문서에서는 노드 전압을 나타내기 위해 "e" 문자를 사용하고 분기 전압을 나타내기 위해 "v" 문자를 사용한다.
예시 RC 회로 (원본 소스의 그림 1 참조)에서 BCE를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 전압원 의 경우: 그라운드를 기준으로 노드 1()과 같은 위치에 있으므로, 이다.
- 저항 의 경우: 저항 양단의 전압 은 노드 1()과 노드 2() 사이의 전압 차이이므로, 이다.
- 커패시터 의 경우: 그라운드를 기준으로 노드 2()와 같은 위치에 있으므로, 이다.
이렇게 각 지선의 전압을 노드 전압으로 표현한 BCE 식들은 다음 단계에서 KCL 방정식에 대입되어 회로 해석을 위한 최종 연립 방정식을 구성하는 데 사용된다.
2. 3. 3단계: 방정식 결합 및 풀이
1단계의 KCL 방정식과 2단계의 BCE(Branch Constitutive Equation, 분기 구성 방정식)를 결합하여 회로 전체를 나타내는 연립 방정식을 구성한다.예시로 사용된 RC 회로의 경우, '분석 1'에서 얻은 KCL 방정식에 '분석 2'에서 얻은 BCE 식들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은 연립 미분방정식을 얻을 수 있다.[3]
이 식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이렇게 구성된 연립 방정식은 회로의 모든 노드 전압()과, 필요한 경우 독립 전압원의 전류( 등)와 같이 BCE만으로는 직접 결정되지 않는 가지(Branch) 전류를 미지수로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립 방정식을 풀어 각 노드의 전압과 필요한 가지의 전류 값을 구한다. 만약 KCL과 BCE만으로 미지수의 개수보다 방정식의 개수가 부족하다면, 독립 전압원의 전압 정의( 등)와 같이 아직 사용되지 않은 소자의 정의나 특성을 나타내는 방정식을 추가하여[3] 연립 방정식을 완성하고 해를 구한다.
3. 예제
아래 그림은 선형 저항과 커패시터로 구성된 간단한 RC 회로이다. 분석의 편의를 위해 저항 대신 어드미턴스 을 사용한다.
회로의 주요 요소와 각 요소의 분기 방정식(전압-전류 관계)은 다음과 같다.
| 요소 | 분기 방정식 |
|---|---|
| 저항 | |
| 커패시터 |
이 회로는 그라운드를 기준으로 두 개의 주요 노드(, )와 세 개의 주요 전류(, , )를 가진다. 노달 변형 회로 분석법은 이러한 회로의 노드 전압을 구하는 데 사용된다. 분석 과정에는 주로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KCL)과 각 소자의 분기 구성 방정식(BCE)이 활용된다. 구체적인 분석 단계와 방정식 유도 과정은 이어지는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3. 1. 회로 분석
아래 그림은 저항과 커패시터로 구성된 간단한 선형 RC 회로이다. 회로 분석의 편의를 위해 저항 대신 어드미턴스 을 사용한다. 이 회로를 해석하기 위해 노달 분석 방법을 적용한다.
회로의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 노드: 그라운드(기준 전위 0)를 제외하고 과 두 개의 주요 노드가 존재한다. 각 노드의 전압을 구하는 것이 분석의 주요 목표 중 하나이다.
- 전류: 회로에는 세 가지 주요 전류가 흐른다. 전압원에서 공급되는 전류 , 저항을 통과하는 전류 , 커패시터를 통과하는 전류 이다.
각 소자의 기본적인 전압-전류 관계(분기 방정식)는 다음과 같다.
| 요소 | 분기 방정식 |
|---|---|
| 저항 | |
| 커패시터 |
회로 분석은 일반적으로 다음 단계를 따른다.
1.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KCL) 적용: 각 노드(, )에 KCL을 적용하여 노드로 들어오고 나가는 전류 간의 관계식을 세운다.
2. 분기 구성 방정식(BCE) 적용: 각 회로 소자(전압원, 저항,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을 노드 전압(, )으로 표현한다.
3. 방정식 결합: KCL과 BCE를 통해 얻은 식들을 결합하여 노드 전압에 대한 연립 (미분) 방정식을 유도한다. 경우에 따라 추가적인 제약 조건(예: )을 고려하여 최종 방정식을 완성한다.
이 과정을 통해 얻어진 연립 방정식을 풀면 각 노드의 전압과 회로 내 전류 분포를 알 수 있다. 각 분석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과정과 방정식 유도는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3. 1. 1. KCL 적용
주어진 RC 회로(그림 1)를 분석하기 위해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KCL)을 적용한다. KCL은 회로의 특정 노드(접속점)로 들어오는 전류의 총합과 나가는 전류의 총합이 같다는 원리이다. 이 회로에는 그라운드를 제외하고 과 라는 두 개의 주요 노드가 있다. 또한, 세 개의 전류 (전압원에서 나오는 전류), (저항을 통과하는 전류), (커패시터를 통과하는 전류)가 정의된다.
각 노드에 KCL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방정식을 세울 수 있다.
- '''노드 ''': KCL에 따라 이 노드로 들어오는 전류와 나가는 전류의 대수적 합은 0이다.
(이 식은 노드 에 연결된 전류들의 관계를 나타낸다. 전류의 방향 가정에 따라 각 항의 부호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가 노드로 들어오고 이 노드에서 나간다고 가정하면 위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 '''노드 ''': 마찬가지로 노드 에 KCL을 적용한다.
(이 식은 노드 에 연결된 전류들의 관계를 보여준다. 은 노드 에서 로 흐르는 전류로 가정되었으므로, 입장에서는 들어오는 전류이다. 따라서 에서 나가는 전류 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식을 세우면 위와 같이 표현된다. 이는 들어오는 전류()와 나가는 전류()가 같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이렇게 KCL을 적용하여 각 노드에서의 전류 관계를 나타내는 방정식을 얻었으며, 이는 회로를 해석하는 데 사용된다.
3. 1. 2. BCE 적용
BCE(Branch Constitutive Equation, 지선 구성 방정식)는 회로의 각 소자 양단의 전압을 노드 전압으로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그림 1의 RC 회로에 BCE를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 '''전압원 ()''': 전압원의 양단은 접지와 노드 1()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전압원의 전압 는 노드 전압 과 같다.
- '''저항 ()''': 저항의 양단은 노드 1()과 노드 2()에 연결되어 있다. 전류가 전압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른다고 가정하면(에서 방향), 저항 양단의 전압 은 두 노드 전압의 차이()와 같다.
- '''커패시터 ()''': 커패시터의 양단은 노드 2()와 접지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 는 노드 전압 와 같다.
이렇게 BCE를 통해 얻은 각 소자의 전압 표현(, , )을 이전 단계에서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KCL)을 적용하여 구한 노드 방정식에 대입한다. 이때 저항 대신 어드미턴스 를 사용하고, 각 소자의 전류-전압 관계식(, )을 활용하면 다음과 같은 연립 미분 방정식을 얻을 수 있다.
- 노드 1 KCL 식 ()에 과 를 대입:
- 노드 2 KCL 식 ()에 , , , 를 대입:
또는 이 식을 정리하면,
3. 1. 3. 방정식 결합
그림은 저항과 커패시터로 구성된 RC 직렬 회로를 나타낸다. 회로 해석의 편의를 위해 저항 대신 어드미턴스 을 사용한다. 각 소자의 분기 방정식(Branch Voltage Equation, BVE)은 다음과 같다.
| 요소 | 분기 방정식 |
|---|---|
| 저항 | |
| 커패시터 |
회로를 분석하여 노드 전압과 관련된 방정식을 유도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1단계: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KCL) 적용'''
회로에는 그라운드를 기준으로 두 개의 주요 노드 과 가 있다. 또한, 전원 전류 , 저항을 흐르는 전류 , 커패시터를 흐르는 전류 의 세 가지 전류가 존재한다. 각 노드에 KCL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식을 얻을 수 있다.
- 노드 :
- 노드 :
'''2단계: 분기 방정식(BVE) 적용'''
각 소자의 전압(, )과 전원 전압()을 노드 전압(, )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 (전압원은 그라운드와 노드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 (저항 양단의 전압차)
- (커패시터는 노드 와 그라운드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이 관계식들을 위 표의 분기 방정식에 대입하고, 다시 1단계에서 얻은 KCL 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은 두 개의 방정식을 얻는다.
'''3단계: 방정식 완성'''
현재까지 유도된 두 개의 방정식에는 미지수 , , 세 개가 포함되어 있다. 방정식을 풀기 위해서는 미지수의 개수와 동일한 수의 독립적인 방정식이 필요하다. 누락된 방정식은 전압원과 노드 의 관계에서 나온다.
이 식을 추가하면 총 세 개의 방정식과 세 개의 미지수(, , )를 가지게 되어, 연립 방정식을 통해 회로의 해를 구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연립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4. 수정 노드 해석법과 미분대수방정식(DAE)
수정 노드 해석법으로 얻어진 회로 방정식은 특정 변수, 예를 들어 독립 전압원의 노드 전압()을 추가하여 다음과 같은 행렬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만약 상태 벡터를 로 정의하면, 위 방정식은 다음과 같은 일반적인 형태로 다시 쓸 수 있다.
여기서 각 행렬과 벡터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이 방정식은 행렬 가 특이 행렬이기 때문에 선형 미분대수방정식(DAE) 형태가 된다. 수정 노드 해석법으로 유도된 이러한 DAE는 회로가 수동적인 RLC 소자만으로 구성될 경우, 그 미분 지수가 2 이하임이 증명되었다.[4] 하지만 연산 증폭기와 같은 능동 소자가 포함될 경우, 미분 지수는 임의로 높아질 수 있다.[5] 이러한 형태의 방정식은 SPICE와 같은 회로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에서 널리 사용된다.
5. 비선형 회로 해석
미분 대수 방정식(DAE)을 사용하는 수정 노드 해석법(MNA)은 회로 내 개별 소자의 특성이 매끄러운 경우를 가정한다. 예를 들어, 다이오드의 경우 쇼클리 방정식을 사용하면 DAE를 통해 MNA에서 모델링할 수 있다. 하지만 다이오드의 전류-전압 특성 곡선(--)에서 급격한 순방향 및 항복 전도 영역을 단순히 수직선으로 간주하는 더 간단하고 이상적인 모델을 사용하면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비선형적인(매끄럽지 않은) 모델을 사용한 회로 분석은 DAE를 사용하는 것보다 더 복잡해진다. 이는 비선형 동적 시스템(Non-smooth Dynamical Systems, NSDS) 분석의 영역에 해당하며, 미분 포함(Differential Inclusion) 이론을 활용하여 해석해야 한다.[6][7]
참조
[1]
간행물
The Modified Nodal Approach to Network Analysis
1974-04
[2]
논문
The Sparse Tableau Approach to Network Analysis and Design
1971-01
[3]
문서
Lecture Notes for CSE245: Computer-Aided Circuit Simulation and Verification
2006
[4]
문서
Topological index of DAEs in the Circuit Simulation
[5]
서적
Numerical Solution of Initial-value Problems in Differential-algebraic Equations
SIAM
[6]
서적
Nonsmooth Modeling and Simulation for Switched Circuit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7]
서적
Non-Smooth Dynamical Systems
https://archive.org/[...]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