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노달 회로분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드 전압 분석은 회로 내 노드의 전압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회로의 각 연결점을 노드, 즉 KCL(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을 적용하는 기준으로 정의한다. 이 방법은 회로의 노드와 접지를 설정하고, 각 노드에 전압 변수를 할당한 후 KCL을 적용하여 연립 방정식을 풀어 미지 전압을 계산한다. 특히 전압원이 두 노드 사이에 있을 경우 슈퍼노드 개념을 활용하여 분석을 단순화한다. 노드 전압 분석은 행렬 형태로 표현하여 계산할 수 있으며, 컨덕턴스 행렬을 이용하여 회로를 분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자 회로 - 트랜지스터-트랜지스터 논리
    트랜지스터-트랜지스터 논리(TTL)는 1961년 제임스 L. 부이에 의해 발명된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기반의 디지털 회로 기술로, 텍사스 인스트루먼츠의 7400 시리즈를 통해 널리 사용되었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디지털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
  • 전자 회로 - 연산 증폭기
    연산 증폭기는 높은 전압 이득을 갖는 직류 결합 증폭기로, 음의 피드백을 통해 신호 처리 기능을 구현하며, 높은 입력 임피던스와 낮은 출력 임피던스를 특징으로 다양한 증폭기, 필터, 연산 회로 설계에 활용된다.
  • 전기공학 - 전기 전도체
    전기 전도체는 전기를 잘 통하는 물질로, 금속, 전해질, 초전도체, 반도체 등이 있으며, 구리, 은, 알루미늄 등 다양한 재료가 전선 등에 사용된다.
  • 전기공학 - 옴의 법칙
    옴의 법칙은 1827년 게오르크 옴이 발표한, 전압(V)은 전류(I)와 저항(R)의 곱(V=IR)으로 표현되는, 전압, 전류, 저항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본 법칙이다.
노달 회로분석
개요
분야전기 회로 이론
하위 분야회로 분석
기술 대상전기 회로
원리
기본 원리키르히호프의 회로 법칙
적용 대상선형 회로
방법
방법노드 전압 결정
응용회로 분석 및 설계
관련 기법중첩 정리, 테브난의 정리, 노턴의 정리, 루프 전류법

2. 노드 전압 분석법의 절차

노드 전압 분석법은 회로를 해석하는 체계적인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른다.

# 회로 내의 모든 연결된 전선 부분을 파악하여 노드(node) 또는 교점(junction)으로 정의한다. 이 노드들을 기준으로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KCL)을 적용한다.

# 노드 중 하나를 기준 노드(접지)(ground)로 선택한다. 일반적으로 연결이 가장 많은 노드를 선택하면 분석이 단순화된다. ''N''개의 노드가 있는 회로에서는 ''N''-1개의 노드 방정식이 필요하다.

# 전압을 알 수 없는 각 노드에 변수를 할당한다. 이미 전압 값이 알려진 노드는 제외한다.

# 전압을 모르는 각 노드에 대해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KCL)을 적용하여 방정식을 세운다. 일반적으로 노드에서 나가는 전류의 합을 0으로 놓고 방정식을 구성한다. 두 노드 사이의 전류는 옴의 법칙에 따라 계산한다.

# 두 개의 미지 전압 노드 사이에 전압원이 있는 경우, 이 두 노드를 하나의 슈퍼노드(supernode)로 취급하여 분석한다. 슈퍼노드에 대해 KCL 방정식을 세우고, 두 노드 사이의 전압 관계식을 추가한다.

# 각 미지 전압에 대해 세워진 연립 방정식 시스템을 풀어 모든 노드의 전압을 구한다.

2. 1. 단계 1: 노드 정의

회로에서 전선으로 연결된 모든 부분을 하나의 노드(node) 또는 교점(junction)이라고 정의한다. 노달 회로 분석은 이렇게 정의된 노드를 기준으로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KCL)을 적용하여 회로를 해석하는 방법이다. 분석을 시작하기 위해 회로 내의 모든 노드를 파악하고 기록하는 것이 첫 번째 단계이다.

2. 2. 단계 2: 기준 노드 (접지) 선택

회로 분석을 위해 여러 개의 노드 중에서 하나의 노드를 기준점, 즉 접지(ground)로 선택한다. 어떤 노드를 접지로 선택하는지는 회로 내 소자 양단 전압에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각 노드의 전압 값 자체에는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접지 선택은 분석의 편의를 위한 관례적인 과정이다. 일반적으로 회로에서 다른 소자들과의 연결이 가장 많은 노드를 접지로 선택하면, 이후의 계산 과정을 단순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회로에 총 ''N''개의 노드가 있다면, 하나의 노드를 접지로 선택함으로써 풀어야 할 노드 방정식의 수는 ''N''−1개가 된다.

2. 3. 단계 3: 노드 전압 변수 할당

전압을 알 수 없는 각 노드에 변수를 할당한다. 전압이 이미 알려진 경우에는 변수를 할당할 필요가 없다.

2. 4. 단계 4: 키르히호프 전류 법칙 (KCL) 적용

각 미지 전압을 가진 노드에 대해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KCL)을 적용하여 방정식을 세운다. KCL은 특정 노드를 기준으로 들어오고 나가는 전류의 대수적 합이 0이라는 법칙으로, 일반적으로 해당 노드에서 나가는 모든 전류의 합을 0으로 놓고 방정식을 구성한다.

두 노드 사이의 전류는 옴의 법칙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전류의 방향은 임의로 가정할 수 있으며, 어느 방향으로 가정하든 최종 계산 결과는 동일하다. 일반적으로 전압이 높은 노드에서 낮은 노드로 전류가 흐른다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노드 A에서 노드 B로 전류가 흐른다고 가정하고 두 노드 사이의 저항값을 R이라고 하면, 이 저항을 통해 흐르는 전류 I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I = \frac{V_A - V_B}{R}

여기서 VA는 전류가 나가는 노드 A의 전압, VB는 전류가 들어오는 노드 B의 전압이다. 만약 계산 결과 전류값이 음수(-)가 나오면, 실제 전류 방향은 처음에 가정한 방향과 반대임을 의미한다.

회로에 전류원이 포함된 경우, 해당 전류원의 전류 값을 KCL 방정식에 직접 포함시킨다. 이때 전류 방향에 따라 부호를 결정해야 하는데, 노드에서 나가는 전류를 양수(+)로, 들어오는 전류를 음수(-)로(또는 그 반대로) 일관성 있게 적용하면 된다.

2. 5. 단계 5: 슈퍼노드 (Supernode)

이 회로에서 VA는 두 개의 알 수 없는 전압 사이에 있으므로 슈퍼노드이다.


두 개의 미지 전압 노드 사이에 전압원이 있는 경우, 이 두 노드를 하나의 슈퍼노드로 묶어서 취급한다. 슈퍼노드를 사용하면 두 노드에 흐르는 전류를 하나의 방정식으로 결합하고, 두 노드 사이의 전압 관계에 대한 새로운 방정식을 추가하여 문제를 풀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른쪽 그림과 같은 회로를 살펴보자. 이 회로에는 처음에 두 개의 미지 전압 V1과 V2가 있다. V3의 전압은 전압원 VB의 다른 쪽 단자가 접지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VB로 이미 알려져 있다.

전압원 VA는 두 미지 전압 노드 V1과 V2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이 전압원 VA를 직접 통과하는 전류는 바로 계산할 수 없기 때문에, V1 또는 V2 각각에 대해 독립적으로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KCL) 방정식을 세우기 어렵다.

하지만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에 따라 노드 V1으로 들어오거나 나가는 전류와 노드 V2로 들어오거나 나가는 전류의 합은 0이 되어야 한다. 즉, V1과 V2를 하나의 큰 노드(슈퍼노드)로 간주하고, 이 슈퍼노드 전체에 대해 KCL을 적용할 수 있다. 이것이 슈퍼노드 기법이다.

또한, V1과 V2 사이에는 전압원 VA가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전압 관계식이 성립한다.

V_1 = V_2 + V_A

따라서 이 회로에 대한 전체 방정식 세트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begin{cases}

\frac{V_1 - V_B}{R_1} + \frac{V_2 - V_B}{R_2} + \frac{V_2}{R_3} = 0 & \text{(슈퍼노드에 대한 KCL 방정식)} \\

V_1 = V_2 + V_A & \text{(두 노드 간 전압 관계식)}

\end{cases}



이 연립 방정식을 풀면 각 노드의 전압을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 식에서 V1을 소거하여 V2에 대해 풀면 다음과 같다.



V_2 = \frac{(R_1 + R_2) R_3 V_B - R_2 R_3 V_A}{(R_1 + R_2) R_3 + R_1 R_2}


2. 6. 단계 6: 연립 방정식 풀기

각 미지 전압에 대해 연립 방정식 시스템을 푼다.

3. 노드 전압 분석 예제

노달 회로분석은 다양한 회로 문제 해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는 노달 분석을 실제로 적용하는 몇 가지 구체적인 예제를 살펴본다.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회로에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KCL)을 적용하여 노드 전압을 구하는 방법과, 회로 내에 전압원이 포함되어 있어 슈퍼노드 개념을 도입해야 하는 경우의 분석 방법을 예제를 통해 알아본다. 각 예제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계산 과정은 이어지는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3. 1. 기본 예제

노달 회로분석의 기본 예제 회로. 미지의 전압 V1을 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어진 회로에서 접지(ground)를 제외하고 유일하게 전압을 모르는 노드를 V1이라고 하자. 이 V1 노드에는 세 개의 전류가 연결되어 있다.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KCL)을 적용하여 이 노드에서의 전류 관계식을 세울 수 있다.

V1 노드에서 나가는 방향으로 전류를 가정하면, 각 소자를 지나는 전류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저항 R1을 통과하는 전류: (V_1 - V_S) / R_1
  • 저항 R2를 통과하는 전류: V_1 / R_2
  • 전류원 IS를 통과하는 전류: -I_S (전류원의 방향이 노드로 들어오는 방향이므로, 나가는 방향은 음수가 된다.)


KCL에 따라 V1 노드에서 전류의 대수 합은 0이므로, 다음과 같은 방정식을 얻는다.

\frac{V_1 - V_S}{R_1} + \frac{V_1}{R_2} - I_S = 0

이 방정식을 미지의 전압 V1에 대해 풀면 다음과 같다.

V_1 = \frac{\frac{V_S}{R_1} + I_S}{\frac{1}{R_1} + \frac{1}{R_2}}

이 식에 주어진 소자 값(VS, R1, R2, IS)을 대입하면 V1의 구체적인 값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S = 5 V, R1 = 100 Ω, R2 = 200 Ω, IS = 20 mA 라면, V1\frac{14}{3}\text{ V} (약 4.667 V)가 된다. 구체적인 수치 대입 및 계산 과정은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3. 1. 1. 구체적인 계산 과정



노달 분석을 적용할 예제 회로이다. 이 회로에서 기준 접지(ground) 외에 유일하게 전압을 모르는 지점(노드)은 V1이다. 이 노드에는 세 개의 회로 소자(전압원 VS와 연결된 저항 R1, 접지와 연결된 저항 R2, 전류원 IS)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V1 노드에서 들어오고 나가는 전류를 고려해야 한다. 계산의 편의를 위해, 모든 전류가 V1 노드에서 나가는 방향이라고 가정한다.

1. 각 소자를 지나는 전류 표현: 옴의 법칙과 전류원의 정의를 사용하여 각 전류를 V1으로 표현한다.

  • 저항 R1을 통해 나가는 전류: (V_1 - V_S) / R_1 (V1 노드에서 VS 방향으로 전류가 나간다고 가정했으므로, 전위차는 V1 - VS 이다.)
  • 저항 R2를 통해 나가는 전류: V_1 / R_2 (V1 노드에서 접지(0V) 방향으로 전류가 나가므로, 전위차는 V1 - 0 = V1 이다.)
  • 전류원 IS를 통해 나가는 전류: -I_S (전류원의 방향이 V1 노드로 들어오는 방향으로 정의되어 있으므로, 나가는 방향으로는 -IS 가 된다.)


2.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KCL) 적용: V1 노드에서 들어오고 나가는 전류의 대수 합은 0이어야 한다. 위에서 정의한 나가는 전류들을 모두 더하면 다음과 같은 방정식을 얻는다.

\frac{V_1 - V_S}{R_1} + \frac{V_1}{R_2} + (-I_S) = 0

정리하면,

\frac{V_1 - V_S}{R_1} + \frac{V_1}{R_2} - I_S = 0

3. V1에 대해 풀기: 위 방정식을 우리가 구하고자 하는 미지수 V1에 대해 정리한다.

V_1 \left( \frac{1}{R_1} + \frac{1}{R_2} \right) = \frac{V_S}{R_1} + I_S

V_1 = \frac{\frac{V_S}{R_1} + I_S}{\frac{1}{R_1} + \frac{1}{R_2}}

4. 수치 대입: 주어진 값 VS = 5 V, R1 = 100 Ω, R2 = 200 Ω, IS = 20 mA = 0.02 A 를 위 식에 대입하여 V1의 값을 계산한다.

V_1 = \frac{\frac{5\text{ V}}{100\,\Omega} + 0.02\text{ A}}{\frac{1}{100\,\Omega} + \frac{1}{200\,\Omega}} = \frac{0.05\text{ A} + 0.02\text{ A}}{0.01\,\Omega^{-1} + 0.005\,\Omega^{-1}} = \frac{0.07\text{ A}}{0.015\,\Omega^{-1}} = \frac{70}{15}\text{ V} = \frac{14}{3}\text{ V}

따라서 V1 노드의 전압은 약 4.667 V 이다. 이 값을 알면 회로 내의 다른 모든 전류값(IR1, IR2)도 계산할 수 있다.

3. 2. 슈퍼노드 예제



이 회로에는 처음에 두 개의 미지 전압 V1과 V2가 있다. V3의 전압은 전압원의 다른 쪽 단자가 접지되어 있으므로 VB로 이미 알려져 있다.

전압원 VA를 통과하는 전류는 직접 계산할 수 없기 때문에, V1 또는 V2 노드에 대해 전류 법칙을 개별적으로 적용하기 어렵다. 그러나 노드 V1과 V2를 하나의 수퍼노드로 간주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슈퍼노드는 두 개 이상의 노드 사이에 전압원이 존재할 때, 해당 전압원과 노드들을 포함하는 가상의 노드를 의미한다. 슈퍼노드에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을 적용하면, 슈퍼노드로 들어오고 나가는 전류(두 노드 사이의 전압원을 통과하는 전류는 제외)의 대수적 합은 0이 된다.

또한, 슈퍼노드를 구성하는 두 노드 사이의 전압 관계를 나타내는 추가적인 방정식이 필요하다. 이 회로에서는 다음과 같다.

V_1 = V_2 + V_\text{A}

따라서 이 회로를 해석하기 위한 전체 연립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세울 수 있다.



\begin{cases}

\frac{V_1 - V_\text{B}}{R_1} + \frac{V_2 - V_\text{B}}{R_2} + \frac{V_2}{R_3} = 0 & \text{(슈퍼노드의 전류 법칙)}\\

V_1 = V_2 + V_\text{A} & \text{(전압 관계식)}\\

\end{cases}



위 연립 방정식에서 두 번째 식(전압 관계식)을 첫 번째 식(슈퍼노드의 전류 법칙)에 대입하여 V1을 소거하면 V2에 대한 방정식을 얻을 수 있다.



\frac{(V_2 + V_\text{A}) - V_\text{B}}{R_1} + \frac{V_2 - V_\text{B}}{R_2} + \frac{V_2}{R_3} = 0



이 식을 V2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해를 얻는다.



V_2 = \frac{(R_1 + R_2) R_3 V_\text{B} - R_2 R_3 V_\text{A}}{(R_1 + R_2) R_3 + R_1 R_2}



V2 값을 구하면, V1 = V2 + VA 관계식을 이용하여 V1 값도 계산할 수 있다.

4. 행렬 형태로 표현하기

노달 회로분석을 통해 얻은 노드-전압 방정식은 행렬 형태로 표현하여 더 간결하게 나타낼 수 있다. 이는 특히 노드의 수가 많은 복잡한 회로를 체계적으로 해석하는 데 유용하며, 컴퓨터 시뮬레이션 등에도 널리 활용된다.

일반적으로 N개의 노드를 가진 회로를 생각해보자. 특정 노드 k키르히호프 전류 법칙(KCL)을 적용하면, 노드 k로 들어오고 나가는 전류의 합은 0이 되어야 한다. 이를 컨덕턴스와 전압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sum_{j\ne k}G_{jk}(v_k-v_j)=0

여기서 v_k는 노드 k의 전압이며, G_{jk}는 노드 k와 노드 j 사이에 연결된 모든 컨덕턴스의 합이다 (G_{jk}=G_{kj}). 이 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0=\sum_{j\ne k}G_{jk}(v_k-v_j)=\sum_{j\ne k}G_{jk}v_k-\sum_{j\ne k}G_{jk}v_j=G_{kk}v_k-\sum_{j\ne k}G_{jk}v_j

여기서 G_{kk}는 노드 k에 연결된 모든 컨덕턴스의 총합이다. 이 식은 노드 k의 전압 v_k가 자신에게 연결된 총 컨덕턴스 G_{kk}에 비례하고, 인접한 노드 j의 전압 v_j에는 해당 노드와의 컨덕턴스 G_{jk}에 비례하여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단, 인접 노드의 영향은 음수 부호로 나타난다).

만약 노드 k에 외부에서 전류를 공급하는 독립 전류원 i_k가 연결되어 있다면, KCL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일반화된다.

i_k=G_{kk}v_k-\sum_{j\ne k}G_{jk}v_j

이 방정식은 회로 내의 모든 N개 노드에 대해 각각 세울 수 있다. 이 N개의 연립 방정식을 모아 다음과 같은 행렬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begin{pmatrix}

G_{11} & -G_{12} &\cdots & -G_{1N} \\


  • G_{21} & G_{22} &\cdots & -G_{2N} \\

\vdots & \vdots &\ddots & \vdots\\

  • G_{N1} & -G_{N2} &\cdots & G_{NN}

\end{pmatrix}

\begin{pmatrix}

v_1\\

v_2\\

\vdots\\

v_N

\end{pmatrix}=

\begin{pmatrix}

i_1\\

i_2\\

\vdots\\

i_N

\end{pmatrix}



이를 간단히 \mathbf{Gv} = \mathbf{i} 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mathbf{G}컨덕턴스 행렬, \mathbf{v}노드 전압 벡터, \mathbf{i}독립 전류원 벡터이다. 컨덕턴스 행렬 \mathbf{G}의 대각 성분 G_{kk}는 노드 k에 연결된 모든 컨덕턴스의 합이고, 비대각 성분 -G_{jk} (j \ne k)는 노드 j와 노드 k 사이에 연결된 모든 컨덕턴스 합의 음수 값이다.

컨덕턴스 행렬 \mathbf{G}는 각 행의 모든 요소를 더하면 0이 되는 성질(\mathbf{G1} = \mathbf{0}, 여기서 \mathbf{1}은 모든 요소가 1인 열벡터)을 가지므로, 수학적으로는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는 특이 행렬(singular matrix)이다. 이는 회로 전체적으로 전류 보존 법칙이 성립하고, 전압의 기준점(접지)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는 물리적 의미에 해당한다.

실제 회로 해석에서는 하나의 노드를 기준 노드(reference node)로 정하고 그 전압을 0V (접지)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마지막 노드 N을 기준 노드로 잡으면 v_N = 0이 된다. 이 경우, 행렬 방정식 \mathbf{Gv} = \mathbf{i}에서 마지막 행과 마지막 열을 제거하여 (N-1) \times (N-1) 크기의 축소된 행렬 방정식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축소된 행렬은 일반적으로 비특이 행렬(non-singular matrix)이 되어 역행렬을 구할 수 있고, 따라서 나머지 (N-1)개 노드의 전압을 유일하게 결정할 수 있다.



\begin{pmatrix}

G_{11} & -G_{12} &\cdots & -G_{1,N-1} \\

  • G_{21} & G_{22} &\cdots & -G_{2,N-1} \\

\vdots & \vdots &\ddots & \vdots\\

  • G_{N-1,1} & -G_{N-1,2} &\cdots & G_{N-1,N-1}

\end{pmatrix}

\begin{pmatrix}

v_1\\

v_2\\

\vdots\\

v_{N-1}

\end{pmatrix}=

\begin{pmatrix}

i_1\\

i_2\\

\vdots\\

i_{N-1}

\end{pmatrix}



이처럼 노드 전압 방정식을 행렬 형태로 표현하는 것은 복잡한 회로의 구조를 일관되고 간결하게 나타낼 수 있게 해주며,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화된 회로 해석 및 설계에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