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웨이어 위키백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르웨이어 위키백과는 노르웨이어로 운영되는 위키백과이다. 2001년 11월에 처음 개설되었으며, 부크몰/릭스몰 위키백과와 뉘노르스크 위키백과 두 가지 주요 형태를 가지고 있다. 뉘노르스크 위키백과는 2004년에 개설되었으며, 2013년에는 10만 개의 문서를 달성했다. 노르웨이어, 덴마크어, 스웨덴어는 상호 이해 가능한 언어이며, 다른 스칸디나비아 위키백과와 협력한다. Wikimedia Norge는 노르웨이의 위키미디어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단체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웨이어 위키백과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 일반 정보 | |
| 유형 | 온라인 백과사전 |
| 언어 | 보크몰/릭스몰 뉘노르스크/회그노르스크 |
| 소유자 | 위키미디어 재단 |
| 작성자 | 노르웨이 위키 커뮤니티 |
| 시작일 (보크몰) | 2001년 11월 26일 |
| 시작일 (뉘노르스크) | 2004년 7월 31일 |
| 콘텐츠 라이선스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4.0 (대부분 텍스트는 GFDL로도 이중 라이선스됨), 미디어 라이선스는 다양함 |
2. 역사
노르웨이어 위키백과는 2001년 11월 26일 처음 시작되었으며, 초기에는 특정 표기 기준 없이 운영되다가 사실상 부크몰/릭스몰 중심으로 문서가 작성되었다.[1][6] 이러한 상황 속에 2004년 7월 31일에는 뉘노르스크 사용자를 위한 별도의 위키백과(`nn.wikipedia.org`)가 개설되었고,[1] 2005년 투표를 통해 기존 노르웨이어 위키백과(`no.wikipedia.org`)는 부크몰과 릭스몰 표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공식화되었다.[1]
부크몰/릭스몰 위키백과는 꾸준히 성장하여 2006년 2월에는 5만 개 문서[3], 2007년 2월에는 10만 개 문서를 넘어서며[2] 당시 각각 13번째와 14번째로 해당 문서 수를 달성한 위키백과가 되었다.[3] 2007년 9월에는 핀란드어 위키백과를 넘어서 다시 13번째 규모의 위키백과가 되었으며,[4] 2010년 6월 기준으로 26만 개 이상의 문서를 보유하게 되었다.[5] 한편, 뉘노르스크 위키백과 역시 꾸준히 성장하여 2013년 4월 9일에 10만 문서를 돌파했다.
노르웨이어는 덴마크어, 스웨덴어와 함께 상호 이해 가능한 언어에 속하기 때문에, 이들 언어의 위키백과 사용자들은 Wikimedia 재단의 Meta-Wiki 사이트 내 "Skanwiki" 섹션을 통해 서로 협력한다. 이 협력의 일환으로 매주 추천 문서를 공유하기도 한다.
부크몰의 ISO 639 코드는 'nb'이지만, 부크몰/릭스몰 위키백과는 계속 `no.wikipedia.org` 주소를 사용하며, 'nb' 코드는 이 주소로 연결된다. 뉘노르스크의 코드는 'nn'이며, 뉘노르스크 위키백과는 `nn.wikipedia.org`에서 운영된다.
2. 1. 초기 (2001-2004)
노르웨이어 위키백과는 2001년 11월 26일에 처음 개설되었다.[1][6] 초기 주소는 'no.wikipedia.com'이었으며, 특정 표기 기준을 명시하지는 않았지만 사실상 거의 모든 문서가 부크몰이나 릭스몰로 작성되었다.[1] 2002년 8월, 지미 웨일스가 위키백과에 상업 광고를 싣지 않겠다고 발표한 후, 모든 위키백과 도메인이 '.com'에서 '.org'로 이전되면서 노르웨이어 위키백과 주소도 'no.wikipedia.org'로 변경되었다.[1] 이러한 초기 개발 과정은 2004년 7월 31일, 뉘노르스크를 사용하는 별도의 위키백과(nn.wikipedia.org)를 개설하는 결정으로 이어졌다.[1][6]2. 2. 뉘노르스크 위키백과 개설 (2004-현재)
노르웨이어 뉘노르스크 위키백과는 2004년 7월 31일에 `nn.wikipedia.org`라는 주소로 개설되었다. 이는 2001년 11월 26일에 처음 시작된 노르웨이어 위키백과(당시 `no.wikipedia.com`, 2002년 8월 이후 `no.wikipedia.org`)가 초기에 특정 표기 기준 없이 운영되다가, 사실상 부크몰/릭스몰 중심으로 운영된 것에 대한 대응이었다. 뉘노르스크 위키백과가 개설된 것은 노르웨이어의 두 가지 주요 표기법 사용자 모두를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려는 움직임이었다.[6]2005년에는 투표를 통해 기존의 노르웨이어 위키백과(`no.wikipedia.org`)를 부크몰과 릭스몰 중심으로 운영하기로 공식 결정하였다.[1] 이후 뉘노르스크 위키백과는 독립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뉘노르스크 위키백과의 주요 발전 과정은 다음과 같다.
- 2005년 8월 7일: 1만 번째 문서 'Edvard Langset'이 작성되었다.
- 2007년 2월: 문서 수가 2만 개를 넘어섰다.[2]
- 2007년 4월: 뉘노르스크 진흥 단체인 Noregs Mållag는 뉘노르스크 위키백과의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관리자인 Ranveig Mossige Thattai에게 5만노르웨이 크로네를 기증했다.[7]
- 2007년 6월 23일: 위키미디어 프로젝트, 특히 노르웨이어 및 사미어 프로젝트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노르웨이의 사적 회원 협회인 "Wikimedia Norge"가 노르웨이 국립 도서관에서 결성되었다. 이 단체는 위키백과 프로젝트와 공식적인 관계는 없다.
- 2007년 8월 11일: 2만 5천 번째 문서 'Fallots tetrade'가 작성되었으며, 당시 등록된 사용자는 약 3,000명이었다.[8]
- 2008년 2월 13일: 문서 수가 3만 개를 돌파했다. 당시 등록된 기여자는 3,377명이었다.[9]
- 2010년 6월 1일: 문서 수가 5만 7천 개를 넘어섰다.[5]
- 2013년 4월 9일: 문서 수가 10만 개를 돌파했다.
뉘노르스크 위키백과 기여자들은 뉘노르스크와 부크몰 간의 기계 번역을 위해 Apertium을 활용했으며,[6] 다른 스칸디나비아 언어 위키백과들과 Meta-Wiki의 "Skanwiki" 섹션을 통해 협력했다. 이는 노르웨이어, 덴마크어, 스웨덴어가 상호 이해 가능한 언어라는 점을 활용한 것이다. 이 협력의 일환으로 매주 추천 문서를 공유하기도 했다.
뉘노르스크의 ISO 639 코드는 'nn'이며, 뉘노르스크 위키백과는 `nn.wikipedia.org`에서 운영된다.
3. 특징
노르웨이어 위키백과는 부크몰/릭스몰과 뉘노르스크라는 두 가지 주요 문자 체계에 따라 별도의 위키백과로 나뉘어 운영되는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덴마크어, 스웨덴어와 언어적으로 유사하여 이들 언어의 위키백과와 상호 이해 가능성을 바탕으로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노르웨이 내 위키미디어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한 단체인 "Wikimedia Norge"가 존재하지만, 위키백과 프로젝트 운영에 직접적인 공식 역할은 없다.
3. 1. 두 개의 문자 체계
노르웨이어 위키백과는 부크몰/릭스몰과 뉘노르스크라는 두 가지 주요 문자 체계에 따라 별도의 위키백과로 운영된다.2001년 11월 26일 처음 개설된 노르웨이어 위키백과는 초기에 어떤 표기 기준을 사용해야 하는지 명확히 정하지 않았으나, 대부분의 문서는 사실상 부크몰/릭스몰로 작성되었다. 이후 Nynorsk|뉘노르스크no 사용자들을 위한 별도의 위키백과가 2004년 7월 31일에 개설되어 빠르게 성장했다. 2005년에는 투표를 통해 기존의 노르웨이어 위키백과(no.wikipedia.org)를 부크몰과 릭스몰 전용으로 운영하기로 결정했다.[1]
두 위키백과는 꾸준히 성장했다. 2007년 2월 기준으로 부크몰/릭스몰 위키백과는 10만 개, 뉘노르스크 위키백과는 2만 개 이상의 문서를 보유하게 되었다.[2] 부크몰/릭스몰 위키백과는 2006년 2월 5만 개 문서[3], 2007년 2월 10만 개 문서[2], 2008년 1월 30일 15만 번째 문서[9]를 돌파했으며, 2010년 6월에는 26만 개 이상의 문서를 보유했다.[5] 뉘노르스크 위키백과는 2007년 8월 11일 2만 5천 개[8], 2008년 2월 13일 3만 개[9], 2013년 4월 9일 10만 개 문서를 달성했다.
부크몰의 ISO 639 코드는 'nb'이지만, 부크몰/릭스몰 위키백과는 'no.wikipedia.org' 주소를 계속 사용하며, 'nb.wikipedia.org'는 이 주소로 연결된다. 뉘노르스크의 ISO 639 코드는 'nn'이며, 뉘노르스크 위키백과는 'nn.wikipedia.org'에서 운영된다.
노르웨이어는 덴마크어, 스웨덴어와 함께 상호 이해 가능한 언어에 속하기 때문에, 이들 언어 사용자들은 서로의 위키백과를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다. 노르웨이어 위키백과는 Wikimedia 재단의 Meta-Wiki 사이트에 있는 "Skanwiki" 섹션을 통해 다른 스칸디나비아 언어 위키백과들과 협력하며, 추천 문서를 공유하기도 한다.
뉘노르스크 위키백과의 발전을 위해, 뉘노르스크 보급 단체인 Noregs Mållag는 2007년 4월 관리자 Ranveig Mossige Thattai에게 5만노르웨이 크로네를 기부했다.[7] 또한, 뉘노르스크 위키백과 기여자들은 부크몰과의 기계 번역을 위해 Apertium 번역 소프트웨어를 활용하기도 했다.[6]
한편, 노르웨이의 위키미디어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한 단체인 "Wikimedia Norge"가 2007년 6월 23일 노르웨이 국립 도서관에서 결성되었으나, 노르웨이어 위키백과 프로젝트 운영에 직접적인 공식 역할은 없다.
3. 2. 스칸디나비아 위키백과와의 협력
노르웨이어, 덴마크어, 스웨덴어는 상호 이해 가능한 언어로, 각 언어 사용자 대부분이 서로의 언어를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언어적 유사성을 바탕으로, 노르웨이어 위키백과는 덴마크어 위키백과, 스웨덴어 위키백과와 협력하고 있다. 이 협력은 Wikimedia 재단의 Meta-Wiki 사이트에 있는 "Skanwiki" 섹션을 통해 이루어진다. 공동 노력의 일환으로, 이들 스칸디나비아 위키백과들은 매주 추천 문서를 서로 공유하기도 한다. 뉘노르스크 위키백과 역시 Skanwiki 메타 프로젝트를 통해 다른 스칸디나비아 언어 위키백과들과 협력하고 있다.[6]3. 3. Wikimedia Norge
"Wikimedia Norge"는 노르웨이의 사적 회원 협회로, 위키미디어 프로젝트, 특히 노르웨이어 및 사미어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협회는 2007년 6월 23일 노르웨이 국립 도서관에서 열린 회의에서 결성되었다. 그러나 노르웨이어 위키백과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공식적인 역할은 없다.4. 통계
노르웨이어 위키백과는 사용하는 표기법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부크몰(Bokmål)과 릭스몰(Riksmål)을 사용하는 위키백과이고, 다른 하나는 뉘노르스크(Nynorsk)를 사용하는 위키백과이다.
부크몰/릭스몰 위키백과는 2001년 11월 26일에 처음 개설되었다. 초기에는 특정 표기 기준이 명시되지 않았으나, 대부분의 문서가 부크몰/릭스몰로 작성되었다. 뉘노르스크 위키백과는 2004년 7월 31일에 별도로 개설되어 빠르게 성장했다. 2005년 투표를 통해 노르웨이어 위키백과의 주요 사이트(no.wikipedia.org)는 부크몰과 릭스몰 표기법만을 사용하기로 결정되었다.[1]
각 위키백과의 주요 통계 및 성장 과정은 다음과 같다.
부크몰/릭스몰 위키백과는 2006년 2월, 5만 문서를 넘어서며 13번째 규모의 위키백과가 되었다. 그러나 같은 해 4월 핀란드어 위키백과가 이를 추월하면서 14번째로 순위가 내려갔다.[3] 이후 2007년 9월, 다시 핀란드어 위키백과를 넘어서 13번째 규모의 위키백과 자리를 되찾았다.[4]
뉘노르스크 위키백과의 발전을 위해, 뉘노르스크 보급 단체인 Noregs Mållag는 2007년 4월 해당 위키백과의 관리자 Ranveig Mossige Thattai에게 5만노르웨이 크로네를 기증하기도 했다.[7]
참조
[1]
문서
w:no:Wikipedia:Målform
[2]
간행물
Journalister velger Wikipedia
http://voxpublica.no[...]
[3]
웹사이트
List of Wikipedias
http://meta.wikimedi[...]
Wikimedia Foundation
2010-09-06
[4]
웹사이트
List of Wikipedias
http://meta.wikimedi[...]
Wikimedia Foundation
2010-09-06
[5]
간행물
Norsk Wikipedia passerer en kvart million
https://www.digi.no/[...]
[6]
간행물
Nynorsk Wikipedia runder 50 000 artikler
https://www.digi.no/[...]
2016-09-12
[7]
뉴스
Får 50.000 for Wiki-nynorsk. Sandnes-kvinne får penger for å skrive nynorsk i Wikipedia
https://www.aftenpos[...]
aftenposten.no
2007-05-03
[8]
간행물
Nynorsk Wikipedia med 25 000 artiklar
http://www.lnk.no/ny[...]
lnk.no
2007-08-22
[9]
간행물
Nynorsk Wikipedia når 30 000 artiklar
http://www.nm.no/tek[...]
nm.no
2008-02-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