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시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시환은 2000년 울산에서 태어난 야구 선수로, 한화 이글스 소속이다. 2019년 한화 이글스에 입단하여 KBO 리그에서 활동하며, 2023년에는 홈런과 타점 2관왕을 차지했다. 2023년 아시안 게임 야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어 금메달을 획득하며 병역 특례를 받았고,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대표로도 선출되어 베스트 9에 선정되었다. KBO 리그 통산 550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0.263, 68홈런, 300타점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산광역시 출신 스포츠인 - 강채영
강채영은 "파괴자"라는 별명으로도 알려진 대한민국의 양궁 선수로, 유니버시아드,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 아시아 양궁 선수권 대회 등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며, 2020년 세계 양궁 연맹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하고 2021년 도쿄 올림픽 여자 단체전 금메달을 획득하는 등 대한민국 양궁의 간판 선수로 활동하고 있다. - 울산광역시 출신 스포츠인 - 이다빈
죄송합니다. 이다빈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아 위키백과 스타일의 한 문장 요약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 KBO 홈런상 수상자 - 이승엽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이자 현 두산 베어스 감독인 이승엽은 KBO 리그 최초 50홈런 및 단일 시즌 최다 홈런 기록을 세우며 '국민 타자'로 활약했고, 일본 프로야구 선수 생활 후 KBO 리그로 복귀하여 은퇴, 이후 방송 해설 및 사회 활동을 거쳐 두산 베어스 감독으로 부임했다. - KBO 홈런상 수상자 - 김성래
김성래는 1984년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하여 2000년 SK 와이번스에서 은퇴한 한국 프로야구 선수이자 야구 지도자로, 삼성 라이온즈 시절 2루수와 1루수로 활약하며 골든글러브, MVP, 팀 내 최다 홈런 등을 기록했고, 은퇴 후에는 여러 팀에서 코치를 역임했으며 현재는 한양대학교 야구부 인스트럭터로 활동하고 있다. - 2022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 - 최지훈 (야구 선수)
최지훈은 KBO 리그 SSG 랜더스 소속 외야수로, 2020년 데뷔 후 뛰어난 수비와 준수한 타격 능력을 보여주며 5시즌 동안 통산 타율 0.282, 23홈런, 187타점, 87도루를 기록하고 있다. - 2022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 - 고우석 (1998년)
LG 트윈스에서 마무리 투수로 활약하며 최다 세이브 타이틀을 획득하고 국가대표로 아시안 게임 우승에 기여한 우완 정통파 투수 고우석은 메이저리그에 진출했으나 부진을 겪었다.
노시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선수 정보 | |
선수명 | 노시환 |
영어 표기 | Roh Si-Hwan |
기본 정보 |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지 | 울산광역시 |
생년월일 | 2000년 12월 23일 () |
신장 | 185cm |
체중 | 105kg |
투구 | 우 |
타석 | 우 |
수비 위치 | 3루수, 1루수, 유격수 |
프로 입단 정보 | |
프로 입단 년도 | 2019년 |
드래프트 순위 | 2019년 2차 1라운드 (한화 이글스) |
계약금 | 2억원 |
소속 구단 | 한화 이글스 (2019년 ~ 현재) |
등번호 | 8 |
선수 기록 | |
첫 출장 | KBO / 2019년 3월 24일 잠실 대 두산전 |
연봉 | 3억 5,000만원 (2024년) |
수상 | |
획득 타이틀 | 2023년 KBO 타점왕 2023년 KBO 홈런왕 |
국가대표 | |
대표 국가 | 대한민국 |
아시안 게임 | 2022년 |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 2023년 |
메달 | 메달 나라: 의 선수 메달 스포츠: 남자 야구 메달 경기: 아시안 게임 금메달: 2022 항저우 단체전 |
학력 | |
이름 정보 | |
제목 | 노시환 |
한글 표기 | 노시환 |
한자 표기 | 盧施煥 |
로마자 표기 | No Si-hwan |
2. 선수 경력
2019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2차 1순위로 한화 이글스에 지명되었다. 2019년 3월 24일 두산 베어스와의 경기에 출전하며 데뷔 첫 경기를 치렀고, 2타수 무안타, 2득점을 기록했다. 2023년에는 131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98, 31홈런, 101타점을 기록하며 홈런왕과 타점왕을 차지했다.[1]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여 병역 면제를 받았다.[2]
2. 1. 유년 시절
2000년 울산에서 태어났다. 울산 삼정초등학교에 다니다가 야구에 집중하기 위해 부산으로 이사했고 수영초등학교로 전학을 갔다. 경남중학교, 경남고등학교를 졸업했다.2. 2. 한화 이글스
2019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2차 1순위로 한화 이글스에 지명되어 입단했다. 2019년 3월 24일 두산 베어스와의 경기에 출전하며 데뷔 첫 경기를 치렀고, 2타수 무안타, 2득점을 기록했다.2023년에는 131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98, 31홈런, 101타점을 기록하며 홈런왕과 타점왕을 차지했다.[1]。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대한민국 대표로 선출되어 금메달을 획득, 병역을 면제받았다.[2]。 시즌 종료 후에는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대한민국 대표로 선출되었다.[3][4]。
2. 3. 국가대표 경력
2023년 아시안 게임 야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어 금메달을 획득, 병역 특례를 받았다.[2] 2023년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대한민국 대표로도 선출되었다.[3][4]3. 주요 기록
KBO 리그에서는 2023년에 홈런왕, 타점왕, 골든글러브(3루수 부문)를 수상했고, 2023년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에서는 베스트 9 (3루수 부문)에 선정되었다.
3. 1. KBO 리그
3. 2. 국제 대회
2023년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베스트 9 (3루수 부문)4. 출신 학교
5. 통산 기록
연도 | 팀명 | 타율 | 경기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실 | 볼넷 | 사구 | 삼진 | 병살 | 실책 |
---|---|---|---|---|---|---|---|---|---|---|---|---|---|---|---|---|---|---|
2019 | 한화 | 0.186 | 91 | 177 | 19 | 33 | 8 | 1 | 1 | 46 | 13 | 2 | 2 | 11 | 2 | 72 | 3 | 7 |
2020 | 0.220 | 106 | 346 | 46 | 76 | 18 | 2 | 12 | 134 | 43 | 0 | 1 | 33 | 6 | 116 | 8 | 13 | |
2021 | 0.271 | 107 | 380 | 56 | 103 | 18 | 1 | 18 | 177 | 84 | 5 | 2 | 73 | 1 | 107 | 13 | 20 | |
2022 | 0.281 | 115 | 434 | 55 | 122 | 24 | 1 | 6 | 166 | 59 | 6 | 2 | 48 | 4 | 95 | 2 | 10 | |
2023 | 0.298 | 131 | 514 | 85 | 153 | 30 | 1 | 31 | 278 | 101 | 2 | 1 | 74 | 4 | 118 | 13 | 19 | |
통산 | 5시즌 | 0.263 | 550 | 1851 | 261 | 487 | 98 | 6 | 68 | 801 | 300 | 15 | 8 | 239 | 17 | 508 | 52 | 69 |
- 빨간 글씨는 한국 프로야구 역사상 최고 기록이다.
- '''굵은 글씨'''는 해당 시즌 최고 기록이다.
5. 1. KBO 리그
노시환|노시환한국어은 한화 이글스 소속으로 KBO 리그에서 5시즌 동안 활동했다. 통산 550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0.263, 487안타, 68홈런, 300타점, 15도루를 기록했다.연도 | 팀명 | 타율 | 경기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실 | 볼넷 | 사구 | 삼진 | 병살 | 실책 |
---|---|---|---|---|---|---|---|---|---|---|---|---|---|---|---|---|---|---|
2019 | 한화 | 0.186 | 91 | 177 | 19 | 33 | 8 | 1 | 1 | 46 | 13 | 2 | 2 | 11 | 2 | 72 | 3 | 7 |
2020 | 0.220 | 106 | 346 | 46 | 76 | 18 | 2 | 12 | 134 | 43 | 0 | 1 | 33 | 6 | 116 | 8 | 13 | |
2021 | 0.271 | 107 | 380 | 56 | 103 | 18 | 1 | 18 | 177 | 84 | 5 | 2 | 73 | 1 | 107 | 13 | 20 | |
2022 | 0.281 | 115 | 434 | 55 | 122 | 24 | 1 | 6 | 166 | 59 | 6 | 2 | 48 | 4 | 95 | 2 | 10 | |
2023 | 0.298 | 131 | 514 | 85 | 153 | 30 | 1 | 31 | 278 | 101 | 2 | 1 | 74 | 4 | 118 | 13 | 19 | |
통산 | 5시즌 | 0.263 | 550 | 1851 | 261 | 487 | 98 | 6 | 68 | 801 | 300 | 15 | 8 | 239 | 17 | 508 | 52 | 69 |
- 2023년 시즌 종료 기준.
- 빨간 글씨는 한국 프로야구 역사상 최고 기록이다.
- '''굵은 글씨'''는 해당 시즌 최고 기록이다.
6. 등번호
No Si-hwan|노시환영어은 2019년에는 등번호 37번을 사용하였고, 2020년부터 현재까지 등번호 8번을 사용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11・16開幕アジアCSへ韓国代表4番にハンファ所属ノ・ シファン 今季2冠巨漢スラッガー - プロ野球 : 日刊スポーツ
https://www.nikkansp[...]
2023-11-16
[2]
웹사이트
아버지가 못다 이룬 꿈 한 번에 달성한 아들, 문동주 [항저우 2022]
https://sports.news.[...]
2023-11-16
[3]
웹사이트
盧施焕|韓国代表選手|カーネクスト アジアプロ野球チャンピオンシップ2023
https://www.japan-ba[...]
2023-11-16
[4]
웹사이트
侍ジャパン打つ!韓国の4番はノ・シファン 今季31本塁打&101打点の2冠 右の大砲 - プロ野球 : 日刊スポーツ
https://www.nikkansp[...]
2023-1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