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O 리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BO 리그는 1982년 출범한 대한민국의 프로 야구 리그로, 현재 10개의 구단이 참가하여 정규 시즌과 포스트시즌을 통해 최종 우승팀을 가린다. 전두환 정권의 3S 정책의 일환으로 시작되었으며, 삼성 라이온즈와 MBC 청룡의 경기로 리그가 시작되었다. 2024년에는 10개 구단이 각 144경기를 치렀으며, KIA 타이거즈가 12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KBO 리그는 응원 문화가 발달했으며, 다양한 기록과 기록적인 사건들을 보유하고 있다. 2024년에는 한 시즌 천만 관중 시대를 열었으며, 신한은행이 타이틀 스폰서를 맡고 있다. 경기는 TVING에서 유료 중계되며, 아프리카TV를 통해 해외에서도 시청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KBO 리그 - 포스팅 시스템
포스팅 시스템은 아시아 프로야구 리그 선수들이 FA 자격 획득 전, 원 소속 구단의 동의하에 이적료를 받고 MLB에 진출하는 제도로, 리그별 조건과 방식에 차이가 있으며 선수 계약 관련 분쟁 해결을 위해 도입 후 변화를 거쳐 현재에 이른다. - KBO 리그 - KBO 리그 FA
KBO 리그 FA는 한국 프로야구 선수들이 자유롭게 구단을 선택할 수 있는 제도로, KBO 규약에 따라 자격 조건, 협상 기간, 보상 규정 등이 정해지며, 리그 전력 변화와 선수 가치를 보여주는 지표로 활용됩니다. - 1982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캄보디아 프리미어 리그
캄보디아 프리미어 리그는 1982년 창설되어 2005년 프로 리그로 전환된 캄보디아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로, 우승팀에게는 AFC컵 플레이오프 출전권이 주어지고 최하위 클럽은 강등되며, 2022년부터 캄보디아 축구 리그 회사에 의해 운영되고 프놈펜 크라운이 최다 우승팀이다. - 1982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내셔널 농구 리그 (뉴질랜드)
뉴질랜드 내셔널 농구 리그는 1980년대 초 시작되어 침체기를 겪었으나 국가대표팀의 선전과 뉴질랜드 브레이커스의 호주 NBL 참여로 활기를 되찾았고, 현재는 팀 수 변화와 확장을 거쳐 경쟁 균형을 이루며 Sky Sport, Duke, YouTube를 통해 중계되고 매년 개인상을 시상하는 프로 농구 리그이다.
KBO 리그 | |
---|---|
기본 정보 | |
리그 이름 | KBO 리그 |
한국어 표기 | KBO 리그 |
영어 표기 | KBO League |
창립일 | 1982년 |
주최 기관 | 한국야구위원회 |
참가 팀 수 | 10 |
국가 | 대한민국 |
최근 우승팀 | KIA 타이거즈 (12번째 우승) |
최근 우승 시즌 | 2024년 |
최다 우승팀 | KIA 타이거즈 (12회 우승) |
하위 리그 | KBO 퓨처스리그 |
공식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방송 정보 | |
국내 방송사 | KBS MBC SBS SPOTV |
국내 스트리밍 | TVING |
해외 스트리밍 | SOOP |
특징 | |
유명 문화 | (배트 플립) |
리그 스폰서 | |
역대 스폰서 | 참조 |
관련 정보 | |
관련 게임 | 한국프로야구 (비디오 게임) |
2. 배경과 역사
1979년 12·12 군사 반란과 1980년 5·17 쿠데타로 집권한 전두환은 이른바 '3S 정책'의 일환으로 프로 스포츠 출범을 지시했다.[56] 1981년 대통령 전두환은 청와대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프로 스포츠 한번 해봐라"라고 지시했다.[57]
이에 따라 1982년 6개 구단으로 KBO 리그가 출범했다. 창단 팀은 다음과 같다.
KBO 리그는 1982년 삼성 라이온즈, 롯데 자이언츠, MBC 청룡(현 LG 트윈스), OB 베어스(현 두산 베어스), 해태 타이거즈(현 KIA 타이거즈), 삼미 슈퍼스타즈의 6개 구단으로 출범하였다.[9] 첫 경기는 1982년 3월 27일 서울 동대문야구장에서 삼성 라이온즈와 MBC 청룡의 경기로 치러졌으며, 당시 대통령이었던 전두환이 시구를 맡았다.
첫 경기는 1982년 3월 27일 서울 동대문야구장에서 삼성 라이온즈와 MBC 청룡(LG 트윈스) 간에 열렸으며, 당시 대통령이었던 전두환이 시구를 맡았다.[9]
1986년 빙그레 이글스(한화 이글스)가 창단되어 리그가 7개 팀으로 확대되었다. 1990년에는 쌍방울 레이더스가 창단하면서 8개 구단 체제가 되었다.
1990년대에는 해태 타이거즈가 1991년, 1993년, 1996년, 1997년 네 차례 우승하며 강세를 보였다.
IMF 외환 위기 이후, 1999년 쌍방울 레이더스가 해체되고, 2000년 SK 와이번스가 창단되었다. 2001년 해태 타이거즈는 KIA 타이거즈로 구단명을 변경하였다.
2008년 현대 유니콘스가 해체되고, 우리 히어로즈(현 키움 히어로즈)가 창단되었다.
2013년 NC 다이노스, 2015년 KT 위즈가 합류하며 현재의 10개 구단 체제가 되었다.
2021년 SK 와이번스가 SSG 랜더스로 구단명을 변경하였다.
3. 참가 구단
1985년 삼미 슈퍼스타즈는 청보 핀토스로 매각되었고,[10] 1986년에는 빙그레 이글스(현 한화 이글스)가 창단되어 리그가 7개 구단으로 확대되었다. 1988년 청보 핀토스는 태평양 돌핀스로 다시 한번 구단주가 변경되었다.[10]
1990년 MBC 청룡은 LG 트윈스로, 쌍방울 레이더스가 창단되어 리그가 8개 구단으로 확대되었다. 1993년 빙그레 이글스는 한화 이글스로, 1996년 태평양 돌핀스는 현대 유니콘스로, 1999년 OB 베어스는 두산 베어스로 구단명이 변경되었다.[10]
1999년 드림리그(두산, 롯데, 해태, 현대)와 매직리그(한화, LG, 삼성, 쌍방울)의 양대 리그 제도가 도입되었다.[12][13] 2000년 현대 유니콘스가 인천에서 수원으로 연고지를 이전하고, SK 와이번스(현 SSG 랜더스)가 창단되면서 쌍방울 레이더스가 해체되었다. 리그는 드림리그(두산, 해태, 현대, 삼성)와 매직리그(한화, LG, 롯데, SK)로 재편되었다.[14]
2001년 해태 타이거즈가 KIA 타이거즈로 구단명이 변경되었고, 양대 리그 제도가 폐지되었다.[10] 2008년 현대 유니콘스가 해체되고 우리 히어로즈(현 키움 히어로즈)가 창단되었다.
2013년 NC 다이노스가, 2015년 KT 위즈가 창단되어 리그가 10개 구단 체제가 되었다.[15] 2021년 SK 와이번스가 신세계그룹에 인수되어 SSG 랜더스로 구단명이 변경되었다.
3. 1. 현재 참가 구단
구단명 | 한글 | 연고지 | 홈구장 | 수용인원 | 모회사 | 창단년도 |
---|---|---|---|---|---|---|
두산 베어스|두산 베어스kr | 잠실야구장 | 25,553명 | 두산 | |||
LG 트윈스|LG 트윈스kr | 서울특별시 | LG그룹 | ||||
![]() | 키움 히어로즈|키움 히어로즈kr | 서울특별시 | 고척 스카이돔 | 16,813명 | 키움증권 | |
![]() | SSG 랜더스|SSG 랜더스kr | 인천SSG랜더스필드 | 26,000명 | 신세계그룹 | ||
kt 위즈|kt 위즈kr | 수원케이티위즈파크 | 22,800명 | KT | |||
한화 이글스 | 한화 이글스|한화 이글스kr | 한화생명이글스파크 | 13,000명 | 한화그룹 | ||
![]() | KIA 타이거즈|KIA 타이거즈kr | 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 | 27,000명 | 기아 | ||
삼성 라이온즈|삼성 라이온즈kr | 대구삼성라이온즈파크 | 24,000명 | 삼성그룹 | |||
NC 다이노스|NC 다이노스kr | 창원NC파크 | 22,011명 | NCSOFT | |||
롯데 자이언츠|롯데 자이언츠kr | 사직야구장 | 26,800명 | 롯데그룹 |
3. 2. 과거 참가 구단
현대 유니콘스는 1982년 창단한 삼미 슈퍼스타즈를 시작으로 청보 핀토스, 태평양 돌핀스를 거쳐 1996년 현대그룹에 인수되면서 변경된 팀명이다.[10] 삼미 슈퍼스타즈는 1985년 중반에 청보 핀토스로, 1988년에는 태평양 돌핀스로 구단주가 변경되었다. 현대 유니콘스는 1998년, 2000년, 2003년, 2004년에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그러나 모기업의 경영난으로 인해 2008년 1월 30일 해산되었고, 소속 선수들은 우리 히어로즈로 이적했다.쌍방울 레이더스는 1990년에 창단하여 1991년부터 1군 리그에 참가한 팀이다. 전라북도 전주시를 연고지로 하였으며, 전라북도 전역을 프랜차이즈 보호 구역으로 했다. 1999년 시즌을 끝으로 경영난으로 인해 해산되었고, 소속 선수들은 SK 와이번스로 이적했다.[10]
4. 경기장
KBO 리그는 각 구단의 홈구장과 제2 홈구장에서 경기를 진행한다.
명칭 | 사진 | 좌석수 | 수용인원 | 주차면적 | 도시 | 홈 구단 | 개장 연도 | 홈 팀 덕아웃 | 비고 |
---|---|---|---|---|---|---|---|---|---|
창원NC파크 | ![]() | 17,861 | 22,112 | align="center" | | 창원 | NC 다이노스 | 2019년 | 1루측 | 천연 잔디 구장. 외야 펜스 부근 분리형 불펜. |
대구삼성라이온즈파크 | 24,000 | 29,178 | 1,116 | 대구 | 삼성 라이온즈 | 2016년 | 3루측 | 2016년 초 준공. 국내 최초 팔각형 구장. 천연 잔디 구장. 외야 파울 존 부근 분리형 불펜. | |
고척스카이돔 | ![]() | 16,000 | 22,258[59] | 484 | 서울 | 키움 히어로즈 | 2015년 | 1루측 | 인조 잔디 구장. 폐쇄형 지하불펜. |
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 | ![]() | 20,500 | 27,000 | 1,106 | 광주 | KIA 타이거즈 | 2014년 | 3루측 | 천연 잔디 구장. 국내 최초의 개방형 구장. 외야 펜스 부근 분리형 불펜. |
인천SSG랜더스필드 | ![]() | 23,000 | 25,000 | 4,002 | 인천 | SSG 랜더스 | 2002년 | 1루측 | 천연 잔디 구장. 외야 펜스 부근 분리형 불펜. [60][61][63][64] |
수원케이티위즈파크 | ![]() | 18,700 | 25,000 | 1,318 | 수원 | KT 위즈 | 1989년 | 1루측 | 2014년 리모델링. 천연 잔디 구장. 외야 파울 존 부근 분리형 불펜.[62] |
사직야구장 | 22,990 | 27,500 | align="center" | | 부산 | 롯데 자이언츠 | 1985년 | 1루측 | 천연 잔디 구장. 외야 파울 존 부근 분리형 불펜.[63][64][65][66][67] |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 ![]() | 23,750 | 25,000 | 1,279 | 서울 | LG 트윈스 두산 베어스 | 1982년 | 1루측 | 천연 잔디 구장. 내야 파울 존 부근 분리형 불펜. |
대전베이스볼드림파크 | align="center" | | align="center" | | align="center" | | 대전 | 한화 이글스 | 2025년 |
명칭 | 사진 | 좌석수 | 도시 | 홈 구단 | 개장 연도 | 홈 팀 덕아웃 | 비고 |
---|---|---|---|---|---|---|---|
울산문수야구장 | 12,088 | 울산 | 롯데 자이언츠의 제 2 홈구장 | 2014년 | 1루측 | 인조 잔디 구장. 외야 잔디석. 외야 파울 존 부근 분리형 불펜. | |
포항야구장 | 12,247 | 포항 | 삼성 라이온즈의 제 2 홈 구장 | 2012년 | 1루측 | 인조 잔디 구장. 외야 잔디석. 내야 파울 존 부근 분리형 불펜. 구장 내 포항시 남구청 청사 입주. | |
청주야구장 | ![]() | 10,500 | 청주 | 한화 이글스의 제 2 홈 구장 | 1979년 | 1루측 | 인조 잔디 구장.[68] 폐쇄형 지하불펜.[69][70][71][72] 2020년부터 2023년까지 경기 편성 없었음 |
5. 시즌
KBO 리그는 대략 3월 하순이나 4월 상순에 개막하여 10월 상순까지 정규 시즌 경기를 치른다. 이후 상위 4팀이 참가하는 포스트시즌(결승 토너먼트)이 10월 중순부터 열리며, 정규 시즌 1위 팀과 플레이오프 토너먼트를 통과한 팀이 겨루는 결승전인 한국시리즈는 10월 하순이나 11월 초에 개최된다.[48] 2020년에는 COVID-19의 영향으로 정규 시즌 개막이 5월로 연기되었고, 7월 1일부터 8월 23일을 제외하고 더블헤더 경기가 평년보다 많았다.
야구 한국 국가대표팀이 정규 시즌 중 아시안 게임, 하계 올림픽 등 국제 대회에 출전하는 경우, 해당 기간 동안 정규 시즌을 중단하기도 한다.
1983년 복시 게이쇼(한국명: 장명부), 1984년 신포 수오(한국명: 김일융) 등이 활약하며 재일 한국인 선수들이 성공을 거두었다. 그러나 한국 프로야구 수준이 높아지면서 일본 프로야구 출신 선수에 대한 관심은 점차 줄어들었다.
1998년부터 외국인 선수 제한 규정이 생겼지만, 2012년부터 2023년까지 일본인 선수와 계약한 구단은 없었다. 2014년부터는 각 구단이 최대 3명의 외국인 선수와 계약할 수 있게 되었고, 2019년부터는 신규 외국인 선수 연봉 상한선이 100만 달러로 정해졌다. 2020년부터는 외국인 선수 3명의 경기 출전이 허용되었으며, 2024년부터는 부상 선수 대체 외국인 선수 제도가 도입되었다.
5. 1. 체제
KBO 리그는 단일리그제로 운영되며, 각 팀은 정규 시즌 동안 144경기를 치른다.[7][19] 9회말까지 동점일 경우 최대 12회까지 연장전을 진행하며, 12회말 이후에도 동점이면 무승부로 처리한다.[4] 취소된 경기는 정규 리그 종료 후에 별도로 편성된다.경기 개시 시간은 주중 18시 30분, 주말 17시이며, 개막 2연전과 5월 6일까지의 일요일 및 공휴일 경기는 14시에 시작한다. 혹서기(7~8월)에는 주말 및 공휴일 경기가 18시에 시작된다.
KBO 리그 규정은 기본적으로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의 규정과 같으며, 지명타자 제도가 보편적으로 적용된다.[4] 2008년에는 연장전 제한이 폐지되었으나, 2009년에 다시 도입되어 정규 시즌에는 12회,[4] 플레이오프 경기에는 15회 제한이 적용되었다.[8]
순위는 승률에 따라 결정되며, 승률은 (승리 수) / (경기 수)로 계산한다. 무승부는 총 경기 수에서 제외되며, 승률은 (승리 수) ÷ ((승리 수) + (패전 수))로 계산된다.
5. 2. 정규 시즌
2015년 시즌부터 KBO 리그 각 팀의 정규 시즌 경기 수는 128경기에서 144경기로 증가했다. KT 위즈가 리그에 참가하면서 각 팀은 다른 모든 팀과 16번씩 경기를 치르게 되었다.[7][19] 일반적으로 한국 팀들은 일주일에 6경기를 치르며, 매주 월요일은 휴식일이다.2015년부터 10개 팀이 참가하여 16라운드의 총당리(홈 앤드 어웨이 각 8회) 리그전을 치른다. 연장전은 최대 15회까지 무제한으로 진행되며, 승부가 나지 않으면 무승부로 처리된다. 9회까지로 제한된 더블헤더 1차전 및 콜드 게임의 경우에도 경기 종료 시점에 승부가 나지 않으면 무승부로 처리된다. 모든 경기에서 선발투수 예고제와 지명타자 제도가 시행된다.
무승부는 총 경기 수에서 제외되며, 승률은 (승리 수) ÷ ((승리 수) + (패전 수))로 계산한다.
5. 3. 타이브레이커
정규 시즌 종료 후 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치르는 경기이다. 역대 타이브레이커는 OB 베어스 VS 해태 타이거즈 (1986년), KT 위즈 VS 삼성 라이온즈 (2021년), SSG 랜더스 VS KT 위즈 (2024년) 3번 개최되었다.[7][19]무승부는 총 경기 수에서 제외되며, 승률은 (승리 수) ÷ ((승리 수) + (패전 수))로 계산한다.
5. 4. 포스트시즌
KBO 포스트시즌은 정규시즌 1위부터 5위까지의 팀들이 참가하는, 가을 야구로 불리는 경기이다. 정규시즌 4위와 5위 팀 간의 와일드카드 결정전을 시작으로, 준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를 거쳐 한국시리즈를 통해 최종 우승팀을 가린다.[19]- 와일드카드 결정전: 정규시즌 4위 팀과 5위 팀이 맞붙는다. 4위 팀은 1승을 먼저 안고 시작하며, 2경기 중 1승 1무 또는 2승을 거두면 다음 라운드에 진출한다. 반면 5위 팀은 반드시 2승을 해야 한다.
- 준플레이오프: 정규시즌 3위 팀과 와일드카드 결정전 승리 팀이 5전 3선승제로 경기를 치른다.
- 플레이오프: 정규시즌 2위 팀과 준플레이오프 승리 팀이 5전 3선승제로 경기를 치른다.
2015년부터 KBO 리그는 10개 구단 체제로 운영되면서, 각 팀은 정규 시즌 동안 144경기를 치르게 되었다.[7][19]
5. 4. 1. 한국시리즈
KBO 한국시리즈는 KBO 리그의 최종 우승팀을 결정하는 시리즈이다. 정규시즌 1위 팀과 플레이오프 승자가 맞붙어 7전 4선승제로 진행된다.[19] 역대 최다 우승팀은 KIA 타이거즈로, 총 12번 우승을 차지했다.구단 | 우승 | 준우승 | 우승 시즌 | 준우승 시즌 |
---|---|---|---|---|
KIA 타이거즈 | 12 | 0 | 1983, 1986, 1987, 1988, 1989, 1991, 1993, 1996, 1997, 2009, 2017, 2024 | |
삼성 라이온즈 | 8 | 11 | 1985, 2002, 2005, 2006, 2011, 2012, 2013, 2014 | 1982, 1984, 1986, 1987, 1990, 1993, 2001, 2004, 2010, 2015, 2024 |
두산 베어스 | 6 | 9 | 1982, 1995, 2001, 2015, 2016, 2019 | 2000, 2005, 2007, 2008, 2013, 2017, 2018, 2020, 2021 |
SSG 랜더스 | 5 | 4 | 2007, 2008, 2010, 2018, 2022 | 2003, 2009, 2011, 2012 |
현대 유니콘스 (해체) | 4 | 2 | 1998, 2000, 2003, 2004 | 1994, 1996 |
LG 트윈스 | 3 | 4 | 1990, 1994, 2023 | 1983, 1997, 1998, 2002 |
롯데 자이언츠 | 2 | 3 | 1984, 1992 | 1985, 1995, 1999 |
한화 이글스 | 1 | 5 | 1999 | 1988, 1989, 1991, 1992, 2006 |
NC 다이노스 | 1 | 1 | 2020 | 2016 |
KT 위즈 | 1 | 1 | 2021 | 2023 |
키움 히어로즈 | 0 | 3 | 2014, 2019, 2022 |
팀 | 1980년대 | 1990년대 | 2000년대 | 2010년대 | 2020년대 | 합계 | ||
---|---|---|---|---|---|---|---|---|
삼성 | 82 준우승, 84 준우승, 85 우승, 86 준우승, 87 준우승, 88 PO, 89 SPO | 90 준우승, 91 PO, 92 SPO, 93 준우승, 94~95 — , 96~97 PO, 98~99 PO | 00 PO, 01 준우승, 02 우승, 03 SPO, 04 준우승, 05 우승, 06 우승, 07 SPO, 08 PO, 09 — | 10 준우승, 11 우승, 12 우승, 13 우승, 14 우승, 15 준우승, 16~18 — , 19 PO | 20~21 — , 22 준우승, 23 — , 24 준우승 | 30 | ||
두산 | 82 우승, 83~84 — , 85 PO, 86 PO, 87~92 — , 83 SPO | 94 — , 95 우승, 96~97 — , 98 SPO, 99 PO | 00 준우승, 01 우승, 02~04 — , 05 준우승, 06 — , 07 준우승, 08 준우승, 09 PO | 10 PO, 11~12 — , 13 준우승, 14 — , 15 우승, 16 우승, 17 준우승, 18 준우승, 19 우승 | 20 준우승, 21 준우승, 22~23 — , 24 WC | 26 | ||
KIA | 82 — , 83 우승, 84 — , 85 우승, 86 우승, 87 우승, 88 우승, 89 우승 | 90 PO, 91 우승, 92 PO, 93 우승, 94 SPO, 95 — , 96 우승, 97 우승, 98~99 — | 00~01 — , 02 PO, 03 PO, 04 SPO, 05 — , 06 SPO, 07~08 — , 09 우승 | 10 — , 11 SPO, 12~15 — , 16 WC, 17 우승, 18 WC, 19 — | 20~21 — , 22 WC, 23 — , 24 우승 | 23 | ||
LG | 82 — , 83 준우승, 84~89 — | 90 우승, 91~92 — , 93 PO, 94 우승, 95 PO, 96 — , 97 준우승, 98 준우승, 99 — | 00 PO, 01 — , 02 준우승, 03~12 — | 13 PO, 14 PO, 15 — , 16 PO, 17 — , 18~19 — | 20 SPO, 21 SPO, 22 SPO, 23 우승, 24 PO | 18 | ||
SSG | 참가하지 않음 | 00~02 — , 03 준우승, 04~06 — , 07 우승, 08 우승, 09 준우승 | 10 우승, 11 준우승, 12 준우승, 13~14 — , 15 WC, 16 — , 17 WC, 18 우승, 19 PO | 20~21 — , 22 우승, 23 SPO, 24 — | 14 | |||
한화 | 참가하지 않음, 85 — , 86~87 — , 88 준우승, 89 준우승 | 90 SPO, 91 준우승, 92 준우승, 93 — , 94 PO, 95 — , 96 SPO, 97~98 — , 99 우승 | 00 — , 01 SPO, 02~04 — , 05 — , 06 준우승, 07 PO, 08~17 — | 18 SPO, 19~24 — | 13 | |||
롯데 | 82~83 — , 84 우승, 85~91 — | 92 우승, 93~94 — , 95 준우승, 96~98 — , 99 준우승 | 00 SPO, 01~07 — , 08~10 SPO, 11 PO, 12 PO, 13~16 — , 17 SPO, 18~24 — | 12 | ||||
현대 | 82~88 — , 89 PO | 90~93 — , 94 준우승, 95 — , 96 준우승, 97 — , 98 우승, 99 — | 00 우승, 01 PO, 02 SPO, 03 우승, 04 우승, 05~06 PO, 07 — | 참가하지 않음 | 10 | |||
키움 | 참가하지 않음 | 08~12 — , 13 SPO, 14 준우승, 15 SPO, 16 SPO, 17 — , 18 PO, 19 준우승 | 20 WC, 21 WC, 22 준우승, 23~24 — | 9 | ||||
NC | 참가하지 않음, 13 — | 14 SPO, 15 PO, 16 준우승, 17 PO, 18~19 — | 20 우승, 21 — , 22 — , 23 PO, 24 — | 7 | ||||
KT | 참가하지 않음, 13~14 — | 15~18 — , 19 PO | 20 우승, 21 SPO, 22 준우승, 23 SPO, 24 — | 5 | ||||
쌍방울 | 참가하지 않음, 83~89 — | 90~95 — , 96 PO, 97 SPO, 98~99 — | 참가하지 않음 | 2 |
5. 5. 올스타전
올스타전은 별들의 경기라는 뜻으로, 매년 여름 팬 투표와 감독 추천으로 선정된 선수들이 드림 올스타(SSG 랜더스, 삼성 라이온즈, 두산 베어스, 롯데 자이언츠, KT 위즈)와 나눔 올스타(키움 히어로즈, KIA 타이거즈, 한화 이글스, LG 트윈스, NC 다이노스)로 나뉘어 경기를 치른다. 9회까지 승리 팀이 나오지 않을 경우, 연장 10회부터 승부치기를 시행한다.[7][19]6. 응원 문화
KBO 리그는 발전하면서 관중들의 응원 문화도 함께 발전하였다.
- 주로 응원단장, 앰프, 북, 치어리더, 막대풍선을 중심으로 응원 문화가 발달하였다.
- 응원하는 팀의 1회 공격(원정팀의 1회초, 홈팀의 1회말) 시에 '라인 업 송'에 따라 1번 타자부터 선발투수까지의 이름을 타순대로 외친다. 선발투수의 이름은 9번 타자의 이름을 부른 뒤 외친다.
- 주요 타자들의 공격이 성공하기를 원하는 의미에서 대중가요 등 잘 알려진 노래나 선율에 가사를 입히거나 바꿔서 안타나 홈런을 기원하는 응원가를 제정하여 부른다.
- 투수가 볼 카운트와 상관없이 2스트라이크를 기록하면, 삼진을 잡기를 원하면서 '삼진'을 외친다. 다만, 볼이 없으며 초구와 2구가 모두 스트라이크이고, 제3구를 던질 때에는 '삼구삼진'을 외친다.
- 상대팀 투수가 응원하는 팀의 주자에 대하여 견제구를 던지면 견제 대응 응원을 한다. 응원 구호는 각 팀마다 다르다. 최근에는 견제 대응 응원에 대한 역견제 응원을 하는 팀도 있다.
- SSG 랜더스의 〈연안부두〉 (인천), 롯데 자이언츠의 〈부산갈매기〉와 〈돌아와요 부산항에〉 (부산), KIA 타이거즈의 〈남행열차〉 (전라도), NC 다이노스의 〈Come on Come on 마산스트리트여〉 (창원), 한화 이글스의 〈내 고향 충청도〉 (충청도) 등 연고지를 주제로 한 대중가요를 일정 시점에서 방송하거나 관중들이 다 같이 부른다. 부르거나 방송하는 시점은 각 팀마다 다르다.
- 팬들도 자발적으로 자신이 응원하는 팀이나 선수의 선전을 기원하는 피켓을 제작하고, 팀의 유니폼과 모자를 착용하는 등의 자체적인 팬덤이 있으며, 자신이 응원하는 팀의 서포터즈 모임을 조직하여 주로 홈경기 때 자체적인 단체응원을 하는 경우도 있다. 다만, 팀이 정식으로 편성한 서포터즈는 없다.
- 2021년 포스트 시즌 때는 취식은 가능했지만 육성응원을 금지했다. 11월 1일 키움 히어로즈와 두산 베어스 간에 와일드카드 결정전을 치르는 중 홈런이 나오자 심판이 응원 자제를 요청하기도 했다.
- 2021년 포스트 시즌에서는 11월 2일부터 홈런 혹은 적시타가 터졌을 때 응원가 금지를 하기도 했다.
7. 기록
KBO 리그의 단일 시즌 및 통산 기록은 다음과 같다.
분야 | 선수 | 기록 | 년도 |
---|---|---|---|
타율 | 백인천 | .412 | 1982 |
홈런 | 이승엽 | 56 | 2003 |
안타 | 서건창 | 201 | 2014 |
타점 | 박병호 | 146 | 2015 |
도루 | 이종범 | 84 | 1994 |
OPS | 에릭 테임즈 | 1.288 | 2015 |
삼진 | 박병호 | 161 | 2015 |
평균자책점 | 선동렬 | 0.78 | 1993 |
승리 | 장명부 | 30 | 1983 |
탈삼진 | 아리엘 미란다 | 225 | 2021 |
세이브 | 오승환 | 47 | 2006, 2011 |
분야 | 선수 | 기록 | 활동 기간 |
---|---|---|---|
타율 | 장효조 | .331 | 1982–1992 |
홈런 | 이승엽 | 467 | 1995–2017 |
안타 | 박용택 | 2,458 | 2002–2020 |
타점 | 이승엽 | 1,498 | 1995–2017 |
도루 | 전준호 | 550 | 1991–2009 |
OPS | 이승엽 | .960 | 1995–2017 |
삼진 | 박경완 | 1,605 | 1991–2013 |
평균자책점 | 선동렬 | 1.20 | 1985–1995 |
승리 | 송진우 | 210 | 1989–2009 |
탈삼진 | 송진우 | 2,048 | 1989-2009 |
세이브 | 오승환 | 277 | 2005–현재 |
7. 1. 희귀 기록
- KBO 리그 최초 사이클링 히트: 1982년 6월 12일 구덕야구장에서 열린 삼성 라이온즈와 삼미 슈퍼스타즈의 경기에서 삼성 라이온즈의 오대석이 기록했다.[73]
- 4할 타율: 1982년 MBC 청룡의 백인천이 유일하게 4할 타율(0.412)을 기록했다.
- 한 시즌 10승 & 3할 타율 동시 달성: 1982년 해태 타이거즈의 김성한이 달성했다.
- 특정 팀 상대 한 시즌 전승: 1982년 OB 베어스가 삼미 슈퍼스타즈를 상대로 16전 전승을 기록했다.
- 단일 시즌 최저 승률: 1982년 삼미 슈퍼스타즈가 승률 0.188(15승 65패)을 기록했다.
- 한 시즌 투수 30승: 1983년 삼미 슈퍼스타즈의 장명부가 유일하게 30승을 달성했다.
- 한 시즌 최다 이닝: 1983년 삼미 슈퍼스타즈의 장명부가 427.1이닝을 소화했다.
- KBO 리그 최초 노히트 노런: 1984년 5월 5일 광주무등경기장 야구장에서 해태 타이거즈의 방수원이 삼미 슈퍼스타즈를 상대로 기록했다.
- 포스트시즌 없이 통합 우승: 1985년 삼성 라이온즈가 전기 리그와 후기 리그 모두 1위를 차지하여 통합 우승을 달성했다.
- 팀 최다 연패: 삼미 슈퍼스타즈(1985년 3월 31일~4월 29일, 18연패) 및 한화 이글스(2020년 5월 23일~6월 12일, 18연패)
- 한 시즌 투수 최다패: 1985년 삼미 슈퍼스타즈의 장명부가 25패를 기록했다.
- KBO 리그 최초 포스트시즌 노히트 노런: 1996년 10월 20일 KBO 한국시리즈 4차전에서 현대 유니콘스의 정명원이 해태 타이거즈를 상대로 기록했다.
- KBO 리그 최초 연타석 만루 홈런: 1997년 5월 4일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에서 삼성 라이온즈의 정경배가 LG 트윈스를 상대로 기록했다.
- KBO 리그 최초 데뷔 첫 타석 초구 홈런: 2000년 LG 트윈스의 짐 테이텀이 기록했다.
- KBO 리그 최초 무보살 트리플 플레이: 2007년 6월 13일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에서 KIA 타이거즈의 손지환이 삼성 라이온즈를 상대로 기록했다.
- KBO 리그 최초 한 경기 좌우 타석 연타석 홈런: 2008년 9월 25일 문학에서 LG 트윈스의 서동욱이 SK 와이번스를 상대로 기록했다.
- KBO 리그 최초 30-30: 1996년 박재홍이 30홈런-30도루를 달성했다.
- KBO 리그 최초 한 시즌 사이클링 히트 2번: 2015년 NC 다이노스의 에릭 테임즈가 기록했다.
- KBO 리그 최초 4연타석 홈런: 2000년 5월 19일 대전한화생명이글스파크에서 현대 유니콘스의 박경완이 한화 이글스를 상대로 기록했다.
- KBO 리그 최초 프로 데뷔 첫 타석 끝내기 만루 홈런: 2001년 6월 23일 잠실에서 두산 베어스의 송원국이 SK 와이번스를 상대로 기록했다.
- 최다 시즌 연속 최하위: 롯데 자이언츠가 2001년부터 2004년까지 4시즌 연속 최하위를 기록했다.
- 한 시즌 10승 10홀드 10세이브 동시 달성: 2005년 삼성 라이온즈의 오승환이 기록했다.
- KBO 리그 최초 2000안타: 2007년 6월 9일 양준혁이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에서 두산 베어스를 상대로 달성했다.
- KBO 리그 최초 3000이닝: 2009년 4월 9일 송진우가 한밭종합운동장 야구장에서 두산 베어스를 상대로 달성했다.
- 단일 경기 양 팀 합계 최다 득점: 2009년 5월 15일 LG 트윈스와 서울 히어로즈의 경기에서 합계 39득점(22:17)이 나왔다.
- KBO 리그 최초 200승: 2006년 8월 26일 송진우가 KIA 타이거즈를 상대로 달성했다.
- KBO 리그 최초 무박 2일: 2008년 6월 12일 목동야구장에서 KIA 타이거즈와 우리 히어로즈의 경기에서 처음으로 자정을 넘기는 무박 2일 경기가 나왔다.
- KBO 리그 최장 횟수 - 18회말: 2008년 9월 3일 잠실야구장에서 한화 이글스와 두산 베어스의 경기에서 18회말까지 진행되었다.
- KBO 리그 최초 250홈런-250도루: 2009년 4월 23일 문학에서 박재홍이 롯데 자이언츠를 상대로 달성했다.
- 팀 최다 연승: SK 와이번스가 2009년 8월 25일부터 2010년 3월 30일까지 22연승을 기록했다.
- KBO 리그 최다 홈런: 2013년 삼성 라이온즈의 이승엽이 양준혁의 351홈런 기록을 깨고 352홈런을 기록했다.
- KBO 리그 최초 한 이닝 사이클링 홈런: 2010년 7월 KIA 타이거즈의 이용규(3점, 4점), 최희섭(솔로), 채종범(2점)이 기록했다.
- KBO 리그 & 세계 최초 9경기 연속 홈런: 2010년 8월 4일부터 8월 14일까지 이대호가 기록했다.
- KBO 리그 최초 7관왕 수상: 2010년 이대호가 타율, 홈런, 타점, 안타, 장타율, 출루율, 득점 부문을 수상했다.
- KBO 리그 최초 연장 끝내기 트리플 플레이: 2011년 5월 8일 문학에서 KIA 타이거즈가 SK 와이번스를 상대로 기록했다.
- 최초 세 경기 연속 팀 만루 홈런: 2011년 6월 14일~16일 한화 이글스가 KIA 타이거즈를 상대로 기록했다.
- 스퀴즈 번트 실패: 2011년 7월 17일 넥센 히어로즈와 두산 베어스의 경기에서 김민성이 스퀴즈 번트를 시도했으나 더블 아웃으로 연결되었다.[74]
- 역대 최다 점수 차 역전: 2013년 5월 8일, SK 와이번스가 두산 베어스를 상대로 10점 차를 뒤집고 13:12로 승리했다.
- KBO 리그 최초 세 이닝 연속 타자 일순: 2014년 5월 6일 사직야구장에서 롯데 자이언츠가 두산 베어스를 상대로 기록했다.
- 한 시즌 최다 안타: 2014년 10월 17일 넥센 히어로즈의 서건창이 201안타를 달성했다.
- KBO 리그 사상 최초 경우의 수: 2014년 10월 17일 SK 와이번스와 LG 트윈스의 최종 순위 결정에서 발생했다.
- KBO 리그 최초 단일 시즌 40홈런-40도루: 2015년 10월 2일 NC 다이노스의 에릭 테임즈가 달성했다.
- KBO 리그 최초 선발 전원 10선발승: 2015년 10월 5일 삼성 라이온즈가 KIA 타이거즈를 상대로 달성했다.
- KBO 리그 최초 무사사구 완봉승: 2016년 5월 27일 수원 kt 위즈 파크에서 KT 위즈의 주권이 키움 히어로즈를 상대로 기록했다.
- 팀 최다 경기 연속 홈런: SK 와이번스가 2016년 6월 14일부터 7월 10일까지 21경기 연속 홈런을 기록했다.
- KBO 리그 최초 한 시즌 300출루: 2016년 10월 3일 두산 베어스의 김태균이 달성했다.
- KBO 리그 최초 40홈런: 1992년 9월 17일 한화 이글스의 장종훈이 달성했다.
- KBO 리그 사상 첫 한 이닝 두 번의 만루 홈런: 2018년 3월 31일 수원 kt 위즈 파크에서 KT 위즈의 멜 로하스 주니어와 이해창이 두산 베어스를 상대로 기록했다.
- KBO 리그 사상 첫 3년 연속 대기록: 2018년 두산 베어스의 김재환이 3년 연속 30홈런, 100득점, 100타점, 3할 타율을 기록했다.
- KBO 리그 사상 끝내기 낫아웃 폭투: 2019년 6월 12일 잠실에서 LG 트윈스가 롯데 자이언츠를 상대로 기록했다.
- KBO 리그 사상 첫 20연속 도루 성공: 2020년 9월 24일 키움 히어로즈의 김하성이 고척 스카이돔에서 SK 와이번스를 상대로 기록했다.
- KBO 리그 단독 선두 경우의 수: 2021년 10월 30일 KT 위즈, 삼성 라이온즈, LG 트윈스의 최종 순위 결정에서 발생했다.
- KBO 리그 두 번째 경우의 수 발생: 2021년 10월 30일 키움 히어로즈와 SSG 랜더스의 5, 6위 순위 결정에서 발생했다.
- KBO 리그 총 6팀이 경우의 수 발생: 2021년 삼성 라이온즈, KT 위즈, LG 트윈스, 두산 베어스, SSG 랜더스, 키움 히어로즈가 경우의 수를 따졌다.
- 경기에 패하고도 정규 시즌 우승하는 결과: 2024년 9월 17일 KIA 타이거즈가 SSG 랜더스에게 패했지만, 삼성 라이온즈가 두산 베어스에게 패하면서 KIA 타이거즈가 정규 시즌 우승을 차지했다.
- KBO 리그 두 번째 타이브레이커 경기: 2024년 KT 위즈와 SSG 랜더스가 승률이 같아 타이브레이커 경기를 했다.
- KBO 리그 희생플라이 때 주자 두 명 홈인: 2023년 4월 19일 한화 이글스의 노수광이 기록했다.[75]
- 번트 더블 아웃: 2023년 6월 11일 KIA 타이거즈와 두산 베어스의 경기에서 발생했다.[76]
- 인사이드 더 파크 홈런:
- 2023년 6월 18일 두산 베어스의 오스틴 딘이 기록했다.
- 2023년 8월 26일 SSG 랜더스의 하재훈이 잠실에서 기록했다.
- 2024년 8월 3일 두산 베어스의 이유찬이 잠실에서 기록했다.
- 27년 만에 대량 득점 경신: 2024년 7월 31일 두산 베어스가 KIA 타이거즈를 30:6으로 이기면서 1997년 삼성 라이온즈의 기록(27:5)을 경신했다.
- 5위 팀이 준플레이오프에 진출: 5위 KT 위즈가 4위 두산 베어스를 2승으로 꺾고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 KIA 타이거즈와 삼성 라이온즈의 한국시리즈 대결: 2024년 10월 21일 삼성 라이온즈가 LG 트윈스를 꺾고 KBO 한국시리즈에서 KIA 타이거즈를 만나 31년 만에 대결이 성사되었다.
7. 2. 희귀한 경우의 수
2021년 KBO 리그에서는 전체 10팀 중 6팀이 최종전에서 경우의 수를 따지는 희귀한 상황이 발생했다.[15] 2020년 KBO 리그에서도 4팀이 경우의 수를 따졌지만, 이들은 모두 KBO 포스트시즌 진출이 확정된 상태였다.2021년 최종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날짜 | 원정 팀 | 득점 | 홈 팀 | 장소 | 승리 |
---|---|---|---|---|---|
2021년 10월 30일 | KT 위즈 | 8:3 | SSG 랜더스 | 인천SSG랜더스필드 | |
2021년 10월 30일 | 삼성 라이온즈 | 11:5 | NC 다이노스 | 창원NC파크 | |
2021년 10월 30일 | LG 트윈스 | 2:4 | 롯데 자이언츠 | 사직야구장 | |
2021년 10월 30일 | 두산 베어스 | 5:3 | 한화 이글스 | 대전한화생명이글스파크 | |
2021년 10월 30일 | 키움 히어로즈 | 6:1 | KIA 타이거즈 | 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 | |
2021년 10월 31일 | KT 위즈 타이브레이커 | 1:0 | 삼성 라이온즈 타이브레이커 | 대구시민야구장 | -- |
최종 순위는 다음과 같다.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비고 |
---|---|---|---|---|---|---|
1 | KT 위즈 | 144 | 76 (1) | 9 | 59 | 삼성과의 맞대결에서 패배해 원정에서 타이브레이커 경기를 치름. |
1 | 삼성 라이온즈 | 144 | 76 | 9 | 59 (1) | kt와의 맞대결에서 승리해서 홈구장에서 타이브레이커 경기를 치름. |
3 | LG 트윈스 | 144 | 72 | 14 | 58 | LG의 최종전 패배로 인해 삼성과 KT 결과와 관계없이 3위에 머무름 |
4 | 두산 베어스 | 144 | 71 | 8 | 65 | 최종 승리로 SSG 결과와 관계없이 4위 확정 |
5 | 키움 히어로즈 | 144 | 70 | 7 | 67 | 같은 시간 SSG가 대패하여 와일드카드 진출 |
6 | SSG 랜더스 | 144 | 66 | 14 | 64 | 같은 시간 키움이 대승하여 탈락함 |
- KT 위즈와 삼성 라이온즈는 승률이 같았지만, 승자승 원칙에 따라 타이브레이커 경기를 치르게 되었다.
- KT 위즈는 SSG 랜더스에게 대승을 거두었고, 같은 시간에 키움 히어로즈가 KIA 타이거즈에게 승리하면서 키움 히어로즈가 와일드카드에 진출했다.
- KT 위즈는 타이브레이커 경기에서 삼성 라이온즈를 꺾고 최종 1위를 차지했다.
- LG 트윈스는 최종전에서 롯데 자이언츠에게 패배하면서 3위에 머물렀다.
7. 3. 20득점 이상 난 경기
KBO 리그에서 20득점 이상을 기록한 경기는 다음과 같다.
가장 최근 20득점 이상 경기는 2024년 7월 31일 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에서 열린 두산 베어스와 KIA 타이거즈의 경기로, 두산 베어스가 30:6으로 승리했다.
7. 4. 무박 2일
KBO 리그에서 자정을 넘겨 다음 날까지 경기가 진행된 사례는 다음과 같다.일자 | 맞대결 팀 | 끝난 시각 | 장소 |
---|---|---|---|
2008년 6월 12일 | KIA 타이거즈 VS 넥센 히어로즈 | 00:49 | 목동야구장 |
2008년 9월 3일 | 한화 이글스 VS 두산 베어스 | 00:22 | 잠실야구장 |
2009년 5월 12일 | SK 와이번스 VS LG 트윈스 | 00:09 | 잠실야구장 |
2009년 5월 21일 | LG 트윈스 VS KIA 타이거즈 | 00:30 | 광주무등경기장 야구장 |
2010년 4월 9일 | 한화 이글스 VS 롯데 자이언츠 | 00:00 | 사직야구장 |
2017년 6월 27일 | LG 트윈스 VS 롯데 자이언츠 | 00:09 | 사직야구장 |
2017년 8월 11일 | 롯데 자이언츠 VS NC 다이노스 | 00:08 |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 |
2024년 8월 29일 | 한화 이글스 VS 롯데 자이언츠 | 00:07 | 사직야구장 |
- 2008년 6월 12일, 목동야구장에서 열린 KIA 타이거즈와 우리 히어로즈의 경기는 14회말까지 진행되어 새벽 0시 49분에 종료되며, KBO 리그 역사상 최초의 무박 2일 경기가 되었다.[15]
- 2008년 당시에는 승부가 결정될 때까지 무기한 연장전을 진행했기 때문에, 같은 해 9월 3일 잠실야구장에서 열린 한화 이글스와 두산 베어스의 경기는 18회말까지 0:0으로 진행되다가 두산 베어스가 밀어내기 볼넷으로 승리하며 0시 22분에 종료되었다. 이 경기는 목동야구장 경기보다 더 긴 시간 동안 진행되었다.[16]
- 위와 같은 무박 2일 경기를 계기로, KBO는 무승부가 발생하더라도 12회까지만 경기를 진행하기로 규칙을 변경하였다.[16]
- 규칙 변경에도 불구하고, 2009년 5월 12일 잠실야구장에서 열린 SK 와이번스와 LG 트윈스의 경기는 12회초에 SK 와이번스가 대량 득점(6점)을 하면서 경기 시간이 길어져 0시 9분에 종료되었다.[19]
- 2009년 5월 21일 광주무등경기장 야구장에서 열린 LG 트윈스와 KIA 타이거즈의 경기는 12회말까지 13:13 무승부로 진행되어 0시 30분에 종료, 당시 최장 시간 경기 기록을 경신했다.
7. 5. 연도별 경기 수 및 관중 수
KBO 리그의 연도별 경기 수, 총관중 수, 평균 관중 수 변화는 다음과 같다.연도 | 구단수 | 팀당 경기 수 | 총 경기 수 | 총 관중 수 | 증감치 | 평균 | 비고 |
---|---|---|---|---|---|---|---|
1982년 | 6 | 80 | 249 | 1,579,41 | - | 6,344 | 프로야구 첫 시즌, OB 베어스 우승 |
1983년 | 6 | 100 | 320 | 2,505,046 | +925,505 | 7,828 | |
1984년 | 6 | 100 | 325 | 1,942,288 | -562,758 | 5,976 | |
1985년 | 6 | 110 | 345 | 1,737,018 | -205,270 | 5,035 | OB 베어스 서울 입성 |
1986년 | 7 | 108 | 404 | 2,328,143 | +591,125 | 5,763 | 빙그레 이글스 합류 |
1987년 | 7 | 108 | 407 | 2,229,106 | -99,037 | 5,477 | 통산 총 관중 1천만명 돌파[77] |
1988년 | 7 | 108 | 408 | 2,127,917 | -101,186 | 5,215 | |
1989년 | 7 | 120 | 453 | 3,147,155 | +1,019,238 | 6,947 | 전·후기 리그 폐지 |
1990년 | 7 | 120 | 445 | 3,409,759 | +262,604 | 7,662 | LG 트윈스 창단 첫 우승 |
1991년 | 8 | 126 | 542 | 4,074,552 | +664,793 | 7,518 | 쌍방울 레이더스 합류 롯데 자이언츠 단일구단 100만 관중 돌파 |
1992년 | 8 | 126 | 563 | 4,322,639 | +248,087 | 7,518 | |
1993년 | 8 | 126 | 548 | 4,871,007 | +548,368 | 8,889 | |
1994년 | 8 | 126 | 540 | 4,382,032 | -488,975 | 8,115 | |
1995년 | 8 | 126 | 543 | 5,875,174 | +1,493,142 | 10,820 | |
1996년 | 8 | 126 | 543 | 4,774,765 | -1,100,409 | 8,793 | |
1997년 | 8 | 126 | 556 | 4,235,015 | -539,750 | 7,617 | 통산 총 관중 5천만명 돌파 |
1998년 | 8 | 126 | 550 | 2,929,572 | -1,305,443 | 5,326 | |
1999년 | 8 | 132 | 556 | 3,477,768 | +548,196 | 6,144 | 양대리그제 도입 쌍방울 레이더스 마지막 시즌 |
2000년 | 8 | 133 | 554 | 2,777,068 | -700,700 | 5,013 | 도시지역연고제 전환 SK 와이번스 출범 |
2001년 | 8 | 133 | 545 | 3,258,630 | +481,562 | 5,979 | 단일리그제 환원 |
2002년 | 8 | 133 | 546 | 2,634,748 | -623,882 | 4,826 | |
2003년 | 8 | 133 | 545 | 2,950,231 | +315,483 | 5,413 | |
2004년 | 8 | 133 | 545 | 2,637,559 | -312,672 | 4,813 | |
2005년 | 8 | 126 | 517 | 3,640,690 | +1,003,131 | 7,042 | 2004년 병역비리파동으로 경기 수 축소 |
2006년 | 8 | 126 | 518 | 3,240,992 | -399,698 | 6,257 | |
2007년 | 8 | 126 | 517 | 4,409,239 | +1,168,247 | 8,529 | 현대 유니콘스 마지막 시즌 |
2008년 | 8 | 126 | 519 | 5,636,191 | +1,226,952 | 10,860 | 우리 히어로즈 출범 |
2009년 | 8 | 133 | 532 | 5,925,285 | +289,094 | 11,138 | 경기 수 133경기로 환원 |
2010년 | 8 | 133 | 532 | 5,928,626 | +3,341 | 11,144 | |
2011년 | 8 | 133 | 532 | 6,810,028 | +881,042 | 12,801 | 통산 총 관중 1억 명 돌파 |
2012년 | 8 | 133 | 532 | 7,156,157 | +346,129 | 13,451 | |
2013년 | 9 | 128 | 576 | 6,441,945 | -714,212 | 11,184 | NC 다이노스 합류 |
2014년 | 9 | 128 | 576 | 6,509,915 | -646,242 | 11,302 | |
2015년 | 10 | 144 | 720 | 7,360,530 | +850,515 | 10,223 | KT 위즈 합류 경기 수 144경기로 확장 |
2016년 | 10 | 144 | 720 | 8,339,577 | +979,047 | 11,583 | |
2017년 | 10 | 144 | 720 | 8,400,688 | +61,111 | 11,668 | |
2018년 | 10 | 144 | 720 | 8,073,742 | -326,946 | 11,214 | |
2019년 | 10 | 144 | 720 | 7,286,008 | -787,734 | 10,119 | |
2020년 | 10 | 144 | 720 | 328,317 | -6,957,691 | 456 | 코로나19 범유행 영향 무관중 경기 |
2021년 | 10 | 144 | 720 | 1,228,489 | +900,172 | 1,706 | |
2022년 | 10 | 144 | 720 | 6,076,074 | +4,847,585 | 8,439 | |
2023년 | 10 | 144 | 720 | 8,100,326 | +2,024,252 | 11,250 | |
2024년 | 10 | 144 | 720 | 10,887,705 | +2,787,379 | 15,151 | 한 시즌 천만 관중 돌파 |
'''빨간색''' 글씨는 최고, '''파란색''' 글씨는 최저.
2016 시즌에는 800만 명이 넘는 관중을 기록하며 국내 최다 기록을 경신했고, 이는 전년 대비 100만 명 증가한 수치이다.[31] 2017 시즌에는 840만 명이 넘는 관중을 기록하며 다시 한번 기록이 깨졌다. 두산 베어스, LG 트윈스, 롯데 자이언츠, 한화 이글스는 100만 명 이상의 관중을 유치했고, 경기당 평균 관중 수는 11,600명을 넘었다.[32]
KBO 리그는 여성 팬 비율이 높은 편으로, 2024 시즌에는 티켓 구매자의 약 54%가 여성이었으며, 그중 대부분은 20대였다.[33][34][35]
8. 타이틀 스폰서
KBO 리그는 1999년까지 타이틀 스폰서 없이 운영되었으나, 2000년부터 타이틀 스폰서를 도입하여 리그를 운영하고 있다.
역대 타이틀 스폰서는 다음과 같다.
기간 | 스폰서 | 대회명 |
---|---|---|
2000년 ~ 2004년 | 삼성증권 | |
2005년 ~ 2008년 | 삼성전자 | 삼성 PAVV 프로야구 |
2009년 ~ 2010년 | CJ인터넷 | CJ마구마구 프로야구 |
2011년 | 롯데카드 | 롯데카드 프로야구 |
2012년 | 팔도 | 팔도 프로야구 |
2013년 ~ 2014년 | 한국야쿠르트 | 7even 프로야구 |
2015년 ~ 2017년 | 타이어뱅크 | 타이어뱅크 KBO 리그 |
2018년 ~ 2019년 | 신한은행 | 신한은행 MY CAR KBO 리그 |
2020년 ~ 2023년 | 신한은행 | 신한은행 SOL KBO 리그 |
2024년 ~ 2025년 | 신한은행 | 신한 SOL Bank KBO 리그 |
9. 중계권
현재 KBO 리그 경기는 TVING, KBS 2TV → KBS 1TV(일부), MBC TV(일부), SBS TV(일부), SPOTV, SPOTV2, KBS N 스포츠, MBC스포츠플러스, SBS 스포츠에서 중계한다.[78][79] 과거에는 지역민방, CMB 지역방송, 경인방송, OBS, Xports, XTM, SKY SPORTS, ESPN에서도 중계했다.
10. 관련 단체
KBO 리그 선수와 코치들은 여러 협회를 결성했다.[36]
- 한국프로야구선수협회 (KPBPA)
- 한국프로야구OB연맹 — 은퇴 선수
- 일구회 — 전직 및 현직 코치와 감독
참조
[1]
뉴스
[2017 결산] 프로야구, 역대 최다 840만 관중..국민스포츠 공고
http://star.mt.co.kr[...]
star.mt.co.kr
2017-12-21
[2]
웹사이트
How good would Mike Trout be in the KBO? We have the numbers,
https://www.espn.com[...]
2020-05-13
[3]
뉴스
The 'mercenaries'
https://www.koreatim[...]
2013-07-03
[4]
웹사이트
A KBO primer: Here's what you need to know to enjoy the return of baseball in South Korea,
https://sports.yahoo[...]
2020-05-01
[5]
뉴스
Bat flipping draws shrugs in South Korea but scorn in America
https://www.nytimes.[...]
2015-09-02
[6]
뉴스
The Art of Letting Go: The great Korean bat flip mystery
http://www.espn.com/[...]
2016-10-04
[7]
웹사이트
2015 달라지는 점
http://www.koreabase[...]
2015-04-05
[8]
뉴스
KBO Abolishes Endless Overtime Rule
https://www.koreatim[...]
2009-01-13
[9]
웹사이트
More than Sports: Politics in the Origins of the Professional Baseball League in South Korea,
https://apm.iar.ubc.[...]
2017-04-05
[10]
서적
The Sports Business in The Pacific Rim: Economics and Polic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4-10-31
[11]
뉴스
No-hitter records in KBO history,
https://www.koreatim[...]
2014-06-25
[12]
웹사이트
Dae-Sung Koo entry
https://sabr.org/bio[...]
[13]
뉴스
A Miraculous Comeback in the Making?
http://www.donga.com[...]
2007-10-17
[14]
웹사이트
Law of Jungle Also Exists in Pro Baseball
http://www.donga.com[...]
2000-07-10
[15]
뉴스
Wild-card game, speed-up rules among changes for 2015 KBO season,
https://en.yna.co.kr[...]
2015-03-24
[16]
웹사이트
Let’s Check in on the KBO’s De-Juiced Baseballs,
https://blogs.fangra[...]
2019-08-16
[17]
웹사이트
ESPN to televise Korea Baseball Organization games
https://www.espn.com[...]
2020-05-04
[18]
웹사이트
As it was mentioned on air during yesterday's game, #KBOonESPN will not happen this season. It's a disappointing news, but w/ ALL pro sports leagues back in action in the U.S., I'm sure it was difficult to find time to squeeze in #KBO. Still very thankful for last season!
https://twitter.com/[...]
2021-03-05
[19]
웹사이트
KBO for Dummies: An MLB Fan's Guide to the Korean Baseball League,
https://bleacherrepo[...]
2020-05-05
[20]
웹사이트
KBO's final foreign player signed
http://koreajoongang[...]
2018-12-28
[21]
웹사이트
KBO Establishes Salary Ceiling On Foreign Players
https://www.mlbtrade[...]
[22]
웹사이트
Foreign Players in the KBO: What the Future Holds,
https://tht.fangraph[...]
2020-01-15
[23]
뉴스
KBO clubs snatch up new foreign players following rule change,
https://en.yna.co.kr[...]
2013-12-16
[24]
웹사이트
Jay Davis,
https://www.baseball[...]
[25]
뉴스
Ex-Brave Royster now managing in Korea
http://www.ajc.com/b[...]
2008-06-26
[26]
웹사이트
MLB players by birthplace: South Korea
https://www.baseball[...]
[27]
웹사이트
KBO signs 2024–2026 TV broadcasting rights contract with TV companies
https://www.koreabas[...]
[28]
웹사이트
KBO games to be streamed live overseas
https://en.yna.co.kr[...]
2024-06-13
[29]
뉴스
KBO signs record-breaking streaming deal with CJ ENM, moves games behind paywall
https://www.koreatim[...]
2024-03-04
[30]
웹사이트
KBO makes livestreaming available to overseas fans on SOOP
https://koreajoongan[...]
2024-06-13
[31]
뉴스
Korea pro baseball league KBO breaks nation's attendance record, surpasses 8 million
http://www.wbsc.org/[...]
World Baseball Softball Confederation
2016-09-30
[32]
뉴스
KBO postseason opens in Korea, following 8.4 million regular-season attendance
http://www.wbsc.org/[...]
World Baseball Softball Confederation
2017-10-07
[33]
웹사이트
#KBO is on pace to surpass 10m in total attendance for the 1st time ever and here are some VERY interesting numbers. 54.4% of the ticket buyers were women and most of them are in their 20's.
https://twitter.com/[...]
2024-06-11
[34]
웹사이트
20s Female Power: KBO League's 'Eye of the Typhoon' Blows Up Crowds
https://sports.news.[...]
2024-06-19
[35]
웹사이트
'정신병 리그' 말 나오더니…20대女 '야구'에 푹 빠진 까닭 [신현보의 딥데이터]
https://www.hankyung[...]
2024-06-15
[36]
뉴스
S. Korea baseball community denounces abrupt recruitment halt at police club
http://www.koreatime[...]
The Korea Times
2018-11-14
[37]
웹사이트
Dropped 3rd strike makes Korean no-no imperfect, 22 years ago today
https://www.nonohitt[...]
2019-05-23
[38]
웹사이트
Korea Baseball Organization no-hitters
https://www.nonohitt[...]
2020-07-01
[39]
웹사이트
1リーグ、10球団が覇権を競う韓国プロ野球リーグ 日本の好敵手の歴史を振り返る
https://full-count.j[...]
[40]
웹사이트
メジャーリーグも羨む韓国プロ野球だけの“球場文化”…外国人選手も絶賛するワケ
https://toyokeizai.n[...]
[41]
웹사이트
フューチャーズリーグ(2軍)でのチーム名:高陽ヒーローズ
[42]
웹사이트
フューチャーズリーグ(2軍)でのチーム名:昌原ダイノス
[43]
기타
兵役により軍隊に派遣されている選手による「韓国国軍体育部隊」の野球部
[44]
기타
新本拠地となったソウル市内に適当な球場がなく、またソウルを本拠地としているLGや斗山にフランチャイズ補償金を払えなかったため、実際はソウル郊外の京畿道水原市で試合を行ってきた。
[45]
기타
兵役により韓国警察庁に派遣されている選手による警察野球部、2019年シーズン途中で解散
[46]
기타
フューチャーズリーグのみのオープン参加チーム
[47]
기타
2014年に解散後、同じ施設を利用してNCダイノスの2軍「高陽ダイノス」として事実上統合(のちに2019年に昌原市へ移転)
[48]
논문
2018年度 修士論文 日本、韓国と台湾におけるアマチュア野球界とプロ野球リーグの構造の比較研究
https://www.waseda.j[...]
早稲田大学 大学院スポーツ科学研究科・トップスポーツマネジメントコース
2018
[49]
웹사이트
2015年KBOリーグシーズン実施要綱
http://www.strike-zo[...]
[50]
기타
現在はLGツインズ、斗山ベアーズとネクセンヒーローズがこれにあたる。
[51]
기타
2008年までは、前述のLGツインズと斗山ベアーズのほか、ロッテ・ジャイアンツとSKワイバーンズがこれに当たったが、2009年以降は本拠地球場の改修のため、収容能力は3万人を下回っている。しかし、開場当時の本来の受容能力に基づいて、これらのチームの本拠地は3万人受容とみなされる。
[52]
웹사이트
韓国プロ野球開幕 海外も関心=日米メディアなど取材に
https://jp.yna.co.kr[...]
2020-05-05
[53]
기타
レギュラーシーズン並びにポストシーズンの全試合が対象。
[54]
기타
2026年シーズンまで。
[55]
웹사이트
韓国プロ野球KBO、全世界で無料視聴可能に!「SOOP」での海外生中継サービス実施を正式発表
https://sportsseoulw[...]
2024-06-13
[56]
뉴스
프로야구 당국지원으로 화려한 출범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93-03-22
[57]
서적
스포츠 코리아 환타지
개마고원
[58]
뉴스
많은 원로들의 노력이 프로야구 탄생을 가능하게 했다
http://www.xportsnew[...]
엑스포츠뉴스
2009-01-28
[59]
기타
문화 행사시 최대 25,000명 수용 가능
[60]
뉴스
SK, 문학 구장 좌석수 줄여 테마 존 설치
http://osen.co.kr/ne[...]
OSEN
2009-03
[61]
웹사이트
2010년 5월 30일, 문학 구장 매진 기록
http://www.koreabase[...]
[62]
뉴스
야구 불모지에 피어나는 희망
http://www.dailian.c[...]
데일리안
2006-08
[63]
뉴스
3만 관중은 없다, 그러나 꾸준한 야구팬은 있다
http://www.mydaily.c[...]
마이 데일리
2010-05
[64]
뉴스
석가탄신일 프로 야구, 역대 통산 7번째 전 구장 매진
http://spn.edaily.co[...]
이데일리
2010-05
[65]
웹사이트
cyber_tour
http://www.giantsclu[...]
2021-06-04
[66]
뉴스
만원! 만원! 만원! 황금 연휴 꽉찬 관중석
http://www.sportsseo[...]
스포츠 서울
2010-05-21
[67]
웹사이트
2010년 6월 2일, 사직 구장 매진 기록
http://www.koreabase[...]
[68]
기타
천연 잔디 구장이었으나 2013년 인조 잔디 구장으로 보수.
[69]
뉴스
프로 야구 한화의 ‘제2구장’ 청주 구장
http://www.khan.co.k[...]
경향신문
2009-08-03
[70]
뉴스
한화 청주 홈 개막전 매진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0-04-17
[71]
뉴스
시설개선으로 다시 태어난 청주야구장
https://news.naver.c[...]
네이버 뉴스
[72]
웹사이트
2010년 5월 12일, 청주 구장 매진 기록
http://www.koreabase[...]
[73]
웹사이트
null
null
[74]
비디오
4초 넥센 연속 주루사
https://m.sports.nav[...]
2011-07-17
[75]
비디오
한화, 1타점이 아닌 무려 2타점 희생플라이
https://m.sports.nav[...]
2023-04-19
[76]
비디오
번트 실패로 허무하게 이닝이 끝나는 두산
https://m.sports.nav[...]
2023-06-11
[77]
뉴스
관중 1000만돌파 "본격프로" 이제부터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87-05-20
[78]
웹인용
프로야구 유무선 중계권 사업권, CJ ENM이 따냈다
https://www.nocutnew[...]
2024-03-25
[79]
기타
null
null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건강한’ 구창모, 6이닝 1실점 호투…NC, 삼성 꺾고 WC 1차전 승리
손흥민, 추석 연휴에 TV로 본다…명절에도 불꽃 튀는 스포츠 생중계
‘긴 연휴’ 지루하면 어쩌나…빅매치에 눈 쉴 틈 없어요
[프로야구 1200만 관중 시대]굿즈 사고 유니폼 입고…노래방·워터파크보다 야구 직관 “1500만 가자”
1군은 ‘투고타저’, 2군은 4할 타자 2명 왜일까? [김양희의 맛있는 야구]
LG 패배·한화 승리…우승 경쟁 '끝까지 간다'
굿바이 끝판대장, 오승환 “후회 없이 던졌고, 후회 없이 떠난다”
굿바이, 끝판대장…디아즈 ‘50호포’ 작별선물
[프로야구 1200만 관중 시대]성적보다 재미…‘스토리’ 있으면 팬들은 온다
삼성 디아즈, 외국인 첫 50홈런…50홈런-150타점 신기록
삼성 디아즈, KBO 최초 50홈런-150타점 대기록
오승환의 은퇴 소회 “550세이브 생각 필요 없어…포수 복 많아”
삼성 박진만 감독 "오승환, 9회에 등판해야 하지 않을까"
KIA 최형우, 오승환 '마지막 대결 상대'로 낙점…"대타 투입"
삼성 오승환, 특별 엔트리 등록…은퇴 경기에 등판할 듯
선발 정우주 호투…한화, '끝까지 간다'
한화, LG 격파…1위 경쟁 '끝까지 간다'
프로야구 키움 설종진 감독 취임 "이기는 야구로 2년 내 4강"
롯데, 두산에 수비·공격 모두 '완패'…8년 연속 가을야구 무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