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울산광역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울산광역시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위치한 광역시로,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삼한시대에는 우시산국이 존재했으며, 신라 시대에는 우풍현, 하곡현 등으로 불리며 중요한 지역으로 발전했다. 고려 시대에는 흥례부로, 조선 시대에는 울산도호부로 승격되었으며 임진왜란 당시에는 주요 전투가 벌어진 곳이기도 하다. 일제강점기에는 공업 중심지로 성장하기 시작했으며, 1962년 특정 공업지구 지정, 1997년 광역시 승격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울산은 지리적으로 동해와 접하며, 태백산맥과 동대산맥 사이에 울산평야가 발달하여 공업 발달의 기반이 되었다. 주요 산업으로는 석유화학, 자동차, 조선업 등이 있으며, 현대자동차, HD현대중공업 등의 대규모 기업이 위치해 있다. 울산은 4개의 구와 1개의 군으로 행정구역이 구성되어 있으며, 2024년 10월 기준 109만 명 이상의 인구를 가지고 있다. 울산은 2개의 대학교, 3개의 전문대학 등의 교육기관이 있으며, 울산박물관, 장생포고래박물관 등 다양한 문화 시설을 갖추고 있다. 또한 울산 HD FC,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등 스포츠 팀의 연고지이며, 다양한 축제와 울산 12경을 통해 관광 도시로서의 면모도 보여주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산광역시의 행정 구역 - 남구 (울산광역시)
    울산 남구는 1985년 설치된 울산광역시의 자치구로, 14개의 행정동과 19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장생포 고래 박물관, 태화강, 울산대공원 등의 관광지를 포함한다.
  • 울산광역시의 행정 구역 - 울주군
    울산광역시 울주군은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한 역사를 지닌 자치군으로, 반구대 암각화, 영남알프스와 같은 문화유적과 자연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6읍 6면으로 구성되어 언양 불고기 등의 특산물과 관광 산업을 기반으로 경제를 발전시키고, 일본 나가사키현과 쓰시마시를 자매 도시로 두고 있다.
  • 울산광역시 - 한국석유공사
    한국석유공사는 1979년에 설립된 대한민국 국영 기업으로, 석유 자원 개발 및 비축, 석유 제품 수출입, 유통구조 개선 등을 주요 기능으로 하며, 해외 자원 개발 투자 확대와 수소 사업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
  • 울산광역시 - 부울경
    부울경은 대한민국 동남권의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를 아우르는 지역으로, 제조업과 항만 물류 산업이 발달하여 한국 경제의 중요한 축을 담당한다.
  • 대한민국의 항구 도시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MICE 산업, 금융, 서비스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하며, 세계적인 무역항인 부산항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 유적과 관광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항구 도시 - 평택시
    평택시는 경기도 남서부에 위치하며, 안성시, 천안시 등과 접하고, 평택항, 해군 제2함대, 주한 미군 기지, 삼성반도체 평택캠퍼스 등 주요 시설과 다양한 기업의 생산 시설을 갖춘 도농복합시다.
울산광역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울산 지도
대한민국 울산 위치
기본 정보
도시 이름울산
한국어 표기울산광역시
한자 표기蔚山廣域市
로마자 표기Ulsan-gwangyeoksi
맥큔-라이샤워 표기Ulsan-gwangyŏksi
영어 표기Ulsan Metropolitan City
별칭Ulsan, , 蔚山
국가대한민국
지역영남
하위 행정 구역5개 구 (1개 군 포함)
면적1057.136 km²
인구 (2024년 9월)1,098,728명
인구 순위대한민국 8위
인구 밀도auto
방언경상 방언
인구 통계울산 시민
ISO 코드KR-31
지역 번호+82-52(2)
공식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영어)
배꽃
나무은행나무
백로
정치
정치 체제시장-시의회제
시장김두겸 (국민의힘)
시의회울산광역시의회
경제
GDP (2022년)KR₩ 86조
GDP (미국 달러, 2022년)US$ 690억
1인당 GDP (미국 달러, 2023년)US$ 63,017
기타
울산광역시 깃발
울산광역시 깃발
울산광역시 휘장
울산광역시 휘장

2. 역사

역사 이전인 선사시대 무렵부터 울산 지역인 언양읍 인근에 사람이 살았다는 증거가 있다. 반구대암각화는 산짐승과 들짐승을 쫓는 사냥 그림, 가축을 사육하거나 맹수를 방어하기 위한 나무울타리 등이 그려진 벽화인데, 이러한 벽화가 언양읍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이 벽화에는 많은 인원을 동원해야 했을 고래잡이 그림도 함께 그려져 있어 당시 울산 지역에는 많은 사람들이 취락을 이루며 살고 있었음을 알 수 있게 되었다.[63]

그러나 이러한 자료들에도 불구하고 보다 정확한 울산광역시의 역사는 삼한시대에 이르러 본격화되었다.

울산의 무거동 옥현 유적에서 발견된 석기는 울산에 이미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음을 나타낸다. 다른 유적들은 신석기 시대의 거주 흔적을 보여준다. 울산에는 또한 청동기 시대의 많은 유적이 남아 있다.[7] 진한 시대에는 울산이 철 생산지였다.[8] 후삼국 시대에는 울산이 경주를 중심으로 하는 경제 중심지의 중요한 항구 역할을 했으며, 은, 유리, 공작새 꼬리와 같은 사치스러운 페르시아 제품의 수입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9]

1592년, 울산은 승려들이 시민군과 함께 일본군의 침입에 저항하는 주요 전투가 벌어진 곳이었다.[10] 1598년 1월 29일, 조선명나라의 연합군이 울산성을 포위하려 했으나, 일본군의 증원으로 인해 실패했다.[10] 조선 시대 기록에 따르면 울산은 1642년부터 조선소로 개발되었다.[11]

두 차례의 세계 대전으로 울산은 공업 중심지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 울산은 경상남도에 속해 있었다. 1962년 울산은 특정 공업지구로 지정되었고, 이듬해 정식으로 시가 되었다.[12] 현대그룹SK그룹이 울산에 대규모 사업을 시작했다.[13] 현대중공업이 울산에 조선소를 설립했고, 현대자동차도 울산에서 출발했다.[14] 이후 SK에너지(SK Energy)가 울산에 정유 및 석유화학 단지를 개발하면서 울산은 현대적인 대도시로 변모했다.

1996년 12월 31일, 울산광역시 승격에 관한 법률[15]이 공포되었고, 1997년 7월 15일 울산광역시로 승격되었다.[16]

2. 1. 삼한시대

삼한시대 울산의 소국들


삼한시대 진한의 소국이었던 '''우시산국'''(于尸山國)이 울주군 웅촌면 하대마을에서 검단리 일대에 위치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경상남도 양산시 웅상읍까지 세력을 뻗쳤을 것으로 보이며, 하대마을 고분군 봉분의 규모로 보아 상당한 세력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우시산국은 '''울산'''이라는 이름의 유래를 추정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예전 기록에서 지명의 ㄹ받침은 주로 시(尸)자를 적어 표시했는데, 이는 '우(于) + ㄹ(尸) + 뫼(山) + 나라'로 분석되는 '울뫼나라' 혹은 '울산국' 등으로 이미 불리고 있었다는 것이다. 웅촌과 웅상 주변이 산으로 둘러싸인 곳이라는 점에서 '울'이라는 이름의 의미도 해석할 수 있다.

중구 다운동, 울주군 범서읍 구영리, 굴화리 주변에는 '''굴아화촌'''(屈阿火村) 또는 굴지화국(屈知火國)이 있었는데, 태화강이 휘어 있다는 의미로 굴아(屈阿)라는 글자를 쓴 것으로 보인다. 울주군 언양읍 주변에는 진한의 소국이자 거지화촌(巨知火村)으로 불렸던 '''거지화국'''(기저국)이, 울주군 서생면 주변에는 읍락 형태인 '''생서량촌'''(生西良郡)이 있었다.

한편, 울산 무거동 옥현 유적에서 발견된 석기는 울산에 이미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음을 보여주며, 다른 유적들은 신석기 시대의 거주 흔적을 보여준다.[7]

2. 2. 신라시대

기원후 80년, 신라 탈해 이사금 때 거도(巨道) 장군이 우시산국과 거칠산국을 정벌하였다. 거도는 굴아화촌 부근에서 말타기 놀이를 몇 해 벌이다가 기습을 펼치는 전술로 두 나라를 복속시켰다.[64] 이후 우시산국은 우화(于火)라 불리게 되었고, 서생 근처에 있었던 동안군의 영현이 되었다. 경덕왕 16년에 이르러 '''우풍현'''(虞風縣)으로 다시 이름을 바꾸었다.[64]

파사 이사금 때에는 굴아화촌에 계변성, 화성군이 속한 지변현(知邊縣)을 설치하였으며, 경덕왕 16년인 757년에는 '''하곡현'''(河曲縣)으로 이름을 바꾸고 임관군 아래에 두어 통치하였다. 당시 하곡현을 관할했던 임관군은 삼한시대에 모화라 불리던 지역으로, 지금 경주시가 된 모화리에 처소를 두고 있었지만 율포(북구 농소 지역)와 굴아화 등 울산 지역의 많은 부분을 통치하는 행정구역이었다.[65]

언양 근처의 거지화촌과 서생 주변의 생서량촌도 사로국에 귀속되었다. 거지화촌은 지금의 양산시 근처인 양주의 관할 아래 거지화현(巨知火縣)으로 두었으며, 경덕왕 16년에 '''헌양현'''(巘陽縣)으로 개칭하였다. 거지화촌은 지금의 울주군 언양읍과 상북면 길천리 일대를 말한다. 서생의 생서량촌의 경우 읍락단위였음에도 군사적 중요성을 감안해 군을 설치하여 더 큰 지역인 우시산국(우풍현)을 영현으로 두었다.[66]

하곡현(굴화 지역)의 통제를 받는 일개 촌이었던 계지변이라는 마을은 신라시대 말기에 계변성(戒邊城)으로 불렸는데 신학성(神鶴城)으로 개칭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신학성은 효공왕 5년에 한 쌍의 학이 울어 이 지역의 사람들이 신학(神鶴)으로 불렀다는 것으로 그 기원을 삼고 있으나, 박윤웅의 출생을 설명하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 박윤웅의 집안은 신라시대 말부터 울산 지역의 호족으로, 박윤웅 대에 들어 최고 실력자인 호족장으로 확립되었다. 신학성은 신라의 멸망 앞에서 신라와 함께 고려에 투항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미리 투항했으며, 고려의 개국공신이 되었다.[67]

2. 3. 고려시대

고려 건국 초기, 고려 태조는 울산 지역 호족장 박윤웅의 도움을 받은 것을 치하하고 지방 호족의 군사적 행동을 억제하기 위해 그 세력 아래에 있던 세 현(縣)을 합쳐 '''흥례부'''(興禮府)를 설치했다.[67] 이는 울산 지역의 행정구역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흥례부는 지금의 광역시와 유사하게 중앙정부를 축소한 형태의 향리를 둘 수 있었으며, 이 시기 거주지별로 성과 본관이 책정되어 울산 지역의 토성(土姓)은 박, 이, 전, 목, 오, 윤, 임, 문 가(家)로 정리되었다.[67]

하지만 이러한 조치는 일시적이었으며, 고려 성종 때 단행된 대대적인 행정구역 개편으로 울산은 영동도(嶺東道) 김주(金州)의 '''공화현'''(恭化縣)으로 격하되고, 별호로 학성(鶴城)을 부여받았다.[67] 995년에 전국을 499현으로 분할하는 지방 행정 구역 개편을 단행하면서, 흥려부는 공화현으로 강등되고 별호는 학성으로 변경되었다.

신라 시대에는 하곡(굴화 지역)과 동진(강동 지역)을 임관군(경주 모화 지역)이, 동안군(서생 지역)이 우풍(웅촌 지역)을 다스리는 등 분리되어 있었으나, 고려 건국과 함께 박윤웅을 중심으로 울산 지역의 세 현이 하나로 통합되면서 현재 울산 지역의 기틀이 마련되었다.[67]

당시 고려는 토착 세력을 정리하고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지방 호족의 무장을 해제시켰다. 이 과정에서 고려에 투항하지 않은 토착 세력들도 있었는데, 울주군 범서읍 지역이 천민마을인 부곡으로 지정되기도 했다. 정확한 이유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울산 지역이 흥례부에서 공화현으로 격하된 시기와 일치하는 것으로 보아, 세력 다툼에서 고려에 투항하지 않았거나 중앙 정부에 반하는 행위를 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67]

고려 현종 9년(1018년)에는 새로운 행정구역 개편이 이루어져 울산은 56주군의 하나인 경상도 '''울주'''(蔚州)로 편제되었으며, 언양읍인 헌양현(巘陽縣)과 기장현, 동래현을 속현으로 두게 되었다. 1018년에 공화현에 언양현, 기장현, 동래현을 통합하여 울주로 개편했고, 1143년에 언양현이 언양현(彦陽縣)으로 개칭된 후 주현으로 승격했다. 1304년에는 기장현이 양주(梁州)에 편입되었다. 이러한 행정구역 개편은 작은 변화를 거치며 고려시대 말까지 이어졌다.

2. 4. 조선시대

고려 시대가 막을 내리고, 이성계조선이 개국하였다. 조선은 개국 후 얼마간 같은 행정구역 체계를 유지하다가 조선 태종 13년인 1413년에 지방행정구역 정비를 단행하였는데, 당시에는 전국을 8도로 나누었다. 울산이 속한 경상도는 1목, 3도호부, 7군, 17현으로 구성되었는데 당시에는 울산이 군급('''울산군''')이었으며 언양은 현으로 편제('''언양현''')되었다. 당시 지명에 붙어 있던 많은 주(州)가 산(山)이나 천(川)으로 바뀌었으며 울산도 울주에서 울산으로 바뀌었다. 1405년에는 동래현이 주현으로 승격했다.[7]

조선 중종 14년인 1519년에 다시 개편된 지방행정구역에서는 경상도가 낙동강을 경계로 경상좌도와 경상우도로 분리되었다. 울산은 경상좌도에 포함되었으며, 울산군의 행정구역은 계속되었다. 조선 선조 25년인 1592년에는 임진왜란이 발생하게 되는데, 임진왜란에서 울산 지방의 의병 활약이 뛰어나 조선 선조 31년인 1598년에 울산군이 '''울산도호부'''로 승격되었고 일시로 언양현이 합속되어 판관을 두게 되었다. 1592년, 울산은 승려들이 시민군과 함께 일본군의 침입에 저항하는 주요 전투가 벌어진 곳이었다.[10] 1598년 1월 29일, 조선과 명나라의 연합군이 울산성을 포위하려 했으나, 일본군의 증원으로 인해 실패했다.[10] 임진왜란(文禄・慶長の役) 중 1593년에 현재 시 남부 해안 근처에 가토 기요마사(加藤清正)에 의해 서생포왜성(西生浦倭城)이 축조되었다.[7] 정유재란(慶長の役) 때는 1597년에 현재 시 중심부에 울산왜성(蔚山倭城)이 아사노 요시나가(浅野幸長) 등에 의해 축조되었다.[7] 축성 직후 조선·명 연합군이 대규모로 성을 포위했으나, 일본군은 격퇴하는 데 성공했다(울산성 전투).[7] 광해군 4년인 1605년에 언양현이 울산도호부에서 분리된다. 조선 시대 기록에 따르면 울산은 1642년부터 조선소로 개발되었다.[11]

조선 고종 32년인 1895년에는 전국에 23부제가 실시되었는데 울산도호부는 '''울산군'''으로, 언양현은 '''언양군'''으로 개칭되었다. 그리고 건양 원년인 1896년에 전국을 13도 1목 9부 329군으로 개편하면서 울산은 3등급의 군으로, 언양은 4등급의 군으로 편제되었다. 당시에는 전국을 13도로 나누면서 경상도를 남북으로 분리, 경상남도경상북도가 되었고 울산은 경상남도에 속하게 되었다. 또한 1906년에는 경주군 일부를 울산군에 편입해 두북면이 되었으며, 울산군 웅상면을 양산군에 편입하였다. 또 남쪽의 온남면과 외남면 일부를 외동면으로 하여 양산군에 편입하였는데 후에 다시 서생면으로 흡수된다.

대한제국기에 울산에는 울산 최초의 공립학교인 '''개진학교'''가 설립되었다. 1903년의 일인데, 1907년 울산공립보통학교로 개명한 뒤 현재 울산초등학교로 남아 있다. 병영에는 1906년에 현재의 병영초등학교인 일신학교가 설립되었으며 언양에도 영명학교(언양공립학교로 개명)가 설립되었다.

울산광역시 북구 염포동(鹽浦洞)에는 1426년부터 1509년까지 염포왜관(鹽浦倭館)이 설치되어 중세의 미우라(三浦) 왜관의 하나였다.[7] 울산 구시가지에서 만(灣)을 사이에 두고 남쪽 해안에 위치했으며, 현재는 현대자동차 공장 부지가 되어 있다.[7] 당시에는 울산 구시가지에 있던 울산군과 경상좌도병마절도사의 관할 하에 있었다.[7] 1494년에는 약 150명의 일본인이 거주했고, 1509년의 미우라의 난에 의해 폐쇄되었다.[7]

2. 5. 일제강점기

경술국치 이후 일제강점기 울산에는 행정구역상의 변화가 주로 일어났다. 1910년 9월 1일, 두북면을 '''두동면'''과 '''두서면'''으로 분할하였고, 1914년 3월 1일에는 언양군을 울산군과 병합하여 25면의 군(郡)으로 만들었다.[68] 이는 속현이나 짧은 기간이 아닌, 비교적 오랜 기간 동안 울산과 언양이 하나의 행정구역을 공유하게 된 첫 사례였으며,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1914년 4월 1일, 대대적인 행정구역 개편으로 여러 면이 통합되어 새로운 면이 만들어졌다. 북구 농소동 지역은 '''농소면'''(농동면과 농서면 합면), 중구 병영동 지역은 '''하상면'''(하부면과 내상면 합면), 남구 야음동 지역은 '''대현면'''(현남면과 현북면 합면), 울주군 온양읍 지역은 '''온양면'''(온남면과 온북면 합면), 언양읍 지역은 '''언양면'''(상북면과 중북면 합면)으로 각각 개편되었다.[68] 이로써 울산은 19개 면으로 편제되었다.

1917년 10월 1일, 부내면을 '''울산면'''으로 개칭하였다.[68] 1928년 4월 1일에는 상남면과 하북면을 '''상북면'''으로 통합하여[69] 총 18개 면이 되었다. 1931년 11월 1일, 울산면이 '''울산읍'''으로 승격되어 1읍 17면[70]으로 구성되었고, 1933년 1월 1일에는 삼동면과 중남면을 '''삼남면'''으로 통합하여[71] 1읍 16면으로 편제되었다.

1937년 7월 1일, 방어진면(1931년 동면에서 개칭)이 '''방어진읍'''으로 승격되어 2읍 15면이 되었다.[72] 이는 동구가 당시 울산 시내와 비슷한 수준의 도심 규모를 유지했음을 보여준다. 1945년 4월 1일, 남구 공업탑과 야음동 일대인 대현면(大峴面)을 울산읍에 합병하여 총 2읍 14면[73]으로 편제되었다.

일제강점기에 울산은 일제의 군수물자 수송 최적지로 이용되었다.[74] 일제와 지리적으로 가까워 일제의 침략 물자 수송을 위한 시설들이 많이 만들어졌다.[74] '''울산우편국'''은 1905년 5월 울산군 상부면에 울산임시우체소로 개소하여 체신업무를 시작, 1910년 10월 1일 울산우편국으로 개칭되었다. 1911년 4월 창원 · 대구와 정기채송을 시작, 1914년 경주와도 정기채송을 시작하였다. 1950년 울산우체국으로 변경되어 오늘에 이른다.

1908년 11월 울산에 처음 전화가 등장, 1910년 울산-방어진 간 전화가 가설되었다. 1911년 6월 양산 서창 · 언양, 1914년 7월 밀양, 12월 김해까지 시외전화가 개통되었다. 1920년 우편국마다 간이교환대가 설치되어 부산까지 시외통화가 가능해졌고, 서울까지는 1930년 들어 전화가 연결되었다.

일제규슈(九州)지방과 가까운 울산 달동 일대 농경지를 강탈, 1928년 12월 2일 '''울산비행장'''을 개장했다.[76] 이는 '''여의도비행장'''보다 5개월 빠른 대한민국 최초 국제공항이었다.[76] 준공 당시 울산비행장은 남북 길이 600m, 격납고 350평, 일본항공 사무소 35평, 공항사무소 30평이었다.[77] 1931년 8월 첫 취항, 일본항공 울산출장소로 일본 후쿠오카 사이를 매일 1회씩 12인승 쌍발 비행기를 운행, 세관도 설치 운영하였다.[78]

울산에 최초 국제공항이 건설된 것은 일제의 만주 침략과 관련이 깊다. 당시 비행기로 먼 거리 이동이 어려워 서울, 만주, 신의주, 중국 대련 등을 거쳐 중국이나 소련으로 가려면 일본 본토와 가까운 울산을 경유하는 것이 유리했다.

울산비행장은 1936년 운영난으로 휴항, 1937년 대구비행장으로 기능을 옮겼다. 1941년 일제가 태평양전쟁을 벌이면서 군사비행장으로 개조, 일본-대륙 간 군수물자 운반 및 연료공급기지로 재개항하였다. 1945년 해방대한민국 국방부 관리 하에 유사시 대비 활주로 일부를 남기고 농민에게 불하, 1980년대 도시계획 확장으로 주거단지로 바뀌었다.[79]

2. 6.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38도선 이남에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후, 1950년 6월 25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한국 전쟁이 발발하였다. 울산은 낙동강 이남 지역에 속해 큰 전투는 없었으나,[80] 서부 지역(현재의 울주군)은 포항, 경주 지역 피난민들로 인해 혼란을 겪었다.[80] 1950년 9월 10일에는 북한군이 울산 부근까지 진격하기도 했다.

전쟁 이후 4·19 혁명으로 이승만 대통령이 물러나고, 박정희5·16 군사정변으로 국가재건최고회의가 울산을 특정공업지구로 결정, 고시하였다. 1962년 1월 27일, 현재의 중구, 남구, 동구, 북구 일부 지역과 울주군 청량면 두왕리가 특정공업지구로 지정되었다.

울산 정유공장 (1969년)


같은 해 6월 1일에는 이 지역을 경상남도 '''울산시'''로 승격하였고,[81] 잔여 지역은 울주군으로 개칭되었다. 울산시에는 방어진, 장생포, 병영, 중앙 4개의 출장소가 설치되었으며, 1972년 7월 1일에는 53개 법정동을 31개 행정동으로 개편했다. 1976년 4월 20일 방어진출장소를 제외한 모든 출장소가 폐지되었고, 1985년 7월 15일 울산시에 중구남구가 설치되었으며, 방어진출장소는 중구에 편입되었다가 같은 해 8월 10일 시 직할 출장소로 승격되었다.

1988년 1월 1일 방어진출장소가 동구로 승격되었고,[82] 1995년 지방자치제 개정과 함께 울산시와 울산군(1991년 울주군에서 명칭 환원)이 통합되었다.[83] 통합 울산시는 경상남도 관할이었으며, 기존 울산군 지역을 관할하는 울주구가 설치되었다. 1997년 7월 15일에는 울산이 광역시로 승격되었는데,[16] 인구 100만 명을 넘는 거대 도시이며, 독자적인 생활권을 갖추고 있다는 점 등이 이유였다. 광역시 승격과 함께 중구, 동구, 남구는 자치구로, 울주구는 울주군으로 승격되었고, 북구가 신설되었다.

2002년에는 한일 공동 개최 FIFA 월드컵의 개최지가 되었고, 울산 문수 축구 경기장에서 브라질 대 터키전(조별 리그), 미국 대 독일전(8강전) 등 3경기를 개최했다.

3. 지리

울산광역시 남부와 부산광역시의 지질


울산광역시는 대한민국의 남동쪽, 경상남도의 북동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북쪽으로는 경상북도 경주시, 북서쪽엔 경상북도 청도군, 남서쪽엔 경상남도 양산시와 밀양시, 남쪽엔 부산광역시 기장군과 접하고 있다. 행정구역상 청도군, 밀양시와 인접해 있으나 산으로 가로막혀 있어 교통이 좋지 않다. 따라서 울산광역시는 양산시경주시, 부산광역시 기장군과 교류가 활발하다. 동남 해안가에 위치하여 도시의 동쪽으로는 동해와 맞닿아 있다.

태백산맥이 남북으로 종주하여 서쪽은 신불산(1,159m)·가지산(1,241m)·고헌산(1,033m)·운문산(1,188m) 등의 높은 산이 가로막고 있고, 동쪽은 동대산맥이 남북으로 달리면서 방어진 반도를 이루고 있다. 이 서부산지와 동대산맥 사이에 지구상(地溝狀)의 울산평야가 있으며, 동류하는 태화강울산 단층을 따라 남류하는 동천강(東川江)은 이 평야를 흘러 하구에 삼각주를 퇴적하여 비옥한 농경지를 형성하며 울산만으로 흐르고 있다. 울산만에는 대한민국 국가수출 1위 항만인 울산항이 자리 잡고 있으며, 이밖에 미포항, 장생포, 울산신항, 방어진항, 정자항 등이 있다.

울산광역시 내에는 태화강과 회야강 등이 큰 물줄기를 이르며 흐르고 있다. 우선 태화강은 울산광역시를 동서로 가로지르는 국가하천으로 중구남구 등 중심 시가지를 가로지른다. 총 48km의 이 하천은 사연천과 동천 등 지류가 있다.

태화강은 생활하수와 공업하수가 뒤섞여 수질이 무척이나 좋지 않았으나, 최근 수질개선사업으로 연어가 회귀하는 등 5급수의 수질이 2급수 수준으로 상향되어 태화강 상류에는 갈겨니, 꼬치동자개, 수수미꾸리, 납자루 등 희귀 생물이 다시 서식하게 되었다. 울산광역시의 남쪽에 위치한 회야강도 태화강과 함께 동해로 흘러들어간다.

120만명의 울산시민 중 60만명이 태화강의 연선에 거주하고 있다. 하구는 울산만을 이루며 동해로 이어진다. 울산만은 만구의 폭이 약 2km, 북쪽으로 8km가량 만입하여 있는데, 동안에 방어진항, 서쪽에 장생포가 있다. 울산만은 익몰만으로서 수심이 깊어 거선이 출입할 수 있는 양항이다.[84]

이와 같이 큰 국가하천의 존재로 공업용수가 풍부한 점이나 울산만으로 항구의 입지가 좋은 점은 울산이 국내 최대의 공업도시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특히 태화강 하구를 중심으로 자동차공단, 석유화학공단, 조선소 등이 위치하고 있으며 이들은 울산광역시의 주력 산업시설이 되고 있다. 최근에는 태화강의 수질개선으로 태화강에서 수영대회, 용선대회, 자전거대회 등 국내외 대회들이 열리고 있다.

행정구역상 울주군 지역에 해당하는 울산광역시 서부 지역은 태백산맥의 줄기가 이어져 주로 높은 산지를 이루고 있다. 가지산, 신불산 등 이 일대의 높은 봉우리들과 산줄기는 수려한 경관으로 인하여 가지산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영남 알프스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서부 지역의 산줄기에는 작천정 계곡, 석남사, 신불산 군립공원 등 많은 관광지가 위치하고 있다.

이외에도 낙동정맥에서 갈라져 나오는 삼태지맥, 호미지맥, 남암지맥, 용천지맥 등의 산줄기가 동해까지 깊숙이 이어져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산이 많은 지세를 가지고 있다. 이들 산줄기는 크게 낮지 않으면서도 험하지 않아, 시민들에게 인기있는 등산 코스가 많다. 북구의 무룡산, 남구의 문수산 등이 대표적이다. 그리고 울주군의 남쪽 해안에 있는 간절곶은 한반도에서 가장 해가 일찍 뜨는 곳으로, 새해 일출 명소로 각광받고 있다.

지리적으로 울산은 한국 남동부 끝과 태백산맥 남쪽 끝에 위치한다. 산악성 융기 해안으로 분류되는 해안선은 비교적 단순한 발달 양상을 보이며 동해와 접해 있다.[17]

울산은 부산과 인접해 있으며, 부산은 남쪽으로 70km 떨어져 있다.

동해에 접해 있으며, 부산광역시에서 북쪽으로 70km 떨어져 있다. 구의 대부분은 공업 도시이고, 군 지역에는 농촌도 존재하는 전형적인 도시·농촌의 복합 도시이다.

교외의 울주군은 영남알프스(嶺南アルプス) 산악 지대에서 바다까지 펼쳐져 있으며, 1000미터가 넘는 높은 산이 있는 한편, 해수욕장도 있는 등 지형이 다채롭다.

3. 1. 기후

울산은 난류의 영향으로 비교적 따뜻한 겨울 날씨를 보인다. 눈은 아주 가끔 오는 정도이다. 2013년 8월 8일 최고기온 38.8°C로 관측 사상 최고 기록을 경신하였고,[51] 8월 10일에는 울산공항이 비공식적으로 40.3°C를 기록하였다. 관측 사상 최저 기온은 1936년 1월 27일의 -16.7°C였다.[86][87] 최근에 이를수록 강수량과 연평균 기온이 높아지고 있어 1994년에서 2007년까지의 기록에 의하면 연평균 강수량은 1,300mm가량이며 연평균 기온은 15.11°C이다.

울산은 몬순의 영향을 받는 온대 습윤 기후(쾨펜: ''Cfa'', ''Cwa''와 경계)를 가지고 있으며, 춥지만 건조한 겨울과 덥고 습한 여름이 특징이다. 월평균 기온은 1월 2.0℃에서 8월 25.9℃까지 다양하며, 일교차는 일반적으로 낮다. 한국 반도에 위치해 계절적 시차가 발생한다. 가장 더운 날은 8월에 나타나며, 평균 기온은 거의 30℃에 가깝다. 강수량은 겨울철에는 비교적 적지만, 4월부터 9월까지는 강수량이 많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7.49.613.719.323.726.129.230.026.021.815.99.6
평균 최저 기온 (℃)-1.8-0.33.58.513.417.722.122.818.212.15.7-0.1
평균 강수량 (mm)38.639.968.496.9107.4155.5234.1234.1170.374.844.228.4


3. 2. 지질

울산광역시는 경상 누층군 대구층불국사 화강암류와 제3기 지층으로 구성되어 있다.[17] 특히 경상 누층군 대구층에는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천전리공룡발자국화석, 유곡동공룡발자국화석, 울주 대곡리 공룡발자국 화석 등 다양한 지질유산이 있다. 또한 울산시에는 양산 단층, 울산 단층, 일광 단층동래 단층이 통과한다.[17]

지리적으로 울산은 한국 남동부 끝과 태백산맥 남쪽 끝에 위치한다. 산악성 융기 해안으로 분류되는 해안선은 비교적 단순한 발달 양상을 보이며 동해와 접해 있다.[17] 울산은 부산과 인접해 있으며, 부산은 남쪽으로 70km 떨어져 있다.[17]

4. 행정

울산광역시는 1995년, 기존의 울산시와 울산군을 통합하여 통합울산시를 발족한 이후 광역시로 승격한 뒤 자치구와 을 설치하여 지금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중구

중구울산광역시의 오랜 중심지로, 예전에는 동해남부선 울산역(現 태화강역)이 위치했던 지역이기도 하다. 그러던 시가지가 남구로 확장되어 현재는 삼산동과 공업탑, 울산대학교 등이 위치한 남구 지역이 가장 번화한 지역이 되었다.

;남구

남구는 석유화학공단이 위치한 곳이기도 하다. 이들 자치구는 태화강으로 경계를 이룬다.

;동구

동구는 울산광역시의 동쪽 끝에 위치한 지역으로, 태화강 하구를 경계로 남구와 맞닿아 있다. 박정희대통령 시절 동구는 현대중공업이 위치하게 되어 조선업이 매우 발달해 있다. 지리적으로 울산의 도심과 거리가 있기 때문에 동구는 백화점, 할인점 등 생활시설을 자체적으로 갖추고 있는 특징이 있으며, 현대중공업의 사원과 지역 주민을 위한 평생교육시설 등 문화시설이 잘 갖추어진 특징을 가지고 있다.

;북구

동구와 인접한 북구현대자동차가 위치해 있다. 북구 농소, 강동 일대는 본래 울주군(울주구)에 속했던 지역이지만, 울산이 광역시로 승격되면서 신설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북구는 연암, 농소 등의 주거지역 외에도 자동차부품산업단지가 계획되는 등 자동차 관련 공장이 많이 들어서 있는 곳이다.

;울주군

울주군은 울산광역시를 둘러싸고 있는 형세로 되어 있으며 울산이 광역시로 승격되기 얼마 전 편입되었다. 언양읍, 구영/천상/굴화(범서읍), 덕하/상남/율(청량면), 덕신(온산읍), 남창(온양읍), 웅촌면 등은 울산 시내 및 남구, 울주군 등의 대규모 공단 근로자의 배후 주거지역으로 기능하고 있다. 이외에 S-OIL 등 석유 공단, 신고리원자력발전소, 반구대 암각화, 진하해수욕장, 나사해수욕장, 간절곶 등이 위치하고 있다.

울산광역시는 4개의 구(區)와 1개의 군(郡)으로 나뉜다.



공업 도시로서 많은 노동자가 있으며, 노동조합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에 인근 창원시와 함께 진보 세력이 강한 지역이다. “진보 정치의 1번지”라고 불린다.[50]

4. 1. 행정 구역

울산광역시의 행정 구역은 4구 1군으로, 그 아래로 4읍 8면 44동이 있다. 면적은 1,060.19km2이다. 2017년 11월 30일 기준 주민등록 인구는 457,950세대, 1,165,317명이다.[88]

자치구·군한자면적 (km2)세대인구 (명)지도
중구中區37.0095,564239,424
울산광역시 행정구역도
남구南區72.70134,148335,674
동구東區36.0367,018170,065
북구北區157.3479,257214,607
울주군蔚州郡757.1289,289220,588
울산광역시蔚山廣域市1,060.7457,9501,165,317



울산광역시는 중구, 남구, 동구, 북구의 4개 구와 울주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읽기와 각종 표기는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을 참조.

4. 2. 시장

울산광역시장 문서에서 역대 시장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제7대 울산광역시장은 송철호이며, 2018년 7월 1일부터 현재까지 재임 중이다.

4. 3. 시청

울산광역시청은 1962년 울산시 설치 당시 중앙동 주민센터인 종전의 울산읍사무소를 사용하다가 1969년에 현재 위치로 이전하였다. 2009년에 지금의 시청사가 개청하였고 구 청사는 리모델링하여 별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5. 경제

2012년 울산의 지역내총생산(GDRP)은 70조 6,480억 원이며, 실질성장률은 3.6%이다. 울산광역시의 경제활동은 2차, 3차 산업에 집중되어 있다. 주로 대한민국의 국가기간산업에 집중되어 대한민국의 경제 발전에 원동력이 되고 있다. 2011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한 울산광역시의 해외수출액은 101,487백만불로, 대한민국 전체 수출액의 18.2%를 차지하고 있다. 한편 해외로의 수입액은 85,803백만불인데, 이들 대부분은 원유나 동광, 석유화학 등 원자재 수입이 차지하고 있다.

1962년 울산공업단지 계획


울산 중앙시장 입구


울산 공업단지의 중심지인 울산은 다국적 기업인 현대의 본거지이다. 1962년까지 울산은 어항과 시장 중심지로 기능했다. 대한민국의 제1차 5개년 경제 계획의 일환으로 울산은 개항하였다. 또한 정부는 울산을 특별공업지구[25]로 지정하여 주요 공장들의 개발을 장려했고, 정유공장, 비료 공장, 자동차 생산 및 중공업이 발전하였다. 조선업 항구인 방어진은 1962년에 울산에 편입되었다.

현대자동차그룹은 1973년 울산에 HD현대중공업을 설립하여 울산을 사실상 기업도시로 만들고 많은 노동자들이 유입되도록 하였다.[26] 현대 창업주의 이름을 딴 고속도로와 현대 병원, 학교, 극장은 물론 많은 식당과 백화점에도 현대라는 이름이 붙어 있는 것을 보면 울산에서 현대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27]

세계적인 조선업 불황 속에서 HD현대중공업은 2016년 10억 달러의 자산을 매각하고 많은 직원을 감원했다.[28] 회사는 한국산업은행으로부터 자금을 빌려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하여 한국조선해양을 설립하고 본사를 서울로 이전할 계획을 세웠다.[29] 일각에서는 이러한 불황을 한국의 재벌에 대한 과도한 의존의 지표로 보고, 미국 러스트 벨트와 같은 울산의 탈산업화가 눈앞에 닥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한다.[30]

울산에는 세계 3위 규모의[6] 정유공장(일일 84만 배럴)이 있으며, SK에너지가 소유하고 있다. 사우디 아람코가 소유한 한국 3위 S-OIL 정유 복합시설(일일 66만 9000배럴)과 세계 최대 규모의 170만 톤 PX 공장, 일일 3만 9000배럴 윤활기유 생산 시설도 울산에 있다.[6]

울산에는 연간 170만 대의 생산능력을 가진 세계 최대 자동차 조립 공장이 있으며, 현대자동차가 운영하고 있다. 1968년 5만 대의 생산능력으로 시작하여 30배 이상 확장되어 자체 수출 부두를 갖춘 물류 경쟁력을 갖춘 세계 최고의 단지가 되었다.[4] 관련 기능의 통합 설계는 미국 미시간주 디어본의 포드 리버 루주 콤플렉스에서 영감을 받았다.

2011년 11월 SB리모티브가 울산에 첨단 리튬이온전지 생산 공장을 열었다. SB리모티브는 삼성SDI와 보쉬의 50:50 합작회사였다.[31][32][33] 2012년 9월 삼성SDI는 9500만 달러에 보쉬의 SB리모티브 지분을 인수하여 울산 생산 시설의 100% 소유권을 확보했다.[34] 울산 공장은 삼성SDI의 3개 첨단 자동차 배터리 생산 시설 중 하나이다.[35][36]

5. 1. 1차 산업

동해에 접한 울산은 과거 연안 어업으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였다. 장생포는 고래잡이로 유명하였으며[55][56](현재는 고래잡이가 금지되어 침체기에 빠져 있다), 방어가 많이 잡힌다고 하여 붙여진 방어진이라는 이름은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방어와 고래 외에도 멸치, 갈치, 청어 등의 어획량이 많았다. 그러나 인근에 온산 중화학 공업단지가 조성된 이후로 수질악화 및 산업구조의 변화를 겪으면서, 어획량이 줄고 어업이 상당 부분 쇠퇴하였다.

농업은 울산 지역에서 오랫동안 가장 중요한 산업이었으나, 도시화가 진행되고 2차 산업이 발전하면서 농업의 비중은 크게 낮아졌다. 최근의 울산 농업은 근교 농업이 주가 되고 있다. 2차 산업이 발달되어 있으나, 시 외곽에는 넓은 농지가 분포하고 있으므로 근교 농업도 성한 편이다. 한편 과수업에서는 울주군 서생면 일대에서 생산되어온 울산배가 지역 특산물로서 이어오고 있다. 축산업은 한우의 사육이 많아서, 울주군 언양읍의 '''언양불고기'''가 유명하며, 울주군 두동면 봉계리 인근의 '''봉계한우'''도 유명하다. 특히 언양과 봉계 지역은 유일한 먹거리특구로 지정되어 해마다 수많은 관광객이 찾아오고 있다.

5. 2. 2차 산업

1962년에 특정공업지구로 지정된 이래로, 울산은 대한민국 최대의 공업도시로 성장하였다.[25] 남구 지역에는 울산석유화학공단이, 울주군 지역에는 온산석유화학공단이 위치하며 북구에는 자동차산업단지가, 동구 지역에는 조선소 등이 위치하고 있다.[25] 이들 공업지구에서 다루는 공업은 대한민국의 국가 기간산업이며, 그 해외 수출량은 대한민국 총수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1964년 울산 정유공장의 모습


동구에 위치한 HD현대중공업 및 현대미포조선 등 현대중공업그룹의 조선소는 대한민국 최대 규모이다. 부산광역시 영도구의 한진중공업이 8만 평, 거제시의 삼성중공업이 150만 평인 것에 비해 200만 평이라는 초대형 규모로 건설되었다. 이에 대형 선박의 건조가 가능해져 HD현대중공업은 세계 1위의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26][27]

북구 명촌동, 효문동 등지의 북구지역에는 현대자동차, 현대모비스와 효문산업공단이 위치하고 있다. 단일 공장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의 자동차공장이며 이 지역에는 많은 자동차 관련 하청업체 및 기계산업 관련 공장들이 분포하고 있다.[4]

남구 상개동과 부곡동 등지의 울산석유화학공단에는 정유화학 관련 공장이 밀집해 있다. 대표적으로 울산석유화학공단에는 국내 최초의 정유사인 SK가 위치해 있다.[6]

울주군 온산 일대의 온산국가산업단지에는 석유화학, 비철금속 제품들을 생산하고 있다.

현대의 본거지인 울산은[54] 1962년 대한민국의 제1차 5개년 경제 계획의 일환으로 개항하였다. 또한 정부는 울산을 특별공업지구로 지정하여[25] 주요 공장들의 개발을 장려했고, 정유공장, 비료 공장, 자동차 생산 및 중공업이 발전하였다. 조선업 항구인 방어진은 1962년에 울산에 편입되었다.

현대자동차그룹은 1973년 울산에 HD현대중공업을 설립하여 울산을 사실상 기업도시로 만들고 많은 노동자들이 유입되도록 하였다.[26] 현대 창업주의 이름을 딴 고속도로와 현대 병원, 학교, 극장은 물론 많은 식당과 백화점에도 현대라는 이름이 붙어 있는 것을 보면 울산에서 현대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27]

세계적인 조선업 불황 속에서 HD현대중공업은 2016년 10억 달러의 자산을 매각하고 많은 직원을 감원했다.[28] 회사는 한국산업은행으로부터 자금을 빌려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하여 한국조선해양을 설립하고 본사를 서울로 이전할 계획을 세웠다.[29] 일각에서는 이러한 불황을 한국의 재벌에 대한 과도한 의존의 지표로 보고, 미국 러스트 벨트와 같은 울산의 탈산업화가 눈앞에 닥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한다.[30]

울산에는 세계 3위 규모의[6] 정유공장(일일 84만 배럴)이 있으며, SK에너지가 소유하고 있다. 사우디 아람코가 소유한 한국 3위 S-OIL 정유 복합시설(일일 66만 9000배럴)과 세계 최대 규모의 170만 톤 PX 공장, 일일 3만 9000배럴 윤활기유 생산 시설도 울산에 있다.[6]

울산에는 연간 170만 대의 생산능력을 가진 세계 최대 자동차 조립 공장이 있으며, 현대자동차가 운영하고 있다. 1968년 5만 대의 생산능력으로 시작하여 30배 이상 확장되어 자체 수출 부두를 갖춘 물류 경쟁력을 갖춘 세계 최고의 단지가 되었다.[4] 관련 기능의 통합 설계는 미국 미시간주 디어본의 포드 리버 루주 콤플렉스에서 영감을 받았다.

2011년 11월 SB리모티브가 울산에 첨단 리튬이온전지 생산 공장을 열었다. SB리모티브는 삼성SDI와 보쉬의 50:50 합작회사였다.[31][32][33] 2012년 9월 삼성SDI는 9500만 달러에 보쉬의 SB리모티브 지분을 인수하여 울산 생산 시설의 100% 소유권을 확보했다.[34] 울산 공장은 삼성SDI의 3개 첨단 자동차 배터리 생산 시설 중 하나이다.[35][36]

5. 3. 3차 산업

울산의 3차 산업은 도·소매업, 운송업, 건설업 등이 주를 이룬다. 3차 산업 종사자 수는 가장 많으나, 2차 산업의 큰 비중에 밀려 규모는 상대적으로 작은 편이다.[25] 울주군 언양읍에서 상북면으로 이어지는 공단지역과 삼성SDI 인근에 정보산업단지도 계획되어 있으며, 중구 다운동에 조성 중인 정보산업단지 조성을 통해 정보산업의 비중을 높일 계획이다.

울산은 다국적 기업인 현대의 본거지이다.[26] 1962년까지 울산은 어항과 시장 중심지로 기능했다. 대한민국의 제1차 5개년 경제 계획의 일환으로 울산은 개항하였다. 또한 정부는 울산을 특별공업지구로 지정하여 주요 공장들의 개발을 장려했고, 정유공장, 비료 공장, 자동차 생산 및 중공업이 발전하였다. 조선업 항구인 방어진은 1962년에 울산에 편입되었다.[25]

현대자동차그룹은 1973년 울산에 현대중공업을 설립하여 울산을 사실상 기업 도시로 만들고 많은 노동자들이 유입되도록 하였다.[26] 현대 창업주의 이름을 딴 고속도로와 현대 병원, 학교, 극장은 물론 많은 식당과 백화점에도 현대라는 이름이 붙어 있는 것을 보면 울산에서 현대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27]

세계적인 조선업 불황 속에서 현대중공업은 2016년 10억 달러의 자산을 매각하고 많은 직원을 감원했다.[28] 회사는 한국산업은행으로부터 자금을 빌려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하여 한국조선해양을 설립하고 본사를 서울로 이전할 계획을 세웠다.[29]

울산에는 SK에너지가 소유한 세계 3위 규모의 정유공장(일일 84만 배럴)이 있다. 사우디 아람코가 소유한 한국 3위 S-OIL 정유 복합시설(일일 66만 9000배럴)과 세계 최대 규모의 170만 톤 PX 공장, 일일 3만 9000배럴 윤활기유 생산 시설도 울산에 있다.[6]

울산에는 연간 170만 대의 생산능력을 가진 세계 최대 자동차 조립 공장이 있으며, 현대자동차가 운영하고 있다.[4] 1968년 5만 대의 생산능력으로 시작하여 30배 이상 확장되어 자체 수출 부두를 갖춘 물류 경쟁력을 갖춘 세계 최고의 단지가 되었다. 관련 기능의 통합 설계는 미국 미시간주 디어본의 포드 리버 루주 콤플렉스에서 영감을 받았다.

2011년 11월 SB리모티브가 울산에 첨단 리튬이온전지 생산 공장을 열었다. SB리모티브는 삼성SDI와 보쉬의 50:50 합작회사였다.[31][32][33] 2012년 9월 삼성SDI는 9500만 달러에 보쉬의 SB리모티브 지분을 인수하여 울산 생산 시설의 100% 소유권을 확보했다.[34] 울산 공장은 삼성SDI의 3개 첨단 자동차 배터리 생산 시설 중 하나이다.[35][36]

6. 인구

1962년 울산시 승격 당시 10만 명대에 불과했던 울산광역시의 인구는 박정희 정부의 특정공업지구 지정 및 울산공업센터 조성으로 활발하게 증가했다.[90] 동해남부선 철도와 고속도로 등 편리한 물류 여건과 풍부한 공업용수 확보는 공업단지 조성에 유리하게 작용했다.[90]

1970년대 울산공업센터 조성이 완료되면서 인구는 급증하기 시작했다. 1970년 275,361명이었던 인구는 1980년 535,348명으로 50만 명을 넘어섰다.[90] 1990년대 중반에는 100만 명을 돌파했고, 1997년에는 울주군과의 통합 및 독립적인 생활권 확보를 바탕으로 광역시로 승격되었다.[90] 광역시 승격 이후에도 인구는 계속 증가하여 2007년에는 110만 명을 넘어섰다.[90]

그러나 2010년대 중반부터 조선업 불황으로 인한 현대중공업의 구조조정 및 인력 감축, 저출산 문제 등으로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했다.[90] 2017년 중반에는 인구가 118만 명으로 감소하는 등 인구 절벽 상황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90]

울산은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남초 현상이 가장 심한 곳이다.[90] 2017년 통계청 조사 결과, 울산광역시의 성비는 107.7 : 100으로, 특히 동구는 114.5 : 100을 기록할 정도로 남초 현상이 두드러진다.[90] 이는 울산이 공업도시로서 공장 노동자가 많기 때문으로 분석된다.[90]

2024년 10월 기준 울산광역시 인구는 1,098,540명이다.

연도인구 (명)비고
1966년112,848
1970년148,434
1975년234,743
1980년385,370
1985년524,323
1990년656,251
1995년943,455울산군 통합
1997년992,918광역시 승격
2000년1,025,395
2005년1,081,718
2010년1,115,247
2011년1,126,707
2012년1,136,540
2013년1,156,480
2014년1,158,679
2015년1,167,570
2016년1,173,343
2017년1,171,188
2018년1,164,392
2019년1,155,153
2020년1,147,037



2015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울산 시민 대다수는 무종교(54.5%)이며, 불교(29.8%), 개신교(10.9%), 가톨릭(4.2%) 순으로 종교를 가지고 있다.[22]

7. 교육

7. 1. 고등 교육

울산에는 2개의 대학교와 3개의 전문대학이 있다. 울산은 도시 규모나 인구에 비해 대학교 및 전문대학 등 고등교육 기관이 부족한 편이다. 고교 졸업생 중 20%가 서울 지역으로, 25.6%가 부산 지역으로 지원하고 17.9%만이 울산 지역의 대학교에 지원하였다.[91]

울산광역시에는 교육대학과 사범대학이 없다. 따라서 타 지역의 대학을 졸업한 학생들이 울산광역시에서 교원 임용고사를 치러 교사로 임용되고 있다. 교원 임용고사를 치르기 위한 지역 초등 교원자격자의 가산점 혜택은 대구교육대학교, 진주교육대학교, 부산교육대학교 같은 영남지역의 3개 교대를 졸업하거나, 울산광역시 내의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과를 졸업한 사람만이 받을 수 있다.[92]

;국립

;사립

;원격대학

7. 1. 1. 대학원대학교


  • 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한국전력공사, 한국수력원자력, 한전KNF, 한국전력기술, 한전KPS 등이 출연하여 설립된 한국전력공사 산하 학교법인이 운영하는 원자력전문 대학원대학교이다.[93][94]

7. 1. 2. 대학교


울산대학교는 울산 지역에 최초로 설립된 대학으로, 현대그룹의 故 정주영 회장이 1970년에 설립하였다. 당시에는 공과대학만 있던 울산공과대학이었으나 1985년에 공과대학, 자연과학대학, 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을 가진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고, 1988년에 조형대학이 설립되어 예술분야까지 그 영역이 확대되었다. 1990년에는 의과대학이 설립되어 의사를 양성하기 시작하였으며 1993년에는 경영대학을, 1997년에는 생활과학대학을 신설하였다. 또한 1998년에는 미술대학과 음악대학을 신설하였고 2004년에는 건축대학을 신설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현재는 故 정주영 회장 타계 후 정몽준이 이사장을 맡고 있으며, 아산스포츠센터와 아산도서관 등 지역을 위한 시설 건립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는 2009년 3월 2일 울산과학기술대학교로 개교한[95] 대한민국 최초의 국립 법인화 대학이다. 광역시로 승격된 지 10년이 되도록 국립대학이 없는 지역이며, 4년제 대학이 단 하나 있었던 울산의 지역민은 국립대학 유치를 희망했고 이에 노무현 전 대통령 공약으로 국립대학 유치가 이루어졌다. 울산과학기술대학교는 학부와 석사, 박사과정이 개교와 동시에 개설되었으며 학부에는 이공계열과 경영계열의 두 가지 계열만이 개설되어 있다. 이들 계열에는 다양한 트랙이 개설되어 있는데 1학년 때 기초과정을 이수한 뒤 계열구분이 없이 2개의 트랙을 이수하면 졸업할 수 있다. 입학사정관제 선도대학으로 잠재력과 가능성을 선발의 중요한 기준으로 삼고 있다.

과학기술의 역량 강화와 고급과학기술 인재 양성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산업계와의 협동연구 및 외국과의 교육ㆍ연구교류를 촉진함으로써 국가과학기술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2015년 3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과학기술원 전환 관련 법률이 통과되고 3월 27일 울산과학기술원법이 공포되어 2015년 9월 28일 울산과학기술대학교에서 울산과학기술원으로 전환하였다.

;국립
;사립
;원격대학

7. 1. 3. 전문대학

울산과학대학교는 울산광역시에 있는 전문대학이다.

춘해보건대학교는 울산광역시에 있는 전문대학이다.

한국폴리텍7대학 울산캠퍼스는 울산광역시에 있는 전문대학이다.

8. 문화

울산은 MBC의 2012년 한국 텔레비전 멜로드라마 시리즈인 《메이퀸》(May Queen)의 촬영지 중 한 곳이다. 이 드라마에는 한지혜, 김재원, 재희가 주연으로 출연했다.

울산대공원 동문 인근에 위치한 울산박물관이 2011년 6월 22일 개관하였다. 역사관과 산업사관이 갖추어져 있으며 원시시대부터 현대까지 울산시의 역사, 유물을 살펴볼 수 있게 돼있다. 시립박물관 이 외에 현재 운영중인 다른 박물관 · 미술관 · 전시관 등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 '''울산박물관''' : 울산광역시의 역사, 유물, 현대 발전상을 살펴볼 수 있는 박물관. 울산대공원 동문 근방에 위치.
  • '''장생포고래박물관''' : 유서 깊은 포경 산업으로 유명한 장생포에 위치. 전국 유일의 고래박물관.
  • '''울산대곡박물관''' : 울산권광역상수도 사업으로 수몰된 대곡댐에서 출토한 유물 중심의 고고전문박물관.
  • '''울산반구대암각화박물관''' : 공룡발자국과 신석기 포경 장면을 그린 울산 반구대 암각화와 관련한 내용의 박물관.
  • '''울산대학교박물관''' : 사립대학교인 울산대학교 내에 위치한 종합 박물관.
  • '''옥현유적전시관''' : 남구 무거동에 위치한 청동기시대의 유적 전시관. (관람객 급감과 문화재청의 유적 해제 조치로 2012년 말 폐관되었다. 공공도서관으로 리모델링하여 재개관 할 예정이다.)


울산광역시의 연극 상영관은 몇 안 되는 시설로 그 수요를 충분하게 충족하지 못하고 있으며, 영화 상영관은 롯데시네마가 울산에 멀티플렉스 상영관을 만들면서 지역 토종 영화 상영관이 잠식되어 사라졌다.

  • 현대예술관 : 현대중공업이 건립한 문화 · 체육시설로 예술동에 연극 공연장 등이 있다.
  • 울산문화예술회관 : 남구 번영로에 위치한 울산의 대표적인 문화예술회관이다.
  • 롯데시네마 울산 : 남구 삼산동 롯데백화점 옆에 위치한 울산 최초 · 최대의 멀티플렉스 상영관이다.
  • 롯데시네마 울산 성남 : 중구 성남동 태화강변에 위치한 멀티플렉스 상영관이다. (2014년 3월 20일에 CGV에서 변경됨.)
  • CGV 울산 삼산 : 남구 삼산동 업스퀘어에 위치한 영남권 최대 멀티플렉스 상영관이다.
  • 메가박스 울산 : 중구 성남동 시가지에 위치한 멀티플렉스 상영관이다.
  • CGV 울산 진장 : 북구 2018년 8월에 개장하였으며 현재 운영중이다.


울산 문수 축구 경기장


울산광역시의 체육 시설로는 남구 공업탑로터리 인근에 위치한 종하체육관이 있었으나, 2002년 FIFA 월드컵 개최로 문수월드컵경기장이 신설되고 종합운동장이 완공되면서 기능이 분산되었다.[40]

  • '''문수 월드컵 경기장''' : 축구경기장 외 실내수영장, 실내사격장, 야구장, 테니스장, 롤러장, 풋살경기장 등이 있다.
  • '''종하체육관''' : 이종하 씨가 1977년에 기증한 3,000석 규모의 실내체육관이다.
  • '''동천체육관''' : 지상 2층, 지하 2층의 실내체육관으로,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의 홈구장이다.
  • '''울산종합운동장''' : 실내수영장 · 실내체육관 등이 있으며, 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축구단의 홈구장이었다.
  • '''울산문수야구장''' : 롯데 자이언츠의 제2홈구장이다.
  • [https://www.instagram.com/jk_horse_club?igsh=Y2UwdmVodTdmaGtm '''J.K호-스트레이닝공원'''] : 국내 최고수준의 승마장 및 말조련시설(2002부산 아시안게임 승마 장애물 은메달리스트 이진경 씨가 운영)


K리그1 축구단인 울산 현대 축구단의 연고지이다. 2002년 FIFA 월드컵 이후 중구에 있던 구 경기장에서 문수축구경기장으로 이전했다. 울산 현대 축구단은 AFC 챔피언스리그에서 2012년2020년에 두 차례 우승했다. 대한민국 내셔널리그에서 활동했던 울산 현대미포 돌핀스는 2016년 해체되었다. 현재 K3리그에서 활동하는 울산시민축구단이 있다.

울산대학교와 스포츠 프로그램이 있으며, 한국프로농구 팀인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의 연고지이기도 하다. 홈구장은 중구에 위치한 동천체육관이다.[40] KBO 리그의 야구단인 롯데 자이언츠(부산 연고)는 울산 문수 야구장에서 일부 홈 경기를 치른다.

2013년 12월 31일 현재 울산광역시에는 총 128건의 문화재가 등록되어 있다. 국보 2건(울주 천전리 각석,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을 포함하여 국가지정 문화재는 24건이며, 시지정 문화재는 104건이다. 울주군이 72건으로 가장 많다. 선사시대 문화재에서 근대문화유산에 이르기까지 여러 시대에 걸쳐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암각화, 전통복식, 건축물, 고문서, 사찰문화재, 고고학 자료 등 매우 다양한 것이 특징이다.

서덕출 창작동요제가 매년 4월에 개최된다. 7월에는 썸머페스티벌이 개최되며, 7월~8월 사이에는 울산여름축제가 개최된다. 매년 12월 31일부터 1월 1일까지는 간절곶 해맞이 축제가 열린다.

울산광역시청에서는 지역 내 관광산업 발전을 촉진하기 위하여 2002년 12월 24일 '''울산 12경'''을 선정하였다.

순번이름설명
1가지산 사계영남알프스에 속하는 해발 1,000m가 넘는 높은 산 중 하나로, 사계절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한다.
2대왕암공원수령 100년이 넘는 울창한 소나무 숲을 자랑하는 공원이다.
3강동·주전해안 자갈밭아름다운 해안 자갈밭을 볼 수 있는 곳이다.
4무룡산에서 본 울산공단 야경울산공단의 아름다운 야경을 감상할 수 있는 곳이다.
5신불산 억새평원영남알프스의 명소 중 하나로, 가을이면 억새가 은빛으로 물든다. 매년 10월 초 간월재에서 억새 축제가 열린다.
6파래소 폭포아름다운 폭포를 감상할 수 있는 곳이다.
7태화강
8태화강 국가정원 (십리대밭)대나무 숲이 복원되어 강과 대숲이 연결된 공간은 지역 생태계를 보여주며 자연과 환경의 중요성을 일깨워준다.
9간절곶한반도에서 가장 먼저 해돋이를 볼 수 있는 곳으로, 매년 새해 첫날 해맞이 축제가 열린다.
10울산대공원364만 제곱미터의 넓은 부지에 조성된 도심 속 생태 공원으로, 한국 최고의 생태 공원으로 알려져 있다. 매년 6월에 장미축제가 열린다.
11장생포 고래 박물관한국 유일의 고래 박물관으로, 포경과 관련된 유물을 수집, 보존, 전시하고 있다. 장생포에서는 고래 관광 크루즈가 출발한다.
12울산산업단지21세기 태평양 연안 산업을 선도하고 있다. 세계 최대 규모의 단일 공장을 보유한 현대자동차를 비롯하여 세계 최대 중공업 업체인 현대중공업, 현대미포조선, 한국 화학 산업을 이끄는 석유화학단지가 울산에 위치해 있다.


8. 1. 박물관 · 미술관



울산대공원 동문 인근에 위치한 울산박물관이 2011년 6월 22일 개관하였다. 역사관과 산업사관이 갖추어져 있으며 원시시대부터 현대까지 울산시의 역사, 유물을 살펴볼 수 있게 돼있다. 시립박물관 이 외에 현재 운영중인 다른 박물관 · 미술관 · 전시관 등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 '''울산박물관''' : 울산광역시의 역사, 유물, 현대 발전상을 살펴볼 수 있는 박물관. 울산대공원 동문 근방에 위치.
  • '''장생포고래박물관''' : 유서 깊은 포경 산업으로 유명한 장생포에 위치. 전국 유일의 고래박물관.
  • '''울산대곡박물관''' : 울산권광역상수도 사업으로 수몰된 대곡댐에서 출토한 유물 중심의 고고전문박물관.
  • '''울산반구대암각화박물관''' : 공룡발자국과 신석기 포경 장면을 그린 울산 반구대 암각화와 관련한 내용의 박물관.
  • '''울산대학교박물관''' : 사립대학교인 울산대학교 내에 위치한 종합 박물관.
  • '''옥현유적전시관''' : 남구 무거동에 위치한 청동기시대의 유적 전시관. (관람객 급감과 문화재청의 유적 해제 조치로 2012년 말 폐관되었다. 공공도서관으로 리모델링하여 재개관 할 예정이다.)

8. 2. 연극 · 영화 상영관

울산광역시의 연극 상영관은 몇 안 되는 시설로 그 수요를 충분하게 충족하지 못하고 있으며, 영화 상영관은 롯데시네마가 울산에 멀티플렉스 상영관을 만들면서 지역 토종 영화 상영관이 잠식되어 사라졌다.

  • 현대예술관 : 현대중공업이 건립한 문화 · 체육시설로 예술동에 연극 공연장 등이 있다.
  • 울산문화예술회관 : 남구 번영로에 위치한 울산의 대표적인 문화예술회관이다.
  • 롯데시네마 울산 : 남구 삼산동 롯데백화점 옆에 위치한 울산 최초 · 최대의 멀티플렉스 상영관이다.
  • 롯데시네마 울산 성남 : 중구 성남동 태화강변에 위치한 멀티플렉스 상영관이다. (2014년 3월 20일에 CGV에서 변경됨.)
  • CGV 울산 삼산 : 남구 삼산동 업스퀘어에 위치한 영남권 최대 멀티플렉스 상영관이다.
  • 메가박스 울산 : 중구 성남동 시가지에 위치한 멀티플렉스 상영관이다.
  • CGV 울산 진장 : 북구 2018년 8월에 개장하였으며 현재 운영중이다.


울산은 MBC의 2012년 한국 텔레비전 멜로드라마 시리즈인 《메이퀸》(May Queen)의 촬영지 중 한 곳이다. 이 드라마에는 한지혜, 김재원, 재희가 주연으로 출연했다.

8. 3. 체육 시설

울산광역시의 체육 시설로는 남구 공업탑로터리 인근에 위치한 종하체육관이 있었으나, 2002년 FIFA 월드컵 개최로 문수월드컵경기장이 신설되고 종합운동장이 완공되면서 기능이 분산되었다.[40]

  • '''문수 월드컵 경기장''' : 축구경기장 외 실내수영장, 실내사격장, 야구장, 테니스장, 롤러장, 풋살경기장 등이 있다.
  • '''종하체육관''' : 이종하 씨가 1977년에 기증한 3,000석 규모의 실내체육관이다.
  • '''동천체육관''' : 지상 2층, 지하 2층의 실내체육관으로,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의 홈구장이다.
  • '''울산종합운동장''' : 실내수영장 · 실내체육관 등이 있으며, 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축구단의 홈구장이었다.
  • '''울산문수야구장''' : 롯데 자이언츠의 제2홈구장이다.
  • [https://www.instagram.com/jk_horse_club?igsh=Y2UwdmVodTdmaGtm '''J.K호-스트레이닝공원'''] : 국내 최고수준의 승마장 및 말조련시설(2002부산 아시안게임 승마 장애물 은메달리스트 이진경 씨가 운영)


K리그1 축구단인 울산 현대 축구단의 연고지이다. 2002년 FIFA 월드컵 이후 중구에 있던 구 경기장에서 문수축구경기장으로 이전했다. 울산 현대 축구단은 AFC 챔피언스리그에서 2012년2020년에 두 차례 우승했다. 대한민국 내셔널리그에서 활동했던 울산 현대미포 돌핀스는 2016년 해체되었다. 현재 K3리그에서 활동하는 울산시민축구단이 있다.

울산대학교와 스포츠 프로그램이 있으며, 한국프로농구 팀인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의 연고지이기도 하다. 홈구장은 중구에 위치한 동천체육관이다.[40] KBO 리그의 야구단인 롯데 자이언츠(부산 연고)는 울산 문수 야구장에서 일부 홈 경기를 치른다.

8. 4. 문화재

2013년 12월 31일 현재 울산광역시에는 총 128건의 문화재가 등록되어 있다. 국보 2건(울주 천전리 각석,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을 포함하여 국가지정 문화재는 24건이며, 시지정 문화재는 104건이다. 울주군이 72건으로 가장 많다. 선사시대 문화재에서 근대문화유산에 이르기까지 여러 시대에 걸쳐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암각화, 전통복식, 건축물, 고문서, 사찰문화재, 고고학 자료 등 매우 다양한 것이 특징이다.

8. 5. 축제

서덕출 창작동요제가 매년 4월에 개최된다. 7월에는 썸머페스티벌이 개최되며, 7월~8월 사이에는 울산여름축제가 개최된다. 매년 12월 31일부터 1월 1일까지는 간절곶 해맞이 축제가 열린다.

8. 6. 울산 12경

울산광역시청에서는 지역 내 관광산업 발전을 촉진하기 위하여 2002년 12월 24일 '''울산 12경'''을 선정하였다.

순번이름설명
1가지산 사계영남알프스에 속하는 해발 1,000m가 넘는 높은 산 중 하나로, 사계절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한다.
2대왕암공원수령 100년이 넘는 울창한 소나무 숲을 자랑하는 공원이다.
3강동·주전해안 자갈밭아름다운 해안 자갈밭을 볼 수 있는 곳이다.
4무룡산에서 본 울산공단 야경울산공단의 아름다운 야경을 감상할 수 있는 곳이다.
5신불산 억새평원영남알프스의 명소 중 하나로, 가을이면 억새가 은빛으로 물든다. 매년 10월 초 간월재에서 억새 축제가 열린다.
6파래소 폭포아름다운 폭포를 감상할 수 있는 곳이다.
7태화강
8태화강 국가정원 (십리대밭)대나무 숲이 복원되어 강과 대숲이 연결된 공간은 지역 생태계를 보여주며 자연과 환경의 중요성을 일깨워준다.
9간절곶한반도에서 가장 먼저 해돋이를 볼 수 있는 곳으로, 매년 새해 첫날 해맞이 축제가 열린다.
10울산대공원364만 제곱미터의 넓은 부지에 조성된 도심 속 생태 공원으로, 한국 최고의 생태 공원으로 알려져 있다. 매년 6월에 장미축제가 열린다.
11장생포 고래 박물관한국 유일의 고래 박물관으로, 포경과 관련된 유물을 수집, 보존, 전시하고 있다. 장생포에서는 고래 관광 크루즈가 출발한다.
12울산산업단지21세기 태평양 연안 산업을 선도하고 있다. 세계 최대 규모의 단일 공장을 보유한 현대자동차를 비롯하여 세계 최대 중공업 업체인 현대중공업, 현대미포조선, 한국 화학 산업을 이끄는 석유화학단지가 울산에 위치해 있다.


9. 스포츠

울산광역시는 K리그1 축구단인 울산 HD FC의 연고지이다.[40] 울산 HD FC는 1983년에 창단되었으며, 울산문수축구경기장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울산 HD FC는 AFC 챔피언스리그에서 2012년2020년에 두 차례 아시아 챔피언에 올랐다.[40] 울산에는 K3리그에서 활동하는 울산시민축구단도 있다.

울산은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라는 한국프로농구 팀의 연고지이기도 하다.[40]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는 1986년에 창단되었고, 홈구장은 동천체육관이다.

KBO 리그의 야구단인 롯데 자이언츠는 울산 문수 야구장에서 일부 홈 경기를 치른다.

리그명팀명창단연도홈 경기장
|text-bottom|x15px]] 축구||K리그1 || 울산 HD FC || 1983년 || 울산문수축구경기장
|text-bottom|x15px]] 농구||KBL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 1986년 || 동천체육관


10. 교통

울산역 전경


태화강역 전경


도시 교통국은 경전철 노선 건설을 계획하고 있다. 대중교통 시스템은 다른 주요 한국 도시들과 마찬가지로 우수하다. 버스 시스템은 대부분의 버스 정류장에서 예상 도착 시간(ETA)을 표시한다.[37]

1970년에 건설되고 1997년에 확장된 울산공항은 서울의 김포국제공항을 오가는 하루 20편 이상의 항공편과 제주국제공항을 오가는 주 4편의 항공편을 운항한다.[38] 2010년 11월에는 한국의 고속철도망인 KTX가 울산까지 연장되었다.[38] 이는 2시간 조금 넘는 운행 시간으로 서울과의 고속 연결을 제공한다. 새로운 KTX 역인 울산역은 인근 언양읍에 있으며, 여러 편의 고속버스(5001-5005)와 일부 시내버스가 이 역을 운행한다.[39] 기존 시내역은 태화강역으로 이름이 바뀌었다.[38]

10. 1. 도로

2013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고속도로국도를 포함하여 울산광역시에 개설된 도로의 총 연장은 3,348.422km이다. 도로 포장률은 96.1%이다.

종류노선수총연장개설미개설
포장미포장
6,463개3,348.4222,220.2331,972.543247.6901,128.209
고속도로3개62.91062.91062.910--
일반국도5개185.882171.789171.789-14.093
국가지원
지방도
1개17.26017.26017.260--
울산광역시도2,204개1,346.218475.508475.508-870.710
구도3,989개1,011.123775.467753.66721.800235.656
울주군도28개282.800282.800263.47819.322-
농어촌도로145개375.700367.950171.490196.4607.750
비법정도로88개66.54966.54956.44110.108-



경부고속도로가 시의 서부를 남북으로 관통하고, 울산고속도로가 경부고속도로 언양 분기점에서 연결되며, 부산-울산고속도로가 2008년 12월 개통되었다. 동해고속도로 울산 ~ 포항 구간은 2009년 9월에 착공되어 2015년 12월 29일에 개통되었다.[96]

국도로는 7호선, 14호선, 24호선, 31호선, 35호선이 남북을 관통하고, 24호선의 종점이 위치한다. 국가지원지방도 69호선울주군 상북면에서 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면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으로 이어진다.

울산대교는 매암에서 전하동으로 가는 일반 간선도로로 2015년 6월 1일 개통하였다. 도시 교통국은 경전철 노선 건설을 계획하고 있으며, 버스 시스템은 대부분의 버스 정류장에서 예상 도착 시간을 표시하여 대중교통 시스템이 우수하다.[37]

10. 2. 버스

2014년 3월 10일 현재 울산에는 14개의 업체가 123개의 시내버스 노선을, 8개의 업체가 15개의 마을버스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노선은 간선도로에 집중되어 편성되어 있는 경향이 있으나, 시내순환 지선버스 도입 이후에 이러한 흐름이 개선되어 가는 추세에 있다.

타 지역으로 가는 노선은 부산광역시 금정구방면으로 직행좌석버스 2개노선, 기장군 방면으로 일반시내버스 1개노선이 운행하며, 경주시 외동읍 모화리 방면으로 일반 2개와 좌석 1개노선, 녹동리 방면 일반 1개노선이 있고, 양산시 통도사시외버스터미널 방면 일반 1개, 좌석 1개노선이 있다.

그리고 타 지역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로는 양산 시내버스, 경주 시내버스가 있다. 부산 노포동까지 가는 울산시내버스는 있으나 울산으로 오는 부산시내버스는 서생면까지 운행하는 기장군 마을버스 1개노선이 있다.

10. 2. 1. 시내버스 및 마을버스

2014년 3월 10일 현재 울산에는 14개의 업체가 123개의 시내버스 노선을, 8개의 업체가 15개의 마을버스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노선은 간선도로에 집중되어 편성되어 있는 경향이 있으나, 시내순환 지선버스 도입 이후에 이러한 흐름이 개선되어 가는 추세에 있다.

타 지역으로 가는 노선은 부산광역시 금정구방면으로 직행좌석버스 2개노선, 기장군 방면으로 일반시내버스 1개노선이 운행하며, 경주시 외동읍 모화리 방면으로 일반 2개와 좌석 1개노선, 녹동리 방면 일반 1개노선이 있고, 양산시 통도사시외버스터미널 방면 일반 1개, 좌석 1개노선이 있다.

그리고 타 지역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로는 양산 시내버스, 경주 시내버스가 있다. 부산 노포동까지 가는 울산시내버스는 있으나 울산으로 오는 부산시내버스는 서생면까지 운행하는 기장군 마을버스 1개노선이 있다.

버스 운송 사업 조합 산하 사업자에 의해 버스 노선이 설정 및 운영되고 있다. 일부 노선은 부산광역시와 양산시까지 운행하고 있으며, 부산광역시·양산시 시내버스에도 울산광역시 시내로 들어오는 노선이 있다. 요금 지불에 교통카드인 "마이비카드"를 도입하고 있다.

10. 2. 2. 고속버스와 시외버스

고속버스는 남구 삼산동에 있는 울산고속버스터미널에서 발착하고 있다. 서울을 비롯해 대전, 광주, 전주, 동대구, 천안으로 향하는 고속버스가 운행하고 있다.

시외버스는 남구 삼산동에 있는 울산시외버스터미널에서 운행하는 노선이 가장 많으며, 포항, 안동, 경주, 창원 등을 비롯해 약 40여개의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이 외에 동구에 위치한 방어진시외버스터미널에서는 부산, 통영, 동대구행 시외버스 등이 운행하며, 부산, 통영노선을 제외한 모든 노선이 울산시외버스터미널을 경유한다. 울주군 언양읍에 있는 언양시외버스터미널에서는 울산 시가지로 향하는 울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부산광역시양산시 등을 잇는 양산시의 시내버스, 전국으로 운행하는 시외버스 노선이 함께 운행된다.

울산시외버스터미널은 도심에 위치하기 때문에 남구 무거동의 신복로터리와 신정동의 태화로터리, 공업탑로터리 등 중간정차하는 정류소가 상당히 많은 편이다.

10. 2. 3. 공항버스

김해국제공항으로 향하는 버스가 30분 간격으로 운행되고 있으며, 탑승은 태화강 강변 정류장과 신복 로터리 정류장에서 할 수 있다. 한편 울산시외버스터미널에서는 인천국제공항으로 향하는 버스는 1일 3회 운행하며, 심야 및 오전에 출발한다.[37]

10. 3. 철도

동해선이 울산광역시를 통과하며, 장생포선, 울산항선, 온산선 등의 지선이 시역(市域)에 존재한다. 공업도시 특성상 여객철도보다는 화물철도의 비중이 크다. 여객철도는 태화강역이 중심이며, 호계역이 그 다음 비중을 차지한다.[97]

2010년 11월 1일 KTX 2단계 개통으로 울주군 삼남읍 신화리에 위치한 울산역이 영업을 시작하였으며, 기존 도심에 있던 울산역의 역명은 태화강역으로 변경되었다. KTX 울산시티투어와 리무진 버스가 운행을 시작했다.[97] 2021년 12월 28일에는 태화강역에서 부산광역시 부전역을 잇는 동해선의 복선 전철화 사업이 완료되어, 이 구간은 전동차가 운행되는 동해선 광역전철로서의 기능을 한다.

경전철 노선 건설이 계획되어 있다.[37]

2010년 11월 1일에 경부고속선 동대구역 - 부산역 구간이 개통되어 KTX·SRT는 고속선 상에 있는 울산역에 정차한다. 울산역은 시가지에서 약 20km 내륙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울역 - 부산역을 잇는 열차의 약 절반이 정차한다. 서울까지 약 2시간 20분, 수서까지 약 2시간, 부산까지 21분 소요된다.

10. 4. 도시 철도

울산광역시청은 총 4개의 노면전차 노선으로 이루어진 울산 도시철도를 2029년부터 단계적으로 개통할 전망이다. 2021년에 동해선 광역전철이 운행을 개시하여 부산 도시철도와 연결되었다.

도시 교통국은 경전철 노선 건설을 계획하고 있다.

10. 5. 항만

공업도시로서 국제무역이 활발한 울산의 특성상, 항만교통은 화물에 치중되어 있다. 2013년을 기준으로 울산항의 선박 입항은 2만 5천척으로 대한민국의 12.8%를 점유하며, 항만 물동량은 1억 9100만 톤으로 14.2%를 점유한다. 특히 액체화물 물동량은 1억 5373만톤으로 전국의 34.4%를 점유하고있다. 대한민국 해양수산부 소속의 울산지방해양항만청과 울산항만공사 등에서 담당한다.

한편 여객 항만 교통은, 인근의 부산포항에 밀려 발달하지 못했다. 현재 운항되고 있는 정기 여객 항로는 없으며, 과거 동구 방어동에 위치한 울산국제여객터미널에서 일본 고쿠라를 잇는 국제항로가 개설(2002년 4월 25일)된 바가 있으나, 승객 감소로 2004년 7월 27일에 운항이 중단되었다.

10. 6. 항공

울산비행장은 과거 일제강점기인 1929년에 울산 남구 삼산동에 개항하였다. 이 비행장은 일본 도쿄와 중국 다롄을 연결하는 노선의 중간 기착지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1937년 대구비행장 개항으로 폐쇄되었고, 현재 해당 부지는 주택단지로 변모하였다.

울산공항은 1970년에 건설되어 1997년에 확장되었으며, 김포국제공항을 오가는 하루 20편 이상의 항공편과 제주국제공항을 오가는 주 4편의 항공편을 운항한다. 2018년 3월 현재 대한항공에어부산은 김포 노선과 제주 노선을 각각 운항하고 있으며, 아시아나항공에어부산과 공동 운항하고 있다. 울산공항은 일본 자매결연 도시와의 국제 부정기편 운항을 추진 중이다. KTX 울산역 개통으로 이용객 수가 감소하기도 했으나, 제주항공의 임시 취항과 에어부산 정식 취항 이후 이용객이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현재 한국공항공사 울산지사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활주로는 국내 타 공항에 비해 짧은 편으로, 보잉 737-800~900, CS300, 에어버스 A320, A321 등의 항공기가 운행하고 있다. 항공기 이착륙 장면은 동천강 강변에서 잘 볼 수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구 울산비행장에서 일본 국내 직항 항공편과 만주국과의 정기편(만주항공 운항)이 있었다. 대한민국 수립 후 1970년에 현재의 울산공항이 설립되었고, 김포국제공항과의 항공편(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이 1시간에 1편 정도, 제주국제공항과의 노선도 하루 1왕복 운항되고 있다.

11. 자매·우호협력 도시

울산광역시는 전 세계 21개 도시(자매도시 11, 우호협력도시 10)와 결연을 맺고 국제교류협력을 하고 있다.[98]

자매 도시는 다음과 같다.[98]


  • 하기/萩일본어 (Hagi영어, 1968년 10월 29일) - 한일 국교 정상화 이후 최초의 자매 도시 협정이다.
  • 화롄/花蓮중국어 (Hualian영어, 1981년 6월 19일)
  • 포틀랜드 (Portland영어, 1987년 11월 20일)
  • 창춘/長春중국어 (Changchun영어, 1994년 3월 15일)
  • 코자엘리/Kocaelitr (Kocaeli영어, 2002년 6월 2일)
  • 산토스/Santospt (Santos영어, 2002년 6월 3일)
  • 카인호아성/Khánh Hòavi (Khanh Hoa영어, 2002년 6월 20일)
  • 톰스크/Томскru (Tomsk영어, 2003년 11월 12일)
  • 우시/无锡중국어 (2013년 9월 27일)
  • 휴스턴 (Houston영어, 2021년 11월 19일)
  • 부르가스/Бургасbg (Burgas영어, 2021년 11월 23일)


우호협력 도시는 다음과 같다.[98]

  • 옌타이/烟台중국어 (Yantai영어, 2001년 11월 8일)
  • 니가타/新潟일본어 (Niigata영어, 2006년 9월 21일)
  • 칭다오/青岛중국어 (Qingdao영어, 2009년 8월 3일)
  • 카라간디주/Қарағандыkk (Karagandy영어, 2010년 4월 22일)
  • 구마모토/熊本일본어 (Kumamoto영어, 2010년 4월 26일)
  • 바스라주/البصرةar (Basra영어, 2011년 10월 5일)
  • 몬테비데오/Montevideoes (Montevideo영어, 2012년 6월 11일)
  • 모라비아 실레지아주/Moravskoslezský krajcs (Moravian-Silesian영어, 2014년 11월 20일)
  • 만달레이/မန္တလေးmy (Mandalay영어, 2016년 5월 2일)
  • 첸나이/Chennai영어 (Chennai영어, 2016년 8월 2일)

12. 인물

김영철, 희극인 겸 가수

김태희, 배우

한채아, 배우

오윤아, 배우

레이나, 가수 (애프터스쿨과 오렌지 캬라멜)

테이, 가수

서인국, 가수 겸 배우

유라, 가수 (걸스데이)

장기용, 모델 겸 배우

김민규, 배우이자 전 프로듀스 X 101 참가자

염따, 래퍼

이완, 배우

한소희, 배우

이소희, 배드민턴 선수

김수지, 다이빙 선수

비비, 가수

김승규, 축구 선수

정우영, 축구 선수

이재성, 축구 선수

설영우, 축구 선수

테이는 '우리 에 울산'이라는 대표곡도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웹사이트 2022년 지역소득(잠정) https://kostat.go.kr[...]
[3] 웹사이트 SOUTH KOREA: Cities (registered population) http://www.citypopul[...] Citypopulation 2013-08-21
[4] 웹사이트 연합뉴스 : 바른언론 빠른뉴스 http://www.yonhapnew[...] Yonhap News 2013-07-12
[5] 웹사이트 천혜 절경 바닷가가 세계 최대 조선소로 변모 http://www.ohmynews.[...] 2013-07-12
[6] 웹사이트 http://pda.ulsan.go.[...]
[7] 서적 The Silk Road Encyclopedia Seoul Selection 2016
[8] 웹사이트 Iron Culture of Ancient Korea http://www.koreanher[...]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9-10-25
[9] 웹사이트 Gyeongju https://en.unesco.or[...] UNESCO 2019-10-25
[10] 웹사이트 Ulsan History, South Korea {{!}} Travelgrove.com http://www.travelgro[...] 2022-06-26
[11] 웹사이트 Port of Ulsan review http://www.worldport[...] World Port Source 2019-10-25
[12] 웹사이트 Port of Ulsan http://www.worldport[...] World Port Source 2022-06-26
[13] 웹사이트 Ulsan {{!}} History, Geography, & Points of Interest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6-26
[14]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Hyundai Motors https://laxmihyundai[...] 2022-06-26
[15] 법률 울산광역시 설치 등에 관한 법률공포(법률 제5243호)
[16] 웹사이트 https://www.ulsan.go[...]
[17] 웹사이트 https://www.ulsan.go[...]
[18]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19]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20]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12-08
[21] 웹사이트 Ulsan, South Korea - Detailed climate information and monthly weather forecast https://www.weather-[...] Yu Media Group 2019-07-09
[22] 웹사이트 2015 Census – Religion Results https://kosis.kr/sta[...] KOSIS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21-03-10
[23] 웹사이트 World Urbanization Prospects https://population.u[...] 2020-02-20
[24] 웹사이트 Population Census https://kosis.kr/sta[...] Statistics Korea
[25] 학술지 Ulsan, South Korea: A Global and Nested 'Great' Industrial City 2011-11-02
[26] 뉴스 Hyundai Heavy hit by protest from Ulsan https://www.koreatim[...] 2019-10-25
[27] 뉴스 Heavy metal: Life at the world's largest shipyard https://www.bbc.com/[...] 2019-10-28
[28] 뉴스 Hyundai Heavy Industries to sell $1 billion in assets, cut jobs as orders slump https://www.marketwa[...] 2019-10-25
[29] 뉴스 Hyundai Heavy hit by protests from Ulsan https://www.koreatim[...] 2019-10-28
[30] 뉴스 Empty shipyards and suicides as 'Hyundai Town' grapples with grim future https://www.reuters.[...] 2019-10-28
[31] 뉴스 SB Limotive Starts Production of Lithium-Ion Cells http://www.energytre[...] 2017-05-15
[32] 뉴스 SB LiMotive starts lithium-ion battery plant http://koreajoongang[...] 2017-05-15
[33] 뉴스 Bosch plans to expand joint venture with Samsung https://www.koreatim[...] 2017-05-15
[34] 뉴스 Bosch and Samsung SDI disbanding the SB LiMotive Li-ion joint venture http://www.greencarc[...] 2017-05-15
[35] 뉴스 SB Limotive Starts Production of Lithium-Ion Cells http://www.energytre[...] 2017-05-15
[36] 뉴스 Sources say Samsung to provide battery packs for BMW X5 https://chargedevs.c[...] 2017-05-15
[37] 웹사이트 Welcome to Ulsan Metropolitan City - News and Notice http://english.ulsan[...] 2008-02-18
[38] 웹사이트 Ulsan-Seoul high-speed train service to start in November https://www.koreatim[...] Koreatimes.co.kr 2013-07-12
[39] 웹사이트 Ulsan Online: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Ulsan http://ulsanonline.c[...] 2010-12-10
[40] 웹사이트 ulsan mobis phoebus basketball team http://www.mobisphoe[...] 2016-04-14
[41] 웹사이트 Ulsan Metropolitan City http://english.ulsan[...]
[42] 웹사이트 Mandalay and Ulsan http://mmr.mofa.go.k[...]
[43] 서적 大日本分県地図併地名総覧 昭和十二年 昭和礼文社 1989-12
[44] 서적 일억 명의 쇼와사, 일본해군사, 사진도설 제국연합함대, 일본의 해군, 가고시마 대백과 每日新聞社, 財団法人 海軍歴史保存会, 講談社, 池田清, 南日本新聞社
[45] 웹사이트 蔚山 http://dictionary.go[...] 小学館 デジタル大辞泉
[46] 서적 大辞林 三省堂 1988
[47] 서적 コンサイス外国地名事典 第3版 三省堂 1998
[48] 서적 海戦からみた日露戦争 角川oneテーマ21新書 2010
[49]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50] 웹사이트 '박근혜 매직', 울산·창원·거제 '진보벨트' 풀었나? https://m.pressian.c[...] 2023-10-14
[51] 웹사이트 서울이 8일 연속의 열대야 일중도 가혹한 더위 계속 http://news.goo.ne.j[...] 聯合ニュース 2013-08-09
[52]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울산(152)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03-25
[53]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울산(152)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10-02
[54] 웹사이트 ラストベルト化におびえる「現代タウン」-韓国一豊かだった蔚山 https://www.bloomber[...] 2019-08-22
[55] 웹사이트 韓国、違法な捕鯨活動 IWC加盟国中で最多「本当に恥ずかしい」 https://news.livedoo[...] サーチナ 2019-08-22
[56] 웹사이트 [現地ルポ] 混獲を口実に続けられる蔚山の捕鯨 http://japan.hani.co[...] ハンギョレ 2019-08-22
[57] 웹사이트 고래 고기 못팔게 되나… 장생포 주민들 발칵 https://www.chosun.c[...] 2023-08-08
[58] 기타
[59] 기타
[60]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rcps.egov.go.[...] 안전행정부
[61] 서적 울산 택리지 도서출판 종
[62] 웹사이트 [미리 가본 시립박물관]'울산' 지역사 정체성 찾기 http://www.ksilbo.co[...] 2009-12-07
[63] 논문 연구논총내지 울산학연구 https://www.udi.re.k[...]
[64] 서적 삼국사기 列傳 居道傳
[65] 서적 고려사
[66] 서적 울산광역시사 울산광역시
[67] 서적 다 같이 돌자 울산 한바퀴 울산문화원
[68]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69] 법령 도령 제1호 1928-01-28
[70]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32호 1931-10-20
[71] 간행물 도령 제17호 1932-10-31
[72] 간행물 조선총독부령 제80호 1937-06-28
[73] 간행물 조선총독부령 제30호 1945-03-14
[74] 서적 울산연감2000 울산매일신문 2000
[75] 간행물 경성비행장 및 울산비행장 개항 고시 조선총독부 1929-09-24
[76] 뉴스 울산비행장 개장 조선일보 1928-12-05
[77] 서적 조선총독부 시정연보 조선총독부 1928
[78] 간행물 울산비행장 세관출장소 사무개시 관보 1929-09-07
[79] 서적 울주군지 울산광역시 울주군
[80] 서적 상북면지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81] 법률 법률 제1068호
[82] 법률 대통령령 제12367호 서울특별시송파구등13개구설치와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7-12-31
[83] 법률 법률 제4801호 전라남도광양시등2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12-22
[84] 백과사전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85] 기타
[86]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울산(152)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87]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울산(152)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88]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 http://www.mois.go.k[...]
[89] 법률 울산광역시 설치 및 경상남도 울산시 폐지
[90] 뉴스 안 낳고 떠나고… 울산 인구 20개월 연속 감소 http://m.news.naver.[...] 국민일보 2017-08-29
[91] 뉴스 서울에 왜 가요? "국립대 4개에 좋은 사립대 많잖아요…" https://news.naver.c[...] 부산일보 2005-06-10
[92] 기타
[93] 뉴스 한전, 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개교 http://www.seoulfn.c[...] 서울파이낸스 2012-03-02
[94] 뉴스 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첫 문을 열다 http://www.nuclean.k[...] 뉴클리안 2012-03-06
[95] 뉴스 울산과기대 2일 역사적 개교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09-03-02
[96] 뉴스 울산-포항간 고속도로 건설 착공 http://ph.local.cbs.[...] 노컷뉴스 2009-09-21
[97] 뉴스 울산∼서울 KTX열차 첫 출발..좌석매진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11-01
[98] 웹사이트 자매·우호협력도시 https://www.ulsan.go[...]
[99] 간행물 울산광역시 도로명 제·개정 고시 울산광역시 2001
[100] 웹사이트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101] 웹사이트 원효터널외 1개 구조물 비파괴검사(터널스캐너) 조사 - 과업내용서 https://www.kalis.or[...]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