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논리식은 논리 체계에서 원자 논리식에 논리 연산을 유한 번 적용하여 얻는 문자열로, 명제 논리 및 술어 논리에서 구체적으로 정의된다. 명제 논리 공식은 명제 변수, 논리 연결사, 괄호로 구성되며, 귀납적으로 정의된다. 술어 논리 수식은 서명에 따라 정의되며, 항, 원자식, 논리 연결사, 양화사를 사용하여 재귀적으로 구성된다. 원자 공식은 논리 연결사나 양화사를 포함하지 않는 공식이며, 개방 공식은 양화사 없이 논리 연결사만 사용하여 원자 공식을 결합하여 형성된다. 닫힌식은 자유 변수를 포함하지 않는 논리식으로, 참 또는 거짓 값을 판별할 수 있다. 논리식은 해석에 따라 타당하거나 만족할 수 있으며, 결정 가능성 등의 속성을 가질 수 있다. 현대 논리에서는 '잘 구성된 공식'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특히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논리식 - 추론 규칙
추론 규칙은 전제가 참일 때 결론이 필연적으로 참임을 보이는 논리적 도출 과정을 형식적으로 표현한 규칙으로,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며 명제 논리와 술어 논리에서 기본적인 추론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고, 형식 체계의 핵심 요소이다. - 논리식 - 정리
정리는 논리학과 수학에서 공리를 바탕으로 증명된 참인 명제로서, "만약 A이면 B이다" 형태의 가정적 조건문으로 표현되며, 수학 외 다양한 분야에서도 사용되지만 수학에서의 엄밀한 증명과는 차이가 있다. - 명제 논리 - 모순
모순은 논리학, 철학,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서로 상반되는 두 가지 주장이나 사실이 동시에 존재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특히 헤겔과 마르크스의 변증법적 유물론에서 사물의 내재적 대립으로서 역사 발전의 원동력으로 간주된다. - 명제 논리 - 추론 규칙
추론 규칙은 전제가 참일 때 결론이 필연적으로 참임을 보이는 논리적 도출 과정을 형식적으로 표현한 규칙으로,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며 명제 논리와 술어 논리에서 기본적인 추론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고, 형식 체계의 핵심 요소이다. - 컴퓨터 과학 - 수학적 최적화
수학적 최적화는 주어진 집합에서 실수 또는 정수 변수를 갖는 함수의 최댓값이나 최솟값을 찾는 문제로, 변수 종류, 제약 조건, 목적 함수 개수에 따라 다양한 분야로 나뉘며 여러 학문 분야에서 활용된다. - 컴퓨터 과학 - 증명 보조기
증명 보조기는 수학적 증명의 정확성을 검증하고 형식적인 증명 탐색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도구로, 고차 논리, 의존 타입, 작은 커널, 자동 정리 증명, 반사 증명, 코드 생성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정리 증명기 박물관" 프로젝트를 통해 소스 보존을 목표로 하는 다양한 시스템들이 존재한다.
논리식 | |
---|---|
개요 | |
종류 | 수학적 표기법 |
분야 | 논리학, 수학, 컴퓨터 과학 |
정의 | |
다른 이름 | woof wiff weff whiff |
설명 | 문법적으로 올바른 논리식 |
비고 | 잘 구성된 수식(well-formed formula, 약칭 wff 또는 WF , weff)는 형식 언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수식입니다. 잘 구성된 수식에 대한 정의는 사용되는 특정 언어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 명제 논리), 그러나 모든 경우에서 정의는 문자를 수식이라고 부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귀납적 정의를 제공합니다. |
상세 내용 | |
용도 | 논리에서, 잘 구성된 수식은 일반적으로 해당 언어의 구문으로 구축된 수식입니다. 형식 문법을 사용하면 일련의 수식에서 잘 구성된 수식을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습니다. |
의미론 | 수식의 의미론은 수식이 표현하는 내용을 정의합니다. |
예시 | |
명제 논리 | (A ∧ (B ∨ C)) ¬(A ∨ (B ∧ C)) |
술어 논리 | ∀x P(x) ∃x ∃y Q(x, y) |
참고 자료 | |
관련 항목 | 문자열 (컴퓨터 과학) 항 (논리학) 역폴란드 표기법 |
2. 정의
어떤 논리 체계에서 논리식은 원자 논리식으로부터 논리 연산을 유한 번 적용하여 얻을 수 있는 문자열로 정의되며, 이는 보통 재귀적으로 정의된다.[12]
명제 논리는 명제를 기본 단위로 다루는 논리 체계이다. 명제 논리에서 논리식(명제식)은 명제 변수와 논리 연결사(¬, ∧, ∨, →, ↔)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논리식은 명제 논리, 1차 논리, 고차 논리 등에서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논리식은 φ와 같은 기호 문자열이며, φ에 있는 모든 자유 변수가 인스턴스화되면 "φ가 참인가?"를 묻는 것이 가능하다. 형식 논리에서 수학적 증명은 특정 속성을 가진 논리식의 시퀀스로 표현될 수 있으며, 시퀀스의 마지막 논리식이 증명된 것이다.
"논리식"이라는 용어는 종이나 칠판 등에 쓰인 기호에 사용될 수 있지만, 논리식은 논리식의 토큰 인스턴스인 기호로 표현되는 기호 시퀀스로 더 정확하게 이해된다. "속성"의 모호한 개념과 잘 형성된 논리식의 귀납적으로 정의된 개념 사이의 구분은 바일의 1910년 논문 "수학적 기본 개념의 정의에 관하여"에 기원을 두고 있다.[12] 따라서 동일한 논리식이 두 번 이상 쓰일 수 있으며, 논리식은 원칙적으로 물리적 우주 내에서 전혀 쓰일 수 없을 정도로 길 수도 있다.
논리식 자체는 구문론적 대상이며, 해석을 통해 의미가 부여된다. 예를 들어 명제 논리식에서 각 명제 변수는 구체적인 명제로 해석될 수 있고, 전체 논리식은 이러한 명제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그러나 논리식은 단독으로 논리식으로 간주되기 위해 해석될 필요는 없다.
3. 명제 논리
3. 1. 명제 논리의 구문론
명제 논리의 공식, 즉 명제 공식은 와 같은 표현이다.[13] 이러한 공식의 정의는 명제 변수의 집합 ''V''를 임의로 선택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알파벳은 ''V''에 있는 문자들과 명제 연결사의 기호, 괄호 "("와 ")" (모두 ''V''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가정)로 구성된다. 공식은 이 알파벳에 대한 특정 표현식(즉, 기호의 문자열)이 된다.
공식은 다음과 같이 귀납적 정의된다.
이 정의는 변수 집합이 유한하다면 Backus–Naur form으로 형식 문법으로 작성할 수도 있다.
이 문법을 사용하면 (((''p'' → ''q'') ∧ (''r'' → ''s'')) ∨ (¬''q'' ∧ ¬''s''))와 같은 기호의 시퀀스는 문법적으로 옳기 때문에 공식이다. 반면, ((''p'' → ''q'')→(''qq''))''p''))와 같은 기호의 시퀀스는 문법에 따르지 않으므로 공식이 아니다.
복잡한 공식은 예를 들어 괄호가 많아 읽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연산자 간에 우선순위 규칙(표준 수학적 연산 순서와 유사)이 가정되어 일부 연산자가 다른 연산자보다 더 강하게 결합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우선순위(가장 강한 결합에서 가장 약한 결합 순서)가 1. ¬ 2. → 3. ∧ 4. ∨라고 가정하면, ((''p'' → ''q'') ∧ (''r'' → ''s'')) ∨ (¬''q'' ∧ ¬''s''))는 ''p'' → ''q'' ∧ ''r'' → ''s'' ∨ ¬''q'' ∧ ¬''s'' 와 같이 축약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공식의 서면 표현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규칙일 뿐이다. 예를 들어, 우선순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연관되어 다음과 같은 순서로 가정된다면: 1. ¬ 2. ∧ 3. ∨ 4. →, 위의 동일한 공식(괄호 없이)은 (''p'' → (''q'' ∧ ''r'')) → (''s'' ∨ (¬''q'' ∧ ¬''s''))와 같이 다시 작성된다.
4. 술어 논리
명제 논리를 확장한 술어 논리는 대상, 술어, 함수, 양화사(∀, ∃)를 사용하여 더 복잡한 문장을 표현할 수 있다. 술어 논리에서 논리식은 원자 논리식으로부터 논리 연산을 유한 번 적용하여 얻을 수 있는 문자열로 정의되며, 이는 보통 재귀적으로 정의된다.
4. 1. 술어 논리의 구문론
일계 논리 에서 수식은 해당 이론의 서명과 관련하여 정의된다. 서명은 상수 기호, 술어 기호, 함수 기호 및 함수와 술어 기호의 항수를 지정한다.수식은 다음과 같이 여러 단계를 거쳐 재귀적으로 정의된다.
먼저, '''항'''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변수는 항이다.
# 서명의 상수 기호는 항이다.
# ''f''(''t''1,...,''t''''n'') 형태의 표현식은 항이다. (단, ''f''는 ''n''항 함수 기호, ''t''1,...,''t''''n''는 항)
다음으로, '''원자식'''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t''1과 ''t''2가 항이라면, ''t''1=''t''2는 원자식이다.
# ''R''이 ''n''항 술어 기호이고, ''t''1,...,''t''''n''가 항이라면, ''R''(''t''1,...,''t''''n'')는 원자식이다.
마지막으로, '''수식'''은 다음을 만족하는 원자식 집합을 포함하는 가장 작은 집합으로 정의된다.
# 가 수식이면, 는 수식이다.
# 와 가 수식이면, 와 는 수식이다.
# 가 변수이고 가 수식이면, 는 수식이다.
# 가 변수이고 가 수식이면, 는 수식이다. (는 의 약어로 정의할 수 있다.)
수식에 변수 에 대한 또는 가 없으면, '''양화사가 없는''' 수식이라고 한다. ''존재 수식''은 존재적 양화 시퀀스로 시작하여 양화사가 없는 수식이 뒤따르는 수식이다.
5. 원자식과 개방식
원자식은 논리 연결사나 양화사를 포함하지 않는 논리식이다.[14] 명제 논리에서 원자식은 명제 변수이다. 술어 논리의 경우, 원자는 술어 기호와 해당 인수로 구성되며, 각 인수는 항이다.[14]
개방식은 양화사를 제외하고 논리 연결사만 사용하여 원자식을 결합하여 형성된다.[14]
6. 닫힌식
'''닫힌 공식'''은 '''기저 공식''' 또는 '''문장'''이라고도 하며, 자유롭게 나타나는 변수가 없는 공식이다. 만약 '''A'''가 일차 논리 언어의 공식이고, 여기서 변수 가 자유롭게 나타난다면, 가 앞에 붙은 '''A'''는 '''A'''의 ''전체 폐쇄''이다.
7. 논리식의 속성
- 언어 의 논리식 '''A'''가 의 모든 해석에 대해 참이면 ''타당''하다.
- 언어 의 논리식 '''A'''가 의 어떤 해석에 대해 참이면 ''만족''하다.
- 산술 언어의 논리식 '''A'''가 결정 가능 집합을 나타내는 경우, 즉 '''A'''의 자유 변수에 대한 대입이 주어졌을 때, 결과로 나온 '''A'''의 인스턴스가 증명 가능하거나 그 부정이 증명 가능하다고 말해주는 유효 방법이 있으면 ''결정 가능''하다.
8. 용어의 사용
초창기 수학 논리 연구에서 '논리식'이라는 용어는 기호로 이루어진 모든 문자열을 가리켰으나, 현대에는 잘 구성된 논리식만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15] 몇몇 저자들은 단순히 '공식'이라고도 표현한다.[16][17][18][19] 특히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수학적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경우, '논리식'이라는 용어는 대수적 개념만을 나타내고, 구체적인 문자열 표현 방식은 표기법 문제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
'잘 구성된 논리식(well-formed formula, WFF)'이라는 표현은 학술적인 용어 외에도 대중문화에서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레이먼 앨런이 예일 대학교 로스쿨에 재학 중에 개발한 학술 게임 "WFF 'N PROOF"는 WFF라는 용어를 활용한 말장난을 사용한다.[20] 이 게임은 어린이들에게 기호 논리의 원리를 가르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폴란드 표기법을 사용한다.[21] 게임의 이름은 예일 대학교의 응원가로 사용된 무의미한 단어인 ''휘펀푸프''에서 유래했다.[22]
참조
[1]
서적
[2]
서적
Introduction to Logic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2-09-11
[3]
서적
Discrete Mathematics Using a Computer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04-17
[4]
서적
Symbolic Logic: Syntax, Semantics, and Proof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3
[5]
서적
Essentials of Symbolic Logic - Third Edition
https://books.google[...]
Broadview Press
2008-03-17
[6]
서적
A Pocket Guide to Formal Logic
Broadview Press
2022-10-24
[7]
서적
Discrete Algorithmic Mathematics, Third Edition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05-01-21
[8]
서적
The Philosopher's Dictionary - Third Edition
https://books.google[...]
Broadview Press
2002-05-06
[9]
서적
The Relational Database Dictionary, Extended Edition
https://books.google[...]
Apress
2008-10-14
[10]
서적
The New Relational Database Dictionary: Terms, Concepts, and Examples
https://books.google[...]
"O'Reilly Media, Inc."
2015-12-21
[11]
서적
Essentials of Symbolic Logic
https://books.google[...]
Broadview Press
1998-12-10
[12]
간행물
2016
[13]
서적
First-order logic and automated theorem proving
https://books.google[...]
Springer
1996
[14]
서적
Handbook of the history of logic
https://books.google[...]
[15]
문서
Introduction to mathematical logic
1996
[16]
서적
Principles of Mathematical Logic
Chelsea, New York
1950
[17]
서적
A shorter model the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18]
서적
Handbook of Mathematical Logic
North-Holland, Amsterdam
1982
[19]
서적
Mathematical Logic: A Course with Exercis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20]
문서
2002
[21]
문서
[22]
문서
196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