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논장은 팔리 삼장에 포함된 7가지 논서와 설일체유부의 논서를 통칭한다. 팔리 논장에는 법취론, 분별론, 계설론, 인시설론, 논사론, 쌍대론, 발취론이 있으며, 설일체유부 논서는 6론과 7론으로 구분된다. 또한, 붓다고사와 담마팔라 등 여러 주석가들이 팔리 삼장에 대한 주석서를 저술했다. 이러한 논서와 주석서는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 연구되고 있다.
팔리 삼장에 포함된 논장은 다음 7가지가 전부이며, 이외의 논서는 주석서나 장외로 취급한다.
2. 팔리 논장
2. 1. 팔리 논장 7론
팔리 삼장에 포함된 논장은 다음 7가지가 전부이며, 이외의 논서는 주석서나 장외로 취급한다.3. 설일체유부 아비달마
3. 1. 설일체유부 6론과 7론
설일체유부의 논서는 6론과 7론으로 구분된다.[12] 6론은 《아비달마집이문족론(阿毘達磨集異門足論)》(집이문족론, 집이문론, Abhidharma-saṅgītī-paryāya-pāda-śāstrasa), 《아비달마법온족론(阿毘達磨法蘊足論)》(법온족론, 법온론, Abhidharma-dharmaskandha-pāda-śāstrasa), 《아비달마시설족론(阿毘達磨施設足論)》(시설족론,시설론,Prajñapti-śāstrasa), 《아비달마식신족론(阿毘達磨識身足論)》(식신족론, 식신론, Abhidharma-vijñānakāya-pāda-śāstrasa), 《아비달마계신족론(阿毘達磨界身足論)》(계신족론, 계신론, Abhidharma-dhātukāya-pāda-śāstrasa), 《아비달마품류족론(阿毘達磨品類足論)》(품류족론, 품류론, Abhidharma-prakaraṇa-pāda-śāstrasa)을 말하며, 6족론(Abhidharma-śat-padá-satrāsa)이라고도 한다. 7론은 6론에 《아비달마발지론(阿毘達磨發智論)》(발지론, Abhidharma-jñānaprasthāna-śāstrasa)을 더한 것을 말하며, 6족발지라고도 한다.
4. 주석서
4. 1. 붓다고사(Buddhaghosa)의 주석서
붓다고사(Buddhaghosa)는 4-5세기경 상좌부 불교의 대표적인 주석가로, 팔리 삼장 전체에 대한 주석서를 저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붓다고사가 저술했다고 전해지는 팔리 삼장에 대한 14개의 주석 목록은 다음과 같다.팔리 삼장 | 주석 | ||
---|---|---|---|
율장에서 | 율 (일반) | 사만타파사디카 | |
빠띠목카 | 강카비따라니 또는 마띠까타카타 | ||
경장에서 | 디가 니까야 | 수망갈라빌라시니 | |
맛지마 니까야 | 빠판차수다니 | ||
상윳타 니까야 | 사라타파카시니 | ||
앙굿따라 니까야 | 마노라타푸라니 | ||
쿳다카 니까야에서 | 쿳다까빠타 | 파라맛타조티카 (I) | |
담마빠다 | 담마빠다-앗타카타 | ||
숫타니파타 | 파라맛타조티카 (II),[3] | ||
자타카 이야기 | 자타카-앗타바나, | ||
논장에서 | 담마상가니 | 앗타살리니 | |
위방가 | 삼모하비노다니 | ||
다뚜까타 | 판차파카나라타카타 | ||
뿍갈라빤냐띠 | |||
까타왓투 | |||
야마까 | |||
빠타나 |
하지만, 《청정도론》과 처음 네 개의 니까야에 대한 주석만이 붓다고사의 저술로 학자들의 합의를 얻고 있다.[4]
4. 2. 담마팔라(Dhammapala)의 주석서
담마팔라(Dhammapala)는 붓다고사(Buddhaghosa) 이후의 주석가로, 정확한 생몰 연대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7세기까지 활동했을 것으로 추정된다.[5] 담마팔라는 《소부(Khuddaka Nikaya)》에 속하는 경전들에 대한 주석서를 저술했으며, 그의 주석서는 《빠라맛타딥빠니(Paramatthadipani)》라고 불린다.[5]담마팔라의 《소부》 주석서에는 《우다나(Udana)》에 대한 주석인 《우다나 주석(Udana-atthakatha)》, 《이티붓따까(Itivuttaka)》에 대한 주석인 《이티붓따까 주석(Itivuttaka-atthakatha)》, 《비마나왓투(Vimanavatthu)》에 대한 주석인 《비마나왓투 주석(Vimanavatthu-atthakatha)》, 《뻬따왓투(Petavatthu)》에 대한 주석인 《뻬따왓투 주석(Petavatthu-atthakatha)》, 《테라가타(Theragatha)》에 대한 주석인 《테라가타 주석(Theragatha-atthakatha)》, 《테리가타(Therigatha)》에 대한 주석인 《테리가타 주석(Therigatha-atthakatha)》, 그리고 《짜리야삐따까(Cariyapitaka)》에 대한 주석인 《짜리야삐따까 주석(Cariyapitaka-atthakatha)》가 포함된다.[5]
4. 3. 기타 주석서
- 우파세나가 저술한 니데사에 대한 주석인 삿담마빠조띠까(Saddhammappajjotikā).
- 마하나마(또는 마하비다나)가 저술한 빠띠삼비다마가에 대한 주석인 삿담마빠까시니(Saddhammappakāsinī).
- 작자 미상의 아빠다나에 대한 주석인 위숫다자나빌라시니(Visुद्धajanavilāsinī).
- 붓다닷따가 저술한 것으로 알려진 붓다왕사에 대한 주석인 마두랏타빌라시니(Madhuratthavilāsinī).
넷띠빠까라나, 뻬따꼬빠데사, 밀린다왕의 세 권의 책이 일부 판본의 슛타니까야에 포함되어 있다. 이 중 표준 판본에는 넷띠빠까라나에 대한 주석만 있다.
5. 판본
아비달마 주석서는 서기 4세기경에 성립된 이후 각지에서 편찬이 계속되어 지역과 시대에 따라 내용이 변화해 왔으며, 여러 판본으로 파악된다.[7] 내용이 가장 적고 간결한 것은 태국판(1992년)이다.[7] 태국판은 붓다고사(불음, Buddhaghosa)의 빨리 경전 전체에 대한 12개의 주석 (율장 1개, 경장의 장부, 중부, 상응부, 증지부에 각각 하나씩, 소부 4개, 논장 3개), 담마팔라(호법, Dhammapala)의 소부 내 7개 경전에 대한 4개의 주석, 그 외 승려들의 소부 내 다른 경전에 대한 4개의 주석으로 구성된다.[7]
미얀마 제6차 결집본(Chaṭṭha-Saṅgāyanapi)[8] 및 사이먼 헤와비타네 베케스트에 의한 싱할라본에는 붓다고사의 청정도론(Visuddhimagga)(미얀마본[8]과 싱할라본[9] 모두에 나타남), 빠띠목카(파티목카, en) 및 붓다고사에 의한 주석,[10] 담마팔라의 넷티빠까라나(Nettipakarana) 주석, 비나야상가하(Vinayasaṅgahapi, 12세기경 사리풋타가 사만타파사디카 Samantapasadika에서 인용),[11] 사라타삼뭇차야(Sāratthasamuccayapi, 별명: Catubhānavāratthakathāpi, 호경 (Parittapi) 주석. 싱할라본만 해당. 미얀마본에는 없음) 등이 추가로 포함되어 있다.
6. 번역
팔리 아비달마 논서와 주석서는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연구되고 있다. 청정도론(Visuddhimagga)은 1923년부터 1931년까지 Pe Maung Tin에 의해 번역되었고, 나나몰리에 의해 "정화의 길"로 번역되어 1956년에 출판되었다. 사만타파사디카(Samantapasadika)는 N. A. Jayawickrama가 "율장의 시작"을 번역하였고, 중국어 각색본은 P. V. Bapat & Akira Hirakawa가 번역했다. 빠띠목카(Patimokkha)는 K. R. 노먼이 2001년에 번역했다. 캉카비타라니(Kankhavitarani)는 K. R. 노먼 & William Pruitt가 번역본을 준비 중이다.
수망갈라빌라시니(Sumangalavilasini)의 일부는 1830년대 학술지에 번역되었고, 범망경(테라바다)(Brahmajala Sutta (Theravada)), 사문과경(Samannaphala Sutta), 대인연경(Maha Nidana Sutta) 주석은 보디가 번역했다. 대반열반경(Mahaparinibbana Sutta) 주석은 양규 안(Yang-Gyu An)이 2003년에 번역했다.
빠빤차수다니(Papancasudani)의 일부 중 근본설법경(Mulapariyaya Sutta) 주석은 보디가, 정견경(Sammaditthi Sutta) 주석은 나나몰리가, 사념처경(Satipatthana Sutta) 주석은 소마가 번역했다. 사랏타파카사니(Sāratthappakāsānī)의 칠각지경(Bojjhaṅgasaṃyutta) 및 오근경(Indriyasaṃyutta)은 Aggācāra Dhamma가 번역했다. 마노라타푸라니(Manorathapurani)의 일부는 Mabel Bode가 번역했다.
쿠다카파타(Khuddakapatha)에 대한 파라맛타조티카(Paramatthajotika)는 나나몰리가 번역했다. 담마빠다(Dhammapada) 주석은 E. W. Burlingame와 존 로스 카터 & 마힌다 팔리하와다나가 번역했다. 우다나(Udana) 주석과 이띠붓따까(Itivuttaka) 주석은 피터 메이스필드가 번역했다. 비마나왓투(Vimanavatthu) 주석은 피터 메이스필드가, 뻬따왓투(Petavatthu) 주석은 U 바 꾜 & 피터 메이스필드가 번역했다. 테라가타(Theragatha) 주석은 C. A. F. Rhys Davids가, 테리가타(Therigatha) 주석은 윌리엄 프루이트가 번역했다.
자타카(Jataka) 주석의 서문은 N. A. Jayawickrama가, 나머지는 E. B. Cowell 등이 번역했다. 빠띠삼비다막가(Paṭisambhidāmagga) 주석의 두 번째 부분은 Dr. Thiri Nyunt가 번역했고, 세 번째 부분은 Aggācāra Dhamma에서 준비 중이다. 마두랏타빌라시니(Madhuratthavilasini)는 I. B. 호너가 번역했다. 앗타살리니(Atthasalini)는 Pe Maung Tin이, 삼모하비노다니(Sammohavinodani)는 나나몰리가 번역했다. 까타왓투(Kathavatthu) 주석은 B. C. Law가 번역했다.
참조
[1]
웹사이트
Rhys Davids & Stede (1921–25), pp. 24-25
https://archive.toda[...]
[2]
서적
Pali Literature
Otto Harrassowitz
1983
[3]
문서
[4]
문서
[5]
간행물
Encyclopedia of Buddhism
[6]
웹사이트
Rhys Davids & Stede (1921-25), pp. 24-25
http://dsal.uchicago[...]
[7]
논문
Journal of the Pali Text Society
2002
[8]
간행물
The Light of the Dhamma
http://www.myanmarne[...]
1981
[9]
서적
Pali Atthakatha Correspondence Table
Pali Text Society
1994
[10]
서적
The Patimokkha
Pali Text Society
2001
[11]
논문
Journal of the Pali Text Society
2006
[12]
서적
계율학 개론
http://www.sejon.or.[...]
민족사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