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농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농지는 농업에 사용되는 토지를 의미하며, 1990년 기준 세계 농지 면적은 약 38,488,090km²였다. 2010년대에는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FAO) 자료를 바탕으로 경작지 면적을 파악했으며, 2013년 세계 경작지는 14억 700만 헥타르였다. 경작 불가능한 땅을 농지로 바꾸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부적절한 관개, 도시화, 산림 벌채 등으로 인해 농지가 황폐화되는 경우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농지 -
    논은 물을 가두어 벼를 재배하는 농경지를 의미하며, 벼농사는 아시아 각 지역으로 확산되어 문화와 연관되고, 다양한 농업 기술과 환경적 요소를 포함하며 메탄 배출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 농지 -
    물을 대지 않고 농작물을 재배하는 경작지인 밭은 육전이라고도 불리며, 아시아 농업에서 벼농사만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밀, 보리, 콩 등 다양한 작물을 재배하며,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에서는 '패독'이라는 용어가 밭과 유사한 의미로 사용된다.
  • 농업 - 비료
    비료는 식물 생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거나 토양을 개선하여 작물 생산성을 높이는 물질로, 질소, 인, 칼륨 등의 영양소를 함유하며 유기질 비료와 무기질 비료로 나뉘지만 과도한 사용은 환경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 농업 - 사직단
    사직단은 토지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던 제단으로, 한국의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 중국의 명청시대까지 존재했으며, 현재는 한국의 사직단 터 일부와 중국 베이징의 사직단이 남아 각 지역 문화재로 보호받고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농지

2. 지역별 분포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가 발행한 1990년도 토지 자원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농지 현황은 다음과 같다.[15]

지역잠정적인 농지 총면적 (km2)보호률재배율최종적인 농지 총면적 (km2)1994년 당시 활용되던 농지 면적 (관개 포함, km2)
사하라 사막 이남 지역11,194,9204.31.910,500,8301,576,080
북아프리카·근동500,1704.06.4448,150715,800
북아시아·우랄 산맥 동부 지역2,868,0001.52.32,759,0201,755,400
아시아·오세아니아8,125,5104.73.97,426,7204,777,060
중앙아메리카·남아메리카10,480,7105.31.29,799,4601,433,520
북아메리카4,639,6604.92.14,314,8802,332,760
유럽3,631,2005.05.83,239,0302,043,220
세계41,440,1704.42.638,488,09014,633,840



2010년대 국가별 농지 현황은 국제 연합 산하 식량 농업 기구(FAO)의 자료에 기반한다. 2013년 세계 경작지는 14억 700만 헥타르였으며, 이는 농업에 사용되는 총 49억 2400만 헥타르의 일부였다.[6]

경작 가능한 농지 면적, OWID


2015년부터 2019년까지 경작지 면적 기준 상위 10개 국가 및 지역은 다음과 같다.[7]

경작지 면적 (1,000 ha)
순위국가 또는 지역20152016201720182019
1미국156,645157,191157,737157,737157,737
2인도156,413156,317156,317156,317156,067
3러시아121,649121,649121,649121,649121,649
4중국119,593119,512119,477119,475119,474
5브라질54,51855,14055,76255,76255,762
6캐나다38,28238,53038,50938,69038,648
7나이지리아34,00034,00034,00034,00034,000
8우크라이나32,77532,77632,77332,88932,924
9아르헨티나36,68835,33733,98532,63332,633
10오스트레일리아31,09030,05730,75230,97430,573


2. 1. 상세 현황 (1990년)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가 발행한 1990년도 토지 자원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농지 현황은 다음과 같다.[15]

지역잠정적인 농지 총면적 (km2)보호률재배율최종적인 농지 총면적 (km2)1994년 당시 활용되던 농지 면적 (관개 포함, km2)
사하라 사막 이남 지역11,194,9204.31.910,500,8301,576,080
북아프리카·근동500,1704.06.4448,150715,800
북아시아·우랄 산맥 동부 지역2,868,0001.52.32,759,0201,755,400
아시아·오세아니아8,125,5104.73.97,426,7204,777,060
중앙아메리카·남아메리카10,480,7105.31.29,799,4601,433,520
북아메리카4,639,6604.92.14,314,8802,332,760
유럽3,631,2005.05.83,239,0302,043,220
세계41,440,1704.42.638,488,09014,633,840


2. 2. 국가별 농지 현황 (2010년대)

2010년대 국가별 농지 현황은 국제 연합 산하 식량 농업 기구(FAO)의 자료에 기반한다. 2013년 세계 경작지는 14억 700만 헥타르였으며, 이는 농업에 사용되는 총 49억 2400만 헥타르의 일부였다.[6]

1990년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가 발행한 토지 자원 보고서에 따르면, 1994년 당시 활용되던 농지 면적(관개 포함)은 14,633,840 km2였다.[15] 지역별 잠정적인 농지 총면적, 보호율, 재배율, 최종적인 농지 총면적은 아래 표와 같다.

지역잠정적인 농지 총면적 (km2)보호률재배율최종적인 농지 총면적 (km2)1994년 당시 활용되던 농지 면적 (관개 포함, km2)
사하라 사막 이남 지역11,194,9204.31.910,500,8301,576,080
북아프리카·근동500,1704.06.4448,150715,800
북아시아·우랄 산맥 동부 지역2,868,0001.52.32,759,0201,755,400
아시아·오세아니아8,125,5104.73.97,426,7204,777,060
중앙아메리카·남아메리카10,480,7105.31.29,799,4601,433,520
북아메리카4,639,6604.92.14,314,8802,332,760
유럽3,631,2005.05.83,239,0302,043,220
세계41,440,1704.42.638,488,09014,633,840



2015년부터 2019년까지 경작지 면적 기준 상위 10개 국가 및 지역은 다음과 같다.[7]

경작지 면적 (1,000 ha)
순위국가 또는 지역20152016201720182019
1미국156,645157,191157,737157,737157,737
2인도156,413156,317156,317156,317156,067
3러시아121,649121,649121,649121,649121,649
4중국119,593119,512119,477119,475119,474
5브라질54,51855,14055,76255,76255,762
6캐나다38,28238,53038,50938,69038,648
7나이지리아34,00034,00034,00034,00034,000
8우크라이나32,77532,77632,77332,88932,924
9아르헨티나36,68835,33733,98532,63332,633
10오스트레일리아31,09030,05730,75230,97430,573


2. 3. 1인당 경지 면적 (2013년)

2013년,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가 발행한 1990년도 토지 자원 보고서를 바탕으로[15] 전세계의 경지 면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지역잠정적인 농지 총면적 (km2)보호률재배율최종적인 농지 총면적 (km2)1994년 당시 활용되던 농지 면적 (관개 포함, km2)
사하라 사막 이남 지역11,194,9204.31.910,500,8301,576,080
북아프리카·근동500,1704.06.4448,150715,800
북아시아·우랄 산맥 동부 지역2,868,0001.52.32,759,0201,755,400
아시아·오세아니아8,125,5104.73.97,426,7204,777,060
중앙아메리카·남아메리카10,480,7105.31.29,799,4601,433,520
북아메리카4,639,6604.92.14,314,8802,332,760
유럽3,631,2005.05.83,239,0302,043,220
세계41,440,1704.42.638,488,09014,633,840



자호리에 지역의 들판(슬로바키아 서부)


|thumb|right|upright=1.35|스페인 카르데혼의 해바라기 밭]]

2013년, 국가별 1인당 경지 면적(헥타르)은 다음과 같다.[7]

국가2013
오스트레일리아1.999
카자흐스탄1.726
캐나다1.306
아르헨티나0.933
니제르0.866
러시아0.852
리투아니아0.774
우크라이나0.715
파라과이0.696
우루과이0.682
라트비아0.600
벨라루스0.589
가이아나0.552
몰도바0.510
미국0.480
에스토니아0.480
불가리아0.479
세르비아0.460
헝가리0.445
루마니아0.438
덴마크0.429
볼리비아0.427
핀란드0.409
말리0.386
토고0.382
중앙 아프리카 공화국0.382
투르크메니스탄0.374
아이슬란드0.374
차드0.373
브라질0.372
부르키나파소0.363
수단0.345
나미비아0.341
체코0.299
폴란드0.284
카메룬0.279
쿠바0.278
프랑스0.277
리비아0.274
이란0.193
캄보디아0.275
스페인0.270
스웨덴0.270
튀르키예0.270
탄자니아0.269
짐바브웨0.268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0.264
베냉0.262
튀니지0.262
기니0.259
슬로바키아0.258
시에라리온0.256
아프가니스탄0.254
니카라과0.253
맨 섬0.253
태국0.249
모로코0.240
아일랜드0.242
잠비아0.243
시리아0.241
말라위0.235
남아프리카 공화국0.235
감비아0.236
그리스0.232
세네갈0.229
벨리즈0.227
라오스0.226
키르기스스탄0.223
알바니아0.213
모잠비크0.213
앙골라0.209
크로아티아0.206
아제르바이잔0.204
미얀마0.203
북마케도니아0.199
몽골0.198
나이지리아0.197
가봉0.197
알제리0.196
우간다0.189
피지0.187
멕시코0.186
가나0.180
기니비사우0.171
파키스탄0.168
오스트리아0.160
에티오피아0.160
노르웨이0.159
적도 기니0.151
아르메니아0.150
통가0.152
마다가스카르0.153
이라크0.147
독일0.145
우즈베키스탄0.145
파나마0.148
스와질란드0.140
페루0.136
코트디부아르0.134
부탄0.133
케냐0.133
동티모르0.131
온두라스0.130
엘살바도르0.120
보츠와나0.125
콩고 공화국0.125
인도0.123
뉴질랜드0.123
그루지야0.119
레소토0.119
모리타니0.116
라이베리아0.116
부룬디0.115
룩셈부르크0.115
이탈리아0.113
수리남0.112
카보베르데0.108
포르투갈0.107
소말리아0.107
르완다0.107
타지키스탄0.106
사우디 아라비아0.102
아이티0.103
콩고 민주 공화국0.098
영국0.098
인도네시아0.09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0.094
세인트키츠 네비스0.092
베네수엘라0.089
코모로0.086
슬로베니아0.085
도미니카 연방0.083
바누아투0.079
에콰도르0.076
네팔0.076
도미니카 공화국0.078
중화인민공화국0.078
벨기에0.073
칠레0.074
베트남0.071
리히텐슈타인0.070
키프로스0.070
스리랑카0.063
과테말라0.064
페로 제도0.062
네덜란드0.062
모리셔스0.060
필리핀0.057
아메리칸 사모아0.054
스위스0.050
코스타리카0.049
방글라데시0.049
예멘0.049
상투메 프린시페0.048
팔라우0.048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0.046
앤티가 바부다0.044
자메이카0.044
사모아0.042
파푸아뉴기니0.041
바베이도스0.039
안도라0.038
마셜 제도0.038
콜롬비아0.036
솔로몬 제도0.036
이스라엘0.035
영국령 버진아일랜드0.034
일본0.033
요르단0.032
산마리노0.032
말레이시아0.032
이집트0.031
대한민국0.030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0.030
그레나다0.028
채널 제도0.026
레바논0.025
누벨칼레도니0.024
몰타0.021
바하마0.021
아루바0.019
트리니다드 토바고0.019
미크로네시아 연방0.019
북마리아나 제도0.019
키리바시0.018
푸에르토리코0.017
세인트루시아0.016
그린란드0.016
몬테네그로0.013
브루나이0.012
서안 지구 및 가자 지구0.011
몰디브0.010
오만0.010
미국령 버진아일랜드0.010
프랑스령 폴리네시아0.009
카타르0.007
0.006
버뮤다0.005
아랍에미리트0.004
쿠웨이트0.003
케이맨 제도0.003
지부티0.002
바레인0.001
세이셸0.001
중화인민공화국 홍콩 특별행정구0.000
싱가포르0.000


3. 경작 불가능한 땅

백분율로 표시한 세계의 농지


경작이 불가능한 땅은 적어도 몇 가지 이유로 농사를 지을 수 없다. 맑은 물의 수원이 없거나, 너무 덥거나 (사막의 경우), 춥거나 (북극의 경우), 바위나 산, 소금기가 너무 많거나, 비나 눈이 많이 내리거나, 심하게 오염되었거나, 영양분이 없기 때문이다. 적운으로 인해 식물의 광합성에 필요한 햇빛이 줄어들면 식물의 생산력이 줄어들고, 식물은 빛이 없으면 굶어 죽게 된다. 흔히 기아와 유목은 농경을 어렵게 하며, 경작이 불가능한 땅은 "'''불모지'''", "'''황무지'''", "'''사람이 없는 땅'''"이라고도 부른다.

그러나 경작이 불가능한 땅이 농지로 변하고 있다. 새로운 농지는 더 많은 식량을 통해 기아를 줄인다. 그 이유는 식품의 수입 감소로 인한 나라의 정치적 독립과 자급자족 때문이다. 경작이 불가능한 땅은 농지로 흔히 새로운 관개 수로와 우물, 수로, 담수화 공장, 나무를 그늘에 심는 등 사막을 파는 것을 포함한 수경법, 비료, 질소 비료, 살충제, 물 역삼투 처리 장치, PET 필름 절연 혹은 그 외의 절연은 높은 열과 추위에, 수로와 언덕을 파는 것은 바람에 강해야 하며, 온실은 내부의 빛과 열이 외부의 추위와 많은 구름으로부터 보호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은 흔히 비용이 극히 많이 든다.

다음은 메마른 '''황무지'''가 풍요로운 '''농지'''로 변한 사례들이다.

  • 아란 제도: 아일랜드의 서부 연안 근처에 위치한 아란 제도는 바위가 너무 많아 경작에 적합하지 않았다. 사람들은 섬을 감싸고 있는 바다로부터 모래와 해조의 얕은 층을 간척하여 이를 농지로 만들었다. 오늘날 이 곳은 농작물이 재배된다.
  • 이스라엘: 이스라엘은 주로 사막에 담수화 공장을 건설하고 있는데, 이는 바닷물의 소금기를 제거한 물을 농업이나 마시거나 씻는 데 사용되는 물의 새로운 수원으로 삼는다.
  • 화전 농업은 나무의 재에 들어 있는 영양소를 사용하지만, 이는 수년 내에 사라진다.
  • 테라프레타: 숯에 의해 생겨난 풍요로운 열대 지방의 토양이다.


다음은 풍요로운 '''농지'''가 메마른 '''황무지'''로 변한 사례들이다.

  • 미국은 대공황으로 인해 농지가 더스트 볼이라고도 부르는 사막으로 변하였다.
  • 우림 벌채: 풍부한 열대 우림은 메마른 사막으로 변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마다가스카르의 중앙 고지대 고원은 사실상 불모지 (마다가스카르 국토의 10퍼센트를 차지함)가 되었는데, 이는 화전 농업의 요소인 숙련된 수많은 원주민들의 이동 경작을 통해 생긴 삼림 벌채로 인한 결과이다.
  • 도시의 확산: 미국은 1992년에서 2003년 사이에 8,900 평방미터의 땅이 도시 면적에 편입되었다.
  • 매년 농지가 사막화와 침식, 인간의 산업 활동으로 인해 없어지고 있다. 농지의 부적절한 관개로 인해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 등의 물질이 지면과 수면을 통해 생기며, 염해 과정이 끊임없이 집중되면 소금기에 강한 농작물의 생산력이 줄어들게 된다.


인도네시아 자바 중부 살라티가 근처 논밭을 가는 물소


영국 요크셔주 동부의 목초지

3. 1. 경작 불가능한 땅을 농지로 전환하는 방법



경작이 불가능한 땅은 대개 맑은 물이 부족하거나, 너무 덥거나(사막), 춥거나(북극), 바위, 산, 소금기, 많은 비나 눈, 심한 오염, 영양분 부족 등의 이유로 농사를 지을 수 없다. 적운으로 인한 햇빛 부족은 식물의 광합성을 저해하여 생산력을 감소시키고, 빛이 없으면 식물은 굶어 죽는다. 기아와 유목은 농경을 어렵게 하며, 경작 불가능한 땅은 "'''불모지'''", "'''황무지'''", "'''사람이 없는 땅'''" 등으로 불린다.

하지만 경작 불가능한 땅을 농지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새로운 농지는 식량 생산을 늘려 기아를 줄이고, 식량 수입 감소를 통해 국가의 정치적 독립과 자급자족을 돕는다. 이를 위해 새로운 관개 수로와 우물, 수로, 담수화 공장, 나무 심기, 수경법, 비료, 질소 비료, 살충제, 물 역삼투 처리 장치, PET 필름 절연, 온실 설치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은 흔히 비용이 많이 든다.

다음은 황무지가 농지로 바뀐 사례들이다.

  • 아란 제도: 아일랜드 서부 연안의 이 섬들은 바위가 많아 경작에 부적합했지만, 사람들은 해조류와 모래를 이용해 얕은 토양층을 만들어 농지로 전환했다.
  • 이스라엘: 사막에 담수화 공장을 건설하여 바닷물의 소금기를 제거하고, 이를 농업, 식수, 세척 등에 사용되는 새로운 수자원으로 활용하고 있다.
  • 화전 농업은 나무의 재에 있는 영양소를 활용하지만, 이는 수년 내에 사라진다.
  • 테라프레타: 숯을 활용하여 만들어진 비옥한 열대 토양이다.


반대로 풍요로운 농지가 황무지로 변한 사례도 있다. 미국의 더스트 볼, 우림 벌채로 인한 마다가스카르 중앙 고지대의 황폐화, 도시의 확산, 부적절한 관개로 인한 염해 등이 그 예시이다.

3. 2. 농지가 황무지로 변하는 경우



경작이 불가능한 땅은 맑은 물이 부족하거나, 너무 덥거나(사막) 춥거나(북극), 바위나 산, 소금기가 많거나, 비나 눈이 많이 내리거나, 심하게 오염되었거나, 영양분이 없는 등의 이유로 농사를 지을 수 없다. 적운은 식물의 광합성에 필요한 햇빛을 줄여 식물의 생산력을 감소시키고, 빛이 없으면 식물은 굶어 죽게 된다. 기아와 유목은 농경을 어렵게 하며, 경작 불가능한 땅은 "'''불모지'''", "'''황무지'''" 등으로 불린다.

하지만 경작 불가능한 땅이 농지로 변하기도 한다. 새로운 농지는 식량 수입 감소를 통해 국가의 정치적 독립과 자급자족을 가능하게 하여 기아를 줄인다. 이러한 변화는 새로운 관개 수로, 우물, 수로, 담수화 공장 건설, 나무 심기, 수경법, 비료, 질소 비료, 살충제, 물 역삼투 처리 장치, PET 필름 절연, 온실 설치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지지만, 비용이 많이 드는 경우가 많다.

풍요로운 '''농지'''가 메마른 '''황무지'''로 변한 사례는 다음과 같다.

  • 미국은 대공황으로 인해 농지가 더스트 볼이라고 부르는 사막으로 변하였다.
  • 우림 벌채로 인해 풍부한 열대 우림은 메마른 사막으로 변하기도 한다. 마다가스카르의 중앙 고지대 고원은 화전 농업의 요소인 원주민들의 이동 경작으로 생긴 삼림 벌채로 인해 불모지가 되었다.
  • 도시의 확산으로 인해 미국은 1992년에서 2003년 사이에 8,900 평방미터의 땅이 도시 면적에 편입되었다.
  • 매년 농지가 사막화와 침식, 인간의 산업 활동으로 인해 없어지고 있다. 농지의 부적절한 관개는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 등의 물질을 지면과 수면으로 끌어올려 염해를 일으키고, 이는 소금기에 강한 농작물의 생산력을 줄어들게 한다.

4. 한국의 농지

4. 1. 농지 문제에 대한 더불어민주당의 입장

5. 나일 강의 사례

나일강은 정기적으로 내리는 홍수로 둑이 범람하였으며, 둑이 범람한 이후에는 물이 빠지고 풍부한 실트가 생겨났다. 실트는 농작물에 뛰어난 비료를 공급해 주었으나 토지가 많이 번성하더라도 영양은 빈약했기 때문에 풍요로운 새 실트를 다음 홍수 때까지 맡겨 놓았다. 제방과 같은 홍수 조절 계획은 인간의 쾌적한 삶을 증가하기도 하지만, 농지의 양과 질에 대한 악영향을 주기도 한다.

참조

[1] 간행물 Oxford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Agricultural land (% of land area) http://data.worldban[...]
[3] 웹사이트 Statistical database of th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Glossary http://faostat3.fao.[...]
[4] 웹사이트 Glossary: Arable land http://ec.europa.eu/[...]
[5] 서적 IPCC Special Report on Climate Change, Desertification, Land Degradation, Sustainable Land Management, Food Security, and Greenhouse gas fluxes in Terrestrial Ecosystems https://www.ipcc.ch/[...] In press
[6] 웹사이트 FAOSTAT Land Use module http://faostat3.fao.[...]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2016-07-08
[7] 웹사이트 FAOSTAT Land Use module http://faostat.fao.o[...]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2016-07-08
[8] 문서 Land capability classification
[9] 문서 Summary report 2010 national resources inventory The United States 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10] 웹사이트 Agriculture Capability and the ALR Fact Sheet http://www.alc.gov.b[...] Agricultural Land Commission
[11] 서적 경제학: 원칙을 행동에 https://www.savvas.c[...] 피어슨 프렌티스 홀 2021-02-24
[12] 법률 농지법
[13] 웹사이트 http://www.fao.org/D[...]
[14] 웹사이트 CAPSA Flash Detail http://www.uncapsa.o[...]
[15] 웹사이트 ftp://ftp.fao.org/a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