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방은 홍수 예방, 해상 무역 항로 제공, 강의 흐름 조절 등을 위해 해안, 강가, 호숫가 등에 건설되는 구조물이다. 어원은 프랑스어 'levée'에서 유래되었으며, 'dike' 또는 'dyke'라는 단어는 네덜란드어에서 유래되었다. 제방은 본제, 부제, 횡제, 포위제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하천 제방, 해안 제방, 자연 제방으로 구분된다. 제방은 인공적인 구조물로, 붕괴 시 홍수, 침식, 구조적 결함 등의 원인으로 막대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붕괴를 막기 위해 전기비저항 토모그래피(ERT) 등의 방법이 사용되며, 고규격 제방(슈퍼 제방)과 같은 기술이 개발되었다. 제방 파괴는 국제법상 금지되어 있으며, 제네바협약 추가의정서에서는 원자력발전소, 댐과 함께 무력 공격을 금지하는 '위험한 힘을 내장한 시설물'로 규정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수 조절 - 도시홍수
- 홍수 조절 - 모래자루
모래자루는 홍수 방지, 요새 구축, 토양 안정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자루로, 주로 모래를 담아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 흙, 자갈, 물 등을 활용하고, 군사적 요새 구축이나 재해 시 제방 역할도 수행하며, 최근에는 친환경 재료나 물주머니 형태의 제품도 개발되고 있다. - 제방 - 자연제방
자연제방은 홍수 시 하천 양 기슭에 쇄설물이 퇴적되어 형성되는 지형으로, 물 빠짐이 좋아 취락, 밭, 과수원 등으로 이용되지만, 대규모 하천 범람 및 지진 시 액상화 위험이 있다. - 제방 - 시뉴섬
시뉴섬은 프랑스 파리 센 강에 위치한 인공 섬으로, 파리 미국인 커뮤니티의 기증으로 세워진 자유의 여신상 복제품이 설치되어 있으며 다양한 영화 촬영지로 활용되었다. - 하안지대 - 논
논은 물을 가두어 벼를 재배하는 농경지를 의미하며, 벼농사는 아시아 각 지역으로 확산되어 문화와 연관되고, 다양한 농업 기술과 환경적 요소를 포함하며 메탄 배출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 하안지대 - 수리권
수리권은 물을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하며, 한국, 미국, 잉글랜드 및 웨일스에서 각기 다른 법적 체계로 규정된다.
제방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종류 | 인공 구조물 |
기능 | 홍수 방지, 물길 조절 |
재료 | 흙 돌 콘크리트 기타 |
구조 | |
구성 요소 | 강변 경사면 강변 벤치 제방 상단 육지 경사면 육지 벤치 버름 저수 호안 |
유형 | |
자연 제방 | 강 유역의 자연적인 퇴적물로 형성된 제방 |
인공 제방 | 인간이 건설한 제방 |
역사 | |
기원 | 고대 문명에서 농업 및 거주 지역 보호를 위해 건설 시작 |
발전 | 현대 기술을 이용한 대규모 제방 건설 |
기능 | |
주된 목적 | 홍수 조절 및 방지 |
기타 목적 | 관개 시설 운하 수로 건설 습지 관리 |
설계 및 건설 | |
고려 사항 | 수위 변동 토양 조건 지진 활동 침식 방지 |
건설 방법 | 흙 쌓기 콘크리트 타설 기타 |
유지 보수 | |
점검 사항 | 균열 침하 침식 누수 |
수리 방법 | 흙 보강 콘크리트 보수 호안 공사 |
문제점 및 도전 과제 | |
침식 문제 | 강한 물살로 인한 제방 파괴 |
환경 영향 | 생태계 파괴 퇴적물 변화 |
기후 변화 | 해수면 상승 강우량 증가 |
기타 정보 | |
관련 용어 | 둑 방파제 제방도로 호안 |
참고 자료 | 홍수 위험 감소: 하천을 위한 더 많은 공간 제방 침식 방지 방법 |
2. 어원
미국 영어 사용자는 프랑스어 르베/levée프랑스어(프랑스어 동사 르베/lever프랑스어, '들어올리다'의 여성형 과거분사에서 유래)에서 온 단어인 ''levee''를 사용한다. 이 단어는 1718년 뉴올리언스 건설 후 몇 년 후에 유래하여 나중에 영어 사용자들에 의해 채택되었다.[5] 이 이름은 제방의 능선이 수로와 주변 범람원보다 더 높이 솟아 있는 특징에서 유래한다.
현대적인 단어 ''dike'' 또는 ''dyke''는 네덜란드어 데이크/dijknl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며, 제방 건설은 11세기 초부터 잘 알려져 있다. 1250년까지 완공된 126 km 서프라이스 옴링다이크(Westfriese Omringdijk)는 기존의 오래된 제방들을 연결하여 형성되었다. 로마의 역사가 타키투스는 반란을 일으킨 바타비족(Batavi)이 땅을 침수시키고 후퇴를 보호하기 위해 제방을 뚫었다고 언급한다(70년 CE).[6] 데이크/dijknl라는 단어는 원래 도랑과 제방을 모두 가리켰다. 그것은 영어 동사 ''to dig''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7]
앵글로색슨어에서 dicang이라는 단어는 이미 존재했고, 북부 잉글랜드에서는 ''dick''으로, 남부에서는 ''ditch''로 발음되었다. 네덜란드어와 마찬가지로 이 단어의 영어 어원은 도랑을 파고 파낸 흙을 옆에 제방으로 만드는 데 있다. 따라서 오파의 제방(Offa's Dyke)은 복합 구조물이고 카 다이크(Car Dyke)는 도랑이지만 한때 제방도 있었다. 영국 미들랜즈와 이스트앵글리아 그리고 미국에서는 제방이 영국 남부의 배수로와 같은 의미를 가지며, 경계 표시나 배수로를 의미한다. 하천을 따라 있을 경우, 리핑게일 러닝 다이크(Rippingale Running Dike)처럼 '흐르는 제방'이라고 부를 수 있으며, 이것은 캐치워터 배수로(catchwater drain), 카 다이크에서 린컨셔의 사우스 포티 풋 배수로로 물을 끌어들인다. 와이어 다이크(Weir Dike)는 린컨셔 번(Bourne, Lincolnshire)의 번 노스 펜(Bourne North Fen)에 있는 린컨셔 트웬티(Twenty, Lincolnshire) 근처, 린컨셔 글렌 강(River Glen, Lincolnshire) 옆에 있는 침수 제방(soak dike)이다. 노퍽과 서퍽의 브로드스(The Broads)에서 제방은 배수로이거나 강이나 브로드에서 접근이나 정박을 위한 좁은 인공 수로일 수 있으며, 일부 더 긴 제방에는 캔들 다이크(Candle Dyke)와 같이 이름이 붙여진다.[8]
영국의 특정 지역, 특히 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 북부에서는 제방이 일반적으로 마른돌로 만든 밭둑을 의미할 수 있다.
3. 종류
하천 제방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3. 1. 하천 제방
하천 제방은 주로 홍수 시의 범람을 막기 위해 설치된다.[35]
미국에서는 미시시피 강과 사크라멘토 강을 따라, 유럽에서는 포 강, 라인 강, 마스 강, 론 강, 루아르 강, 비스툴라 강, 네덜란드의 라인 강, 마스/마스 강, 쉘트 강이 이루는 삼각주 지역, 그리고 도나우 강을 따라 눈에 띄는 제방 시스템이 건설되었다. 중국 전국시대 진(秦)나라는 두장옌 관개 시스템(Dujiangyan irrigation system)을 건설하여 수자원을 보존하고 홍수를 방지했다. 이 시스템은 중국 쓰촨성의 민 강(Min River (Sichuan))에 위치하며, 장강(양자강)(Chang Jiang|Yangtze River)의 가장 긴 지류이다.
미시시피 제방 시스템은 세계에서 가장 큰 시스템 중 하나로, 미주리주 케이프 지라르도(Cape Girardeau, Missouri)에서 미시시피 삼각주(Mississippi River Delta)까지 미시시피 강을 따라 약 5,600km(3,500마일)에 걸쳐 1,600km(1,000마일) 이상의 제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18세기에 루이지애나의 프랑스 정착민들이 뉴올리언스 시를 보호하기 위해 시작한 이 제방은[11] 초기에는 높이 약 90cm(3피트), 강변을 따라 약 80km(50마일)에 걸쳐 있었다.[11] 1882년부터 미 육군 공병대는 미시시피 강 위원회와 함께 일리노이주 카이로(Cairo, Illinois)에서 루이지애나의 미시시피 삼각주(Mississippi River Delta) 입구까지 제방 시스템을 확장했고,[11] 1980년대 중반에는 평균 높이 7.3m(24피트), 일부는 15m(50피트)에 달하는 현재 규모에 이르렀다. 미시시피 제방에는 세계에서 가장 긴 연속 제방 중 일부도 포함되어 있으며, 아칸소주 파인 블러프(Pine Bluff, Arkansas)에서 남쪽으로 약 610km(380마일)에 걸쳐 있는 제방이 그 예이다. 미시시피 제방의 규모와 범위는 종종 중국의 만리장성과 비교되기도 한다.[12]
미 육군 공병대(USACE)는 최적 관리 방안으로 셀룰러 컨파인먼트(cellular confinement) 기술(지오셀)을 권장하고 지원하며,[13] 표면 침식, 월류(wave overtopping) 방지, 제방 정상과 하류 사면 보호 문제에 특히 주의를 기울인다. 지오셀 강화는 토양에 인장력을 부여하여 불안정성에 대한 저항력을 높인다.
인공 제방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 하상의 높이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는 강의 하상(bed load)의 양과 종류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지며, 퇴적물이 집중적으로 축적되는 충적(Alluvium) 강에서 이러한 경향이 나타난다. 중국의 황하와 미국의 미시시피 강은 인공 제방으로 인해 하상의 높이가 상승하여 하상이 제방 뒤의 인접 지표면보다 높아진 대표적인 예이다.
하천 제방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일본에서 하천 제방은 하천법에 규정된 하천 관리 시설의 하나로 하천 구역에 포함되므로[35], 사유지에 있더라도 공작물 설치나 토지의 굴착, 조림·벌채 등에는 하천 관리자의 허가가 필요하다. 단, 고규격 제방 특별구역(후술)에서는 규제가 완화된다.
제방 정비 상의 수위로 계획홍수위가 있다.
재해 예방 상의 수위로는 홍수 위험 수위, 대피 판단 수위, 홍수 주의 수위가 있다.[38] 수방법 제10조 및 제11조에 따라 수위 등의 예측이 기술적으로 가능한 유역 면적이 큰 하천으로, 홍수로 인해 국민 경제 생활상 중대한 손해 등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는 하천으로 국토교통대신이나 도도부현지사가 지정하는 것을 홍수 예보 하천이라고 한다.[38] 또한, 수방법 제13조에 따라 홍수 예보 하천을 제외한 하천 중 홍수로 인해 국민 경제 생활상 중대한 손해 등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는 하천으로 국토교통대신이나 도도부현지사가 지정하는 것을 홍수 예보 하천이라고 한다.[38]
일반적인 제방은 범람이 발생하면 토사가 깎여 제방이 무너지는 결과로 이어져 막대한 피해를 초래한다. 만일의 범람에도 급격한 붕괴를 초래하지 않도록, 배후 사면을 3% 이하의 완만한 경사로 한 것을 '''고規格 제방''' 또는 '''슈퍼 제방'''이라고 한다.[39] 고規格 제방에서는 물이 제방 높이를 넘어도 제방 내부로 완만하게 흘러내리기 때문에 피해가 줄어든다고 여겨진다. 1987년에 건설성(현재는 국토교통성)이 리쿠젠타카다의 리쿠젠타카다 역에서 공사를 시작하여, 다른 에도가와, 아라카와, 다마가와, 요도가와, 야마토가와 5개 수계 6개 하천 구간 약 873km의 정비를 대상으로 했다.[40]
고規格 제방의 배후 사면은 고規格 제방 특별 지역으로 지정되어 대규모 지면 굴착 등에 허가가 필요하지만, 일반 토지와 거의 동일하게 건축 및 경작에 이용할 수 있으며 제방 위에 도시가 조성된다. 예를 들어 제방 높이 10m의 고規格 제방에서는 배후 사면의 폭이 30배인 약 300m가 필요한 규격이지만, 이 부분의 토지 매입은 하지 않고 일시 이전 및 재건축 비용을 국가가 부담한 후 소유주에게 토지가 반환된다. 이때 도시 정비가 병행되는 경우도 있다.
고規格 제방 계획의 연장이 축소되기 전에는, 100년에서 200년에 한 번 발생하는 대홍수를 방지하기 위한 총 연장의 건설에 약 400년이라는 막대한 시간과 12조 엔이 넘는 비용이 필요하다고 여겨졌다.[41] 또한 제방 전체를 고規格으로 하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걸리고, 그때까지는 치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는 점에서 비판이 있었다.
슈퍼 제방 사업은 민주당의 사업 선별 과정에서 낭비 사업으로 주목을 받았지만,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을 계기로 재해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규모를 대폭 수정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도 건설이 진행되고 있다.
3. 2. 해안 제방
캐나다 뉴브런즈윅주와 노바스코샤주의 펀디만 연안 습지에는 아카디아인들이 건설한 제방(dykes)이 흔하다. 이 제방에는 "아부아토(aboiteau)"라 불리는 수문이 달려 있어 썰물 때는 배수를 위해 열리고, 밀물 때는 바닷물 유입을 막는다.[14]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밴쿠버 주변 로어 메인랜드에도 저지대 보호를 위한 제방이 있으며, 특히 루루 섬의 리치먼드 시에 많다.
와덴해 해안선을 따라 해안 홍수 예방을 위한 제방이 흔하게 설치되어 있다.[14] 네덜란드에는 거대한 제방들이 건설되어 홍수 방어뿐만 아니라 해수면보다 낮은 땅을 되찾는 역할도 한다.[15]
쓰나미, 고조, 높은 파도의 피해를 막기 위해 해안을 따라 설치되는 둑을 해안 둑(海岸堤防)이라고 한다. 해안 둑의 높이는 계획 고조위에 파도의 영향을 고려한 높이를 더한 것 이상으로 설정된다.[45] 해안 둑은 파랑에 의한 월파를 줄이고, 침식에 의한 토사 유출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45]
특히 높고 튼튼하게 만들어진 둑은 「쓰나미 방파제」 또는 「방파제」라고 불린다. 이와테현미야코시 타오로 지구(구 타오로정)의 타오로 방조제는 높이 10m, 길이 2.4km로, 「타오로 만리장성」으로 불리기도 했다. 이 방조제는 여러 차례 쓰나미 피해를 막았지만, 동일본 대지진의 쓰나미는 막지 못했다.[46] 2011년 3월 11일 동일본 대지진 이후, 해안 보전 시설은 설계 대상 쓰나미 높이를 초과해도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끈기 있는 구조」 개념이 도입되었다.[47][48]
해안 둑은 일반적으로 흙을 쌓아 올린 표면을 콘크리트로 덮어 만든다. 최근에는 식재를 위해 흙을 쌓아 올리기도 하지만, 비용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49]
한편, 이와테현 시모헤이군후타이촌의 후타이 수문과 오타나베 방조제, 쿠노헤군요노정의 방조제는 동일본 대지진에서도 쓰나미를 크게 감소시켜 인적·물적 피해를 최소화했다.[50][51][52] 특히 후타이촌에서는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가옥 피해 및 사망자가 없었다.[53]
3. 3. 자연 제방
자연 제방은 자연 작용에 의해 하천의 주변부에 제방이 형성된 것이다.[17] 일반적으로 인간의 개입 없이 저지대 강과 개울 주변에 형성되며, 하천 제방 바로 옆의 하천 범람원에 형성되는 길쭉한 진흙 및/또는 미사 둑이다.[17] 인공 제방과 마찬가지로 범람원 침수 가능성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17]
제방 퇴적은 미세한 모래, 미사 및 진흙 형태로 많은 부유 퇴적물을 운반하는 곡류 하천의 범람의 자연스러운 결과이다.[17] 하천의 운반 능력은 부분적으로 그 깊이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하천 제방 위의 물에 있는 퇴적물은 주 수로만큼 많은 미세 퇴적물을 부유 상태로 유지할 수 없다.[17] 따라서 과도한 미세 퇴적물은 하천에 가장 가까운 범람원 부분에 빠르게 침전되며, 상당수의 홍수를 거치면서 둑이 형성된다.[17]
주 수로에서 계속해서 퇴적이 발생하면 제방 범람 가능성이 다시 높아지고 제방이 계속 형성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수로 바닥이 결국 주변 범람원 위로 상승하여 제방에 의해서만 둘러싸일 수 있다. 한 예로, 바다 근처 중국의 황하가 있다.[17]
제방은 부유 퇴적물 비율이 높은 모든 하천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따라서 많은 양의 부유 퇴적물을 운반하는 하천에서 더 자주 발생하는 곡류 수로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유사한 이유로, 조류가 많은 양의 연안 미사와 진흙을 가져오는 조수 개울에서도 흔하며, 높은 대조는 범람을 일으키고 제방 형성을 초래한다.
4. 제방의 역할 및 기능
제방은 홍수로부터 인접 지역을 보호하고 안정적인 해상 무역 항로를 제공하며, 강의 흐름을 조절하여 더 빠르고 높은 수류를 만드는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제방은 주로 해안, 강가, 호숫가 또는 간척지를 따라 발견되며, 간척, 군사적 방어, 경계 설정 등의 목적으로도 건설된다.[9][10]
제방은 흙을 쌓아 만든 영구적인 토공사이거나, 홍수 비상 시 급하게 건설되는 임시 구조물(주로 사주머니로 만들어짐)일 수 있다. 가장 초기의 제방은 기원전 2600년경 인더스 문명에서 건설되었으며, 고대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고대 중국 등에서도 대규모 제방 시스템이 건설되었다.[9][10] 1400년대 초에는 멕시코-테노치티틀란과 트라테로코를 보호하기 위한 제방이 건설되기도 했다.
인공 제방은 흙을 쌓아 건설하며, 침식 방지를 위해 표면에 식물을 심거나 돌, 콘크리트 옹벽 등을 설치한다. 제방의 높이와 건설 기준은 길이에 걸쳐 일관성이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강력한 통치 기관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있다.
일본에서 하천 제방은 하천법에 규정된 하천 관리 시설의 하나로 하천 구역에 포함된다.[35] 제방 정비 상의 수위로 계획홍수위가 있으며, 재해 예방 상의 수위로는 홍수 위험 수위, 대피 판단 수위, 홍수 주의 수위가 있다.[38]
5. 제방 설계 및 시공 (일본 기준)
일본에서 제방의 설계 및 시공은 하천의 범람으로부터 사람과 재산을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제방은 하천법에 규정된 하천 관리 시설의 하나로, 하천 구역에 포함된다.[35]
제방을 기준으로 하천이 있는 쪽을 '''제외지'''(堤外), 반대쪽을 '''제내지'''(堤内)라 한다. 제방의 정상부는 천단(天端) 또는 마답(馬踏)이라고 불리며, 계획홍수량에 따라 결정된 폭(3m 이상)을 가진다. 천단에는 하천 관리용 통로가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 포장이 시공된다.
제방의 사면은 사면(のりめん)이라고 하며, 제외지 쪽은 전면사면, 제내지 쪽은 후면사면이라고 한다. 사면 경사는 원칙적으로 50% 이하로 규정되어 있다.
잔디를 심어 사면 붕괴를 방지하며, 수류가 강한 곳은 콘크리트 블록 등으로 호안을 시공한다. 큰 제방(높이 3m 이상)은 소단을 설치하여 안정성을 확보한다.
일본에서는 제방을 완성 제방, 잠정 제방, 잠잠정 제방으로 구분한다. 완성 제방은 계획홍수위에 대해 필요한 높이와 단면을 가지고, 필요에 따라 호안 등을 시공한 것이다.[29] 잠정 제방은 이 중 하나를 충족하는 상태이며, 잠잠정 제방은 어느 것도 충족하지 못하는 제방이다. 폭이 좁은 제방은 면도칼 제방이라고 불린다.[30][31]
제방의 위치는 과거 범람 시 퇴적 토사인 자연 제방을 이용하거나, 인공 하천의 경우 주위 교통로와 하천 흐름을 고려하여 결정된다.[36] 제방의 높이는 계획홍수위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계획홍수량으로부터 유도된다. 계획홍수량은 대상 강우량에 계획확률[37]을 적용하여 계산한다.[36] 제방의 폭은 넘침, 침투, 침식에 대한 안전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36]
도시 지역 등 용지 확보가 어려운 경우, 콘크리트나 강널말뚝을 사용한 특수 제방을 만들 수 있다. 제방 높이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흉벽을 설치하여 높이를 보충한다.
하천 공사에서 성토나 절토를 할 때 정규가 되는 제방의 최소한 필요한 것을 정규 단면이라고 한다. 대하천에서는 약 200미터 간격으로 정기 횡단 측량을 실시한다.
개수 공사에서는 각 지점에서 제방과 호안을 포함한 표준 단면을 정하여 공사를 실시한다. 하지만, 일본의 하천에서는 정규 단면 형상을 거의 그대로 표준 단면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하도 계획에서는 소용돌이나 조도 계수등을 고려하여 하도 단면을 설정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6. 제방 붕괴
자연 제방과 인공 제방은 여러 가지 이유로 붕괴될 수 있다. 제방 붕괴 원인에는 넘침, 침식, 구조적 결함, 제방 포화 등이 있다.[18][19][20][21] 가장 빈번하고 위험한 원인은 제방 붕괴로, 제방의 일부가 무너지거나 침식되어 물이 제방으로 보호되던 땅으로 범람할 수 있는 큰 구멍이 생기는 현상이다. 붕괴는 표면 침식이나 제방의 지하 약화로 인해 갑작스럽거나 점진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붕괴 지점에서 방사형으로 퍼져 나가는 부채꼴 모양의 퇴적물(크레바스 스플레이)을 남길 수 있다. 자연 제방의 경우, 붕괴가 발생하면 제방 건설 과정에 의해 다시 채워질 때까지 틈이 남아있게 되는데, 이는 같은 위치에서 미래에 붕괴가 발생할 가능성을 높인다. 하천 흐름 방향이 틈을 통해 영구적으로 변경된다면 붕괴는 곡류 컷오프 지점이 될 수 있다.
물이 제방의 정상을 넘어설 때 제방이 붕괴되었다고 말하기도 하는데, 이는 범람원에 홍수를 일으키지만 제방을 손상시키지 않기 때문에 미래 홍수에 대한 영향은 적다.
토양 침식은 제방 붕괴를 일으키는 다양한 파괴 메커니즘 중 하나로, 넘침 발생 시 토양 침식과 scour 발생을 예측하는 것은 안정적인 제방과 방수벽을 설계하는 데 중요하다. Briaud 외(2008)는 침식 기능 장치(EFA) 테스트를 사용하여 토양의 침식성을 측정하고, Chen 3D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제방에 대한 수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넘침수의 속도 벡터와 넘침수가 제방에 부딪힐 때 발생하는 scour을 알아냈다.[18] Hughes와 Nadal(2009)는 제방의 침식과 scour 발생에 대한 파랑 넘침과 폭풍 해일 넘침의 결합 효과를 연구했다.[19]
제방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기비저항 토모그래피(ERT)가 사용될 수 있다. 이 비파괴 지구 물리적 방법은 사전에 제방의 중요한 포화 영역을 감지할 수 있게 해주어, 제방이나 제방의 중요 부분에서 조기 경보 시스템으로 작동할 수 있다.[22]
제방이 격렬한 강물의 흐름이나 파랑 등으로 깎여나가거나, 빗물의 침투로 제방의 일부가 무너지는 것을 결壊(けっかい)라고 한다.[44]
6. 1. 원인
자연 제방과 인공 제방은 여러 가지 이유로 붕괴될 수 있다. 제방 붕괴 원인에는 넘침, 침식, 구조적 결함, 제방 포화 등이 포함된다.[18][19][20][21] 가장 빈번하고 위험한 원인은 제방 붕괴로, 제방의 일부가 무너지거나 침식되어 물이 제방으로 보호되던 땅으로 범람할 수 있는 큰 구멍이 생기는 현상이다. 붕괴는 표면 침식이나 제방의 지하 약화로 인해 갑작스럽거나 점진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붕괴 지점에서 방사형으로 퍼져 나가는 부채꼴 모양의 퇴적물(크레바스 스플레이)을 남길 수 있다. 자연 제방의 경우, 붕괴가 발생하면 제방 건설 과정에 의해 다시 채워질 때까지 틈이 남아있게 되는데, 이는 같은 위치에서 미래에 붕괴가 발생할 가능성을 높인다. 하천 흐름 방향이 틈을 통해 영구적으로 변경된다면 붕괴는 곡류 컷오프 지점이 될 수 있다.물이 제방의 정상을 넘어설 때 제방이 붕괴되었다고 말하기도 하는데, 이는 범람원에 홍수를 일으키지만 제방을 손상시키지 않기 때문에 미래 홍수에 대한 영향은 적다.
토양 침식은 제방 붕괴를 일으키는 다양한 파괴 메커니즘 중 하나로, 넘침 발생 시 토양 침식과 scour 발생을 예측하는 것은 안정적인 제방과 방수벽을 설계하는 데 중요하다. Briaud 외(2008)는 침식 기능 장치(EFA) 테스트를 사용하여 토양의 침식성을 측정하고, Chen 3D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제방에 대한 수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넘침수의 속도 벡터와 넘침수가 제방에 부딪힐 때 발생하는 scour을 알아냈다.[18] Hughes와 Nadal(2009)는 제방의 침식과 scour 발생에 대한 파랑 넘침과 폭풍 해일 넘침의 결합 효과를 연구했다.[19]
제방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기비저항 토모그래피(ERT)가 사용될 수 있다. 이 비파괴 지구 물리적 방법은 사전에 제방의 중요한 포화 영역을 감지할 수 있게 해주어, 제방이나 제방의 중요 부분에서 조기 경보 시스템으로 작동할 수 있다.[22]
|thumb|250px|계속된 비로 무너진 나가라가와 제방(쇼와 51년 9월 12일의 9.12 수해)]]
|thumb|200px|넘침에 의한 제방 침식의 흔적. 일부가 제방 발치에까지 미침(뉴올리언스)]]
|thumb|200px|제방 붕괴 실험 모습. 수압이 강한 붕괴 부분에서는 붕괴가 확대된다(벨기에 즈윈)]]
제방이 격렬한 강물의 흐름이나 파랑 등으로 깎여나가거나, 빗물의 침투로 제방의 일부가 무너지는 것을 결壊(けっかい)라고 한다.[44]
6. 2. 대책
자연 제방과 인공 제방은 여러 가지 이유로 붕괴될 수 있으며, 넘침, 침식, 구조적 결함, 제방 포화 등이 원인이다.[18][19][20][21] 가장 빈번하고 위험한 원인은 제방 붕괴로, 제방 일부가 무너지거나 침식되어 물이 범람할 수 있는 큰 구멍이 생긴다.[18] 붕괴는 표면 침식이나 제방의 지하 약화로 인해 발생하며, 붕괴 지점에서 방사형으로 퍼져 나가는 크레바스 스플레이를 남긴다. 자연 제방의 경우 붕괴된 틈은 제방 건설 과정에 의해 다시 채워질 때까지 남아있어, 같은 위치에서 미래에 붕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붕괴는 곡류 컷오프 지점이 될 수도 있다.|thumb|250px|계속된 비로 무너진 나가라가와 제방(쇼와 51년 9월 12일의 9.12 수해)]]
|thumb|200px|넘침에 의한 제방 침식의 흔적. 일부가 제방 발치에까지 미침(뉴올리언스)]]
|thumb|200px|제방 붕괴 실험 모습. 수압이 강한 붕괴 부분에서는 붕괴가 확대된다(벨기에 즈윈)]]
물이 제방의 정상을 넘어설 때 제방이 붕괴되었다고 말하기도 하지만, 이는 제방을 손상시키지 않아 미래 홍수에 대한 영향은 적다. 제방 붕괴의 다양한 파괴 메커니즘 중 토양 침식이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18] 토양 침식과 scour 발생 예측은 안정적인 제방과 방수벽 설계에 중요하며, 토양의 침식성을 조사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18][19]
제방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전기비저항 토모그래피(ERT)가 사용될 수 있다. 이 비파괴 지구 물리적 방법은 제방의 중요한 포화 영역을 사전에 감지하여 지반 구조물의 침투 현상 모니터링 및 조기 경보 시스템으로 작동할 수 있다.[22]
제방이 붕괴하여 강물이 제방을 넘어 흐르는 것을 제방 파괴(결괴)라고 한다.[44]
넘침에 의한 제방 파괴는 홍수로 수위가 제방을 넘어 물이 넘치고, 제방 기초부가 깎여 토괴가 붕괴하여 발생한다.[42] 이는 제방 파괴 원인의 대부분을 차지한다.[42] 넘침 대책은 천단이나 강 뒤편의 침식에 대한 대비이며, 넘친 물로 인한 침식 작용으로부터 제체를 보호하는 것이다. 천단 보호 공사, 제방 발치 공사, 차수 시트나 보호 매트 등의 대책이 시행된다. 넘침에서는 제방 파괴 유무에 관계없이 "넘침 홍수"가 발생할 수 있다.[36]
침식에 의한 제방 파괴는 하천의 유수가 직접 제방을 깎아 발생한다.[42] 호안 공사, 수제 설치, 사면 잔디 관리 등의 대책이 시행된다.
침투에 의한 제방 파괴는 하천 수위 상승과 함께 제방 내부 수위도 상승하여 침투하고, 토입자 간 접촉 약화로 인해 발생한다.[42] 강 표면 쪽 차수벽 설치, 투수성이 낮은 흙으로 강바닥 덮기, 차수 시트와 담요로 표면 사면 덮기, 드레인 공사와 제방 기초 수로 설치 등의 대책이 시행된다.
파이핑에 의한 제방 파괴는 하천 수위 내외 차이로 침투류가 발생하고 기초 지반 토사가 유출되어 함몰하면서 발생한다.[42] 제방에서 물이 넘치지 않아도 발생할 수 있으며 예측이 어렵다.[43] 제방 부근 지반에서 물이 분출하는 등의 전조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43]
침투, 침식, 넘침 방지책 등을 실시한 제방은 "난파 제방"이라고 불린다.
6. 3. 주요 붕괴 사례 (일본)
일본에서는 역사적으로 수많은 제방 붕괴 사례가 발생했다. 주요 사례는 다음과 같다.- 천문 3년(1534년): 대홍수로 우물입구 제방이 붕괴되어 이가와(현 나가라가와)가 형성되었다.
- 관문 12년(1673년) 5월: 수해로 요시이가와 제방이 붕괴되었다.
- 보영 5년(1708년) 6월 21일(8월 7일) ~ 다음 날: 폭우로 사누이가와에서 대규모 산사태가 발생, 오구치 제방이 붕괴되어 아시가라 평야를 화산재 섞인 탁류로 뒤덮었다.
- 관보 2년(1742년): 에도 홍수로 톤네가와 상류부의 마이기·아카이와·키타가와라 및 신카와통이 제방이 붕괴되었다.
- 보력 7년(1757년): 이세만 연안 신전이 큰 타격을 입고, 에비에가와 붕괴 등 오와리국의 제방 붕괴가 1361곳에 달했다.
- 덴메이 9년(1789년): 요시이가와 증수로 인한 범람으로 오쿠군 후쿠이촌 나가후네마치 제방이 붕괴되었다.
- 안세이 6년(1859년): 현재의 지쿠마시 시나노가와 토구라오니시 제방, 센본야나기시타가와라 제방이 붕괴되었다.
- 메이지 5년(1872년) 8월 1일: 시나노가와·이가라시가와 대홍수가 발생했다.
- 메이지 15년(1882년) 9월, 10월: 시나노가와 제방이 붕괴되어 700호가 침수되었다.
- 메이지 18년(1885년): 메이지 18년의 요도가와 홍수로 히라카타시 오카신마치 아마노가와 등의 제방이 붕괴되었다.
- 메이지 37년(1904년) 7월: 폭우로 쇼나이가와 시단미(나고야시 모리야마구), 오토메(카스가이시), 사쿠라사(카스가이시), 카츠가와, 세고지 지역에서 제방이 붕괴되었다.
- 메이지 43년(1910년): 메이지 43년의 대홍수로 톤네가와 등이 붕괴되어 사망·실종자가 약 1000명에 달했다.
- 메이지 44년(1911년) 9월: 폭우로 쇼나이가와 고조지 지역에서 제방이 붕괴되었다.
- 다이쇼 2년(1914년) 8월 27일: 태풍에 의한 폭우로 스이키치가와와 후쿠시마에에서 제방이 붕괴되어 나가오카 시내의 대부분이 침수되었다.
- 다이쇼 7년(1919년) 7월: 태풍으로 사하가와 제방이 붕괴되어 3,451호가 침수되었다.
- 다이쇼 15년(1926년) 7월 28일: 스와·마가부치 끊김의 수해로 이가라시가와 좌안의 스와·마가부치에서 제방이 붕괴되었다.
- 쇼와 13년(1938년): 한신 대홍수로 한신 지역뿐 아니라 관동 각지에서도 붕괴·범람·수해가 발생하여 막대한 피해를 초래했다. 7월 28일~8월 1일에도 집중호우로 제방 붕괴가 빈발했다.
- 쇼와 16년(1941년) 7월 10일: 폭우로 다카스무라 다카스 지점에서 오가이가와 좌안 제방이 붕괴되었다.
- 쇼와 20년(1945년): 아쿠네 태풍으로 카코가와 수계 하천에서는 제방 붕괴 6곳, 키세가와에서는 가와라야마이케 제방이 붕괴, 하류 지역이 침수되었다. 아케가와에서는 본류·지류를 합쳐 23곳이 붕괴되었다.
- 쇼와 22년(1947년): 캐슬린 태풍으로 도호쿠 지방 외, 수도권 특히 톤네가와와 아라가와 등 제방이 붕괴되어 사이타마현 동부부터 도쿄 23구 동부에 걸쳐 광범위한 지역에서 주택 침수가 발생했다.
- 쇼와 24년(1949년): 8월 10일 집중호우로 나카가와가 범람하고 이치노이데가 붕괴되었다.
- 쇼와 24년(1949년): 키티 태풍으로 시나노가와 나가노시 단바지마와 스사카시 무라야마 등 각지에서 제방이 붕괴되었다.
- 쇼와 25년(1950년): 8월 2일 폭우로 오가이가와 다카스무라 카미우라 지점에서 제방이 붕괴되었다.
- 쇼와 25년(1950년): 제인 태풍 발생.
- 쇼와 26년(1951년): 7월 장마전선 호우로 사하가와 제방 17곳이 붕괴되어 침수 가옥 3,397호에 달했다.
- 쇼와 26년(1951년) 10월: 루스 태풍으로 제방 붕괴 1263곳이 발생했다.
- 쇼와 28년(1953년): 6월 쇼와 28년 서일본 수해로 제방이 붕괴되어 우케마치 역장을 비롯한 마을 전체가 수몰되었고, 우케군 각지에 유입되었다. 지류 오세가와의 홍수와 합쳐져 오세가와 제방이 붕괴되었다.
- 쇼와 28년(1953년) 8월 15일: 난산성 수해로 교토부 남부에 발생한 집중호우로 천정천 제방이 붕괴되고 하천이 범람했다.
- 쇼와 28년(1953년) 9월: 쇼와 28년 태풍 제13호에 의한 집중호우로 호다카가와 기타호다카무라내 제방이 붕괴되었다. 같은 날, 다카세가와 제방도 붕괴되어 마을내 약 100호가 수몰되는 등 피해가 발생했다. 요도가와 홍수로 오바타가와 (요도가와 수계) 등 제방이 붕괴되었고, 여자세가와와의 합류점 부근에서 제방이 붕괴되었다. 아케가와 (오사카부) 우안 제방 약 150m에 걸쳐 붕괴되었다.
- 쇼와 33년(1958년) 7월: 폭우로 총 강우량 700mm에 달해, 히다가와 게로오하시 하류 좌안이 붕괴되었고, 록각가와 홍수는 본류 상류부에서 범람 후, 현 무사시시의 조미, 다이니치 부근 수 곳에서 제방이 붕괴되었다.
- 쇼와 34년(1959년) 9월: 이세만 태풍으로 야마자키가와는 하류 지역을 중심으로 제방 붕괴가 발생했고, 나가시마정을 둘러싼 제방이 15곳에서 붕괴되어 정역의 대부분이 수몰되었다.
- 쇼와 41년(1966년) 7월 17일: 하에쓰 수해로 카지가와와 지류 제방이 붕괴되었다.
- 쇼와 42년(1967년) 7월 7일~12일: 장마로 가쓰라가와 (요도가와 수계) 제방 붕괴·오바타가와 등 지류 제방 붕괴나 가쓰라가와로부터 역류에 의한 수해가 다수 발생했다.
- 쇼와 42년(1967년) 8월 28일: 하에쓰 호우로 전년에 카지가와 제방이 붕괴된 곳 등이 재차 붕괴되었다.
- 쇼와 49년(1974년): 다마가와 수해로 9월 1일~3일 태풍 16호가 가져온 호우로 다마가와가 범람, 고마에시에서는 좌안 제방이 260m에 걸쳐 붕괴되었다.
- 쇼와 56년(1981년): 쇼와 56년 태풍 제15호로 24일 새벽 톤네가와 수위 상승에 따라 지류 오가이가와 좌안, 톤네가와 합류점으로부터 약 5km 지점에서 제방이 붕괴, 이바라키현 류가사키시와 톤네마치, 고우치무라 등에서 침수 피해가 발생했다.
- 쇼와 61년(1986년) 8월 4일~5일: 집중호우(8.5 수해)로 요시다가와 (미야기현) 히와다, 우치노우라 등 4곳에서 제방이 붕괴되었다.
- 헤이세이 6년(1994년): 아시가가와 곡선 바깥쪽 제방이 수압으로 붕괴되었다.
- 헤이세이 7년(1995년): 7.11 수해로 세키가와 유역에서는 아라이시(현·묘고시) 쓰키오카의 세키가와와 시부에가와 합류점 부근 등 복수 지점에서 제방 붕괴가 발생했다.
- 헤이세이 11년(1999년) 9월 15일: 태풍 16호로 나가라가와 상류부(구조군 시라토리마치, 당시)에서 제방이 붕괴되었다.
- 헤이세이 14년(2002년) 7월 10일: 태풍 6호로 나가라가와 상류부(구조군 시라토리마치, 당시)에서 제방이 붕괴되었다.
- 헤이세이 16년(2004년): 7월 13일 헤이세이 16년 7월 니가타·후쿠시마 호우로 시나노가와 수계의 이가라시가와·카리야다가와·나카노시마가와 제방이 11곳에서 붕괴되었다.
- 헤이세이 16년(2004년) 7월 18일: 헤이세이 16년 7월 후쿠이 호우로 후쿠이시 카스가 부근이 붕괴되어 막대한 침수 피해를 초래했다.
- 헤이세이 16년(2004년) 10월: 헤이세이 16년 태풍 제23호 발생.
- 헤이세이 23년(2011년) 3월 11일: 동북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동일본 대지진)으로 1958년에 붕괴된 겐고로사와 퇴적장이 재차 붕괴되었다. 아시오 동산 광독 오염 물질이 와타라세가와에 유하, 하류의 농업용수 취수 지점에서 기준치를 넘는 납이 검출되었다.
- 헤이세이 23년(2011년): 헤이세이 23년 7월 니가타·후쿠시마 호우로 니가타현에서는 하천 제방이 2곳 붕괴하는 등 큰 홍수 피해를 초래했다. 이가라시가와 우안(에구치) 제방이 150m에 걸쳐 붕괴되었다.
- 헤이세이 26년(2014년): 헤이세이 26년 8월 호우로 메무로정 가미미쇼 지역 미쇼가와 제방이 붕괴되었다.
- 헤이세이 27년(2015년): 헤이세이 27년 9월 간토·도호쿠 호우로 키누가와가 붕괴되었다.
- 헤이세이 28년(2016년): 헤이세이 28년 8월 홋카이도 호우로 소치가와 미나미후라노정내 2곳에서 제방이 붕괴되었다.
- 헤이세이 29년(2017년): 헤이세이 29년 태풍 제18호로 3년 전에 붕괴된 미쇼가와가 재붕괴되었다.
- 헤이세이 30년(2018년): 헤이세이 30년 7월 호우로 오카야마현내에서는 하천 범람과 제방 붕괴에 의한 침수, 사태 피해가 잇따랐다. 전파·반파·침수 주택 수는 19일 시점에서 적어도 14,000동에 이르고, 현내 풍수해에 의한 피해로서는 전후 최악이었다. 구라시키시 마비정에서는 7일 아침까지 오다가와와 지류의 타카마가와 등 제방이 붕괴되었다.
- 레이와 원년(2019년): 레이와 원년 동일본 태풍#붕괴로 이 태풍으로 침수 면적은 국 관리 하천만으로도 약 2만 5000헥타르에 달했다.
7. 제방의 부정적 영향
자연 과정을 변화시키도록 설계된 대규모 구조물은 필연적으로 몇 가지 단점이나 부정적인 영향을 갖게 된다.
제방은 계절적인 홍수 조건 하에서 발달한 범람원 생태계를 방해한다.[23] 많은 경우, 홍수의 재발이 감소함에 따라 삼림 범람원이 농장으로의 토지 이용 변화가 촉진되는 이중적인 영향을 미친다.
자연적인 유역에서는 홍수가 범람하여 지표면에 퍼진 후 서서히 강으로 돌아온다. 하류에서는 범람 지역에서 유입되는 물의 공급이 시간적으로 분산된다. 만약 제방이 홍수를 좁은 수로 안에 가두면, 물은 더 짧은 시간에 하류로 전달된다. 같은 양의 물이 더 짧은 시간 간격에 전달되면 강의 수위(높이)가 높아진다. 상류에 제방이 더 많이 건설될수록, 강에서 고수위 현상이 발생하는 되풀이 간격이 증가하여, 종종 제방 높이를 높여야 할 필요가 생긴다.[24]
자연적인 홍수는 충적평야에 토사층을 더한다. 수 세기 동안 쌓인 이러한 층들의 무게 때문에 지각은 맨틀 속으로 더 깊이 가라앉는다. 새로운 토사층이 더 이상 추가되지 않더라도 아래쪽으로 향하는 운동량은 즉시 멈추지 않아 지반침하(지표면의 침하)가 발생한다.[26] 해안 지역에서는 이로 인해 육지가 해수면 아래로 내려앉고, 바다가 내륙으로 이동하며, 염수가 담수대로 침입하게 된다.[27]
큰 강이 바다로 흘러들어가는 지점에서는 물의 속도가 갑자기 느려지고 모래와 미사를 운반하는 능력이 감소한다. 퇴적물이 가라앉기 시작하여 결국 삼각주를 형성하고 해안선 바깥쪽으로 확장된다. 그 후 홍수가 발생하면 강물이 바다로 가는 더 짧은 경로를 찾아 새로운 삼각주를 건설하기 시작한다. 파랑 작용과 해류는 일부 퇴적물을 재분배하여 해안선을 따라 해변을 형성한다. 제방이 바다까지 건설되면 홍수로 인한 퇴적물이 차단되고, 강은 이동하지 않으며, 높아진 강의 속도로 인해 퇴적물이 파랑 작용과 해류가 재분배할 수 없는 심해로 운반된다. 자연스러운 부채꼴 모양의 삼각주가 형성되는 대신, "새발톱 삼각주"가 바다 멀리까지 확장된다. 주변 육지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해변 침식, 지반 침하, 염수 침입, 그리고 육지 손실이 있다.[28]
8. 한국의 제방 현황 및 과제
9. 고규격 제방 (슈퍼 제방, 일본)
하: '''슈퍼 제방'''
슈퍼 제방은 높이에 비해 제방 폭이 약 30배이다. 제방 주변 건물 등을 이전시킨 후 성토(도면의 붉은 부분)를 하고 정지 후 제방 위에 다시 건물을 건설한다.]]
일반적인 제방은 범람이 발생하면 토사가 깎여 제방이 무너지는 결과로 이어져 막대한 피해를 초래한다. 만일의 범람에도 급격한 붕괴를 초래하지 않도록, 배후 사면을 3% 이하의 완만한 경사로 한 것을 '''고규격 제방''' 또는 '''슈퍼 제방'''이라고 한다.[39] 고규격 제방에서는 물이 제방 높이를 넘어도 제방 내부로 완만하게 흘러내리기 때문에 피해가 줄어든다고 여겨진다.[39] 1987년에 건설성(현재는 국토교통성)이 사업으로 리쿠젠타카다의 리쿠젠타카다 역에서 공사를 시작하여, 다른 에도가와, 아라카와, 다마가와, 요도가와, 야마토가와 5개 수계 6개 하천 구간 약 873km의 정비를 대상으로 했다.[40]
고규격 제방의 배후 사면은 고규격 제방 특별 지역으로 지정되어 대규모 지면 굴착 등에 허가가 필요하지만, 일반 토지와 거의 동일하게 건축 및 경작에 이용할 수 있으며 제방 위에 도시가 조성된다. 예를 들어 제방 높이 10m의 고규격 제방에서는 배후 사면의 폭이 30배인 약 300m가 필요한 규격이지만, 이 부분의 토지 매입은 하지 않고 일시 이전 및 재건축 비용을 국가가 부담한 후 소유주에게 토지가 반환된다. 이때 도시 정비가 병행되는 경우도 있다.
고규격 제방 계획은, 축소되기 전에는 100년에서 200년에 한 번 발생하는 대홍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총 연장의 건설에 약 400년이라는 막대한 시간과 12조 엔이 넘는 비용이 필요하다고 여겨졌다.[41] 또한 제방 전체를 고규격으로 하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걸리고, 그때까지는 치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는 점에서 비판이 있었다.
슈퍼 제방 사업은 민주당의 사업 선별 과정에서 낭비 사업으로 주목을 받았지만,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을 계기로 재해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규모를 대폭 수정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도 건설이 진행되고 있다.
10. 제방 파괴 행위 (국제법)
일본에서는 제방을 파괴하는 행위에 대해 형법으로 처벌하고 있다. 형법 제123조에 따르면, 제방을 파괴한 자는 2년 이하의 징역·금고 또는 20만 엔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54] 또한, 홍수를 일으켜 건조물 등을 침수시킨 경우에는 제109조에 따라 사형 또는 무기 또는 3년 이상의 징역에 처해질 수 있다.[54] 실제로 적용된 사례는 확인되지 않지만, 주민 등이 제방을 파괴하는 행위는 기록되어 있다.[54]
1947년 7월, 동북 지방 일대에 집중호우로 인한 수해가 발생했을 때, 자신의 마을을 지키기 위해 이웃 마을의 제방을 고의로 파괴하는 행위가 있었다.[54] 같은 해 9월, 캐슬린 태풍으로 리쿠젠타카타시의 제방이 붕괴되었을 때는, 도쿄도지사 안이 세이이치로가 미 육군 공병대의 협력을 얻어 에도가와 우안 제방을 폭파하여 탁류를 돌리기도 했다.[55] 1995년 7월에는 나가노현 도요노정(현 나가노시)에서 집중호우 시 제내 수위가 제외 수위를 상회했기 때문에, 당시 정장이 배수를 목적으로 제방 파괴를 결단, 피해 확대를 막는 데 성공했다.
중국에서는 1938년 6월, 국민혁명군이 일본군의 진격을 저지하기 위해 황하 제방을 파괴한 사건이 있었다.
1972년 북베트남은 미국이 홍하 삼각주 지역의 제방과 수문을 고의적으로 폭격했다고 비난했다.[56] 미국 측은 이를 부인했지만, 국내외에서 비난이 쏟아졌고, 에드워드 케네디 상원의원 등은 제방 폭격에 반대하는 결의안을 의회에 제출했지만 부결되었다.[56]
1977년에 채택된 제네바협약 추가의정서 제56조에서는 제방을 원자력발전소, 댐과 함께 “위험한 힘을 내장한 시설물”로 규정하여 무력 공격을 금지하고 있다.[57]
참조
[1]
OED
levee
[2]
논문
Levees and Other Raised Ground
[3]
웹사이트
Flood risk reduction with multiple benefits: more space for the river
https://www.preventi[...]
2022-05-06
[4]
웹사이트
A Look at Preventing Levee Erosion
https://www.fema.gov[...]
2021-02-11
[5]
서적
The Mississippi basin: The struggle in America between England and France 1697–1763
Houghton, Mifflin and Company
1718-1720,1770
[6]
서적
Histories
[7]
웹사이트
Etymologisch woordenboek van het Nederlands, deel 1: A t/m E – Amsterdam University Press
http://nl.aup.nl/boo[...]
2015-02-12
[8]
웹사이트
Weavers' Way footpath closure – Decoy Road (Hickling) to Potter Heigham 7 January 2011 – 6 April 2012
http://www.countrysi[...]
Countrysideaccess.norfolk.gov.uk
2013-05-17
[9]
웹사이트
Indus River Valley Civilizations
http://history-world[...]
2008-09-12
[10]
서적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Volume 4, Physics and Physical Technology, Part 3, Civil Engineering and Nau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논문
State Management of River Dikes in Early China: New Sources on the Environmental History of the Central Yangzi Region
[11]
웹사이트
The Mississippi Levee System and the Old River Control Structure
http://www.tulane.ed[...]
[12]
잡지
The Control of Nature: Atchafalaya
http://www.newyorker[...]
1987-02-23
[12]
서적
The Control of Nature
Farrar, Straus and Giroux
[13]
웹사이트
levee rehabilitation in USACE Technical Report REMR-GT-26, Innovative Methods for Levee Rehabilitation
https://apps.dtic.mi[...]
1998-09
[14]
웹사이트
Trilateral Working Group on Coastal Protection and Sea Level Rise (CPSL), Wadden Sea Ecosystem No. 25 by Jacobus Hofstede, Common Wadden Sea Secretariat (CWSS), Wilhelmshaven, Germany, 2009
http://www.waddensea[...]
[15]
웹사이트
Dikes of the Netherlands — Geography
http://geography.abo[...]
[16]
웹사이트
Hao Zhang, Hajime Nakagawa, 2008, Scour around Spur Dyke: Recent Advances and Future Researches
http://www.dpri.kyot[...]
[17]
서적
Sedimentology and sedimentary basins : from turbulence to tectonics
Wiley-Blackwell
[18]
논문
Levee erosion by overtopping in New Orleans during the Katrina Hurricane
[19]
논문
Laboratory study of combined wave overtopping and storm surge overflow of a levee
[20]
논문
IFCEE 2015
[21]
웹사이트
Levee Erosion and Scour Potential Due to Floodwall Overtopping (PDF Download Available)
https://www.research[...]
[22]
논문
A customized resistivity system for monitoring saturation and seepage in earthen levees: installation and validation
[23]
문서
Levees don’t protect, they disconnect
[24]
논문
Climatic control of Mississippi River flood hazard amplified by river engineering
[25]
논문
Impact of levee breaches, flooding, and land scouring on soil productivity
[26]
논문
Quantifying rates of coastal subsidence since the last interglacial and the role of sediment loading
[27]
논문
Delta Subsidence: An Imminent Threat to Coastal Populations
[28]
논문
Land loss due to human-altered sediment budget in the Mississippi River Delta
[29]
웹사이트
河川構造物設計要領 第2編 河川編, 第2章 堤防
https://www.cbr.mlit[...]
国土交通省中部地方整備局
[30]
웹사이트
堤防断面
https://www.pref.nag[...]
長野県
[31]
논문
隅田川における防潮堤の建設史
https://doi.org/10.2[...]
[32]
웹사이트
突堤
https://www.ktr.mlit[...]
[33]
서적
埼玉平野の成り立ち・風土
(株)埼玉新聞社
[34]
웹사이트
https://www.pref.gif[...]
[35]
서적
河川の科学
[36]
서적
河川の科学
[37]
문서
「計画確率」は、一級河川では1/100から1/200、重要河川では1/200とされている。
[38]
서적
命を守る水害読本
毎日新聞出版
2017
[39]
웹사이트
治水の手法2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40]
웹사이트
高規格堤防整備の抜本的見直しについて(とりまとめ)
http://www6.river.go[...]
国土交通省
2011-08-11
[41]
웹사이트
スーパー堤防に代わる「地中連続壁工法」での堤防強化を求める陳情(建設委員会付託)
http://www.gikai.cit[...]
江戸川区議会
2011-11-02
[42]
서적
命を守る水害読本
毎日新聞出版
2017
[43]
서적
命を守る水害読本
毎日新聞出版
2017
[44]
웹사이트
用語改善案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06-06-08
[45]
웹사이트
第3章 海岸施設
国土交通省 九州地方整備局
2017-10
[46]
뉴스
3・11大地震 “万里の長城”まで越えた津波
https://web.archive.[...]
産業経済新聞社
2011-03-27
[47]
웹사이트
粘り強い構造の海岸堤防について
国土交通省
[48]
간행물
堤防強化?河川堤防も「粘り強く」
日経コンストラクション
2016-01-25
[49]
간행물
環境を乱さない巨大防潮堤?ダムの技術を堤防に
日経コンストラクション
2020-05-25
[50]
뉴스
明治の教訓、15m堤防・水門が村守る
http://www.yomiuri.c[...]
2011-04-03
[51]
뉴스
岩手県普代村は浸水被害ゼロ、水門が効果を発揮
https://www.nikkei.c[...]
2011-04-01
[52]
뉴스
津波で5割超の防潮堤損壊 岩手県が効果検証へ
http://www.47news.jp[...]
2011-04-12
[53]
뉴스
普代守った巨大水門 被害を最小限に
http://www.iwate-np.[...]
2011-04-24
[54]
뉴스
隣町へ濁流を導入 堤防を切り自村を救う
1947-07-30
[55]
뉴스
江戸川堤の切開成功 さらに拡大工事を続行
1947-09-22
[56]
뉴스
批難高まる堤防破壊
1972-08-17
[57]
웹사이트
1追加議定書(全文)(PDF)
https://www.mofa.go.[...]
外務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