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아디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누아디부는 모리타니의 도시로, 소규모 어항으로 시작하여 포르투갈, 네덜란드, 프랑스의 지배를 받았다. 1907년 프랑스 식민지 행정관의 이름을 따 포르트에티엔으로 개명되었고, 모리타니 독립 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2006년부터 카나리아 제도행 아프리카 이민자들의 주요 출발지가 되었으며, 사하라 사막에서 발견된 운석 거래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쾨펜의 기후 분류상 사막 기후를 보이며, 주요 산업은 항만 시설을 통한 무역이다. 누아디부 국제공항이 있으며, 수도 누악쇼트와 연결되는 도로와 철도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누아디부 | |
---|---|
지도 | |
이미지 | |
![]() | |
![]() | |
![]() | |
![]() | |
![]()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누아디부 |
로마자 표기 | nwadibu, nwɑː |
프랑스어 이름 | 포르에티엔, 카프블랑 |
스페인어 이름 | 카보블랑코 |
설립 | 1906년 |
시장 | 엘가셈 울드 벨랄리 |
면적 | 67.50 km² |
인구 (2023년) | 173,525명 |
시간대 | UTC+0 |
행정 구역 | |
국가 | 모리타니 |
주 | 다클레트누아디부 주 |
지리 | |
해발 고도 | 0m |
2. 역사
누아디부는 소규모 어항으로 시작하여 포르투갈, 네덜란드, 그리고 프랑스의 지배를 받았다.[4]
1907년, 프랑스령 서아프리카 총독 에르네스트 루메의 법령에 따라, 전 프랑스 식민지 장관 외젠 에티엔의 이름을 따서 ''포르트에티엔''으로 개명되었다.[5] 1960년 모리타니가 독립한 후, 도시 이름은 누아디부로 변경되었다.
1973년 6월 30일, 20세기 두 번째로 긴 일식이 일어났을 때, 태양 연구를 위해 누아디부에서 에어로비 로켓이 발사되었다.[6]
2006년 2월부터 누아디부는 카나리아 제도에 도달하려는 아프리카 이민자들의 주요 출발지로 부상했다. 2005년 말 모로코 해안과 세우타 및 멜리야의 스페인령 도시 근처에서 이민 통제가 강화됨에 따라 유럽 연합에 도달하기 위한 이 매우 위험한 경로가 인기를 얻었다. 2024년 현재, 이 도시는 카나리아 제도에 도착하는 불법 이민자들의 주요 출발지로 남아 있으며, 카나리아 제도에 도착하는 이민자의 80% 이상이 모리타니 출신이며, 그중 많은 수가 말리 출신이다.[7]
이 도시는 또한 사하라에서 발견된 운석 거래의 중심지로 알려져 있다.[8]
2. 1. 초기 역사와 식민지 시대
누아디부는 소규모 어항으로 시작하여 포르투갈, 네덜란드, 그리고 프랑스의 지배를 받았다.[4]1907년, 프랑스령 서아프리카 총독 에르네스트 루메의 법령에 따라, 전 프랑스 식민지 장관 외젠 에티엔의 이름을 따서 ''포르트에티엔''으로 개명되었다.[5] 1960년 모리타니가 독립한 후, 도시 이름은 누아디부로 변경되었다.
1973년 6월 30일, 20세기 두 번째로 긴 일식이 일어났을 때, 태양 연구를 위해 누아디부에서 에어로비 로켓이 발사되었다.[6]
이 도시는 사하라에서 발견된 운석 거래의 중심지로 알려져 있다.[8]
2. 2. 독립 이후
누아디부는 소규모 어항으로 시작하여 포르투갈, 네덜란드, 프랑스의 지배를 받았다.[4] 1907년 프랑스 서아프리카 총독 에르네스트 루메의 법령에 따라 전 프랑스 식민지 장관 외젠 에티엔의 이름을 따서 ''포르트에티엔''으로 개명되었다.[5] 1960년 모리타니가 독립한 후 도시 이름은 누아디부로 변경되었다.1973년 6월 30일, 20세기 두 번째로 긴 일식이 일어났을 때, 태양 연구를 위해 누아디부에서 에어로비 로켓이 발사되었다.[6]
2006년 2월부터 누아디부는 카나리아 제도에 도달하려는 아프리카 이민자들의 주요 출발지로 부상했다. 2005년 말 모로코 해안과 세우타 및 멜리야의 스페인령 도시 근처에서 이민 통제가 강화됨에 따라 유럽 연합에 도달하기 위한 이 매우 위험한 경로가 인기를 얻었다. 2024년 현재, 이 도시는 카나리아 제도에 도착하는 불법 이민자들의 주요 출발지로 남아 있으며, 카나리아 제도에 도착하는 이민자의 80% 이상이 모리타니 출신이며, 그중 많은 수가 말리 출신이다.[7]
이 도시는 또한 사하라에서 발견된 운석 거래의 중심지로 알려져 있다.[8]
2. 3. 최근의 변화
누아디부는 소규모 어항으로 시작하여 포르투갈, 네덜란드, 프랑스의 지배를 받았다.[4] 1907년 프랑스 서아프리카 총독 에르네스트 루메의 법령에 따라 전 프랑스 식민지 장관 외젠 에티엔의 이름을 따 ''포르트에티엔''으로 개명되었다.[5] 1960년 모리타니가 독립한 후 도시 이름은 누아디부로 변경되었다.1973년 6월 30일, 20세기 두 번째로 긴 일식이 일어났을 때, 태양 연구를 위해 누아디부에서 에어로비 로켓이 발사되었다.[6]
2006년 2월부터 누아디부는 카나리아 제도에 도달하려는 아프리카 이민자들의 주요 출발지로 부상했다. 2005년 말 모로코 해안과 세우타 및 멜리야의 스페인령 도시 근처에서 이민 통제가 강화됨에 따라 유럽 연합에 도달하기 위한 이 위험한 경로가 인기를 얻었다. 2024년 현재, 이 도시는 카나리아 제도에 도착하는 불법 이민자들의 주요 출발지로 남아 있으며, 카나리아 제도에 도착하는 이민자의 80% 이상이 모리타니 출신이며, 그중 많은 수가 말리 출신이다.[7]
이 도시는 사하라에서 발견된 운석 거래의 중심지로도 알려져 있다.[8]
2. 4. 인구 변화
누아디부 코뮌의 인구는 2000년 72,337명에서 2013년 118,167명, 2023년 173,525명으로 증가했다.[9]
3. 지리
3. 1. 도시 구성
3. 2. 주요 시설
4. 기후
누아디부는 쾨펜의 기후 분류에 따라 사막 기후(BWh)를 보인다.[10] 연간 강수량은 평균 18mm로 매우 적다.[10][11] 사막 기후임에도 불구하고, 강한 해양의 영향으로 다른 사막 기후 지역에서 볼 수 있는 극심한 기온 변화는 나타나지 않으며, 따뜻한 달의 계절적 지체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10] 누아디부의 연평균 기온은 21.3°C이며, 연평균 최고 기온은 27.1°C이다.[10]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 |
---|---|---|---|---|---|---|---|---|---|---|---|---|---|
평균 최고 기온 (°C) | 24.5 | 25.1 | 26.1 | 25.9 | 26.3 | 27.9 | 27.1 | 28.2 | 30.6 | 30.3 | 27.5 | 24.6 | 27.0 |
평균 최저 기온 (°C) | 13.3 | 13.7 | 14.3 | 14.7 | 15.8 | 17.0 | 18.6 | 19.6 | 20.1 | 18.7 | 16.5 | 14.3 | 16.4 |
평균 강수량 (mm) | 1 | 2 | 1 | 0 | 0 | 0 | 1 | 3 | 5 | 3 | 2 | 0 | 18 |
5. 경제
1963년 초, 어항에 산업 및 무역 건물 건설을 포함한 포트 워프(Port Wharf)라는 항구 건설 계획이 세워졌다. 이 항구는 1966년에 운영을 시작했으며, 최대 5만 톤의 물동량을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1977년에는 부두가 연장되어 평균 톤수의 선박을 위한 3개의 부두가 추가되었고, 처리 용량은 32만 톤으로 증가했다.
5. 1. 개요
5. 2. 주요 산업
1963년 초, 어항에 포트 워프(Port Wharf)라는 항구를 건설하는 계획이 세워져 산업 및 무역 건물 건설도 포함되었다. 이 항구는 1966년에 운영을 시작했으며, 최대 5만 톤의 물동량을 처리하도록 설계되었다. 1977년에는 부두가 연장되어 평균 톤수의 선박을 위한 3개의 부두가 추가되었고, 처리 용량은 32만 톤으로 증가했다.5. 3. 항만 시설
1963년 초, 어항에 포트 워프(Port Wharf)라는 항구를 건설하는 계획이 세워졌으며, 여기에는 산업 및 무역 건물 건설도 포함되었다. 이 항구는 1966년에 운영을 시작했다. 이 부두는 최대 5만 톤의 물동량을 처리하도록 설계되었다. 1977년에는 부두가 연장되어 평균 톤수의 선박을 위한 3개의 부두가 추가되었고, 처리 용량은 32만 톤으로 증가했다.6. 교통
6. 1. 도로
누아디부는 해안 고속도로 RN2를 통해 수도 누악쇼트(약 450km)와 연결되며, 북쪽의 서사하라 국경(약 70km)과도 고속도로로 연결되어 있다.6. 2. 철도
누아디부는 동쪽으로 670km 떨어진 주에라트의 철광산과 철도로 연결되어 있다. 화물 열차는 길이가 3km에 달하는데, 세계에서 가장 긴 열차로 알려져 있다. 철도는 승객도 수송하며 슈움에도 정차한다.6. 3. 항공
이 도시는 누아디부 국제공항이 있다.7. 보건
누아디부 지역 병원(Nouadhibou Regional Hospital)은 5년간의 건설 기간을 거쳐 2017년에 문을 열었으며, 이 지역에서 가장 큰 병원이다.[12]
8. 스포츠
2018-19 시즌 기준으로 누아디부에 연고를 둔 두 개의 축구 클럽, FC 누아디부와 ASC 스님이 마우리타니 프리미어리그에 참가하고 있다.[13]
참조
[1]
웹사이트
Nouadhibou (Industrial and Commercial Urban Commune, Mauritania) - Population Statistics, Charts, Map and Location
https://www.citypopu[...]
2024-02-15
[2]
뉴스
Installation du maire de la commune de Nouadhibou
http://fr.ami.mr/Dep[...]
Agence Mauritanienne d'Information
2018-10-15
[3]
웹사이트
MyCeni - Résultats 2023
https://res-myceni.o[...]
2023-12-05
[4]
웹사이트
Wilaya de Dakhlet Nouadhibou
http://www.fr.garden[...]
Garde Nationale
[5]
서적
Les pêcheries des côtes du Sénégal et des rivières du Sud
A. Challamel
1908
[6]
웹사이트
Nouadhibou
https://web.archive.[...]
2019-03-13
[7]
뉴스
Mauritania is a beacon of stability in the coup-prone Sahel
https://www.economis[...]
2024-08-10
[8]
뉴스
Meteorite smugglers anger scientists
http://news.bbc.co.u[...]
2007-04-16
[9]
웹사이트
Mauritania
https://www.citypopu[...]
[10]
웹사이트
Klimatafel von Nouadhibou (Port Etienne) / Mauretanien
https://www.dwd.de/D[...]
Deutscher Wetterdienst
2018-12-19
[11]
웹사이트
Station Nouadhibou
http://meteo-climat-[...]
Météo Climat
2018-12-19
[12]
웹사이트
Nouadhibou : inauguration par le chef de l'état d'un hôpital des spécialités médicales
http://www.cridem.or[...]
2019-03-13
[13]
웹사이트
Mauritania
https://www.rsssf.or[...]
[14]
서적
世界の鉄道
ダイヤモンド・ビッグ社
2015-10-02
[15]
서적
西部・中部アフリカ
朝倉書店
2017-0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