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식은 달이 태양을 가리는 현상으로, 달의 각 크기에 따라 개기일식, 금환일식, 부분일식, 혼성일식으로 구분된다. 개기일식은 달이 태양을 완전히 가려 코로나를 관측할 수 있으며, 금환일식은 달이 태양을 다 가리지 못해 태양 가장자리가 고리 모양으로 보이는 현상이다. 부분일식은 달이 태양의 일부만 가리는 경우이며, 혼성일식은 관측 지역에 따라 개기일식 또는 금환일식으로 보이는 현상이다. 일식은 달과 태양의 겉보기 크기, 달의 궤도와 지구의 공전 궤도, 달의 궤도 교점과 같은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사로스 주기를 통해 예측할 수 있다. 일식은 역사적으로 징조로 여겨지기도 했으며, 관측 시에는 안전 장비를 착용해야 한다. 최근에는 2035년 한반도에서 개기일식이 관측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식 - 볕뉘
볕뉘는 나뭇잎 사이로 햇빛이 통과하며 지면에 나타나는 둥근 모양의 햇살을 의미하며, 핀홀 카메라의 원리와 유사하게 잎 틈새 모양에 관계없이 태양과 같은 형태로 투영된다. - 일식 - 명왕성의 일식
명왕성의 일식은 위성들이 태양을 가리는 현상으로, 특히 카론은 넓은 지역에서 개기 일식을 일으키며, 1985~1990년에 관측되었고 2103년부터 다시 발생하여 명왕성과 위성 연구에 기여한다. - 식현상 - 월식
월식은 태양, 지구, 달이 일직선으로 놓여 지구가 태양빛을 가려 달이 어둡게 보이는 현상으로, 가려지는 정도에 따라 반영월식, 부분월식, 개기월식 등으로 나뉘며, 개기월식 때 달이 붉게 보이는 현상은 "피의 달"이라고도 불린다. - 식현상 - 베일리의 구슬
베일리의 구슬은 일식 때 달 표면의 굴곡 때문에 태양 빛이 구슬처럼 보이는 현상이며, 1836년 프랜시스 베일리가 상세히 설명하여 명명되었다. - 달 - 달의 위상
달의 위상은 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면서 태양과의 상대적 위치 변화에 따라 삭, 상현달, 망, 하현달 등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약 29.5일의 주기로 변화하고 달력, 전통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달 - 달 궤도
달 궤도는 달을 공전하는 궤도를 의미하며, 소련의 루나 1호 발사 시도로 달 궤도 탐사가 시작되었고, 달의 질량 집중으로 인해 궤도가 불안정하며, 다양한 궤도 전이 방식과 라그랑주점을 이용한 궤도가 사용된다.
일식 | |
---|---|
개요 | |
![]() | |
![]() | |
![]() | |
정의 | |
설명 | 달이 태양을 가리는 천문 현상 |
유형 | |
개기 일식 | 달이 태양을 완전히 가리는 일식 |
금환 일식 | 달이 태양을 완전히 가리지 못하고 고리 모양으로 보이는 일식 |
부분 일식 | 달이 태양의 일부만 가리는 일식 |
관측 | |
관측의 이유 | 드물고 아름다운 천문 현상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줌. 과학 연구 가치도 높음. |
관측 방법 | 태양을 직접 보면 망막 손상 위험이 있어, 특수 필터나 간접적인 방법으로 관측해야 함 |
역사적 의미 | |
과거 | 예로부터 일식은 불길한 징조나 신의 노여움으로 여겨지기도 함 |
현대 | 과학 발달로 일식에 대한 이해가 높아졌으며, 일식은 연구와 관측의 대상이 됨. |
2. 분류
일식은 달이 태양을 가리는 정도와 형태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개기일식'''(Total Eclipse): 달의 각크기가 태양보다 크거나 같아서 달이 태양을 완전히 가리는 경우이다.
- '''금환일식'''(Annular Eclipse): 달의 각크기가 태양보다 작아서 달이 태양 안으로 완전히 들어가지만, 태양의 가장자리가 고리 모양으로 보이는 경우이다.
- '''부분일식''': 달이 태양의 일부분만 가리는 경우이다.
- '''혼성일식''' 또는 '''금환개기일식'''(Hybrid Eclipse): 관측 지역에 따라 개기일식 또는 금환일식으로 보이는 경우이다.
달의 궤도는 지구 궤도보다 약 5° 기울어져 있어 일식은 자주 일어나지 않는다. 일식은 지구, 태양, 달이 거의 일직선에 놓일 때만 발생한다. 달이 지구에 가까울 때는 개기일식이, 멀리 떨어져 있을 때는 금환일식이 나타난다.
개기일식에서는 달그림자의 본영(本影)이 지구 표면에 도달하는 지점에서 개기일식을 볼 수 있다. 본영 바깥쪽의 반영(半影) 부분에서는 부분일식을 볼 수 있다. 개기일식을 볼 수 있는 지점은 달의 궤도 운동에 따라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한다. 개기일식의 지속 시간은 최대 7분 30초 정도이며, 이때 채층이나 코로나를 관측할 수 있다.
금환식에서는 달 그림자 본영의 꼭짓점이 지구 표면에 닿지 않고 그 연장선상에서 관측된다. 금환식에서도 반영이 넓은 지역에서 부분일식을 볼 수 있다.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는 달과 지구 사이 거리의 약 400배이고, 태양의 지름은 달 지름의 약 400배이다. 이 비율이 거의 같기 때문에 지구에서 보이는 태양과 달의 크기는 거의 같다. (약 0.5각도)[12]
달과 지구의 궤도는 타원형이므로, 태양과 달의 겉보기 크기는 변한다.[6] 일식의 규모는 일식 동안 달의 겉보기 크기와 태양의 겉보기 크기의 비율이다. 달이 근지점에 있을 때는 개기일식(규모 1.000 이상), 원지점에 있을 때는 금환일식(규모 1 미만)이 될 수 있다.[7] 지구가 7월 초 원일점에 있을 때는 개기일식이, 1월 초 근일점에 있을 때는 금환일식이 더 가능성이 높다.[8]
'중앙 일식'은 개기일식, 금환일식, 혼성일식을 통칭하는 용어이다.[18] 중심선이 지구 표면에 닿는 일식을 중앙 일식이라고 하는데, 중심선이 아닌 본영의 일부가 지구와 교차하는 비중앙 개기일식 또는 금환일식도 가능하다.[18] 감마는 그림자 중심 위치를 측정하는 값이다.
해가 뜨거나 질 때 태양이 일부 가려진 상태로 보이는 경우를 각각 '''일출대식''', '''일몰대식'''이라고 한다.
2. 1. 개기일식 (Total Eclipse)
달은 태양보다 400배 더 작지만, 태양이 달보다 400배 정도 더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달이 태양과 겹쳐지면 일식이 일어난다. 달의 지구 궤도와 지구의 공전 궤도는 타원이므로, 지상에서 본 태양과 달의 겉보기 지름은 항상 변한다. 달의 겉보기 지름이 태양보다 커서 태양 전체가 가려지는 경우를 '''개기일식'''(또는 '''개기식''', total eclipse)이라고 한다.[119]개기일식은 평균 18개월마다 발생하는데,[14] 달의 어두운 그림자가 태양의 밝은 빛을 완전히 가리면서 훨씬 희미한 코로나(태양 대기)가 보이게 된다. 일식 중 개기일식은 지구 표면의 좁은 지역에서만 발생한다.[10] 이 좁은 지역을 개기일식 경로라고 한다.[11]
2. 2. 금환일식 (Annular Eclipse)
달의 지름이 태양보다 작아서 태양 전체가 가려지지 않고 얇은 고리 모양으로 보이는 경우를 금환일식(annular eclipse영어)이라고 한다.[119]2. 3. 부분일식 (Partial Eclipse)
달이 태양의 일부분만 가리는 경우로, 개기일식이나 금환일식이 일어나는 지역 주변에서 관측할 수 있다. 중심식에서는 본영과 금환식 그림자가 지구에 떨어져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하며 그 범위 내에서 중심식이 보이고, 거기서 벗어난 지역에서는 반영에 들어가 태양이 부분적으로 가려지는 부분일식이 보인다. 반영만 지구에 걸리고 지상 어디에서도 중심식이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다.2. 4. 혼성일식 (Hybrid Eclipse)
금환개기일식이라고도 불리는 혼성일식은 개기일식과 금환일식이 번갈아 나타나는 현상이다. 지구 표면의 특정 지점에서는 개기일식으로, 다른 지점에서는 금환일식으로 보인다. 혼성일식은 비교적 드물다.[12]혼성일식은 일식의 규모가 진행 중에 1보다 작은 값에서 1보다 큰 값으로 변할 때 발생한다. 따라서 지구의 중간 지점에 가까운 곳에서는 개기일식으로, 시작과 끝 부분에 가까운 곳에서는 금환일식으로 보인다. 이는 지구의 양쪽 끝이 달로부터 약간 더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일식은 통로 폭이 매우 좁고, 완전한 개기일식에 비해 어떤 지점에서도 지속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다. 2023년 4월 20일 혼성일식의 개기일식 시간은 통로의 여러 지점에서 1분을 조금 넘는다. 초점과 마찬가지로, 개기일식과 금환일식의 폭과 지속 시간은 두 현상이 바뀌는 지점에서 거의 0에 가깝다.[17]
달과 태양의 겉보기 지름이 식의 경로 중간에서 완전히 같아져서 정오에 중심식이 되는 부근에서는 개기일식이 되고, 경로의 양 끝에서는 금환일식이 되는 경우를 금환개기일식이라고 한다. 하지만 빈도는 적다.
3. 발생 원인
일식은 태양 - 달 - 지구가 일직선상에 놓일 때 발생한다. 하지만 달의 궤도가 지구의 공전 궤도에 대해 약 5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매달 일식이 일어나지는 않는다.
지구에서 보면 달이 태양보다 약 13배 빠르게 천구 위를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달이 태양을 추월할 때, 즉 신월(월령 0일) 때 삭이 된다. 그러나 황도와 백도가 약 5.1도 기울어져 있어 삭일 때도 달이 태양의 위나 아래를 지나가는 경우가 많다. 일식은 달이 황도와 백도가 교차하는 지점인 교점 부근에서 삭이 될 때만 일어난다.
3. 1. 삭망월과 교점 주기
달이 지구 주위를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삭망월)과 달의 궤도가 지구 공전 궤도와 만나는 지점(교점)을 통과하는 주기(교점 주기)의 차이 때문에 일식은 특정한 시기에만 발생한다.3. 2. 일식 계절
태양이 교점 근처에 위치하는 기간을 "일식 계절"이라고 하며, 이 기간에만 일식이 발생할 수 있다.4. 발생 빈도 및 예측
달의 궤도는 지구의 태양 공전 면(즉, 황도)에 대해 약 5도 이상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삭망기에 달은 보통 태양의 북쪽이나 남쪽으로 지나간다. 일식은 삭망기가 달의 궤도가 황도와 교차하는 지점(궤도 교점) 근처에서 발생할 때만 일어난다.[22]
달의 궤도는 타원형이므로, 달과 지구 사이의 거리는 평균값에서 최대 약 5.9%까지 변한다. 따라서 달의 겉보기 크기는 지구와의 거리에 따라 달라지며, 이 때문에 개기일식과 금환일식의 차이가 발생한다.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도 일 년 내내 변하지만, 이는 더 작은 효과(평균값에서 최대 약 0.85%까지)이다. 평균적으로 달은 지구에서 보았을 때 태양보다 약간(2.1%) 작게 보이므로, 중앙 일식의 대부분(약 60%)은 금환일식이다. 달이 평균보다 지구에 가까울 때(근지점 부근)만 개기일식이 발생한다.[23][24]
달은 항성월이라 불리는, 고정된 기준계에서 약 27.3일에 지구를 공전한다. 그러나 이 기간 동안 지구는 태양 주위를 일부 회전하므로, 삭망기 사이의 평균 시간(삭망월)은 약 29.5일로 항성월보다 길다.[22]
달은 승교점에서 황도의 남쪽에서 북쪽으로, 강교점에서 반대로 교차한다.[22] 달의 궤도 교점은 태양의 중력 때문에 점차적으로 역행 운동하며, 18.6년마다 완전한 회로를 만든다. 이 때문에 달이 승교점을 통과하는 시간 간격은 항성월보다 약간 짧은데, 이 기간을 교점월 또는 교점월이라고 한다.[26]
달의 근지점은 궤도에서 앞으로 이동하거나 세차 운동을 하며 8.85년에 완전한 회로를 만든다. 근지점에서 다음 근지점까지의 시간은 항성월보다 약간 길며 삭망월이라고 한다.[27]
달의 궤도는 180도 떨어진 두 개의 교점에서 황도와 교차한다. 따라서 삭망기는 일 년 중 약 6개월(173.3일) 간격으로 교점 근처에서 발생하며, 이 기간 동안 항상 적어도 하나의 일식이 발생한다. 때로는 삭망기가 두 달 연속으로 교점에 충분히 가까워 두 번의 부분 일식으로 태양을 가리기도 한다. 즉, 어떤 해에도 항상 최소 두 번의 일식이 있으며, 최대 다섯 번까지 일식이 발생할 수 있다.[28]
일식은 태양이 교점에서 약 15~18도 이내에 있을 때만 발생할 수 있다(중앙 일식의 경우 10~12도). 이를 일식 한계라고 하며, 태양과 달의 겉보기 크기와 속도가 일 년 내내 다르기 때문에 범위로 표시된다. 달이 교점으로 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교점월) 동안, 태양의 겉보기 위치는 교점을 기준으로 약 29도 이동했다.[2] 일식 한계는 최대 36도(중앙 일식의 경우 24도)의 기회의 창을 만드므로, 연속적인 달에 부분 일식(또는 드물게 부분 일식과 중앙 일식)이 발생할 수 있다.[29][30]
- 달이 근지점에 거의 정확히 위치할 때 (달의 겉보기 지름을 최대가 되도록 함).
- 지구가 원일점에 매우 가까이 있을 때 (겉보기 지름을 최소에 가깝게 함).
- 일식 중점이 지구의 적도에 매우 가까울 때 (지구 자전 속도가 가장 크고, 달 그림자가 지구 표면 위로 이동하는 속도에 가장 가까움).
- 일식 중점에서의 일식 경로 벡터가 지구 자전 벡터와 정렬될 때 (즉, 대각선이 아닌 동쪽 방향일 때).
- 일식 중점이 태양 직하점(태양에 가장 가까운 지구의 부분) 근처에 있을 때.
지금까지 계산된 가장 긴 일식은 2186년 7월 16일 일식으로, 기아나 북부 상공에서 최대 7분 29초 지속되었다.[41]

개기일식은 평균적으로 18개월마다 지구 어딘가에서 발생하지만,[38] 특정 장소에서 다시 발생하는 것은 평균 360~410년마다 한 번꼴이다.[39] 달의 본영이 시속 1700km/h 이상으로 동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40] 어떤 위치에서도 개기일식은 최대 몇 분 동안만 지속된다.[40] 현재 개기일식은 최대 7분 32초를 넘을 수 없다. 이 값은 수천 년에 걸쳐 변하며 현재는 감소하고 있다. 8천년까지는 이론적으로 가능한 가장 긴 개기일식도 7분 2초 미만이 될 것이다.[41] 7분 이상 지속된 마지막 일식은 1973년 6월 30일 일식(7분 3초)에 발생했다. 콩코드 초음속 항공기를 탄 관측자들은 달의 본영 경로를 따라 비행하여 이 일식의 개기 시간을 약 74분까지 연장할 수 있었다.[42] 7분을 초과하는 다음 개기일식은 2150년 6월 25일 일식까지 발생하지 않는다. 기원전 3000년부터 서기 8000년까지의 년 기간 동안 가장 긴 개기일식은 2186년 7월 16일 일식에 발생하며, 개기 시간은 7분 29초이다.[41][43] 비교하자면, 20세기 최장 개기일식은 1955년 6월 20일 일식에 발생한 7분 8초였으며, 21세기에는 7분 이상 지속되는 개기일식은 없다.[44]
매년 2~5회의 일식이 발생하며, 적어도 한 번은 일식 계절에 발생한다. 1582년 그레고리력이 도입된 이후 5회의 일식이 발생한 해는 1693년, 1758년, 1805년, 1823년, 1870년, 1935년이다.[46] 다음 5회의 일식이 발생하는 해는 2206년이다.[46] 평균적으로 한 세기 동안 약 240회의 일식이 발생한다.[47]
1월 5일 | 2월 3일 | 6월 30일 | 7월 30일 | 12월 25일 |
---|---|---|---|---|
부분 (남반구) | 부분 (북반구) | 부분 (북반구) | 부분 (남반구) | 금환 (남반구) |
![]() 사로스 111 | ![]() 사로스 149 | ![]() 사로스 116 | ![]() 사로스 154 | ![]() 사로스 121 |
일식은 태양이 달의 궤도 교점에 가까울 때만 발생하는데, 이 시기를 일식 계절이라고 한다. 각 일식은 한 번, 다섯 번 또는 여섯 번의 삭망월(즉, 삭망주기)만큼 간격을 두고 발생하며, 각 계절의 중간 지점은 173.3일 간격으로 분리되는데, 이는 태양이 한 궤도 교점에서 다음 궤도 교점까지 이동하는 평균 시간이다. 달의 궤도 교점이 서서히 역행하기 때문에 이 기간은 반년보다 약간 짧다.
4. 1. 사로스 주기 (Saros Cycle)
사로스 주기(Saros Cycle)는 약 18년 11일 8시간(6585.3일) 주기로, 거의 동일한 조건의 일식이 반복되는 현상이다. 이 주기를 이용하여 일식을 예측할 수 있다.4. 2. 일식 예측의 역사
고대부터 일식은 중요한 천문 현상으로 여겨졌으며, 여러 문화권에서 이를 예측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인류에게 태양은 모든 생명의 근원이며, 세계 전체를 비추는 가장 중요한 천체로 오랫동안 알려져 왔다. 세계 각지의 신화와 종교에서 최고신인 태양신으로 숭배되었다. 과학적인 설명이 널리 퍼지기 전, 사람들에게 태양이 가려지고, 심지어 완전히 사라져 밝았던 하늘이 어두워지는 것은 중대한 사건으로 인식되었다. 따라서 혜성과 함께 흉조로 여겨지며 두려워했다.근대 천문학이 확립되기 전, 많은 문명에서 일식과 월식을 설명하는 신화가 오랫동안 전해져 내려왔다. 이러한 신화의 대부분은 일식과 월식이 여러 신비로운 힘 사이의 대립이나 다툼에 의해 발생한다고 여겼다. 예를 들어 힌두교 신화에서는 식이 일어나는 달의 승교점을 라후(राहु|라후sa), 강교점을 케투(केतु|케투sa)라는 두 마신으로 의인화하여, 이 두 신의 활동에 의해 식이 일어난다고 생각했다. 이 두 신이 상징하는 두 교점은 후에 고대 중국에서 “라후성(羅睺星)”, “계두성(計斗星)”이라는 이름으로 칠요에 추가되어 구요의 일원을 이루고 있다.[150]

베이징 천문대에는 일식 신화를 그린 돌 조각이 있으며, 다음과 같은 설명이 덧붙여져 있다.
: “이 조각 그림은 일식의 원인을 설명하고 있다. 금오(金烏, 태양의 상징)의 중심이 두꺼비(개구리과, 달의 상징)에 의해 가려져 있다. 한(漢)나라 사람들은 이 현상을 태양과 달의 좋은 조합이라고 불렀다.”
여기서 금오는 금색(태양) 속에 있는 세 발 달린 까마귀(八咫烏 참조)이며, 두꺼비는 달의 크레이터 모양에서 유래한 것이다. 이 설명문에서는 당시 문화에서 천문 현상으로서의 사실 인식과 현상에 대한 유쾌한 해석이 공존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바이킹의 전승을 기록한 『스노리의 에다(스노ッ리のエッダ)』에는 스콜(Skǫll|스콜non)이라는 늑대가 태양을 항상 쫓아다니며, 늑대가 태양을 따라잡으면 일식이 된다는 기록이 있다. 그리고 세상의 종말에 늑대는 마침내 태양을 완전히 삼켜 버린다는 것이다.
일본에서는 계산상 邪馬台國 시대, 卑彌呼가 죽었다고 전해지는 247년과 248년에 일본 열도에서 일식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추정되고 있다. 일본 국립천문대(国立天文台)는 “확인된 일식은 『일본서기(日本書紀)』 추고천황(推古天皇) 36년 3월 2일(구력)(628년 4월 10일)이 가장 오래되었으며, 그 이전은 중간 문헌이 없기 때문에 지구의 자전 속도 저하로 특정할 수 없다”고 밝히고 있다.[151]
5. 관측
일식은 태양을 직접 관측할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이지만, 안전을 위해서는 특별한 장비와 방법이 필요하다.
태양의 광구(밝은 원반)를 몇 초라도 직접 보면 망막에 영구적인 손상을 입을 수 있다. 이는 가시광선과 비가시광선 때문인데, 시력 저하나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다.[50][51] 망막에는 통증 감각이 없어 손상 경고를 알아차리기 어렵고, 손상 영향은 수 시간 후에 나타날 수 있다.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태양이 너무 밝아 직접 보기 어렵지만, 일식 중에는 태양의 상당 부분이 가려져 있어 직접 보기가 더 쉽고 유혹적이다. 그러나 일식 때 태양을 보는 것은 일식이 아닐 때 보는 것만큼 위험하다. 단, 개기일식 때 태양이 완전히 가려지는 짧은 시간 동안은 예외이다. 부분일식이나 금환일식 때는 개기일식과 달리 항상 위험하다. 광학 보조 장치(쌍안경, 망원경, 광학 카메라 뷰파인더 등)를 통해 태양을 보는 것은 매우 위험하며, 짧은 순간에 돌이킬 수 없는 눈 손상을 입힐 수 있다.[52][53]
개기일식이 일어나면 평소에는 광구의 밝기에 가려 볼 수 없었던 코로나와 홍염을 관측할 수 있어, 태양과 항성을 연구하는 좋은 기회가 된다.
개기일식 전후에는 프랜시스 베일리가 원리를 밝힌 베일리 비즈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는 달 표면의 요철 때문에 태양 빛이 점점이 이어져 보이는 현상이다.[135] 예로부터 달에 요철이 있다는 증거로 여겨졌다.
개기일식 때 태양이 완전히 가려지기 직전과 직후, 또는 일식 경로의 한계선에서 태양 빛이 한 곳에서만 새어 나와 빛나는 순간이 있는데, 이를 '''다이아몬드 링'''이라고 한다. 이는 달 표면의 요철에 의한 현상이며, 개기일식의 주요 볼거리 중 하나이다.
개기일식 때는 하늘이 어두워져 별을 관측할 수 있다. 1919년 5월 29일 일식 때 아서 에딩턴은 개기일식 중 태양 주변 별을 관측하여 일반 상대성 이론을 검증했다. 별빛이 태양의 중력장을 통과하며 굴절되어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이론의 정확성을 확인했다.[137]
5. 1. 관측 장비
일식을 맨눈으로 직접 관측하면 일식 망막증을 일으켜 망막에 화상이나 후유증이 생길 수 있고, 심하면 실명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일정 성능을 충족하는 관측 장비가 필요하다.[138]- 태양 필터: 태양의 해로운 부분을 차단하는 필터를 사용하여 태양 원반을 볼 수 있다. 선글라스는 태양을 안전하게 볼 수 있게 해주지 않으므로, 적절하게 설계되고 인증된 태양 필터만 사용해야 한다.[54]
- 일식 안경: 일식 안경은 눈에 해로운 방사선을 차단하여 부분 일식의 모든 단계 동안 태양을 직접 관찰할 수 있게 해준다. 단, 태양이 완전히 가려지는 개기 일식 동안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일식 관측 안경을 사용할 때는 태양에 등을 돌리고 안경을 눈에 댄 후 태양을 향해 돌아보는 동작을 해야 한다. 투과율은 가시광선에서 0.003% 이하, 적외선에서 3% 이하(모두 기준)여야 하며, 실내 형광등을 보았을 때 희미하게 확인할 수 있을 정도의 시야이고, LED 조명 등 강한 빛에 비추었을 때 균열이나 구멍 등의 손상이 없어야 한다.[138]
- 핀홀 카메라: 종이나 얇은 판에 바늘 구멍(핀홀)을 뚫고 햇빛을 통과시켜 벽이나 스크린에 투영하면 햇빛이 가려진 모양을 안전하게 관측할 수 있다.[139]
- 태양 투영판: 핀홀 카메라와 비슷한 원리로, 작은 구멍이 있는 판지를 이용하여 원반의 이미지를 흰 종이나 카드에 투영하여 관측할 수 있다.
- 체: 작은 구멍이 있는 주방용 체를 사용하여 부분 일식 태양의 여러 이미지를 바닥이나 화면에 투영할 수도 있다.
- 망원경: 망원경이나 카메라 같은 광학기기를 사용할 경우, 반드시 렌즈에 '''태양광 필터'''를 장착해야 한다.[58]
- 태양 망원경: 태양 망원경을 이용하여 관측할 수 있다.
- 기타: 용접면과 같이 강력한 차광이 되는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140]
주의사항:
- 그을음을 묻힌 유리나 일반적으로 시판되는 검은색 자, 컬러 네거티브 필름으로는 차광이 불충분하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 적절한 전용 장비를 사용하더라도, 1분 관측할 때마다 2~3분 정도 관측을 중단하여 눈을 쉬어야 한다.[138]
- 비디오 카메라 또는 디지털 카메라에서 제공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화면에 태양 원반을 표시하는 것은 안전하지만, 카메라 자체는 태양에 직접 노출되면 손상될 수 있다.
- 일부 비디오 및 디지털 카메라에 제공되는 광학식 뷰파인더는 안전하지 않다.
5. 2. 관측 시 주의사항
맨눈으로 태양을 직접 보는 것은 매우 위험하며, 심각한 경우 실명에 이를 수 있다.[50][51] 부분일식이나 금환일식은 개기일식의 짧은 순간을 제외하고는 반드시 안전 장비를 착용해야 한다.[52][53]태양의 광구(밝은 원반)를 몇 초라도 직접 보면 망막에 영구적인 손상을 입을 수 있다.[50][51]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태양이 너무 밝아 직접 보기 어렵지만, 일식 중에는 태양의 상당 부분이 가려져 있어 직접 보기가 더 쉽고 유혹적이다. 일식 때 태양을 보는 것은 일식이 아닐 때 보는 것만큼 위험하다.[52][53]
부분일식과 금환일식, 그리고 개기일식 중(개기일식의 짧은 시간을 제외)에는 특수한 눈 보호 장비나 간접 관찰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54] 선글라스는 태양을 안전하게 볼 수 있게 해주지 않으며, 적절하게 설계되고 인증된 태양 필터만 사용해야 한다.[54] 특히, 플로피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검은색 슬라이드 필름, 훈증 유리 등 일반적인 물체를 사용하여 직접 만든 필터는 사용해서는 안 된다.[55][58]
태양 원반을 관찰하는 가장 안전한 방법은 간접 투영이다.[56] 쌍안경(렌즈 중 하나를 가린 상태), 망원경 또는 작은 구멍(약 1mm 지름)이 있는 판지(핀홀 카메라)를 사용하여 원반의 이미지를 흰 종이나 카드에 투영할 수 있다. 투영된 태양 이미지는 안전하게 볼 수 있으며, 흑점과 일식을 관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투영기를 통해 직접 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57]
비디오 카메라 또는 디지털 카메라에서 제공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화면에 태양 원반을 표시하는 것은 안전하지만, 카메라 자체는 태양에 직접 노출되면 손상될 수 있다. 일부 비디오 및 디지털 카메라에 제공되는 광학식 뷰파인더는 안전하지 않다. 렌즈와 뷰파인더 앞에 #14 용접공용 유리를 단단히 고정하면 장비를 보호하고 관찰이 가능해진다.[58]
부분 일식 경로에서는 코로나나 하늘의 거의 완전한 어두워짐을 볼 수 없다. 그러나 태양 원반의 얼마나 많은 부분이 가려지는지에 따라 어느 정도 어두워짐이 눈에 띄일 수 있다. 태양의 4분의 3 이상이 가려지면 하늘이 흐린 것처럼 햇빛이 희미해 보이지만 물체는 여전히 선명한 그림자를 드리우는 효과를 관찰할 수 있다.[59]
일식 관측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권장된다.
- 일식 관측 안경(일식 안경)을 이용할 때는 태양을 등지고 안경을 댄 후 태양을 향해 돌아본다. 투과율은 가시광선에서 0.003% 이하, 적외선에서 3% 이하여야 한다.[138] 1분 관측할 때마다 2~3분 정도 눈을 쉬어야 한다.
- 감광 필터를 장착한 천체 망원경·쌍안경을 이용한다.
- 태양 투영판을 이용한다. 전용 장비가 없다면 종이에 핀홀을 뚫어 햇빛을 통과시켜 벽이나 스크린에 투영하면 된다.
- 태양 망원경을 이용한다.
5. 3. 개기일식 관측 현상
달은 태양보다 400배 더 작다. 그러나 태양은 달보다 400배 정도 더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달이 태양과 겹쳐지면 일식이 일어나는 것이다.광구의 보이는 부분이 매우 작아지면 베일리 비즈가 발생한다. 이는 달의 계곡을 통해 태양빛이 여전히 지구에 도달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그 후 다이아몬드 반지 효과, 즉 마지막 밝은 태양빛의 섬광과 함께 개기일식이 시작된다.[60]
개기일식의 개기 단계는 태양의 광구가 달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때에만 직접 관찰하는 것이 안전하며, 개기 전이나 후에는 안전하지 않다.[56] 이 기간 동안 태양은 필터를 통해 볼 수 없을 정도로 어둡다. 태양의 희미한 코로나가 보이고, 채층, 홍염, 코로나 스트리머 그리고 아마 태양 플레어까지도 관찰될 수 있다. 개기일식이 끝날 때에는 같은 효과가 반대 순서로, 달의 반대편에서 발생한다.[60]
개기일식이 일어나면, 평소에는 광구의 밝기에 가려 볼 수 없었던 코로나와 홍염을 관측할 수 있게 되어 태양의 구조와 물리적 성질을 연구하는 좋은 기회가 된다. 이는 태양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항성 연구에도 큰 역할을 한다.
제2 접촉 직전 또는 제3 접촉 직전에는 달 표면의 요철(凹凸)에서 태양의 빛이 점점이 이어져 보이는 경우가 있다.[135] 이를, 그 원리를 밝힌 프랜시스 베일리의 이름을 따서 '''베일리 비즈'''(베일리의 구슬)라고 하며, 예로부터 달에 요철이 있다는 증거로 여겨져 왔다.
또한 개기일식 때 태양이 완전히 가려지기 직전과 개기일식이 끝난 직후, 또는 북한계선이나 남한계선에서 일식을 볼 경우, 태양의 빛이 한 곳에서만 새어 나와 빛나는 순간이 있다. 검은 태양(실제는 달) 주위에 가늘게 내부 코로나가 고리 모양으로 보이는 것과 함께 보석이 박힌 반지와 비슷한 형태가 된다. 이것을 '''다이아몬드 링'''이라고 하며, 개기일식의 볼거리 중 하나이다.
개기일식이 일어나면 하늘이 상당히 어두워져 별을 관측할 수 있게 된다. 그 짧은 시간을 이용하여 1919년 5월 29일 일식 때 아서 에딩턴에 의해 일반 상대성 이론의 검증이 이루어졌다. 개기일식 중에 태양 주변의 별을 관측하면, 별에서 오는 빛은 태양의 중력장을 통과하기 때문에 굴절되어 위치가 약간 어긋나게 된다.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예측되는 값과 실제 관측된 값을 비교함으로써 일반 상대성 이론의 정확성이 확인되었다.[137]
6. 역사 속 일식
일식은 역사적 사건의 연대를 추정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며, 다양한 문화권에서 신화나 전설의 소재로 등장하기도 한다.
역사 속에서 일식은 다양한 방식으로 기록되고 해석되었다. 고대에는 일식을 불길한 징조로 여기거나, 신화나 전설의 소재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어, 고대 중국에서는 일식을 "태양이 먹힌다"(日食|르스중국어)라고 표현했으며, 가장 오래된 일식 기록은 기원전 72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83] 기원전 4세기경에는 천문학자 석신이 달과 태양의 상대적 위치를 이용하여 일식을 예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도 했다.[84]
존 피스크는 1872년 저서 ''신화와 신화 창조자들''에서 일식에 대한 신화를 요약하기도 했다.
6. 1. 역사 기록
1919년 아서 에딩턴경은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 따른 중력장에서의 빛의 굴절을 일식을 통하여 관측하였다.[69] 역사적 일식은 역사가들에게 매우 귀중한 자료인데, 일식을 통해 일부 역사적 사건의 날짜를 정확하게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른 날짜와 고대 달력을 추론할 수 있기 때문이다.가장 오래된 기록된 일식은 현대 시리아의 우가릿에서 발견된 점토판에 기록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기원전 1375년 5월 3일 또는 기원전 1223년 3월 5일의 두 가지 가능한 날짜가 제시되지만, 후자가 최근 연구자들 사이에서 더 선호된다.[70][71] 기원전 763년 6월 15일의 일식은 아시리아 문서에 언급되어 근동의 연대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72] 전설적인 중국 황제 중강은 4000년 전 일식을 예측하지 못한 두 명의 천문학자 희(羲)와 합(和)을 처형했다고 한다.[73]

일식은 징조 또는 전조로 해석되어 왔는데,[75] 고대 그리스 역사가 헤로도토스는 밀레토스의 탈레스가 전투 중 발생한 일식을 예측했다고 기록했다. 메디아와 리디아 양측은 일식으로 인해 무기를 내려놓고 평화를 선언했다고 한다.[76] 관련된 정확한 일식은 불확실하지만, 고대와 현대의 수많은 권위자들이 이 문제를 연구해 왔으며, 가능성이 높은 후보 중 하나는 기원전 585년 5월 28일에 소아시아의 할리스 강 근처에서 발생한 일식이다.[77] 헤로도토스는 크세르크세스가 고대 그리스 원정을 떠나기 전에 기록한 일식[78]은 전통적으로 기원전 48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존 러셀 힌드는 기원전 478년 2월 17일 사르디스에서 발생한 금환 일식과 일치한다고 밝혔다.[79] 헤로도토스는 스파르타에서 그리스 제2차 페르시아 전쟁 중에 일식을 보고하기도 했다.[81] 일식 날짜(기원전 477년 8월 1일)는 역사가들이 받아들이는 전쟁의 통상적인 날짜와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다.[82]
고대 중국에서는 일식을 "태양이 먹힌다"( 日食|르스중국어)라고 불렀으며, 가장 오래된 일식 기록은 기원전 72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83] 기원전 4세기의 천문학자 석신은 달과 태양의 상대적 위치를 이용하여 일식을 예측하는 방법을 설명했다.[84]
예수의 십자가 처형에서 묘사된 어둠이 일식이었다고 가정하여 성금요일의 정확한 날짜를 밝히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이 연구는 결정적인 결과를 얻지 못했다.[85][86] 당시 연대기에는 영국 제도에서 664년의 역병의 시작과 일치하는 5월 초 664년의 일식에 대해 기록했다.[87] 서반구에서는 800년 이전의 일식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기록이 거의 없으며, 초기 중세 시대의 아랍과 수도원 관측이 등장할 때까지 이어진다.[83]
632년 1월 27일에 아라비아 상공에서 일식이 발생했는데, 이는 무함마드의 생애 중에 발생했다. 무함마드는 일식이 그날 이전에 죽은 그의 아들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부인하며, "태양과 달은 사람들의 죽음 때문에 일식을 일으키지 않습니다. 그들은 신의 징조 중 두 가지입니다."라고 말했다.[88] 카이로의 천문학자 이븐 유누스는 일식 계산이 천문학과 이슬람법을 연결하는 많은 것 중 하나라고 기록했는데, 그 이유는 특별한 기도를 드릴 수 있는 시간을 알 수 있게 해주었기 때문이다.[89] 코로나의 첫 번째 기록된 관측은 서기 968년 콘스탄티노플에서 이루어졌다.[80][83]
개기일식의 최초로 알려진 망원경 관측은 1706년 프랑스에서 이루어졌다.[83] 9년 후, 영국의 천문학자 에드먼드 핼리는 1715년 5월 3일 일식을 정확하게 예측하고 관측했다.[80][83] 19세기 중반까지 태양의 코로나에 대한 관측을 통해 태양에 대한 과학적 이해가 향상되었으며, 코로나는 1842년에 태양 대기의 일부로 확인되었고, 개기일식의 최초 사진(또는 다게레오타입)은 1851년 7월 28일 일식에서 촬영되었다.[80] 분광기 관측은 1868년 8월 18일 일식에서 이루어졌으며, 이는 태양의 화학적 구성을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80]
인류에게 태양은 모든 생명의 근원이며, 세계 전체를 비추는 가장 중요한 천체라는 사실은 아주 오래전부터 알려져 왔다. 세계 각지의 신화와 종교에서 최고신인 태양신으로 숭배되어 왔다. 과학적인 설명이 널리 퍼지기 전 사람들에게 태양이 가려지고, 심지어 완전히 사라져 밝았던 하늘이 어두워지는 것은 중대한 사건으로 인식되었다. 따라서 혜성과 함께 흉조로 여겨지며 두려워했다.
근대 천문학이 확립되기 전, 많은 문명에서 일식과 월식을 설명하는 신화가 오랫동안 전해져 내려왔다. 이러한 신화의 대부분은 일식과 월식이 여러 신비로운 힘 사이의 대립이나 다툼에 의해 발생한다고 여겼다. 예를 들어 힌두교 신화에서는 식이 일어나는 달의 승교점을 라후(ラーフ), 강교점을 케투(ケートゥ)라는 두 마신으로 의인화하여, 이 두 신의 활동에 의해 식이 일어난다고 생각했다. 이 두 신이 상징하는 두 교점은 후에 고대 중국에서 “라후성(羅睺星)” “계두성(計斗星)”이라는 이름으로 칠요(七曜)에 추가되어 구요(九曜)의 일원을 이루고 있다.[150]
또한 베이징 천문대에는 일식 신화를 그린 돌 조각이 있으며, 다음과 같은 설명이 덧붙여져 있다.
: “이 조각 그림은 일식의 원인을 설명하고 있다. 금오(金烏, 태양의 상징)의 중심이 두꺼비(개구리과, 달의 상징)에 의해 가려져 있다. 한(漢)나라 사람들은 이 현상을 태양과 달의 좋은 조합이라고 불렀다.”
여기서 금오는 금색(태양) 속에 있는 세 발 달린 까마귀(八咫烏 참조)이며, 두꺼비는 달의 크레이터 모양에서 유래한 것이다.
바이킹의 전승을 기록한 『스노리의 에다(スノッリのエッダ)』에는 스콜(スコル)이라는 늑대가 태양을 항상 쫓아다니며, 늑대가 태양을 따라잡으면 일식이 된다는 기록이 있다.
일본에서는 계산상 야마타이국 시대, 히미코가 죽었다고 전해지는 247년과 248년에 일본 열도에서 일식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추정되고 있다. 국립천문대는 “확인된 일식은 『일본서기』 스이코 천황 36년 3월 2일(구력)(628년 4월 10일)이 가장 오래되었으며, 그 이전은 중간 문헌이 없기 때문에 지구의 자전 속도 저하로 특정할 수 없다”고 밝히고 있다.[151]
6. 2. 한국 역사 속 일식 기록
다음은 한국 역사 속에서 주목할 만한 일식 기록들이다.- 1997년 3월 9일: 부분 일식.
- 2006년 3월 29일: 개기 일식.
- 2009년 7월 22일: 개기 일식.
- 2010년 1월 15일: 금환 일식. 아프리카 중부, 몰디브, 인도 남부, 스리랑카, 미얀마, 중국 등지에서 관측.
- 2011년 1월 4일: 부분 일식.
- 2011년 6월 1일: 부분 일식.
- 2011년 11월 25일: 부분 일식.
- 2012년 5월 20일: 금환 일식.
- 2015년 3월 20일: 개기 일식.
- 2016년 3월 9일: 부분 일식.
- 2018년 8월 11일: 부분 일식.
- 2019년 1월 6일: 부분 일식.
- 2020년 6월 21일: 금환 일식.
- 2021년 12월 4일: 개기 일식.
6. 3. 신화와 전설
인류에게 태양은 모든 생명의 근원이며, 세계 전체를 비추는 가장 중요한 천체라는 사실은 아주 오래전부터 알려져 왔다. 세계 각지의 신화와 종교에서 최고신인 태양신으로 숭배되어 왔다. 과학적인 설명이 널리 퍼지기 전 사람들에게 태양이 가려지고, 심지어 완전히 사라져 밝았던 하늘이 어두워지는 것은 중대한 사건으로 인식되었다. 따라서 혜성과 함께 흉조로 여겨지며 두려워했다.
근대 천문학이 확립되기 전, 많은 문명에서 일식과 월식을 설명하는 신화가 오랫동안 전해져 내려왔다. 이러한 신화의 대부분은 일식과 월식이 여러 신비로운 힘 사이의 대립이나 다툼에 의해 발생한다고 여겼다. 예를 들어 힌두교 신화에서는 식이 일어나는 달의 승교점을 라후, 강교점을 케투라는 두 마신으로 의인화하여, 이 두 신의 활동에 의해 식이 일어난다고 생각했다. 이 두 신이 상징하는 두 교점은 후에 고대 중국에서 “라후성(羅睺星)” “계두성(計斗星)”이라는 이름으로 칠요에 추가되어 구요의 일원을 이루고 있다.[150]
베이징 천문대에는 일식 신화를 그린 돌 조각이 있으며, 다음과 같은 설명이 덧붙여져 있다.
: “이 조각 그림은 일식의 원인을 설명하고 있다. 금오(태양의 상징)의 중심이 두꺼비(개구리과, 달의 상징)에 의해 가려져 있다. 한(漢)나라 사람들은 이 현상을 태양과 달의 좋은 조합이라고 불렀다.”
여기서 금오는 금색(태양) 속에 있는 세 발 달린 까마귀(팔지오 참조)이며, 두꺼비는 달의 크레이터 모양에서 유래한 것이다. 이 설명문에서는 당시 문화에서 천문 현상으로서의 사실 인식과 현상에 대한 유쾌한 해석이 공존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바이킹의 전승을 기록한 『스노리의 에다』에는 스콜이라는 늑대가 태양을 항상 쫓아다니며, 늑대가 태양을 따라잡으면 일식이 된다는 기록이 있다. 그리고 세상의 종말에 늑대는 마침내 태양을 완전히 삼켜 버린다는 것이다.
일본에서는 야마타이국 시대, 히미코가 죽었다고 전해지는 247년과 248년에 일본 열도에서 일식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추정되고 있다. 일본 국립천문대는 “확인된 일식은 『일본서기』 스이코 천황 36년 3월 2일(구력)(628년 4월 10일)이 가장 오래되었으며, 그 이전은 중간 문헌이 없기 때문에 지구의 자전 속도 저하로 특정할 수 없다”고 밝히고 있다.[151]
7. 점성술과 미신
일식은 오랫동안 불길한 징조로 여겨져 왔으며, 현대에도 일부 점성술사나 미신을 믿는 사람들은 일식을 부정적인 사건과 연관 짓기도 한다.
1999년 8월 11일, 20세기 마지막 개기일식과 관련, 스페인 디자이너이자 점성술사로 알려진 파코 라반은 일식이 시작되면 우주정거장 미르가 파리에 추락할 것이라고 예언했지만 빗나가자 사과했다.[156] 독일의 주식시장 점성술사인 우베 크라우스는 "일반적으로 개기일식은 시장을 불안하게 한다"고 말했고, 미국의 투자분석가 아치 크로포드는 "세기말에 일어나는 개기일식으로 인해 주가가 폭락할 가능성이 있다"라고 전망했지만, 이 역시 빗나갔다.[157]
2009년 7월 22일, 중국과 인도의 개기일식과 관련, 뭄바이의 한 점성술사는 인도에서 카슈미르 지방의 분리독립을 요구하는 이슬람교 원리주의 무장세력이나 국제테러조직 알 카에다에 의한 공격으로 명망있는 정치지도자가 암살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힌두 신화의 영향으로 인도에서는 제왕절개 수술을 예정했던 임산부들의 수술 날짜 변경 의뢰가 잇따랐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역사에 비춰보면 일식이 빈번하게 출현했던 시기에 폭동이나 전쟁, 그리고 자연재해가 발생할 확률은 95%"라는 주장을 담은 게시물이 퍼졌다.[158]
2017년 8월 21일, 미국의 개기일식과 관련, 크로포드 퍼스펙티브의 편집자 아치 크로포드는 2008년 1월 러시아에서 일식이 있은 후 6일 뒤 러시아가 조지아와 전쟁을 치렀다는 점을 언급하며, "호전적인 반응이 즉각 나타날 것"이며 "좋든 싫든 간에 역사적인 사건이 미국과 관련해서 발생할 것"이라고 예언했다. 크로포드는 기술적 분석과 행성 주기 등을 바탕으로 미래를 예측하는 투자자문업자다.[159]
8. 일식과 관련된 현상
개기일식은 태양 대기의 가장 바깥층인 코로나를 관찰할 수 있는 드문 기회를 제공한다. 평소에는 광구가 코로나보다 훨씬 밝아 코로나는 보이지 않는다. 태양 활동 주기에 따라 코로나는 작고 대칭적이거나 크고 흐릿하게 보일 수 있는데, 이를 예측하기는 매우 어렵다.[91]
부분 일식 때 나무 잎 사이로 빛이 통과하면 겹쳐진 잎들이 자연적인 핀홀을 만들어 지면에 작은 일식들을 보여주기도 한다.[93]
8. 1. 그림자 띠 (Shadow Bands)
개기일식 직전과 직후에 빛과 그림자가 번갈아 나타나는 물결무늬 현상이다.8. 2. 기상 변화
일식 시에는 기온이 약간 낮아지는 경우가 있다. 1999년 8월 11일 일식 당시 영국의 데이터 분석 결과, 일식에 의해 최대 3°C가 낮아졌다. 또한, 이 분석에서는 일식 시 풍속이 평균 0.7m 저하되고, 풍향도 평균적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17° 회전한다는 바람의 변화가 있었다고 보고되었다.[141][142]8. 3. 동물 행동 변화
일식 때, 예를 들어 새나 다람쥐가 둥지로 돌아가거나 귀뚜라미가 우는 등 동물의 행동 변화가 관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8] 동물원의 사육 동물에서는 평소 저녁이나 야간에 취하는 행동이 관찰되었다는 보고가 있다.[149]9. 최근 및 향후 일식
21세기에는 여러 차례의 개기일식과 금환일식이 예정되어 있다. 2035년 9월 2일 일식은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의 휴전선 이남 10㎞ 지역, 북한의 평양 일대 지역에서 개기일식을 관측할 수 있으며, 그 외 대한민국 지역에서는 부분 일식으로 관측할 수 있다.
참조
[1]
뉴스
What is an eclipse?
https://www.esa.int/[...]
2018-08-04
[2]
서적
Totality: Eclipses of the Sun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3]
서적
NASA Eclipse Web Site
http://eclipse.gsfc.[...]
2009-09-06
[4]
뉴스
Eclipse Chasing, in Pursuit of Total Awe
https://www.nytimes.[...]
2009-05-14
[5]
뉴스
Why I Never Miss a Solar Eclipse
https://www.nytimes.[...]
2010-07-10
[6]
웹사이트
Solar Eclipses
http://csep10.phys.u[...]
[7]
웹사이트
How Is the Sun Completely Blocked in an Eclipse?
https://spaceplace.n[...]
NASA
2009
[8]
문서
Steel, p. 351
[9]
웹사이트
What is a solar eclipse?
https://eclipse.web.[...]
Baylor University
2024
[10]
문서
Harrington, pp. 7–8
[11]
웹사이트
Eclipse: Who? What? Where? When? and How? Total Solar Eclipse 2017
https://eclipse2017.[...]
[12]
문서
Harrington, pp. 9–11
[13]
문서
Harrington, pp. 9–11
[14]
웹사이트
What Are the Three Types of Solar Eclipses?
https://www.explorat[...]
2023-04-17
[15]
뉴스
October eclipse will be annular, not annual, but oversized glasses show how confusing it can be
https://www.expressn[...]
2023-09-15
[16]
웹사이트
Transit of Venus, Sun–Earth Day 2012
http://sunearthday.n[...]
[17]
웹사이트
Solar Eclipses for Beginners
http://www.mreclipse[...]
2009-09-26
[18]
웹사이트
Central Solar Eclipses: 1991–2050
http://eclipse.gsfc.[...]
NASA Goddard Space Flight Center
2009-01-06
[19]
웹사이트
Solar Eclipses on Earth, 1001 BC to AD 2500
http://users.online.[...]
2003-11
[20]
문서
Harrington, pp. 13–14; Steel, pp. 266–279
[21]
문서
Mobberley, pp. 30–38
[22]
문서
Harrington, pp. 4–5
[23]
웹사이트
Why Eclipses Happen
http://www.explorato[...]
[24]
웹사이트
What Causes an Eclipse?
http://www.earthview[...]
1998-01-14
[25]
웹사이트
NASA – Eclipse 99 –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education.gsf[...]
[26]
문서
Steel, pp. 319–321
[27]
문서
Steel, pp. 317–319
[28]
문서
Harrington, pp. 5–7
[29]
웹사이트
Periodicity of Solar Eclipses
http://eclipse.gsfc.[...]
NASA Goddard Space Flight Center
2009-08-28
[30]
웹사이트
Five Millennium Catalog of Solar Eclipses: -1999 to +3000
http://eclipse.gsfc.[...]
NASA Goddard Space Flight Center
2007-01-26
[31]
간행물
Spacecraft flight dynamics: proceedings of an international symposium, 18–22 May 1981 – Darmstadt, Germany
https://books.google[...]
European Space Agency
[32]
문서
Mobberley, pp. 33–37
[33]
웹사이트
How do eclipses such as the one on Wednesday 14 November 2012 occur?
http://www.sydneyobs[...]
[34]
문서
Steel, pp. 52–53
[35]
서적
Explanatory Supplement to the Astronomical Almanac
University Science Books
2013
[36]
문서
M. Littman, et al.
[37]
웹사이트
World Atlas of Solar Eclipse Paths
http://sunearth.gsfc[...]
NASA Goddard Space Flight Center
2008-03-24
[38]
문서
Steel, p. 4
[39]
문서
For 360 years, see Harrington, p. 9; for 410 years, see Steel, p. 31
[40]
문서
Mobberley, pp. 33–36; Steel, p. 258
[41]
논문
The maximum possible duration of a total solar eclipse
2003-12
[42]
논문
Eclipse Flight of Concorde 001
[43]
서적
Historical Eclipses and Earth's Rotation
http://ebooks.cambri[...]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44]
문서
Mobberley, p. 10
[45]
웹사이트
Eclipses and the Saros
http://sunearth.gsfc[...]
NASA Goddard Space Flight Center
2009-08-28
[46]
간행물
Calendar years with five solar eclipses
1935
[47]
웹사이트
What are solar eclipses and how often do they occur?
http://www.timeandda[...]
[48]
웹사이트
Moon near Perigee, Earth near Aphelion
http://www.fourmilab[...]
2004-07-10
[49]
뉴스
WHAT'S UP? The Very Last Solar Eclipse!
https://eclipse2017.[...]
[50]
웹사이트
Eye Safety During Solar Eclipses
http://sunearth.gsfc[...]
NASA Goddard Space Flight Center
2005-07-11
[51]
논문
UK hospitals assess eye damage after solar eclipse
1999-08-21
[52]
뉴스
How to Watch a Partial Solar Eclipse Safely
https://skyandtelesc[...]
2006-08-08
[53]
웹사이트
Eye safety during solar eclipses
http://eclipse.gsfc.[...]
NASA Goddard Space Flight Center
2005-07-11
[54]
웹사이트
Observing Solar Eclipses Safely
http://www.mreclipse[...]
1999
[55]
웹사이트
Eclipse Filters
http://www.mreclipse[...]
2008-01-20
[56]
문서
Harrington, p. 25
[57]
문서
Harrington, p. 26
[58]
웹사이트
Solar Viewing Safety
http://perkins.owu.e[...]
[59]
문서
Harrington, p. 40
[60]
웹사이트
The Experience of Totality
http://www.mreclipse[...]
1999
[61]
서적
Total Addiction: The Life of an Eclipse Chaser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
[62]
웹사이트
Umbraphile, Umbraphilia, Umbraphiles, and Umbraphiliacs – Solar Eclipse with the Sol Alliance
http://solareclipsel[...]
2017-07-06
[63]
웹사이트
How to View the 2017 Solar Eclipse Safely
https://eclipse2017.[...]
[64]
웹사이트
Chasing Totality: A Look Into the World of Umbraphiles
http://www.atlasobsc[...]
2017-08-16
[65]
웹사이트
1st Photo of a Total Solar Eclipse Was Taken 166 Years Ago Today
https://www.space.co[...]
2017-07-28
[66]
간행물
This Is the First-Ever Photo of a Total Solar Eclipse
https://time.com/488[...]
2017-08-11
[67]
웹사이트
Photographing a Total Solar Eclipse
http://www.eclipse-c[...]
[68]
웹사이트
How to Photograph a Solar Eclipse
https://www.bhphotov[...]
2017-04
[69]
서적
Acta Eruditorum
http://atena.beic.it[...]
[70]
웹사이트
Solar Physics Historical Timeline (1223 BC – 200 BC) High Altitude Observatory
https://www2.hao.uca[...]
[71]
웹사이트
People Recorded A Total Solar Eclipse For The First Time 3,241 Years Ago
https://www.forbes.c[...]
2023-12-14
[72]
웹사이트
Astronomical Chronology
http://www.staff.sci[...]
2012-01-15
[73]
문서
Harrington
[74]
뉴스
Ancient Crash, Epic Wave
https://www.nytimes.[...]
2006-11-14
[75]
문서
Steel
[76]
문서
Steel
[77]
웹사이트
Eclipse Quotations
http://www.mreclipse[...]
1998-12-06
[78]
서적
Book VII
http://www.bostonlea[...]
2008-07-13
[79]
서적
A Handbook of Descriptive and Practical Astronomy
Clarendon Press
1889
[80]
웹사이트
Solar Eclipses of Historical Interest
https://web.archive.[...]
NASA Goddard Space Flight Center
[81]
서적
Book IX
http://www.bostonlea[...]
2008-07-14
[82]
간행물
Solar Eclipses That Changed the World
1994-05
[83]
간행물
Historical Eclipses
1982
[84]
서적
Science and Civilization in China: Volume 3
Caves Books
1986
[85]
논문
Dating the Crucifixion
1983
[86]
서적
The Star of Bethlehem: An Astronomer's View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9
[87]
웹사이트
Reeling in the years: why 664 AD was a terrible year in Ireland
https://www.rte.ie/b[...]
2020-05-13
[88]
웹사이트
Translation of Sahih Bukhari, Book 18
https://www.iium.edu[...]
[89]
백과사전
General survey of Arabic astronomy
Routledge
1996
[90]
서적
Myths and Myth-Makers Old Tales and Superstitions Interpreted by Comparative Mythology
http://www.gutenberg[...]
1997
[91]
웹사이트
The science of eclipses
http://www.esa.int/e[...]
2004-09-28
[92]
웹사이트
Flying Shadows
http://www.astro.lu.[...]
[93]
웹사이트
Five Tips from NASA for Photographing the Total Solar Eclipse on Aug. 21
https://www.nasa.gov[...]
2017-08-10
[94]
논문
A Determination of the Deflection of Light by the Sun's Gravitational Field, from Observations Made at the Solar eclipse of May 29, 1919
https://zenodo.org/r[...]
1920
[95]
웹사이트
Relativity and the 1919 eclipse
http://www.esa.int/e[...]
2004-09-13
[96]
문서
Steel
[97]
논문
Should the Laws of Gravitation be Reconsidered?
1959
[98]
논문
1970 solar eclipse as 'seen' by a torsion pendulum
1971
[99]
논문
Precise measurement of gravity variations during a total solar eclipse
2000
[100]
논문
Gravity anomaly during the Mohe total solar eclipse and new constraint on gravitational shielding parameter
2002
[101]
논문
Simultaneous transits
http://www.marco-peu[...]
2004
[102]
서적
Venus and Mercury, and How to Observe Them
Springer
2008
[103]
웹사이트
ISS-Venustransit
http://eclipse.astro[...]
2004-07-29
[104]
웹사이트
JSC Digital Image Collection
https://web.archive.[...]
2006-01-11
[105]
APOD
Looking Back on an Eclipsed Earth
1999-08-30
[106]
웹사이트
Solar Eclipse 2015 – Impact Analysis
https://www.entsoe.e[...]
2015-02-19
[107]
웹사이트
Curve of potential power loss
http://ing.dk/sites/[...]
2015-03-04
[108]
논문
Diagnosing eclipse-induced wind changes
http://rspa.royalsoc[...]
2015-03-04
[109]
웹사이트
How Eclipses Work
https://eclipse2017.[...]
2017-09-21
[110]
웹사이트
Solar- and Lunar-Eclipse Predictions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http://www.staff.sci[...]
Utrecht University
2018-10-06
[111]
웹사이트
Solar- and Lunar-Eclipse Predictions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http://www.staff.sci[...]
Utrecht University
2018-10-06
[112]
웹사이트
Solar- and Lunar-Eclipse Predictions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http://www.staff.sci[...]
Utrecht University
2018-10-06
[113]
웹사이트
Solar- and Lunar-Eclipse Predictions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http://www.staff.sci[...]
Utrecht University
2018-10-06
[114]
웹사이트
Solar- and Lunar-Eclipse Predictions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http://www.staff.sci[...]
Utrecht University
2018-10-06
[115]
웹사이트
Solar- and Lunar-Eclipse Predictions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http://www.staff.sci[...]
Utrecht University
2018-10-06
[116]
웹사이트
Solar- and Lunar-Eclipse Predictions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http://www.staff.sci[...]
Utrecht University
2018-10-06
[117]
웹사이트
Solar- and Lunar-Eclipse Predictions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http://www.staff.sci[...]
Utrecht University
2018-10-06
[118]
웹사이트
Solar- and Lunar-Eclipse Predictions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http://www.staff.sci[...]
Utrecht University
2018-10-06
[119]
문서
実際には月の平均視直径は31分、太陽は32分で、太陽がわずかに大きいが、肉眼では判別できない。
[120]
문서
もちろん、実際は地球が太陽の周りを1年で公転しているのであるが、日食の原理を理解するためには、視点を変え、太陽が天球の上を動いていると考えるとわかりやすい。
[121]
문서
360度÷365.2422日≒1度/日
[122]
문서
360度÷27. 32日≒13度/日
[123]
문서
29.5306日×12≒354日
[124]
문서
月が近地点にあれば大きく見えて白道上を早く移動し、地球が遠日点にあれば太陽は小さく見えて黄道上をゆっくり動く、等。
[125]
문서
現実には月や地球は他の惑星などの摂動を受け、運行は複雑なものになるが、ここでは考慮しない。
[126]
문서
「天文学者」と表記した書籍もあるが、当時の中国には現在のような天文学者という職種は無かった。実際には、暦の作成のために天体観測をする官僚である。
[127]
위키소스
尚書/胤征
[128]
위키소스
史記/卷002#中康
[129]
위키소스
今本竹書紀年/夏紀#五年_2
[130]
위키소스
春秋左氏傳/昭公#昭公十七年
[131]
뉴스
スコープ2012:21日に金環日食 源平水島合戦、勝敗分けた天文知識 日食予測、平家が勝利 /岡山
http://mainichi.jp/a[...]
2012-05-19
[132]
뉴스
江戸時代の金環日食観測は
http://www3.nhk.or.j[...]
2012-05-19
[133]
문서
3サロス周期をギリシャ語でエクセリグモス(exeligmos)と呼ぶ。
[134]
문서
2150年、2168年、2186年、2204年、2222年の5回。
[135]
문서
皆既日食の場合のみでなく、金環日食の場合でも、減光フィルターなどを通して見られる。
[136]
서적
金環日食2012
株式会社アストロアーツ
[137]
논문
A Determination of the Deflection of Light by the Sun's Gravitational Field, from Observations Made at the Solar eclipse of May 29, 1919
https://zenodo.org/r[...]
2019-08-27
[138]
웹사이트
日食観察用グラスの使用に当たっての注意喚起
http://www.caa.go.jp[...]
消費者庁
[139]
웹사이트
Five Tips from NASA for Photographing the Total Solar Eclipse on Aug. 21
https://www.nasa.gov[...]
2017-09-21
[140]
간행물
別紙 2012年5月21日(月曜日) 日食を安全に観察するために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2012-02
[141]
논문
Diagnosing eclipse-induced wind changes
http://rspa.royalsoc[...]
2015-03-04
[142]
웹사이트
日食の影、局所的な風に影響
https://natgeo.nikke[...]
ナショナル ジオグラフィック
2012-03-29
[143]
웹사이트
Solar Eclipse 2015 – Impact Analysis
https://www.entsoe.e[...]
European Network of Transmission System Operators for Electricity
2015-02-19
[144]
웹사이트
Curve of potential power loss
http://ing.dk/sites/[...]
2015-03-04
[145]
문서
光の百科事典
[146]
웹사이트
Flying Shadows
http://www.astro.lu.[...]
2012-01-15
[147]
논문
The Scintillation Theory of Eclipse Shadow Bands
[148]
웹사이트
How Eclipses Work
https://eclipse2017.[...]
2017-09-21
[149]
논문
Total Eclipse of the Zoo: Animal Behavior during a Total Solar Eclipse
[150]
문서
ラーフは仏教の釈迦の息子の名・ラーフラにも用いられたことで知られる。ただし、ラーフラについては別の説もある。古代のインド語では「ラーフ」はナーガ(竜)の頭、「ケートゥ」は尻尾をも意味した。そしてシャカの一族のトーテムは、他ならぬナーガであった。このことからラーフラとは古代インドの言い回しで「竜の頭」を意味したと考えられ、「ナーガの頭になる者」が生まれたことを歓喜した釈迦が名づけたという説である。根拠は古来インドでは一族の跡継ぎがなければ出家することはできず出家を願っていた釈迦には息子の誕生はまたとない吉報であること、また釈迦の父・浄飯王もこの命名を喜んでいることである。
[151]
웹사이트
中国・日本の古代日食から推測される地球慣性能率の変動
http://th.nao.ac.jp/[...]
[152]
웹사이트
第97回 お月様は放蕩息子
https://kotobanomado[...]
2024-05-09
[153]
서적
Totality: Eclipses of the Su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54]
뉴스
Eclipse Chasing, in Pursuit of Total Awe
http://www.nytimes.c[...]
뉴욕 타임즈
2009-05-14
[155]
뉴스
Why I Never Miss a Solar Eclipse
http://www.nytimes.c[...]
뉴욕 타임즈
2010-07-10
[156]
뉴스
20세기 마지막 개기일식의 '미스터리'
아시아경제
2015-08-11
[157]
뉴스
개기일식에 주가 폭락 우려
연합뉴스
1999-08-11
[158]
뉴스
22일 21세기 최고 일식쇼…점성술사들 ‘불길한 예언’ 술렁
스포츠경향
2009-07-21
[159]
뉴스
미국 21일 개기일식, 강세장 종말의 예고일까
조선비즈
2017-08-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