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사하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사하라는 북아프리카에 위치한 지역으로, 스페인의 식민 지배를 거쳐 모로코와 폴리사리오 전선 간의 영유권 분쟁이 지속되고 있다. 1884년 스페인 보호령이 되었으며, 1975년 스페인 철수 이후 모로코와 모리타니가 분할 통치했으나, 모리타니는 영유권을 포기했다. 폴리사리오 전선은 알제리의 지원을 받아 독립을 추구하며,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SADR)을 수립했다. 현재 모로코가 실질적으로 지배하고 있으며, 유엔은 주민 투표를 통한 해결을 모색 중이나, 투표는 무기한 연기되었다. 서사하라의 경제는 인산염 채굴과 수산업에 의존하며, 모로코가 경제 활동을 통제한다. 주민들은 아랍인과 베르베르족이 주를 이루며, 아랍어, 스페인어, 베르베르어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사하라 -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은 서사하라 지역의 독립을 주장하며 폴리사리오 전선에 의해 건국이 선포된 미승인 국가로, 모로코 장벽 동쪽 일부 지역을 실효 지배하고 알제리 틴두프의 난민 캠프에서 행정 기능을 수행하며 아프리카 연합 회원국으로 활동하고 있다.
  • 서사하라 - 서사하라의 국장
    서사하라의 국장은 서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을 상징하며, 교차된 소총과 붉은 초승달 및 별, 폴리사리오의 모토를 담고 있어 서사하라의 독립 투쟁과 염원을 나타내고 정체성을 상징한다.
  • 아프리카의 영토 분쟁 - 바사스다인디아
    바사스다인디아는 인도양 서부 모잠비크 해협에 위치한 프랑스령의 무인 환초로, 프랑스는 이 섬을 통해 넓은 배타적 경제 수역을 확보하고 있으며, 마다가스카르가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 아프리카의 영토 분쟁 - 수단 민족 갈등
    수단 민족 갈등은 수단 내 부족들이 토지, 자원, 정치적 권력을 두고 벌이는 충돌로, 2000년대 이후 다르푸르 지역을 중심으로 격화되어 2022년까지도 불안정한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 스페인의 옛 식민지 - 멕시코
    멕시코는 북아메리카 남부에 위치한 연방 공화국으로, 아즈텍 문명에서 유래된 국명을 가지며, 오랜 역사와 다양한 문화를 바탕으로 대통령 중심의 민주 공화국으로 발전했다.
  • 스페인의 옛 식민지 - 필리핀
    필리핀은 7,641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동남아시아의 섬나라 공화국으로, 스페인과 미국의 식민 지배를 거쳐 1946년 독립하였으며, 다양한 종교와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대통령제를 채택하고 있다.
서사하라
지도 정보
서사하라 지도
서사하라 지도
아프리카 내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주장)
아프리카 내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주장)
서사하라의 세력도
서사하라의 세력도
모로코(빨간색)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녹색)
기본 정보
명칭서사하라
원어 명칭

유형비자치 지역, 계쟁 지역
별칭아프리카의 마지막 식민지
지리
위치아프리카 북서부
면적272,000 sq km
면적 정보Encyclopædia Britannica: Western Sahara summary
육지 면적266,000 sq km
해발고도256 m
최대 해발고도805m
최소 해발고도-55m
정치 및 행정
영유권 주장(모로코의 "남부 주")
(자유 지역)
최대 도시아이운
법적 지위참조
역사
스페인 통치 종료1976년 2월 26일
인구
인구 (2015년 추정)570,866명
인구 밀도2.03명/km²
인구 정보(2008년 유엔 보고서)
언어
주요 언어아랍어 (모로코 방언, 하사니아 방언)
베르베르어
스페인어
경제
GDP (PPP)9억 650만 달러 (2007년)
경제 정보CIA The World Factbook
기타 정보
시간대CET
UTC 시간대+01:00
ISO 3166-2EH
ISO 3166-2 코드ESH

2. 역사

1876년 서사하라


1912년 모로코와 스페인령 사하라의 스페인과 프랑스 보호령


해방 지역에서 스페인으로부터의 30주년 독립기념일 기념식 (2005)


1991년 모로코 공습 이후 티파리티에 있는 전 스페인 병영 잔해


2017년 서사하라 남부의 미누르소 차량(왼쪽)과 폴리사리오 전선의 초소(오른쪽)


서사하라 독립을 위한 마드리드 시위


서사하라 지역은 아프리카 분할 당시 프랑스령 서아프리카에 둘러싸인 스페인령으로 남았다. 1884년 스페인의 보호령이 되었고,[135] 1958년 모로코 남부 보호령 (타르파야 지방), 1969년 이프니를 모로코에 반환했다.

탈식민지화 운동이 일어나면서, 모로코모리타니는 서사하라에 대한 역사적 연고권을 주장했고, 사흐와리인들은 민족 자결을 주장하며 폴리사리오 전선을 중심으로 독립 운동을 전개했다. 1975년 국제사법재판소는 모로코와 모리타니의 연고권은 인정했지만, 사흐와리인의 민족 자결권을 인정하는 권고적 의견을 냈다.[142]

1975년 마드리드 협정에 따라 스페인은 영유권을 포기하고 철수했고, 1976년 모로코와 모리타니가 분할 통치를 시작했다. 그러나 폴리사리오 전선은 알제리의 지원을 받아[32] 무력 투쟁을 시작했고, 1976년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SADR)을 수립했다.

폴리사리오 전선은 모리타니아를 집중 공격하여 1978년 무혈 쿠데타를 일으켰고, 1979년 모리타니아는 서사하라 영유권을 포기했다. 그러나 모로코가 즉시 이 지역을 점령하면서[97] 현재까지 독립 문제가 계속되고 있다.

1988년 유엔 사무총장의 평화 제안에 양측이 합의하여, 1991년 국제연합 중재로 휴전하고 유엔 서사하라 주민투표 감시단(MINURSO)이 창설되었다. 그러나 유권자 확인의 어려움으로 주민 투표는 무기한 연기되었고, 2017년 현재 감시단의 활동이 계속되고 있다.[136] 모로코는 모로코 장벽을 구축하여 폴리사리오 전선을 배제하고 있다.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은 아프리카 통일 기구(OAU)에 가입했으나, 모로코는 이에 반발하여 탈퇴했다가 2017년 재가입했다.

2019년 미국은 모로코의 서사하라 자치권 부여 안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137] 2020년 미국은 모로코의 이스라엘과의 국교 정상화에 대한 대가로 서사하라에 대한 모로코의 주권을 인정했다.[138]

2021년, 스페인 정부가 폴리사리오 전선 지도자에게 의료 지원을 제공하자 모로코 정부가 반발했고, 모로코의 이민자 유입 묵인으로 양국 관계가 악화되었다.[140] 알제리와 모로코는 2021년 국교를 단절했다.[141]

2. 1. 초기 역사

서사하라 지역의 초기 주민은 가에툴리아인이었다. 로마 시대 자료에는 시대에 따라 가에툴리아인 아우톨로레스 부족이나 가에툴리아인 다라다에 부족이 이 지역에 거주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지역 및 지명 토포노미와 부족 이름에서 베르베르 유산이 여전히 나타난다.

서사하라의 다른 초기 주민으로는 바푸르[25]와 후대의 세레르족이 있을 수 있다. 바푸르족은 나중에 베르베르어를 사용하는 인구에 의해 대체되거나 흡수되었고, 결국 이동해 온 베니 하산 아랍 부족과 합쳐졌다.

8세기 이슬람의 도래는 마그레브 지역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무역이 더욱 발전했고, 이 지역은 특히 마라케시와 팀북투(말리) 사이의 대상 경로 중 하나였을 가능성이 있다.

2. 2. 스페인 식민 통치

스페인의 현대 서사하라 지역 지배는 1884년부터 1975년까지 지속되었다. 초기 스페인은 노예 무역을 위한 항구로 이 지역을 활용했지만, 18세기에는 상업적 어업으로 경제 활동을 전환했다.[28] 19세기까지 스페인은 남부 해안 지역을, 1904년에는 북부 지역을 획득했다. 1884년 베를린 회의에서 아프리카의 영향권 분할에 대한 유럽 열강 간의 합의 이후, 스페인은 서사하라를 장악하고 식민지로 설립했다.[29]

1884년 리오데오로 만에 첫 식민지를 설립했으나, 1930년대까지 스페인은 내륙을 완전히 평정하지 못했다. 토착 사하라 인구의 습격과 반란으로 스페인군은 오랫동안 영토의 대부분에서 배제되었다. 1934년 스페인과 프랑스군의 합동 작전으로 이 지역은 정복되었고, 스페인은 사하라 영토를 사기아 엘 함라와 리오데오로로 나누었다.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 이 지역은 스페인령 모로코에 의해 관리되었다.

1958년 스페인은 모로코가 1957년 이 지역을 주장한 후 북쪽의 사기아 엘 함라(붉은 강) 지역을 남쪽의 리오데오로와 합쳐 스페인령 사하라 주를 형성했다. 아흐메드 벨바치르 하스쿠리 스페인령 모로코 정부의 내각 수석 겸 장관은 그 지역의 주지사를 선출하는 데 스페인과 협력했다. 마 알 아이나인 가족 구성원과 같은 사하라 영주들은 주지사 후보 추천 명단을 제공했고, 벨바치르는 스페인 고등판무관과 함께 이 명단에서 주지사를 선출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탈식민지화 물결과 함께 스페인 식민 통치는 무너지기 시작했다. 스페인은 1956년에 인접한 모로코 내 대부분의 영토를 포기했지만, 1956년부터 1958년까지 이프니와 스페인령 사하라 내 모로코 해방군의 침입에 저항했다. 1971년 모로코 대학의 사하라위(서사하라 사람들을 지칭하는 아랍어 용어) 학생들은 사기아 엘 함라와 리오데오로 해방을 위한 배아 운동을 조직하기 시작했지만, 알제리와 모로코를 포함한 여러 아랍 정부의 지원을 얻는 데는 실패했다. 스페인은 1974~75년까지 서사하라의 독립에 대한 국민투표를 약속했다.

동시에 영토에 대한 역사적 주권을 주장하던 모로코와 모리타니는 유럽 열강에 의해 영토가 분리되었다고 주장했다. 알제리는 모로코가 틴두프베샤르의 알제리 주도 주장했기 때문에 그들의 요구를 의심했다. 1975년 후아리 부메디엔 정부하의 알제리 정부는 모로코와 모리타니의 주장에 반대하고 서사하라의 완전한 독립을 요구한 폴리사리오 전선을 지원하기로 약속했다.

국제 연합은 1975년 국제사법재판소(ICJ)의 판결을 통해 분쟁을 해결하려 했다. 서사하라가 모로코, 모리타니와 역사적 연관성이 있지만, 스페인 식민화 당시 어느 국가의 영토 주권을 증명하기에 충분하지 않았고, 따라서 지역 주민들은 자결권을 가지고 있었다. 1975년 11월 6일 모로코는 서사하라에 대한 녹색 행진을 시작했고, 35만 명의 무장하지 않은 모로코인들이 모로코 남부의 타르파야시에 집결하여 국경을 넘었다. 10월 31일 모로코군은 북쪽에서 서사하라를 침공했다.[30]

2. 3. 독립 요구와 분쟁

1973년 사흐와리인들은 폴리사리오 전선을 중심으로 독립 운동을 시작했다.[142] 1975년 국제사법재판소는 모로코와 모리타니아가 이 지역에 연고권을 갖고 있지만, 사흐와리인은 민족 자결의 권리를 가진다는 권고적 의견(advisory opinion)을 냈다.[142] 같은 해 11월 6일, 모로코는 서사하라에 대한 녹색행진을 시작했다.[30]

프란시스코 프랑코 통치 말기, 녹색행진 이후 스페인 정부는 1975년 11월 14일 마드리드 협정을 체결하여 모로코와 모리타니아가 서사하라를 분할 점령하도록 했다. 모로코는 서사하라 북부 3분의 2를 남부 주로, 모리타니아는 남부 3분의 1을 티리스알가르비야로 통치했다.[31] 1976년, 스페인이 철수하자, 폴리사리오 전선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으로 독립을 선포하였다.

모로코는 폴리사리오에 대한 공세를 강화했고, 폴리사리오는 알제리의 지원을 받아[32] 모로코와 모리타니에 대한 공격을 지속했다.

모리타니는 1979년 폴리사리오와 협정을 맺고 영유권을 포기했다.[97] 그러나 모로코는 즉시 구 모리타니령 서사하라 지역도 모로코의 영토라고 선포하고 점령했다.[97] 폴리사리오는 모로코 장벽 축조로 인해 20%~25%의 지역만 통제하게 되었다. 1988년 모로코와 폴리사리오가 유엔 평화안을 수용하고 1991년에 유엔 사하라 국민투표 감시단이 파견되었다.

이후 정전 상태가 이어지고 있으나, 주민투표가 연기되는 등 현재까지도 분쟁의 궁극적인 해결은 어려운 상태이다.[136]

2. 4. 유엔의 개입과 현재 상황

1988년 유엔 사무총장의 평화 제안에 폴리사리오 전선모로코 양측이 합의했다. 제안 내용은 독립 또는 모로코 귀속을 결정하는 주민 투표를 실시하는 것이었다. 1991년 국제연합의 중재로 폴리사리오 전선과 모로코는 휴전했고, 유엔 제안에 따른 주민 투표를 실시하게 되어, 유엔 평화유지 활동(PKO)으로 유엔 서사하라 주민투표 감시단(MINURSO)이 창설되었다. 그러나 이 지역에는 유목민이 많아 유권자 확인이 매우 어렵다는 이유로 투표는 무기한 연기되었고, 2017년 현재 감시단의 활동도 계속되고 있다.[136] 모로코 국왕 무함마드 6세의 잇따른 서사하라 방문, 모로코의 인프라 정비 등으로 모로코는 서사하라 사실상 지배를 기정사실화하고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의 독립을 방해하고 있다.

현재 모리타니아 국경을 중심으로 지뢰가 모로코군에 의해 매설되어 있다. 모로코는 주로 모리타니아 국경을 따라 "모래의 벽"이라고 불리는 방벽을 구축하여 폴리사리오 전선을 배제하고 있다. 모래의 벽은 모로코 국내에서 연결되어 있다.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은 1982년 2월 22일 아프리카 통일 기구(OAU)(2002년부터 아프리카 연합(AU))에 가입했으며, 아프리카, 중남미, 남아시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약 80개국으로부터 국가 승인을 받았다.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의 OAU 가입에 반발하여 모로코는 1984년 탈퇴했고, 아프리카 대륙 국가 중 유일하게 AU에 가입하지 않은 국가가 되었지만, 2016년 복귀를 표명하고 2017년 1월 31일 재가입이 승인되었다.

2019년 6월, 미국존 J. 설리번 국무부 부장관을 모로코에 파견하여 모로코가 추진하고 있는 서사하라에 자치권을 부여하는 안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137]

2020년 12월 10일, 모로코는 이스라엘과 국교 정상화에 합의했고, 이스라엘을 지원하는 미국은 그 대가로 서사하라에 대한 모로코의 주권을 인정했다.[138] 12월 12일, 미국은 서사하라를 포함한 모로코의 "새로운 공식" 지도를 승인했다. 미국의 주 모로코 대사는 이 지도에 대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이틀 전 발표 내용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모로코의 서사하라에 대한 주권을 인정한다는 내용"이라고 말했다.[139]

2021년, 스페인 정부가 코로나19가 심각해진 폴리사리오 전선 지도자 브라힘 갈리에게 의료 지원을 제공한 것에 모로코 정부가 반발했다.[140] 5월, 모로코가 스페인의 해외 영토 세우타로 8000명의 이민자 유입을 묵인한 것을 계기로 스페인 총리 페드로 산체스가 질서 회복을 위해 현지에 들어가는 등 양국 관계가 악화되었고, 모로코는 스페인에서 대사를 소환했다.[140]

알제리와 모로코는 서로 반정부 세력을 지원하고 있다고 하여 오랫동안 긴장 관계에 있었는데, 2021년 알제리가 카빌리 지역의 독립 운동과 알제리 국내 산불에 모로코가 개입했다고 주장하며 긴장 관계가 고조되었다.[141] 2021년 8월 24일, 알제리는 모로코와의 국교 단절을 선언했다.[141]

3. 지리

북아프리카에 위치한 서사하라는 북대서양, 모로코, 모리타니와 접하고 있으며, 북동쪽으로는 알제리와도 만난다.[23] 지구에서 가장 건조하고 사람이 살기 어려운 지역 중 하나이며[23], 일부 지역에서는 인산이 많이 난다.

간헐적으로 물이 고이는 다이트 움 사드 호수


서사하라 지도


붉은 선은 「모래의 벽」


지형도


서사하라는 남쪽의 모리타니와 나란히 대서양에 이르기까지 사하라 사막이 펼쳐져 있다. 몇 안 되는 오아시스와 일부 연안 지역을 제외하고는 전국토가 사막이며, 동부는 산악 지대이고 대서양을 향해 고도가 낮아진다.

북부는 아틀라스 산맥 산록에 해당하며, 암석 사막이 펼쳐져 있다. 산록을 따라 알제리에서 모리타니아, 서사하라를 가로질러 대서양으로 이어지는 Jat와디가 있는데, 가을에는 물이 고여 농업에 적합하다. 이 지역 외, 특히 내륙 지역에는 와디가 없지만, 강수가 지하수가 되어 오아시스를 형성하고 있다.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전국토가 사막 기후(BW)이다. 기온은 높지만, 연안 지역은 한류인 카나리아 해류의 영향으로 온도가 완화된다. 국내에 연간 강수량이 100mm를 넘는 도시는 없으며, 우기에는 수십 mm 정도의 적은 강우가 있다. 가뭄 피해와 사막 메뚜기의 메뚜기 재해(:en:2004 locust outbreak)를 받기 쉽다.

3. 1. 지형과 기후

서사하라는 북아프리카에 위치하며, 북대서양, 모로코, 모리타니, 알제리와 접한다. 지구상에서 가장 건조하고 사람이 살기 어려운 지역 중 하나로, 해안선을 따라 평평한 저지대 사막이 펼쳐져 있다. 북쪽으로 갈수록 해발고도가 높아져 동쪽에서는 최대 600m에 달하는 작은 산맥이 나타난다.[23]

봄에는 갑작스러운 홍수가 발생할 수 있지만, 영구적인 하천은 없다. 때때로 차가운 해류가 안개와 짙은 이슬을 생성하기도 한다.

내륙 지역은 여름철 극심한 더위를 경험하며, 7월과 8월의 평균 최고 기온은 43°C에서 45°C에 달한다. 겨울에도 낮 기온은 여전히 덥거나 매우 더운 편이며, 평균 최고 기온은 25°C에서 30°C이다. 하지만 영토의 북부 지역에서는 밤에 기온이 0°C 이하로 떨어질 수 있으며, 12월과 1월에는 서리가 내리기도 하지만 드문 일이다.[23]

서사하라에는 사하라 할로파이트, 지중해 아카시아-아르가니아 건조림 및 다육식물 덤불, 대서양 연안 사막, 북사하라 초원과 삼림 등 네 개의 육상 생태계가 존재한다.[24]

3. 2. 주요 도시


  • 아이운(El Aaiún)(العيون) - 라유운, 라윤, 엘아이운이라고도 불린다. 서사하라 최대 도시이며,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망명 정부는 자국의 수도라고 주장하지만, 현재는 모로코의 실효 지배 하에 있다. 인구는 2004년 기준 183,691명이다. 아이운에는 라유운-하산 1세 공항이 있다.[135]
  • 다흐라(Ad-Dakhla)(الداخلة) - 다크라라고도 불린다. 좋은 항구를 가진 항구 도시이다.[135]
  • 스마라(Smara)(السمارة) - 내륙 도시이다. 세마라라고도 한다.[135]
  • 티파리티(Tifariti) - 2008년 2월 27일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건국 선언 32주년을 기념하여 망명 정부에 의해 새로운 임시 수도로 선언된 도시다. 단, 망명 정부의 본거지는 알제리 영내에 있는 난민 캠프의 행정 구획 라부니(Rabouni)에 있다.[135]
  • 부크라아(Bou Craa) - 1963년 풍부한 인산염 광상이 발견되었다. 현재도 채굴 중이다. 부크라라고도 한다.
  • رأس بوجدورar ra's Būyadūr영어 - 보하도르 곶의 도시.
  • 라구이라(Lagouira) - 누아디부 곶의 마을.
  • 빌 라흐루(Bir Lahlou) - 2008년까지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의 임시 수도였던 도시.
  • Guelta Zemmur(گَلتَة زَمُّور) - 모로코군의 폴리사리오 전선 감시를 위한 주둔지. 일반인 출입 금지.
  • Zoug(sug) - 남부 국경선 근처의 마을.
  • Hawza
  • Al Mahbass(المرسى)
  • Bir Anzarane
  • Tichla
  • Auserd(Awserd)
  • El Aargub
  • Lemseid
  • Aargub

4. 정치

서사하라의 주권모로코폴리사리오 전선 간에 분쟁 중이며, 그 법적 지위는 여전히 미해결 상태이다. 유엔은 서사하라를 "비자치영토"로 간주한다.[142]

탈식민지화 운동이 세계적으로 일어나면서, 모로코모리타니는 역사적 연고권을, 사흐와리인은 민족 자결을 주장하며 갈등이 발생했다. 1973년부터 서사하라 주민들은 폴리사리오 전선을 중심으로 독립 운동을 전개했다. 1975년 국제사법재판소는 모로코와 모리타니의 연고권은 인정했지만, 사흐와리인은 민족 자결의 권리를 가진다는 권고적 의견을 냈다.

모로코는 녹색행군을 벌이며 서사하라 반환을 요구했고, 스페인1976년 모로코와 모리타니에 서사하라를 분할 양도했다. 폴리사리오는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으로 독립을 선포하고 알제리의 지원을 받아 모로코와 모리타니에 대한 공격을 지속했다.

모리타니는 1979년 폴리사리오와 협정을 맺고 영유권을 포기했지만, 모로코는 이 지역을 즉시 점령했다. 모로코모로코 장벽을 축조하여 폴리사리오의 통제 지역을 20%~25%로 제한했다. 1991년 유엔 평화유지군(PKF)에 의한 평화 유지 활동(PKO)의 일환으로 유엔 서사하라 주민 투표 감시단(MINURSO)이 파견되었으나, 주민투표는 연기되고 분쟁은 현재까지도 미해결 상태이다.

1999년 모로코 무함마드 6세 즉위 이후 서사하라 엘리트들에 대한 태도가 소홀해지면서 독립 요구가 높아졌고, 2005년부터 수도 엘아이운에서 시위가 증가했다. 그러나 젊은이들은 폴리사리오 전선에 가담하지 않고 인권과 국제적 합법성을 요구하며 다른 입장을 보이고 있다.

4. 1. 모로코의 입장

라윤(Laayoune) 교외의 모로코 경찰 검문소


모로코는 서사하라를 자국 영토의 일부인 남부 주로 간주하고, 입헌 군주제 하에 통치한다. 모로코 의회는 양원제이며, 군주는 정부 임명 및 의회 해산과 같은 상당한 권한을 가지고 있다.[56] 모로코 정부는 서사하라에 경제적 지원과 보조금을 제공하여, 모로코 본토에서 온 이주민들을 유치하고 있다.[56]

모로코는 서사하라에 대한 자치권 부여안을 제시하며, 국제사회의 지지를 얻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19년 6월, 미국존 J. 설리번 국무부 부장관을 모로코에 파견하여 모로코의 자치안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137] 2020년 12월 10일, 모로코와 이스라엘이 국교 정상화에 합의하면서, 미국은 서사하라에 대한 모로코의 주권을 인정했다.[138]

모로코가 통제하는 서사하라 지역은 여러 주로 나뉘어 있다.

하위 행정 구역
구엘밈-우에드눈주아사자그주
라윤-사키아엘함라주부주르주
다클라-우에드에다합주아우세르드주



2019년 12월 18일, 코모로는 라윤(Laayoune)에 영사관을 개설하여 모로코의 주장을 지지한 최초의 국가가 되었다.[57] 2020년 1월에는 감비아[58]기니[59]가 다클라에, 가봉은 라윤에 총영사관을 개설했다.[60]

4. 2.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SADR)의 입장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SADR)은 일당제 의회 및 대통령 제도를 표방하는 망명 정부이다. 헌법에 따르면 독립 달성 시 다당제로 전환될 예정이다. 현재 알제리의 틴두프 난민 캠프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이 지역을 통제하고 있다. 또한 모로코 장벽 동쪽의 서사하라 지역, 소위 "해방 지역"을 통제하고 있다. 이 지역의 인구는 매우 적으며, 약 3만 명의 유목민으로 추산된다.[100] 모로코 정부는 이 지역을 유엔군이 순찰하는 무인지대로 간주한다. SADR 정부는 이 지역의 마을 비르 르흘루와 티파리티를 SADR의 이전 및 현재 임시 실질 수도로 선포했다.

이 지역에 있는 폴리사리오 전선 부대(사하라위 인민해방군)는 7개의 "군사 지역"으로 나뉘며, 각 지역은 사하라위 아랍 민주 공화국 대통령에게 보고하는 최고 사령관이 통제한다.[98][102]

폴리사리오 회의 및 사하라위 국민평의회(망명 중인 SADR 의회) 회의와 같은 주요 사하라위 정치 행사는 정치적으로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는 사하라위 영토에서 정치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자유지역(특히 티파리티와 비르 르흘루)에서 열린다.

4. 3. 국제 관계

유엔은 서사하라를 "비자치영토"로 간주하며, 평화적 해결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142] 1991년에는 유엔 평화유지군(PKF)에 의한 평화 유지 활동(PKO)의 일환으로 유엔 서사하라 주민 투표 감시단(MINURSO)이 파견되어 현재까지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136]

모로코폴리사리오 전선은 서사하라의 주권을 두고 분쟁 중이며, 2018년 12월에는 6년 만에 제네바에서 유엔 중재 하 평화 회담이 개최되기도 했다.[106][107]

미국은 2019년 6월, 존 J. 설리번 국무부 부장관을 모로코에 파견하여 모로코의 서사하라 자치권 부여 안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137] 2020년 12월에는 이스라엘과 모로코 간 국교 정상화 합의를 중재하며, 그 대가로 서사하라에 대한 모로코의 주권을 인정했다.[138] 코모로는 2019년 12월 라윤(Laayoune)에 영사관을 개설하여 모로코의 주장을 지지한 최초의 국가가 되었으며,[57] 2020년 1월에는 감비아[58], 기니[59], 가봉[60] 등이 서사하라 지역에 영사관을 개설했다.

유럽 국가들은 대체로 중립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으나, 스페인은 2021년 폴리사리오 전선 지도자에게 의료 지원을 제공한 것을 계기로 모로코와의 관계가 악화되기도 했다.[140]

대한민국은 1994년 서사하라에 유엔 평화유지군(PKF)을 파병한 바 있으며,[142] 서사하라 문제에 대해 중립적 입장을 견지하며 평화적 해결을 지지하고 있다.

5. 경제

서사하라는 인산염과 어업 자원이 풍부하지만, 분쟁으로 인해 경제 발전이 더디다. 모로코와의 영유권 분쟁은 국제 협정 적용을 모호하게 만들고 있다.

서사하라 주민 대부분은 유목, 목축, 수산업에 종사하거나 인산 탄광촌에서 생활한다. 대부분의 식량은 수입에 의존하며, 모든 무역과 경제 활동은 모로코 정부가 주관한다. 모로코 정부는 필수재에 대한 가격 통제와 혜택을 제공하며 자국민의 이주를 장려하고 있다.

다클라 약국에 있는 천연물

5. 1. 자원과 산업

서사하라는 수산물과 인산염을 제외하면 천연자원이 거의 없고, 농업에 필요한 강수량도 부족하다. 최근 해상 유전 및 천연가스전 존재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지만, 상업성 여부와 서사하라의 비자치 지역 지위 때문에 법적 허용 여부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108][109][110] 1963년 내륙의 부크라아(Bou Craa)에서 인산염 광상이 발견되어 채굴이 주요 산업이 되었다. 인산염 외에도 석유, 천연가스, 철광석 등의 지하자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서사하라 경제는 어업에 크게 의존하며, 노동력의 3분의 2가 어업에 종사한다.[111] 광업, 농업, 관광업이 일부 추가 소득을 제공한다. 오아시스에서는 농업이 이루어지지만, 도시 인구 대부분의 식량은 모로코에서 수입한다. 모든 무역 및 기타 경제 활동은 모로코 정부가 통제하며, 모로코 정부는 기본적인 물품에 보조금과 가격 통제를 제공하여 자국민들의 이주를 장려하고 있다.

5. 2. 경제 주체와 국제 협력

모로코 정부는 서사하라의 모든 무역과 경제 활동을 통제하며, 필수재에 대한 보조금과 가격 통제를 통해 경제를 관리한다.[108][109][110] 이러한 과도한 보조금은 모로코가 통제하는 서사하라 지역에 국가 주도의 경제를 조성하는 결과를 낳았다.

서사하라에 대한 국제 협정의 적용은 모호하다. 미국과 노르웨이 등 일부 국가들은 무역 협정에서 서사하라를 명시적으로 배제하고 있지만, 실제 정책 적용은 불분명한 상태이다.[108][109][110]

유럽 연합과 모로코 간의 어업 협정에는 서사하라가 포함되어 있으며, 유럽 의회 법률 서비스는 2010년 2월, 서사하라 해역을 포함하는 현재 EU-모로코 어업 협정에 따라 유럽 선박이 조업하는 것은 국제법 위반이라는 법적 의견을 2009년 7월에 전달했으나 2010년 2월에 공개했다.[115]

마우리타니아에서 경제적 가치가 있는 유전이 발견된 후, 서사하라 해안에서도 대규모 석유 자원이 발견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모로코와 폴리사리오는 석유 및 가스 탐사 회사와 계약을 체결했고, 미국의 회사들과 프랑스의 회사들(특히 토탈에너지(TotalEnergies)와 케르맥기(Kerr-McGee))이 모로코 국립 석유 탐사 및 개발청(ONAREP)을 대신하여 탐사를 시작했다.[111]

2002년, 한스 코렐(Hans Corell) 유엔 사무차장 겸 유엔 법률국(United Nations Office of Legal Affairs) 국장은 이 문제에 대한 법적 의견을 발표했다.[111] 유엔헌장, 유엔총회 결의안, 국제사법재판소의 판례 및 주권 국가의 관행에 대한 관련 조항 분석에 따른 결론으로, 해당 지역에 대한 기존 탐사 계약은 불법이 아니지만, "서사하라 주민들의 이익과 의사를 무시하고 추가적인 탐사 및 개발 활동이 진행된다면 국제법 원칙을 위반하는 것"이라고 밝혔다.[111] 기업 윤리 단체들의 압력 이후, 토탈에너지는 2004년 말 사업을 철수했다.[112]

2006년 5월, 노르웨이 국부펀드와 같은 여러 주주들의 매각으로 인해, 그리고 NGO와 기업 단체의 지속적인 압력으로 인해, 남은 회사인 케르맥기 역시 철수했다.[113]

2014년 12월, 시버드 익스플로레이션(Seabird Exploration)이 2002년 한스 코렐(Hans Corell)의 법적 의견을 위반하여 서사하라 해상에서 논란이 되는 지진 탐사를 실시한 사실이 알려졌다.[114]

부크라아(Bou Craa)의 인산염 광산 개발 또한 국제법 위반 혐의와 여러 유럽 국가의 투자 철회로 이어졌다.[116]

6. 인구와 국민

서사하라의 원주민은 사흐와리인으로, 서구 언론에서는 보통 사하라위인(Sahrawis)으로 알려져 있지만, 모로코에서는 "남부인" 또는 "남부 베르베르인"으로도 불린다. 이들은 하사니야 아랍어(Hassaniya) 또는 베르베르어를 사용하는 베르베르계 부족들이다. 이들 중 많은 수는 베르베르-아랍 혼혈이며, 모리타니 남부와 모로코 북부, 알제리 동부까지 뻗어 있는 무어인(Moors) 부족들과 연관되어 있다. 사하라위인들은 전통적으로 유목민 베두인이며, 투아레그 베르베르인(Tuareg people)과 매우 유사한 생활 방식을 가지고 있다.[117]

주민 대다수는 사하라위인(Sahrawi people)이며, 아랍인과 베르베르족이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하라틴(Haratin)이라고 불리는 소수의 흑인들도 포함되어 있다. 원주민인 산하자(Sanhaja) 베르베르인들은 8세기 이후 예멘(Yemen)에서 이주해 온 베니 하산(Beni Ḥassān) 아랍인들과 남부의 흑인들과 혼혈된 결과, 사하라위인(Sahrawi people)과 무어인(Moor)이 형성되었다. 주민들은 대체로 북부의 테크나(Tekna), 동부의 루기바트 부족(Reguibat tribe), 남부의 무어인(Moor)의 세 집단으로 크게 나뉜다.

6. 1. 인구 구성

아랍인과 베르베르족이 대다수를 차지한다. 사흐와리인은 하사니야 아랍어(Hassaniya) 또는 베르베르어를 사용하며, 유목민 생활을 해왔다. 모로코의 이주 정책으로 인해, 현재는 원주민보다 모로코 이주민이 더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



2004년 7월 기준으로 모로코가 통제하는 서사하라 지역에는 약 267,405명(약 16만 명의 모로코 군인 제외)이 거주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모로코 여러 지역 출신의 많은 사람들이 이 지역에 와서 살고 있으며, 이러한 최근 이주민들은 오늘날 원주민 서사하라 사하라위인보다 수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여겨진다. 인구의 정확한 규모와 구성은 정치적 논쟁의 대상이다.

분쟁으로 인해 대규모 인구 이동이 발생했으며, 알제리 틴두프에는 난민 캠프가 존재한다. 폴리사리오 전선은 알제리의 틴두프 난민 캠프에 본거지를 두고 있으며, 캠프 내 사하라위 인구 수를 약 15만 5천 명이라고 선언한다. 모로코는 이 수치가 정치적 이유와 더 많은 외국 원조를 유치하기 위해 과장되었다고 주장하며 이를 부인한다. 국제연합은 식량 원조 프로그램의 기준으로 9만 명의 "가장 취약한" 난민 수를 사용한다.

폴리사리오 전선이 통제하는 서사하라 지역은 인구 밀도가 낮으며, 2008년에는 약 3만 명으로 추산된다.[100] 인구는 주로 낙타를 몰며 틴두프(Tindouf) 지역과 모리타니 사이를 오가는 유목민들로 구성되어 있다. 모로코군이 이 지역 전역에 매설한 지뢰로 인해 이러한 생활 방식은 매우 위험하다.

6. 2. 언어와 종교

아랍어, 에스파냐어, 베르베르어가 공용어이다. 주로 사용되는 언어는 하사니아어라고 불리는 아랍어 방언이다. 과거 스페인 식민지였기 때문에 일부 지역에서는 스페인어도 사용되며, 프랑스어도 통용된다.[117] 주민 대다수는 이슬람교를 믿는다.

7. 문화

사하라위족


사하라위 인민해방군 박물관


사하라위 문화는 유목민 전통과 이슬람, 베르베르, 아프리카 관습의 영향을 받았다. 1975년 전쟁으로 인해 인구의 일부가 알제리 틴두프 주의 난민 캠프에 정착하면서 원래의 씨족/부족 기반 사회는 큰 변화를 겪었으며, 분쟁으로 인해 가족들이 해체되었다.

사하라위 인민해방군 박물관은 난민 캠프에 위치해 있으며, 서사하라 사람들의 독립 투쟁에 헌정된 곳이다. 무기, 차량, 군복뿐만 아니라 방대한 역사 자료를 전시하고 있다.[118]

7. 1. 전통 문화

서사하라의 주요 민족은 사하라위족으로, 유목민 또는 베두인 민족 집단이며, 마우리타니아의 많은 지역에서도 사용되는 아랍어의 하사니야 방언을 사용한다. 이들은 아랍-베르베르 혼혈이며, 11세기에 사막을 건너온 아랍 부족인 베니 하산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한다.

다른 사하라 베두인과 하사니야 집단들처럼, 사하라위족은 대부분 수니파 말리키 율법(Maliki fiqh)을 따르는 무슬림이다. 다른 사하라 집단들과 마찬가지로, 지역 종교 관습(Urf)은 이슬람 이전의 베르베르와 아프리카 관습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도시 관습과는 상당히 다르다. 예를 들어, 사하라위 이슬람은 전통적으로 유목 생활에 적응하여 모스크 없이 기능해왔다.

1975년 전쟁으로 인해 인구의 일부가 알제리 틴두프 주(Sahrawi refugee camps in Tindouf Province, Algeria)의 난민 캠프에 정착하면서 원래의 씨족/부족 기반 사회는 큰 변화를 겪었다. 분쟁으로 인해 가족들이 해체되었다.

사하라위 사회에서 여성은 중요한 역할을 맡았으며, 점령 지역과 난민 캠프 내에서 상당한 자유를 누렸다. 사하라위 여성들은 자신들이 사하라위 공동체 내에서 항상 상당한 자유와 영향력을 누려왔다고 생각한다.[122]

전통적으로 여성들은 사하라위 문화뿐만 아니라 식민주의와 외세의 간섭에 저항하는 노력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123] 아프리카 대륙의 다른 유목 전통과 마찬가지로, 사하라위 여성들은 전통적으로 캠프와 텐트에서 모두 상당한 권력과 역할을 행사했다.

사하라위 여성들은 재산을 상속받을 수 있었고, 아버지, 형제, 남편 및 다른 남성 친척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생계를 유지할 수 있었다.[123] 여성들은 결혼을 통해 동족과 다른 부족과의 동맹을 맺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는데, 사하라위 문화는 일부일처제를 중시하기 때문이다.[124] 또한, 사하라위 여성들은 전쟁이나 무역으로 남성들이 오랫동안 캠프를 비운 동안 캠프의 주요 책임을 맡았다. 여성들이 맡았던 책임에는 캠프의 텐트 설치, 수리, 이동 및 주요 부족 결정에 참여하는 것이 포함되었다.[125]

서사하라의 현대사에서 여성들은 중심적인 역할을 차지했고 정치 분야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126] 스페인 식민 통치 시대에 사하라위 여성들은 1930년대, 1950년대 및 1960년대 후반 저항 운동에 재정적 및 물적 지원을 적극적으로 제공했다.[123] 보다 공식적인 방식으로 여성들은 1994년 사하라위 여성 전국 연합(NUSW)을 설립한 폴리사리오 전선의 일원이었다.[126] NUSW는 지역, 지역 및 국가 수준에서 조직되었으며 점령 지역과 이민, 정보 및 문화, 정치 및 직업 개발, 외교 등 네 가지 영역에 집중했다.[126]

7. 2. 현대 문화와 국제 교류

서사하라는 오랜 기간 국제적인 점령을 경험했으며, 이는 주민들의 문화적 관습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118] 특히 1884년부터 1976년까지 약 92년간 지속된 스페인의 식민지배는 서사하라의 언어와 제도에 큰 영향을 주었다.[119]

스페인 식민지배 기간 동안 스페인어는 서사하라의 주요 언어 중 하나가 되었다. 스페인 지도부 및 행정관과의 소통 필요성 때문에 스페인어가 널리 사용되었으며, 스페인의 제도를 본뜬 기관들이 설립되었다.[118] 1976년 스페인이 서사하라에서 철수한 후에도, 스페인과 쿠바의 다양한 교육 교류 및 수용 프로그램 덕분에 스페인어는 현재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120]

이러한 교류 프로그램 중 하나인 "평화 속의 휴가(Vacaciones en Paz)"는 사하라위 청년 연합(UJSARIO)이 스페인 전역의 300개 이상의 단체와 협력하여 운영하는 연례 휴가 프로그램이다.[121] 이 프로그램은 8세에서 12세 사이의 7,000명에서 10,000명의 사하라위 어린이들에게 여름 동안 스페인에서 생활할 기회를 제공하며, 수용 가정과 강한 유대감을 형성하도록 돕는다. 이러한 문화 교류 프로그램은 여러 세대의 사하라위 어린이들에게 스페인어 사용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FiSahara 국제 영화제는 알제리 남서부 난민촌에서 매년 열리는 영화제이다.[127] 이 행사에는 전 세계의 배우, 감독, 영화업계 관계자들이 참여하며, 사하라위 난민들에게 오락과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난민촌의 인도적 위기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128] 하비에르 바르뎀, 페넬로페 크루즈, 페드로 알모도바르 등 스페인 영화 제작자와 배우들이 이 영화제를 후원하고 참석했다.

서사하라 국제 예술 및 인권 회의인 ARTifariti는 해방 지역과 난민촌, 특히 티파리티에서 열리는 연례 예술 워크숍으로, 전 세계의 예술가들을 초청한다. 이 행사를 통해 난민촌에 그래피티 예술이 소개되었으며, 유명 그래피티 예술가들이 난민들과 함께 워크숍에 참여했다.[129] 스페인 거리 예술가 MESA는 2011년 사하라위 난민촌을 방문하여 자신의 그래피티를 전시하고, 파괴된 벽에 예술을 통해 생명을 불어넣었다.[130] MESA의 영향을 받은 모하메드 사야드는 알제리 남서부 사하라위 난민촌에서 예술 작품을 창작하여 난민촌의 풍경을 변화시키고 있으며, 그의 작품은 장기간의 갈등과 모로코 점령 하의 삶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사하라위 문화의 측면을 묘사한다.[130]

시는 사하라위 문화에서 인기 있는 예술 형식이며, 알 크드라 마브룩, 하자투 알리아트 스웰름, 베이비부 엘 하지와 같은 주목할 만한 시인들이 있다.[132] 전통적으로 사하라위 시는 구전으로 전승되었으나, 오늘날 인터넷은 사하라위 시가 세대 간에 전달되는 주요 수단이 되고 있다.[133]

8. 대한민국과의 관계

대한민국은 1994년에 유엔 평화유지군(PKF)을 서사하라에 파병한 바 있다. 대한민국 정부는 서사하라 문제에 대해 중립적 입장을 유지하며, 평화적 해결을 지지한다. 더불어민주당은 서사하라 주민들의 자결권을 존중하며, 국제연합 결의안에 따른 평화적 해결을 지지하는 입장이다.

참조

[1] template
[2]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Western Sahara summary https://www.britanni[...]
[3] 웹사이트 A/RES/35/19 – E – A/RES/35/19 https://undocs.org/e[...] 2021-04-08
[4] 서적 Self-Determination and Secession in International Law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4-06-05
[5] 웹사이트 City Population: Western Sahara (disputed territory) https://citypopulati[...]
[6] 웹사이트 World Population Prospects, Table A.1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2009-03-12
[7] 간행물 Vers la fin du conflit au Sahara occidental, Espoirs de paix en Afrique du Nord Latine http://www.tni.org/a[...] 1997-11
[8] 웹사이트 Resolutions Adopted by the General Assembly During Its Twentieth Session – Resolution 2072 (XX) – Question of Ifni and Spanish Sahara https://www.un.org/d[...] 1965-12-16
[9] 웹사이트 Milestones in the Western Sahara conflict https://web.archive.[...]
[10] 간행물 Documento de Trabajo núm. 15 DT-2004. Las pretensiones de Marruecos sobre los territorios españoles en el norte de África (1956–2002) http://www.realinsti[...] Real Instituto Elcano
[11] 서적 Differentiated Integration and Disintegration in a Post-Brexit Er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9-11-15
[12] 웹사이트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Resolution 34/37, The Question of Western Sahara https://undocs.org/A[...] United Nations 1979-11-21
[13] 웹사이트 Western Sahara: A Rare Look Inside Africa's Last Colony as U.S. Recognizes Moroccan Occupation https://www.democrac[...] 2020-12-04
[14] 뉴스 Africa's last colony has taken its struggle for self-determination to European courts https://www.independ[...] 2016-01-23
[15] 서적 The United Nations at the End of the 1990s
[16] 뉴스 Arab League Withdraws Inaccurate Moroccan maps http://www.arabicnew[...] Arabic News, Regional-Morocco, Politics 1998-12-17
[17] 웹사이트 Report of the Secretary-General on the situation concerning Western Sahara (paragraph 37, p. 10) https://www.security[...] 1993-03-02
[18] 웹사이트 Western Sahara not part of EFTA-Morocco free trade agreement – wsrw.org https://web.archive.[...] 2017-02-08
[19] 웹사이트 International law allows the recognition of Western Sahara – Stockholm Center for International Law and Justice http://www.scilj.se/[...] 2015-11-07
[20] 웹사이트 'Historic decision': Israel and Morocco agree on full ties 'as soon as possible' https://www.timesofi[...] 2020-12-10
[21] 웹사이트 Joint Declaration of the Kingdom of Morocco,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State of Israel https://www.state.go[...]
[22] 뉴스 Israel recognises Moroccan sovereignty over Western Sahara https://www.reuters.[...] 2023-07-17
[23] 웹사이트 Western Sahara {{!}} Facts, History, & Map https://www.britanni[...]
[24] 논문 An Ecoregion-Based Approach to Protecting Half the Terrestrial Realm
[25] 웹사이트 The West Sudanic Empires https://web.archive.[...] Federal Research Division of the Library of Congress 2009-09-03
[26] 서적 History of Ibn Khaldun
[27] 서적 Rawd al-Qirtas
[28] 서적 Western Sahara Publikon
[29] 웹사이트 ICE Conflict Case ZSahara https://web.archive.[...] .american.edu 1997-03-17
[30] 서적 Western Sahara http://www.kalasnyik[...] Publikon Publishers 2009
[31] 서적 La historia prohibida del Sáhara Español
[32] 뉴스 Algeria Claims Spanish Sahara Is Being Invaded https://www.newspape[...] 1976-01-01
[33] 뉴스 Western Sahara's Struggle for Freedom Cut Off By a Wall http://www.aljazeera[...] 2015-06-05
[34] 잡지 Is One of Africa's Oldest Conflicts Finally Nearing Its End? https://www.newyorke[...] 2018-12-29
[35] 웹사이트 Visit to Morocco 28 April - 2 May 1999 https://web.archive.[...] NATO PA – Archives 1999-05
[36] 웹사이트 Report of the Secretary-General on the situation concerning Western Sahara https://undocs.org/H[...]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2000-05-22
[37] 웹사이트 CountryWatch – Interesting Facts of the World http://www.countrywa[...] Countrywatch.com
[38] 웹사이트 Behind the Baker Plan for Western Sahara http://www.merip.org[...] 2003-08-01
[39] 웹사이트 Western Sahara: Baker Resigns As UN Mediator After Seven Years http://allafrica.com[...] 2004-06-14
[40] 웹사이트 Times News – Bold, Authoritative, and True http://www.timesnews[...]
[41] 웹사이트 afrol News – No plans for a referendum in Western Sahara http://www.afrol.com[...] Afrol.com
[42] 웹사이트 Report of the Secretary-General on the situation concerning Western Sahara (13 April 2007)(ped) http://daccessdds.un[...] UN Security Council
[43] 뉴스 Deadly Clashes as Morocco Breaks Up Western Sahara Camp https://www.bbc.co.u[...] 2010-09-11
[44] 웹사이트 New expulsions of Spanish citizens from Western Sahara https://elpais.com/e[...] 2010-11-14
[45] 뉴스 Deadly Clashes Stall Western Sahara-Morocco Peace Talks https://www.theguard[...] 2010-11-12
[46] 뉴스 Morocco Suffers Legal Setback As EU Official Declares Western Sahara 'Not Part of Morocco' https://www.forbes.c[...] 2016-09-14
[47] 뉴스 UN Document Says Morocco Violated Western Sahara Cease-Fire http://www.chicagotr[...] 2016-08-30
[48] 웹사이트 Morocco latest country to normalise ties with Israel in US-brokered deal https://www.bbc.com/[...] bbc.com 2020-12-10
[49] 트윗 Morocco recognized the United States in 1777. It is thus fitting we recognize their sovereignty over the Western Sahara. 2020-12-10
[50] 웹사이트 Morocco tries to get Spain to change its position on the Sahara https://elpais.com/e[...] 2021-02-06
[51] 웹사이트 Spain sides with Morocco in the Sahara conflict https://elpais.com/e[...] 2022-03-18
[52] 웹사이트 The Opposition, Unidas Podemos and government partners reject Sánchez's stance on Morocco's Sahara plan https://www.heraldo.[...] 2022-03-18
[53] 뉴스 Israel recognizes Moroccan sovereignty over Western Sahara https://apnews.com/a[...] 2023-07-17
[54] 뉴스 France backs Morocco in dispute over Western Sahara https://www.bbc.com/[...]
[55] 뉴스 France announces new investments in disputed Western Sahara https://abcnews.go.c[...] 2024-10-29
[56] 서적 Western Sahara Since 1975 Under Moroccan Administration: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Transformation https://archive.org/[...] Edwin Mellen Press
[57] 웹사이트 First foreign diplomatic post opens in Western Sahara https://www.arabnews[...] 2019-12-18
[58] 웹사이트 Sahara: Gambia Opens Consulate in Dakhla, Dealing another Hard Blow to Polisario http://sahara-news.o[...] 2020-01-07
[59] 웹사이트 Sahara: Guinea Opens Consulate in Dakhla, Another Diplomatic Setback for Polisario http://sahara-news.o[...] 2020-01-17
[60] 웹사이트 Gabon Opens Consulate General in Laayoune http://sahara-news.o[...] 2020-01-17
[61] 웹사이트 US Consulate a turning point for disputed Western Sahara https://apnews.com/d[...] Associated Press 2021-01-09
[62] 웹사이트 Violent aggression against the Saharawi political prisoners in Salé http://www.spsrasd.i[...] SPS 2012-02-12
[63] 웹사이트 A Brush With Morocco's Secret Police in Laayoune, Moroccan-Occupied Western Sahara (PHOTOS) http://www.huffingto[...] Robert F. Kennedy Center for Justice and Human Rights 2012-08-25
[64] 웹사이트 Maroc/Algérie. Bluff et petites manœuvres http://www.telquel-o[...]
[65] 웹사이트 Amnesty International | Working to Protect Human Rights http://web.amnesty.o[...] Web.amnesty.org
[66] 웹사이트 Western Sahara – Sahara Occidental – Akhbar Es-Sahra 2 http://www.arso.org/[...] Arso.org
[67] 웹사이트 Morocco's Memorandum to UN unveils Algiers' responsibility in Sahara conflict, political parties http://www.arabicnew[...] 2004-09-29
[68] 웹사이트 Morocco/Western Sahara: Broken Promises: The Equity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and its Follow-up https://www.amnesty.[...] Amnesty.org 2010-01-06
[69] 웹사이트 Morocco/Western Sahara: Activists Need Fair Trial http://hrw.org/engli[...] Human Rights Watch 2005-12-09
[70] 웹사이트 Western Sahara: Keeping It Secret – The United Nations Operation in the Western Sahara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71] 웹사이트 Western Sahara * http://www.freedomho[...] Freedomhouse.org 2004-05-10
[72] 웹사이트 Appeal court upholds exorbitant damages award against Journal Hebdomadaire https://rsf.org/en/n[...] 2006-04-18
[73] 웹사이트 Report of the OHCHR to Western Sahara & the refugee camps in Tindouf 2006 http://www.arso.org/[...]
[74] 웹사이트 Human rights in Morocco & Western Sahara http://www.derechos.[...] Derechos.org
[75] 웹사이트 Wave of arrests in Western Sahara http://www.defendint[...] Defendinternational.com 2007-08-31
[76] 웹사이트 Morocco: Protect And Preserve Mass Grave Sites http://www.defendint[...] Defendinternational.com 2008-01-15
[77] 웹사이트 Western Sahara: UPDATE – Human rights defenders on hunger strike in protest at continued arbitrary detention http://www.frontline[...] Frontlinedefenders.org
[78] 웹사이트 Western Sahara: Severe beating of human rights defender, Mr Mohammed al-Tahleel by security forces http://www.frontline[...] Frontlinedefenders.org
[79] 웹사이트 Western Sahara: Torture and solitary confinement of human rights defender Mr Yahya Mohamed el Hafed Aaza http://www.frontline[...] Frontlinedefenders.org
[80] 웹사이트 Western Sahara: Systematic repression of human rights defenders http://www.frontline[...] Frontlinedefenders.org
[81] 웹사이트 Sahara occidental : Arrestation de M. Duihi Hassan – MAR 001 / 0210 / OBS 024 https://www.fidh.org[...]
[82] 웹사이트 Harcèlement à l'encontre de Mme Elghalia Dijim et M. Duihi Hassan – MAR 003 / 1109 / OBS 166 https://www.fidh.org[...]
[83] 웹사이트 Détentions arbitraires – Poursuites judiciaires – Mauvais traitements http://www.fidh.org/[...] Fidh.org 2011-11-08
[84] 웹사이트 Nouvelle condamnation d'un militant sahraoui. https://www.fidh.org[...]
[85] 웹사이트 Après l'interdiction de trois hebdomadaires au Maroc, RSF et la FIDH dénoncent une décision inique et inacceptable http://www.fidh.org/[...]
[86] 웹사이트 EU ignores violations of human rights in Morocco http://www.gfbv.de/p[...] Gfbv.de
[87] 웹사이트 Almost 700 arrested in the year 2006 http://www.gfbv.de/p[...] Gfbv.de
[88] 웹사이트 Occupied Country, Displaced People [Updated] https://www.nrc.no/r[...] 2014-02-15
[89] 웹사이트 The Conditions of Detentions of the Moroccan POWs Detained in Tindouf (Algeria) http://www.freethemn[...] 2005-12-11
[90] 웹사이트 The Polisario Front and the IRA – Two approaches to the process of negotiation http://www.esisc.net[...] Esisc.net
[91] 웹사이트 ESISC is a Brussels-based commercial firm in the domain of counselling http://kbopub.econom[...]
[92] 웹사이트 Western Sahara and the United States' geographical imaginings https://pdfs.semanti[...]
[93] 인물 Jacob Mundy – Assistant Professor of Peace and Conflict Studies at Colgate University
[94] 서적 Failed States. Ungoverned Areas, and Safe Havens: The Terrorization of the Western Sahara Peace Process Lexington Books
[95] 웹사이트 Quatrème Commission: Le Maroc rest attaché au plan de règlement et a la tenue d'un référendum transparent au Sahara Occidental https://www.un.org/N[...] United Nations
[96] 뉴스 Report: Clan wars and unavoidable scission in Tindouf, defectors http://www.arabicnew[...] Arabicnews.com
[97] 웹사이트 CIA: The World Factbook: 2006. 'Western Sahara', 266 https://www.cia.gov/[...] Cia.gov
[98] 간행물 Up Against the Wall http://www.newint.or[...] 1998-12
[99] 웹사이트 Explosive Ordnance Disposal and technical survey in Polisario-controlled areas of Western Sahara http://www.landminea[...]
[100] 웹사이트 Norwegian Refugee Council Report: Western Sahara, Occupied country, displaced people, 2008 http://www.nrc.no/ar[...]
[101] 웹사이트 MINURSO homepage – mandate https://www.un.org/D[...] United Nations
[102] 웹사이트 Western Sahara under Polisario Control: Summary Report of Field Mission to the Sahrawi Refugee Camps (near Tindouf, Algeria) http://www.arso.org/[...] Arso.org
[103] 웹사이트 MINURSO complaint to the UN Security Council (Spanish) http://www.canariasa[...]
[104] 웹사이트 Commemoration of the Saharawi Republic's 30th anniversary in the liberated territories of Western Sahara Press Service http://www.spsrasd.i[...]
[105] UN문서 2006-04-19
[106] 뉴스 The sands time forgot https://www.economis[...] 2019-01-02
[107] 잡지 Is One of Africa's Oldest Conflicts Finally Nearing Its End? https://www.newyorke[...] 2019-01-02
[108] 웹사이트 Rep. Pitts lauds protection of Sahrawis in Morocco trade pact https://web.archive.[...] House.gov 2011-11-13
[109] 뉴스 Western Sahara excluded from EFTA-Morocco free trade agreement https://web.archive.[...] SPS 2010-05-13
[110] 뉴스 Western Sahara "not part of EFTA-Morocco free trade" http://www.afrol.com[...] Afrol news 2010-05-14
[111] Document 2007-08-10
[112] 뉴스 Upstream Online: Total turns its back on Dakhla block, 2004 http://www.wsrw.org/[...] Western Sahara Resource Watch 2010-09-02
[113] 뉴스 Last oil company withdraws from Western Sahara http://www.afrol.com[...] Afrol News 2010-10-01
[114] 뉴스 Korsvold og SeaBird-sjefen fikk protestbrev fra det okkuperte Vest-Sahara http://www.dagbladet[...] Dagbladet.no 2014-12-10
[115] 웹사이트 European Parliament's lawyers declare EU fishing illegal http://www.wsrw.org/[...] wsrw.org 2011-11-13
[116] 웹사이트 In remote Western Sahara, prized phosphate drives controversial investments http://www.csmonitor[...] Christian Science Publishing Society 2013-01-24
[117] 웹사이트 L'Actuel Maroc, no. 43 (April 2012), p.22 https://web.archive.[...] 2014-10-03
[118] 학술지 Nationalism, identity and citizenship in the Western Sahara Taylor & Francis
[119] 서적 Western Sahara: War, Nationalism, and Conflict Irresolution Syracuse UP
[120] 학술지 Representing Sahrawi Refugees' 'Educational Displacement' to Cuba: Self-Sufficient Agents of Manipulated Victims of Conflict? Oxford Journals 2009-07-14
[121] 학술지 Sahrawi Refugee Children in a Spanish Host Program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Oxford, Department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2014-03-16
[122] 서적 La causa Saharaui y las mujeres: "siempre hemos sido muy libres" Icaria Editorial
[123] 학술지 Sahrawi Women in the Liberation Struggle of the Sahrawi Peopl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2-03
[124] 학술지 Legal Status of Women among the Awad'Ali' Institute for Ethnographic Research 1967-09
[125] 학술지 L'etrier, la houe et le livre, societés traditionnelles au Sahara et au Sahel Occidental http://www.persee.fr[...] Editions Anthropos
[126] 학술지 Local Human Development in contexts of permanent crisis: Women's experiences in Western Sahara JAMBA 2009-12
[127] 뉴스 A Desert Film Festival Complete with Camels https://www.nytimes.[...] 2014-03-16
[128] 웹사이트 FiSahara Film Festival http://www.festivals[...] 2014-03-17
[129] 웹사이트 About ARTifariti https://web.archive.[...] 2014-03-17
[130] 뉴스 These artists are transforming the dreary environment of the Saharawi refugee camps https://web.archive.[...] 2014-03-16
[131] 웹사이트 Voices of a lost homeland: The poetry of Western Sahara http://www.middleeas[...] 2021-01-02
[132] 서적 Settled wanderers https://www.worldcat[...]
[133] 학술지 Poetics of diaspora: Sahrawi poets and postcolonial transformations of a trans-Saharan genre in northwest Africa https://doi.org/10.1[...] 2012-03-01
[134] 웹사이트 CIA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135] 웹사이트 西サハラ https://www.unic.or.[...] 2019-08-12
[136] 뉴스 西サハラ和平交渉再開に期待、国連安保理 全会一致で決議採択 https://www.afpbb.co[...] AFP 2017-05-03
[137] 웹사이트 米、モロッコの西サハラ自治権付与案を支持 https://www.afpbb.co[...] AFP 2019-11-22
[138] 웹사이트 モロッコもイスラエルと国交合意 米国が西サハラ主権を承認 独立派は猛反発 https://www.afpbb.co[...] 2020-12-13
[139] 웹사이트 西サハラ含むモロッコの「新公式」地図、米国が承認 https://www.afpbb.co[...] 2020-12-13
[140] 웹사이트 スペイン領セウタに移民8千人殺到 モロッコとの対立深まる https://www.afpbb.co[...] 2021-08-25
[141] 웹사이트 アルジェリア、モロッコと国交断絶 「敵対行為」めぐり https://www.afpbb.co[...] 2021-08-25
[142] 서적 르몽드 세계사 - 세계질서의 재편과 아프리카의 도전 휴머니스트 2010-00-00 #연도만 제공되었으므로 00-00으로 표기
[143] 일반텍스트
[144] 일반텍스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