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누에바 트로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누에바 트로바는 1960년대 쿠바에서 시작된 음악 운동으로, 사회적, 정치적 메시지를 담은 문학적 가사와 전통적인 쿠바 음악 형식을 결합한 것이 특징이다. 이 운동은 라틴 아메리카의 "새로운 노래 운동"의 일부로, 미국 정부와 그 동맹국을 비판하는 내용을 담았으며, 실비오 로드리게스, 파블로 밀라네스, 노엘 니콜라 등이 대표적인 음악가이다. 누에바 트로바는 쿠바 혁명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쿠바 정부의 지원을 받았으나, 소련 붕괴 이후 쇠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쿠바의 음악 장르 - 콘트라단자
    콘트라단스는 17세기 영국 컨트리 댄스에서 시작되어 프랑스를 거쳐 미국에서 발전한 두 줄로 마주 선 남녀가 파트너를 바꿔 추는 단체 무용으로, '대무곡'이라고도 번역되며, 미국에서 유행 후 쇠퇴기를 거쳐 부흥 운동과 현대 음악과의 융합을 통해 변화하고 있다.
  • 쿠바의 음악 장르 - 칸숀
누에바 트로바
누에바 트로바
실비오 로드리게스
실비오 로드리게스
발생 기원1960년대
문화적 기원쿠바
일반적 악기기타
보컬
파생 형태트라바 비에하
스타일적 기원
음악적 스타일쿠바 음악
미국 포크 음악
프로테스타 송
트로바
문화적 맥락쿠바 혁명
하위 장르
필린필린
퓨전 장르
라틴 록라틴 록
지역적 장면
쿠바쿠바
라틴 아메리카라틴 아메리카
스페인스페인
기타
다른 토픽저항 음악

2. 기원 및 영향

누에바 트로바는 1960년대 후반 쿠바 혁명 이후 등장하여 사회, 정치적 메시지를 담은 가사와 전통 음악 형식이 결합된 음악 운동이다. 라틴 아메리카 전역과 세계 여러 나라의 유사한 음악 운동과 영향을 주고받았다.


2. 1. 라틴 아메리카의 "새로운 노래 운동"

누에바 트로바는 범 라틴 아메리카의 "새로운 노래 운동"의 한 갈래로, 문학적이고 형식적이며 교육적인 가사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었다.[12] 1940년대 후반에서 1960년대 초반의 낭만적인 노래 운동인 필린(filín)의 영향도 있었는데, 파블로 밀라네스는 필린 가수였다.[13]

누에바 트로바가 등장할 당시, 전 세계적으로 비슷한 음악 장르가 뿌리 부활의 일환으로 인기를 얻었다. 여기에는 사회 정치적 가사와 결합된 전통 음악의 대중화가 포함되었다. 누에바 트로바는 남아메리카(특히 칠레)의 누에바 칸시온, 스페인의 노바 캉소, 볼리비아의 칸토 누에보, 포르투갈의 칸토 리브레 및 노바 캉송, 브라질의 트로피칼리즘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다. 거의 같은 시기에 로이 브라운, 안드레스 히메네스, 안토니오 카반 발레와 아센도 푸엔토 엔 오트로 손 같은 푸에르토리코 음악가들도 인기를 얻었다.[4][5]

밥 딜런과 조안 바에즈와 같은 미국의 저항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받았지만, 누에바 트로바는 미국 정부와 그 동맹국들의 남용을 비판했다. 비틀즈, 칠레 부흥주의자 비올레타 파라, 우루과이 싱어송라이터 다니엘 비글리에티, 카탈루냐의 저항 노래 가수 호안 마누엘 세라트도 주요한 영향을 주었다.

쿠바와 푸에르토리코 모두에서 누에바 트로바의 정치화된 가사는 미국을 비판했으며, 특히 푸에르토리코 가수들은 비에케스가 미 해군 훈련장으로 계속 사용되는 것을 비판했다.

누에바 트로바는 카스트로 혁명과의 연관성뿐만 아니라 가사로도 정의된다. 가사는 사회주의, 불의, 성차별, 식민주의, 인종차별 등 '심각한' 문제에 집중함으로써 삶의 진부함에서 벗어나려 했다.[6] 실비오 로드리게스, 노엘 니콜라, 파블로 밀라네스는 이 스타일의 가장 중요한 대표자였다. 카를로스 푸에블라호세이토 페르난데스는 오랫동안 트로바 가수였으며 새 정권에 힘을 보탰지만, 푸에블라만이 혁명 찬가를 썼다.[7]

쿠바 정부는 반미 및 친혁명 노래를 쓰고 부르려는 음악가들을 지원했다. 이는 많은 전통 음악가들이 생계를 유지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던 시기에 추가적인 인센티브가 되었다.

1967년, 하바나의 ''카사 데 라스 아메리카스''는 ''페스티벌 데 라 칸시온 데 프로테스타''(저항 노래)를 개최했다. 필린 가수이자 작가인 타니아 카스테야노스는 안젤라 데이비스를 지지하는 ''¡포르 앙헬라!''를 썼다. 세사르 포르티요 데 라 루스는 ''오, 발레로소 비엣 남''을 썼다.[8]

누에바 트로바는 쿠바의 사회 경제적 문제를 표현했지만, 이후 일부 음악가들은 더 순수하고 거리적인 쿠바 랩을 통해 이를 표현하기로 했다.[9]

2. 2. 미국의 저항 음악

누에바 트로바는 밥 딜런, 조안 바에즈와 같은 미국의 저항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받았지만, 미국 정부와 그 동맹국들의 남용을 비판했다.[4] 다른 주요 영향으로는 비틀즈, 칠레 부흥주의자 비올레타 파라, 우루과이 싱어송라이터 다니엘 비글리에티, 카탈루냐의 저항 노래 가수 호안 마누엘 세라트가 있다.

2. 3. 기타 영향

누에바 트로바는 범라틴 아메리카의 "신곡 운동"의 한 측면으로, 문학적이고 형식적이며 교육적인 가사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었다.[12] 1940년대 후반에서 1960년대 초반의 낭만적인 노래 운동인 필린도 영향을 주었는데, 파블로 밀라네스는 필린 가수였다.[13]

누에바 트로바가 부상할 무렵, 전 세계적으로 뿌리 부활의 일환으로 비슷한 음악 장르가 인기를 얻었다. 여기에는 사회 정치적 가사와 결합된 전통 음악의 대중화가 포함되었다. 누에바 트로바는 남미(특히 칠레)의 누에바 칸시온, 스페인의 노바 캉소, 볼리비아의 칸토 누에보, 포르투갈의 칸토 리브레 및 노바 캉송, 브라질의 트로피칼리즘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다. 거의 같은 시기에 로이 브라운, 안드레스 히메네스, 안토니오 카반 발레, 아센도 푸엔토 엔 오트로 손과 같은 푸에르토리코인들도 인기를 얻었다.[4][5]

밥 딜런과 조안 바에즈와 같은 미국의 저항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받았지만, 누에바 트로바는 미국 정부와 그 동맹국들의 남용을 비판했다. 다른 주요 영향으로는 비틀즈, 칠레 부흥주의자 비올레타 파라, 우루과이 싱어송라이터 다니엘 비글리에티, 카탈루냐의 저항 노래 가수 호안 마누엘 세라트가 있다.

쿠바와 푸에르토리코 모두에서 누에바 트로바의 정치화된 가사는 매우 자주 미국을 비판했으며, 특히 푸에르토리코 가수들은 비에케스가 미 해군 훈련장으로 계속 사용되는 것을 비판했다.

누에바 트로바는 카스트로의 혁명과의 연관성뿐만 아니라 가사로도 정의된다. 가사는 사회주의, 불의, 성차별, 식민주의, 인종차별 및 이와 유사한 '심각한' 문제에 집중함으로써 삶의 진부함(예: 사랑)에서 벗어나려 한다.[6]

3. 특징

누에바 트로바는 사회주의, 불의, 성차별, 식민주의, 인종차별 등 '심각한' 문제에 대한 가사를 통해 삶의 진부함에서 벗어나고자 했다.[6]

3. 1. 대표적인 음악가

파블로 밀라네스, 노엘 니콜라, 실비오 로드리게스는 누에바 트로바의 대표적인 음악가들이다.[7] 이들은 사회주의, 불의, 성차별, 식민주의, 인종차별 등 '심각한' 문제에 대한 가사를 통해 삶의 진부함에서 벗어나고자 했다.[6] 카를로스 푸에블라호세이토 페르난데스도 오랫동안 트로바 가수로 활동하며 새 정권에 힘을 보탰다.[7]

누에바 트로바의 주요 음악가는 다음과 같다.

  • 산티아고 펠리우: 쿠바의 가수이자 작곡가
  • 파블로 밀라네스: 쿠바의 음악가, 작곡가, 작사가, 기타리스트
  • 노엘 니콜라: 쿠바의 가수이자 작곡가
  • 실비오 로드리게스: 쿠바의 음악가, 작곡가, 기타리스트, 시인
  • 카를로스 바렐라: 쿠바의 가수이자 작곡가

3. 2. 정부의 지원

정부는 반미 및 친혁명 노래를 쓰고 부르려는 음악가들을 지원했다. 이는 많은 전통 음악가들이 생계를 유지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던 시기에 추가적인 인센티브가 되었다.[7]

1967년, 하바나의 카사 데 라스 아메리카스는 ''페스티벌 데 라 칸시온 데 프로테스타''(저항 노래)를 개최했다. 필린 가수이자 작가인 타니아 카스테야노스는 안젤라 데이비스를 지지하는 ''¡포르 앙헬라!''를 썼다. 세사르 포르티요 데 라 루스는 ''오, 발레로소 비엣 남''을 썼다.[8]

4. 쇠퇴

누에바 트로바는 1970년대에 전성기를 맞았지만 소련 붕괴 이전부터 쇠퇴하기 시작했다. 누에바 트로바 운동 안에서도 류바 마리아 헤비아와 같이 정치적이지 않은 스타일을 찾아볼 수 있는데, 그녀의 가사는 사랑과 고독과 같은 좀 더 전통적인 주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다른 누에바 트로바 음악가들처럼 매우 시적인 스타일을 구사한다. 반면에 카를로스 바렐라는 카스트로 혁명의 일부 측면에 대한 공개적인 비판으로 쿠바에서 유명하다.[14]

소련 붕괴로 누에바 트로바는 큰 타격을 입었다. 부에나 비스타 소셜 클럽 영화와 음반이 쿠바 내부는 물론 외부에서도 큰 인기를 얻으면서, 쿠바 음악의 이전 형태가 지닌 뛰어난 매력과 음악적 품질이 부각된 것과는 대조적으로, 누에바 트로바의 인기는 감소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를로스 푸에블라의 ''아스타 시엠프레''와 같이 음악적, 서정적 품질이 높은 누에바 트로바의 노래와 앨범은 여전히 인기를 누리고 있다.[14]

5. 주요 인물


  • 산티아고 펠리우 - 쿠바의 가수, 작곡가
  • 파블로 밀라네스 - 쿠바의 음악가, 작곡가, 작사가, 기타리스트
  • 노엘 니콜라 - 쿠바의 가수, 작곡가
  • 실비오 로드리게스 - 쿠바의 음악가, 작곡가, 기타리스트, 시인
  • 카를로스 바렐라 - 쿠바의 가수, 작곡가

참조

[1] 서적 Cuban music from A to Z 2004
[2] 웹사이트 Haciendo Punto en Otro Son http://haciendopunto[...]
[3] 서적 Diccionario enciclopédico de la música en Cuba La Habana 2007
[4] 논문 Hip Hop, Revolucion: Nationatizing Rap in Cuba 2005
[5] 문서 Trova and Nueva Trova
[6] 서적 Cuban music from A to Z 2004
[7] 문서 La Reforma Agraria, Duro con él, Ya ganamos la pelea and Son de la alfabetización
[8] 서적 La música y el pueblo La Habana, Cuba 1981
[9] 서적 Music, Space and Place: Popular music and Cultural Identity
[10] 서적 Diccionario enciclopédico de la música en Cuba La Habana 2007
[11] 서적 Cuban music from A to Z 2004
[12] 웹사이트 Haciendo Punto en Otro Son http://haciendopunto[...]
[13] 서적 Diccionario enciclopédico de la música en Cuba La Habana 2007
[14] 서적 Diccionario enciclopédico de la música en Cuba La Habana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