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눈꺼풀올림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눈꺼풀올림근은 윗눈꺼풀을 위로 올리는 작용을 하는 골격근이다. 나비뼈의 작은날개에서 시작하여 윗눈꺼풀의 피부와 윗눈꺼풀판에 닿으며, 눈동맥의 가지와 위눈정맥을 통해 혈액을 공급받고, 눈돌림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이 근육이나 관련 신경 손상 시 안검하수(눈꺼풀처짐)가 발생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구해부학 - 안쪽곧은근
    안쪽곧은근은 눈을 안쪽으로 회전시키는 눈 바깥 근육으로, 온힘줄고리에서 시작하여 눈의 앞안쪽 면에 닿으며 눈돌림신경의 지배를 받고, 사시, 두개골 골절, 수술적 손상 등 임상적 중요성을 가진다.
  • 안구해부학 - 아래빗근
    아래빗근은 눈의 가쪽, 위쪽, 바깥쪽 돌림 운동에 관여하며 눈돌림신경의 지배를 받고, 눈의 바깥쪽 돌림을 주요 기능으로 한다.
  • 두경부 근육 - 빗모뿔근
    빗모뿔근은 목소리를 내는 데 중요한 후두 내재근으로, 윤상연골에 부착되어 서로 교차하며, 혈액과 신경 공급을 받아 후두 입구를 보호하는 괄약근 역할을 한다.
  • 두경부 근육 - 얼굴근육
    얼굴근육은 표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뇌졸중, 벨 마비 등으로 손상되어 얼굴마비를 유발할 수 있다.
눈꺼풀올림근
기본 정보
'곧은근: 2 = 위, 3 = 아래, 4 = 안쪽, 5 = 가쪽, 빗근: 6 = 위, 8 = 아래, 기타 근육: 9 = 눈꺼풀올림근, 기타 구조: 1 = 온힘줄고리, 7 = 도르래, 10 = 윗눈꺼풀판, 11 = 공막, 12 = 시신경'
'곧은근: 2 = 위곧은근, 3 = 아래곧은근, 4 = 안쪽곧은근, 5 = 가쪽곧은근, 빗근: 6 = 위빗근, 8 = 아래빗근, 기타 근육: 9 = 눈꺼풀올림근, 기타 구조: 1 = 온힘줄고리, 7 = 위빗근도르래, 10 = 윗눈꺼풀판, 11 = 공막, 12 = 시신경'
눈꺼풀올림근은 여기에서 위곧은근 위쪽을 지나 윗눈꺼풀에서 끝나는 것을 볼 수 있음.
눈꺼풀올림근은 위곧은근 위쪽을 지나 윗눈꺼풀에서 끝나는 것을 볼 수 있음.
라틴어musculus levator palpebrae superioris
작용윗눈꺼풀을 올림
대항근눈둘레근의 눈꺼풀부분
기원
위치나비뼈 작은날개 아랫면
삽입
위치윗눈꺼풀판과 윗눈꺼풀의 피부
혈액 공급
동맥눈동맥의 근육가지
눈확위동맥
신경 분포
신경눈돌림신경 위갈래

2. 구조

눈꺼풀올림근은 나비뼈 작은날개 아랫면, 시각신경구멍 바로 위에서 시작된다. 넓고 얇게 변하면서 '''올림근널힘줄'''('''거근건막''', levator aponeurosis)이 된다. 올림근널힘줄은 윗눈꺼풀의 피부와 윗눈꺼풀판에 닿는다. 눈꺼풀올림근은 골격근이며, 평활근인 윗눈꺼풀판근은 눈꺼풀올림근에 붙은 채로 함께 윗눈꺼풀판에 닿는다.

2. 1. 혈액 공급

눈꺼풀올림근은 눈동맥의 가지, 특히 근육 가지와 눈확위동맥에서 혈액을 공급받는다. 혈액은 위눈정맥으로 빠져나간다.[1]

2. 2. 신경 분포

눈돌림신경의 위갈래가 눈꺼풀올림근의 운동 신경으로 분포한다.[6][7][8] 눈꺼풀올림근 아랫면에서 일어나는 평활근인 윗눈꺼풀판근은 위목신경절에서 나오는 신경절 이후 교감신경 축삭에 의해 지배된다.[7]

3. 기능

눈꺼풀올림근은 윗눈꺼풀을 위로 올리는 작용을 한다.[6][7]

4. 임상적 중요성

눈꺼풀올림근이나 여기에 분포하는 눈돌림신경이 손상되면 윗눈꺼풀이 아래로 처지는 안검하수(눈꺼풀처짐)가 생길 수 있다.[9][10] 눈돌림신경의 병변은 안검하수를 일으킬 수 있다.[10]

안검하수는 눈꺼풀올림근 주변의 윗눈꺼풀판근이나 여기에 분포하는 교감신경이 손상되어도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교감신경 손상은 호너 증후군 등에서 나타나며 부분적인 안검하수로 이어진다. 두 종류의 안검하수는 서로 다른 특징을 보이므로 구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눈꺼풀올림근 마비로 인한 안검하수는 윗눈꺼풀판근 마비보다 증상이 더 심하게 나타난다.

4. 1. 안검하수 수술과 건강보험

눈꺼풀올림근이나 여기에 분포하는 눈돌림신경이 손상되면 윗눈꺼풀이 아래로 떨어지는 안검하수(눈꺼풀처짐)가 생길 수 있다.[9][10] 눈돌림신경이 눈꺼풀올림근을 제대로 자극하지 못하면 근육의 힘이 중력을 이기지 못해 눈꺼풀이 처진다.[10]

안검하수는 눈꺼풀올림근 주변의 윗눈꺼풀판근이나, 여기에 분포하는 교감신경이 손상되어도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교감신경 손상은 호너 증후군 등에서 나타나며 부분적인 안검하수로 이어진다. 두 종류의 안검하수는 서로 다른 특징을 보이므로 구별이 중요하다.

눈꺼풀올림근 마비로 인한 안검하수는 윗눈꺼풀판근 마비보다 증상이 더 심하게 나타난다.

5. 추가 이미지

윗눈꺼풀의 시상단면


눈꺼풀올림근


바깥눈근육과 눈확의 신경. 깊은 해부.


바깥눈근육과 눈확의 신경. 깊은 해부.

참조

[1] 간행물 Chapter 6 - Disorders of the Eyes and Eyelids http://www.sciencedi[...] Churchill Livingstone 2003-01-01
[2] 서적 Gray's anatomy: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3] 간행물 Chapter 1 - OCULOPLASTICS http://www.sciencedi[...] Mosby 2008-01-01
[4] 간행물 Section 13 - Eyelid Disorders Mosby 2008-01-01
[5] 간행물 Chapter 19 - Vision http://www.sciencedi[...] Academic Press 2017-01-01
[6] 간행물 Chapter 6 - Disorders of the Eyes and Eyelids http://www.sciencedi[...] Churchill Livingstone 2003-01-01
[7] 서적 Gray's anatomy: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8] 간행물 Chapter 1 - OCULOPLASTICS http://www.sciencedi[...] Mosby 2008-01-01
[9] 간행물 Section 13 - Eyelid Disorders Mosby 2008-01-01
[10] 간행물 Chapter 19 - Vision http://www.sciencedi[...] Academic Press 2017-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