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뉴턴식 망원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뉴턴식 망원경은 굴절 망원경의 색수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이작 뉴턴이 고안한 반사 망원경이다. 주 반사경과 부 반사경을 사용하여 빛을 반사시켜 상을 맺는 구조로, 색수차가 없고 제작 비용이 비교적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코마 현상, 부경으로 인한 시야 감소, 정렬의 어려움 등의 단점도 존재한다. 뉴턴식 망원경은 일반 뉴턴식, 돕소니안, 슈미트-뉴턴, 막스토프-뉴턴, 존스-버드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아마추어 천문 활동 및 천문학 연구에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이작 뉴턴 - 만유인력의 법칙
    만유인력의 법칙은 모든 질량을 가진 물체들이 서로를 끌어당기는 힘에 대한 법칙으로, 뉴턴은 질량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것을 제시했으며, 케플러의 행성 운동 법칙을 설명하고 뉴턴 역학의 기초가 되었으나, 일반 상대성 이론이 등장하면서 저중력 한계로 여겨진다.
  • 아이작 뉴턴 - 뉴턴의 냉각 법칙
    뉴턴의 냉각 법칙은 물체의 열 손실률이 물체와 주변 환경 간의 온도 차이에 비례하며, 과도 냉각 분석에 활용된다.
  • 망원경 형식 - 카세그레인식 망원경
  • 망원경 형식 - 천체 사진기
    천체 사진기는 천체 사진 촬영을 위해 설계된 망원경으로, 넓은 범위의 천체 관측, 소행성 탐지 등에 사용되며, 굴절, 반사, 반사-굴절 망원경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고, 위치천문학적 분석, 천체 발견 등에 활용된다.
뉴턴식 망원경
개요
종류반사 망원경
고안자아이작 뉴턴
특징
설명빛을 모으기 위해 오목 거울을 사용하는 반사 망원경의 일종이다. 뉴턴은 1668년에 최초의 작동하는 반사 망원경을 만들었다. 뉴턴식 망원경은 간단한 디자인 때문에 아마추어 망원경 제작자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다.
역사
발명1668년, 아이작 뉴턴
구조 및 작동 원리
주 거울빛을 모으고 반사하는 오목 거울
부 거울주 거울에서 반사된 빛을 접안렌즈로 반사하는 평면 거울
접안렌즈반사된 빛을 확대하여 관찰자가 볼 수 있도록 함

2. 역사

## 하위 레벨 제목: 발명 배경

뉴턴식 망원경의 발명은 굴절 망원경에서 발생하는 색수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에서 비롯되었다.[17][18] 갈릴레오 갈릴레이와 조반니 프란체스코 사그레도 등은 굴절 망원경 발명 직후 거울을 사용하여 상을 맺는 방식에 대해 논의했고, 니콜로 추키 등은 1616년에 이미 실험했다고 알려져있다.[12] 제임스 그레고리는 1663년 ''Optica Promota''에서 포물면 거울을 사용한 반사 망원경 설계를 제시했지만, 제작에는 실패했다.[14][15]

아이작 뉴턴은 백색광이 여러 색깔의 스펙트럼으로 구성된다는 자신의 이론을 증명하기 위해 반사 망원경을 고안했다.[16] 1660년대 중반 색채 이론 연구를 통해, 뉴턴은 굴절 망원경의 렌즈가 프리즘처럼 빛을 분산시켜 밝은 천체 주변에 무지개색을 발생시키는 색수차가 발생한다고 결론 내렸다.[17][18] 렌즈를 사용하지 않는 반사 망원경을 제작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왕립학회 소장 모조품


1668년, 뉴턴은 주석과 구리의 합금(스펙큘럼 금속)을 주거울 재료로 사용하여 최초의 반사 망원경을 제작했다.[20] 광학 표면을 연마하기 위해 피치 랩을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20] 제작을 단순화하기 위해 포물면 대신 구면 거울을 선택하여 구면수차는 발생했지만, 색수차는 제거되었다. 주거울 초점 근처에 비스듬히 장착된 이차 거울을 추가하여 상을 90° 각도로 망원경 측면에 장착된 접안렌즈로 반사시키는 독특한 방식을 고안했다.[21] 뉴턴의 첫 번째 망원경은 주거울 직경 33.02mm, 초점비 f/5를 가졌으며, 색수차 없이 목성의 네 갈릴레이 위성과 금성의 초승달 위상을 관측할 수 있었다.[21]

뉴턴의 친구 아이작 배로는 1671년 말에 영국 왕립 학회에 두 번째 망원경을 선보였고, 1672년에는 찰스 2세에게 시연하여 뉴턴은 학회 회원으로 받아들여졌다.

뉴턴은 거울을 조합하여 망원경을 만드는 아이디어를 그레고리가 이미 제안했지만, 그레고리의 설계는 현실성이 없었다고 평가했다.[28] 뉴턴은 거울을 비스듬히 배치하고 통 측면에 구멍을 뚫어 아이피스를 배치하는 방식으로 그레고리의 아이디어를 개선했다.[28]

뉴턴은 소년 시절 모형 제작 기술을 활용하여 망원경을 직접 제작했다.[28] 오목 주경은 피치판에 산화주석을 붙여 연마하여 만들었으며,[24] 1668년에 세계 최초로 작동하는 반사 망원경을 완성했다. 뉴턴의 망원경은 구리와 주석 합금에 은을 섞은 금속 거울을 사용했으며,[29] 주경 직경은 약 50.8mm, 초점 거리는 약 158.8mm였다.[27]

완성된 반사 망원경은 기존 굴절 망원경보다 더 선명하고 큰 상을 제공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28] 1671년에는 개량된 2호기를 제작하여 1672년 왕립학회에 제출하였고, 이는 뉴턴이 학회 회원으로 추천되는 계기가 되었다.[27]

하지만 뉴턴은 스펙큘럼 금속을 규칙적인 곡률로 연마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거울 표면의 빠른 변색과 낮은 반사율로 인해 시야가 어두웠다.[22] 이러한 제작상의 어려움으로 뉴턴식 반사 망원경은 초기에는 널리 보급되지 못했다. 1721년 존 해들리가 포물면 거울을 사용한 개선된 모델을 선보이면서 뉴턴식 망원경은 당시 대형 공중 굴절 망원경과 견줄 만한 성능을 갖추게 되었다.[23]

## 하위 레벨 제목: 초기 제작

뉴턴의 반사 망원경에 대한 아이디어는 새로운 것이 아니었다. 갈릴레오 갈릴레이와 조반니 프란체스코 사그레도는 굴절 망원경 발명 직후에 상을 형성하는 대물렌즈로 거울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논의했으며, 니콜로 추키 등 다른 사람들은 1616년까지 그 아이디어를 실험했다고 주장했다.[12] 뉴턴은 제임스 그레고리가 1663년에 쓴 책 ''Optica Promota''을 읽었을 수도 있는데, 이 책에서는 포물면 거울을 사용한 반사 망원경 설계가 설명되어 있다.[14] (그레고리는 성공하지 못하고 제작을 시도했던 망원경이다.)[15] '거울을 조합하여 망원경을 만든다'는 아이디어는 이미 스코틀랜드의 그레고리에 의해 제안되었지만[28](그레고리식 망원경), 그레고리의 아이디어는 (당시에는) 현실성이 없었다.[28] 거울에 뚫린 구멍으로 사람이 들여다보는 것이었기 때문에 제작이 어려웠던 것이다.[28]

뉴턴은 백색광이 다양한 색깔의 스펙트럼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자신의 이론을 증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반사 망원경을 만들었다.[16] 색수차는 뉴턴 시대의 굴절 망원경의 주요 결함이었고, 그 원인에 대한 많은 이론들이 있었다. 1660년대 중반 색채 이론에 대한 연구를 하면서 뉴턴은 이러한 결함이 굴절 망원경의 렌즈가 자신이 실험하고 있던 프리즘과 마찬가지로 작용하여 밝은 천체 주변에 무지개 색깔의 빛을 분산시키기 때문에 발생한다는 결론을 내렸다.[17][18]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렌즈를 사용하지 않는 망원경, 즉 반사 망원경을 만들면 색수차를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뉴턴은 그레고리의 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케치(소묘)를 그리고 거울을 비스듬히 배치하고(거울에 구멍을 내는 대신) 통의 측면에 구멍을 뚫어 아이피스를 배치하는 방법을 생각해냈다.[28] 이것이 뉴턴의 발명이다. 뉴턴은 이 아이디어를 실제로 시험해 보기로 결심했다.[28] 이 단계에서는 뉴턴이 소년 시절에 즐겼던 모형 제작 기술이 도움이 되었다.[28] 하지만 눈앞에는 어려운 과제들이 산적해 있었다.[28] 오목 거울이나 렌즈와 같은 것까지 모두 직접 제작해야 했다.[28] 당시에는 현대와 달리 과학 기구의 카탈로그 판매나 매장 판매 같은 것은 없었다.[28]

1668년 말 아이작 뉴턴은 최초의 반사 망원경을 만들었다. 그는 자신의 대물거울 재료로 주석과 구리의 합금(스펙큘럼 금속)을 가장 적합한 재료로 선택했다. 그는 나중에 거울을 형성하고 연마하는 방법을 고안했고, 광학 표면을 연마하기 위해 피치 랩을 사용한 최초의 사람이었을 수도 있다.[20] 그는 제작을 단순화하기 위해 포물면 대신 구면을 거울 모양으로 선택했는데, 구면수차가 발생하더라도 색수차는 여전히 수정될 것이다. 그는 자신의 반사 망원경에 뉴턴식 망원경 설계의 특징인 주거울 초점 근처에 비스듬히 장착된 이차 거울을 추가하여 상을 90° 각도로 망원경 측면에 장착된 접안렌즈로 반사시켰다. 이 독특한 추가 기능을 통해 주거울의 가림 없이 최소한의 방해로 상을 볼 수 있었다. 그는 또한 튜브, 마운트 및 부속품도 만들었다.

오목 주경은 피치판에 산화주석을 붙여 연마하여 만들었다.[24] 1668년에 1호기를 완성했다. 실제로 제작되어 완성된 반사망원경으로서는 세계 최초이다. 그때까지 아무도 성공하지 못했던 '반사망원경'을 실제로 제작해 보였다(현실화시켰다)는 것도 뉴턴의 큰 업적이다. 뉴턴 자신의 저서 『광학』에 따르면, 거울은 구리와 주석 합금에 은을 약간 섞은 금속 거울이며,[29] 주경 직경은 2인치(이하 in) = 약 50.8밀리미터(이하 mm), 두께 약 1/3in(약 8.5mm), 초점 거리는 6.25in(약 158.8mm)[27]이다. A. 케니히 『망원경과 측거의』에서는 구경 34mm, 초점 거리 159mm, 배율 38배로 되어 있지만,[30] 이 차이에 대해 요시다 쇼타로는 "거울 지름 2인치, 초점 거리 6.25인치는 F3.125이므로 당시 기술로는 포물면 연마는 거의 불가능하다", "잘 연마된 부분만 직경 38mm로 좁혔을지도 모른다"라고 추측하고 있다.[27] 일반적으로 뉴턴식 부경은 45도인 경우가 많지만 이때는 부경의 기울기가 정확히 45도가 아니었고, 또 초점 조정은 나비 나사로 주경을 움직이는 것이 특징이다.[27]

뉴턴의 첫 번째 버전은 직경 33.02mm의 주거울과 f/5의 초점비를 가지고 있었다.[21] 그는 망원경이 색수차 없이 작동하고, 그 망원경으로 목성의 네 개의 갈릴레이 위성과 금성의 초승달 위상을 볼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완성된 반사망원경은 대성공이었다.[28] 매우 컴팩트하여 불과 8인치 크기였는데도 기존의 렌즈를 조합한 방식의 길고 큰 망원경보다 더 선명하고 큰 상이 보였다.[28] 뉴턴은 그 성능의 우수성을 배로(Dr. Barrow)에게 시연했다.[28] 배로는 1671년에 이 반사망원경을 런던으로 가져가 여러 명의 요인들에게 보여주었다.[28] 그중에는 잉글랜드 국왕 찰스 2세도 있었다.[28] 찰스 2세는 과학의 발전을 갈망하고 있었다.[28]

뉴턴의 친구 아이작 배로는 1671년 말에 영국 왕립 학회의 소규모 그룹에 두 번째 망원경을 보여주었다. 그들은 그것에 매우 감명을 받아 1672년 1월 찰스 2세에게 시연했다. 뉴턴은 같은 해 학회의 회원으로 받아들여졌다. 1671년에는 개량된 2호기를 제작하여 1672년 왕립학회 정례회에 제출하여 설명하고, 1672년 3월 25일자 회보에 게재되어 매우 좋은 성적을 거두었기 때문에 뉴턴이 회원으로 추천되는 계기가 되었다.[27]

그레고리 이전과 마찬가지로 뉴턴도 효과적인 반사 망원경을 만드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스펙큘럼 금속을 규칙적인 곡률로 연마하는 것은 어려웠다. 또한 표면이 빠르게 변색되었고, 그 결과 거울의 반사율이 낮고 크기가 작았기 때문에 망원경을 통해 보이는 시야는 당시의 굴절 망원경에 비해 매우 어두웠다. 이러한 제작상의 어려움 때문에 뉴턴식 반사 망원경은 처음에는 널리 채택되지 않았다. 1721년 존 해들리는 왕립 학회에 훨씬 개선된 모델을 보여주었다.[22] 해들리는 포물면 거울을 만드는 데 있어 많은 문제점을 해결했다. 직경 152.4mm의 거울을 가진 그의 뉴턴식 망원경은 당시의 대형 공중 굴절 망원경과 비교될 만했다.[23]

## 하위 레벨 제목: 발전과 보급

갈릴레오 갈릴레이와 조반니 프란체스코 사그레도는 굴절 망원경 발명 직후 상을 형성하는 대물렌즈로 거울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논의했고, 니콜로 추키 등은 1616년까지 그 아이디어를 실험했다고 주장했다.[12] 제임스 그레고리는 1663년에 쓴 책 ''Optica Promota''에서 포물면 거울을 사용한 반사 망원경 설계를 설명했다.[14] 뉴턴은 이 책을 읽고 반사 망원경 제작 아이디어를 얻었을 가능성이 있다.[14] 그러나 그레고리는 망원경 제작에 실패했다.[15]

뉴턴은 백색광이 다양한 색깔의 스펙트럼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자신의 이론을 증명하기 위해 반사 망원경을 만들었다.[16] 1660년대 중반 색채 이론 연구를 통해 뉴턴은 굴절 망원경의 렌즈가 프리즘처럼 작용하여 밝은 천체 주변에 무지개 색깔의 빛을 분산시켜 색수차를 발생시킨다고 결론내렸다.[17][18] 그는 렌즈를 사용하지 않는 반사 망원경을 만들면 색수차를 제거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1668년 말, 아이작 뉴턴은 최초의 반사 망원경을 만들었다.[20] 그는 대물거울 재료로 주석과 구리의 합금(스펙큘럼 금속)을 선택했고, 거울을 연마하기 위해 피치 랩을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20] 그는 구면수차가 발생하더라도 색수차는 수정될 것이라고 보았기 때문에 포물면 대신 구면을 거울 모양으로 선택했다. 주거울 초점 근처에 비스듬히 장착된 이차 거울을 추가하여 상을 90° 각도로 망원경 측면에 장착된 접안렌즈로 반사시키는 뉴턴식 망원경 설계를 완성했다. 뉴턴의 첫 번째 망원경은 직경 33.02mm의 주거울과 f/5의 초점비를 가졌다.[21] 그는 이 망원경으로 목성의 네 개의 갈릴레이 위성과 금성의 초승달 위상을 볼 수 있었다. 1671년 말, 뉴턴의 친구 아이작 배로가 영국 왕립 학회에 두 번째 망원경을 보여주었고, 1672년 1월 찰스 2세에게 시연되었다. 뉴턴은 같은 해 학회의 회원으로 받아들여졌다.

뉴턴은 스펙큘럼 금속을 규칙적인 곡률로 연마하는 것이 어렵고, 표면이 빠르게 변색되어 반사율이 낮다는 문제에 직면했다. 또한, 작은 크기로 인해 굴절 망원경에 비해 시야가 매우 어두웠다. 이러한 제작상의 어려움 때문에 뉴턴식 반사 망원경은 처음에는 널리 채택되지 못했다. 그러나 1721년 존 해들리가 왕립 학회에 훨씬 개선된 모델을 보여주면서 상황이 바뀌었다.[22] 해들리는 포물면 거울을 만드는 문제점을 해결했고, 직경 152.4mm 거울을 가진 그의 뉴턴식 망원경은 당시의 대형 공중 굴절 망원경과 성능이 필적했다.[23] 1722년에 존 헤드리가 제작한 구경 15cm, 초점거리 150cm의 망원경은[24] 당시 사용되던 구경 15cm, 초점거리 40m의 굴절망원경과 같은 성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고,[24] 이후 반사망원경이 크게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24]

2. 1. 발명 배경

뉴턴식 망원경의 발명은 굴절 망원경에서 발생하는 색수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에서 비롯되었다.[17][18] 갈릴레오 갈릴레이와 조반니 프란체스코 사그레도 등은 굴절 망원경 발명 직후 거울을 사용하여 상을 맺는 방식에 대해 논의했고, 니콜로 추키 등은 1616년에 이미 실험했다고 알려져있다.[12] 제임스 그레고리는 1663년 ''Optica Promota''에서 포물면 거울을 사용한 반사 망원경 설계를 제시했지만, 제작에는 실패했다.[14][15]

아이작 뉴턴은 백색광이 여러 색깔의 스펙트럼으로 구성된다는 자신의 이론을 증명하기 위해 반사 망원경을 고안했다.[16] 1660년대 중반 색채 이론 연구를 통해, 뉴턴은 굴절 망원경의 렌즈가 프리즘처럼 빛을 분산시켜 밝은 천체 주변에 무지개색을 발생시키는 색수차가 발생한다고 결론 내렸다.[17][18] 렌즈를 사용하지 않는 반사 망원경을 제작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1668년, 뉴턴은 주석과 구리의 합금(스펙큘럼 금속)을 주거울 재료로 사용하여 최초의 반사 망원경을 제작했다.[20] 광학 표면을 연마하기 위해 피치 랩을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20] 제작을 단순화하기 위해 포물면 대신 구면 거울을 선택하여 구면수차는 발생했지만, 색수차는 제거되었다. 주거울 초점 근처에 비스듬히 장착된 이차 거울을 추가하여 상을 90° 각도로 망원경 측면에 장착된 접안렌즈로 반사시키는 독특한 방식을 고안했다.[21] 뉴턴의 첫 번째 망원경은 주거울 직경 , 초점비 f/5를 가졌으며, 색수차 없이 목성의 네 갈릴레이 위성과 금성의 초승달 위상을 관측할 수 있었다.[21]

뉴턴의 친구 아이작 배로는 1671년 말에 영국 왕립 학회에 두 번째 망원경을 선보였고, 1672년에는 찰스 2세에게 시연하여 뉴턴은 학회 회원으로 받아들여졌다.

뉴턴은 거울을 조합하여 망원경을 만드는 아이디어를 그레고리가 이미 제안했지만, 그레고리의 설계는 현실성이 없었다고 평가했다.[28] 뉴턴은 거울을 비스듬히 배치하고 통 측면에 구멍을 뚫어 아이피스를 배치하는 방식으로 그레고리의 아이디어를 개선했다.[28]

뉴턴은 소년 시절 모형 제작 기술을 활용하여 망원경을 직접 제작했다.[28] 오목 주경은 피치판에 산화주석을 붙여 연마하여 만들었으며,[24] 1668년에 세계 최초로 작동하는 반사 망원경을 완성했다. 뉴턴의 망원경은 구리와 주석 합금에 은을 섞은 금속 거울을 사용했으며,[29] 주경 직경은 약 50.8mm, 초점 거리는 약 158.8mm였다.[27]

완성된 반사 망원경은 기존 굴절 망원경보다 더 선명하고 큰 상을 제공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28] 1671년에는 개량된 2호기를 제작하여 1672년 왕립학회에 제출하였고, 이는 뉴턴이 학회 회원으로 추천되는 계기가 되었다.[27]

하지만 뉴턴은 스펙큘럼 금속을 규칙적인 곡률로 연마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거울 표면의 빠른 변색과 낮은 반사율로 인해 시야가 어두웠다.[22] 이러한 제작상의 어려움으로 뉴턴식 반사 망원경은 초기에는 널리 보급되지 못했다. 1721년 존 해들리가 포물면 거울을 사용한 개선된 모델을 선보이면서 뉴턴식 망원경은 당시 대형 공중 굴절 망원경과 견줄 만한 성능을 갖추게 되었다.[23]

2. 2. 초기 제작

뉴턴의 반사 망원경에 대한 아이디어는 새로운 것이 아니었다. 갈릴레오 갈릴레이와 조반니 프란체스코 사그레도는 굴절 망원경 발명 직후에 상을 형성하는 대물렌즈로 거울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논의했으며, 니콜로 추키 등 다른 사람들은 1616년까지 그 아이디어를 실험했다고 주장했다.[12] 뉴턴은 제임스 그레고리가 1663년에 쓴 책 ''Optica Promota''을 읽었을 수도 있는데, 이 책에서는 포물면 거울을 사용한 반사 망원경 설계가 설명되어 있다.[14] (그레고리는 성공하지 못하고 제작을 시도했던 망원경이다.)[15] '거울을 조합하여 망원경을 만든다'는 아이디어는 이미 스코틀랜드의 그레고리에 의해 제안되었지만[28](그레고리식 망원경), 그레고리의 아이디어는 (당시에는) 현실성이 없었다.[28] 거울에 뚫린 구멍으로 사람이 들여다보는 것이었기 때문에 제작이 어려웠던 것이다.[28]

뉴턴은 백색광이 다양한 색깔의 스펙트럼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자신의 이론을 증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반사 망원경을 만들었다.[16] 색수차는 뉴턴 시대의 굴절 망원경의 주요 결함이었고, 그 원인에 대한 많은 이론들이 있었다. 1660년대 중반 색채 이론에 대한 연구를 하면서 뉴턴은 이러한 결함이 굴절 망원경의 렌즈가 자신이 실험하고 있던 프리즘과 마찬가지로 작용하여 밝은 천체 주변에 무지개 색깔의 빛을 분산시키기 때문에 발생한다는 결론을 내렸다.[17][18]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렌즈를 사용하지 않는 망원경, 즉 반사 망원경을 만들면 색수차를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뉴턴은 그레고리의 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케치(소묘)를 그리고 거울을 비스듬히 배치하고(거울에 구멍을 내는 대신) 통의 측면에 구멍을 뚫어 아이피스를 배치하는 방법을 생각해냈다.[28] 이것이 뉴턴의 발명이다. 뉴턴은 이 아이디어를 실제로 시험해 보기로 결심했다.[28] 이 단계에서는 뉴턴이 소년 시절에 즐겼던 모형 제작 기술이 도움이 되었다.[28] 하지만 눈앞에는 어려운 과제들이 산적해 있었다.[28] 오목 거울이나 렌즈와 같은 것까지 모두 직접 제작해야 했다.[28] 당시에는 현대와 달리 과학 기구의 카탈로그 판매나 매장 판매 같은 것은 없었다.[28]

1668년 말 아이작 뉴턴은 최초의 반사 망원경을 만들었다. 그는 자신의 대물거울 재료로 주석과 구리의 합금(스펙큘럼 금속)을 가장 적합한 재료로 선택했다. 그는 나중에 거울을 형성하고 연마하는 방법을 고안했고, 광학 표면을 연마하기 위해 피치 랩을 사용한 최초의 사람이었을 수도 있다.[20] 그는 제작을 단순화하기 위해 포물면 대신 구면을 거울 모양으로 선택했는데, 구면수차가 발생하더라도 색수차는 여전히 수정될 것이다. 그는 자신의 반사 망원경에 뉴턴식 망원경 설계의 특징인 주거울 초점 근처에 비스듬히 장착된 이차 거울을 추가하여 상을 90° 각도로 망원경 측면에 장착된 접안렌즈로 반사시켰다. 이 독특한 추가 기능을 통해 주거울의 가림 없이 최소한의 방해로 상을 볼 수 있었다. 그는 또한 튜브, 마운트 및 부속품도 만들었다.

오목 주경은 피치판에 산화주석을 붙여 연마하여 만들었다.[24] 1668년에 1호기를 완성했다. 실제로 제작되어 완성된 반사망원경으로서는 세계 최초이다. 그때까지 아무도 성공하지 못했던 '반사망원경'을 실제로 제작해 보였다(현실화시켰다)는 것도 뉴턴의 큰 업적이다. 뉴턴 자신의 저서 『광학』에 따르면, 거울은 구리와 주석 합금에 은을 약간 섞은 금속 거울이며,[29] 주경 직경은 2인치(이하 in) = 약 50.8밀리미터(이하 mm), 두께 약 1/3in(약 8.5mm), 초점 거리는 6.25in(약 158.8mm)[27]이다. A. 케니히 『망원경과 측거의』에서는 구경 34mm, 초점 거리 159mm, 배율 38배로 되어 있지만,[30] 이 차이에 대해 요시다 쇼타로는 "거울 지름 2인치, 초점 거리 6.25인치는 F3.125이므로 당시 기술로는 포물면 연마는 거의 불가능하다", "잘 연마된 부분만 직경 38mm로 좁혔을지도 모른다"라고 추측하고 있다.[27] 일반적으로 뉴턴식 부경은 45도인 경우가 많지만 이때는 부경의 기울기가 정확히 45도가 아니었고, 또 초점 조정은 나비 나사로 주경을 움직이는 것이 특징이다.[27]

뉴턴의 첫 번째 버전은 직경 1.3인치의 주거울과 f/5의 초점비를 가지고 있었다.[21] 그는 망원경이 색수차 없이 작동하고, 그 망원경으로 목성의 네 개의 갈릴레이 위성과 금성의 초승달 위상을 볼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완성된 반사망원경은 대성공이었다.[28] 매우 컴팩트하여 불과 8인치 크기였는데도 기존의 렌즈를 조합한 방식의 길고 큰 망원경보다 더 선명하고 큰 상이 보였다.[28] 뉴턴은 그 성능의 우수성을 배로(Dr. Barrow)에게 시연했다.[28] 배로는 1671년에 이 반사망원경을 런던으로 가져가 여러 명의 요인들에게 보여주었다.[28] 그중에는 잉글랜드 국왕 찰스 2세도 있었다.[28] 찰스 2세는 과학의 발전을 갈망하고 있었다.[28]

뉴턴의 친구 아이작 배로는 1671년 말에 영국 왕립 학회의 소규모 그룹에 두 번째 망원경을 보여주었다. 그들은 그것에 매우 감명을 받아 1672년 1월 찰스 2세에게 시연했다. 뉴턴은 같은 해 학회의 회원으로 받아들여졌다. 1671년에는 개량된 2호기를 제작하여 1672년 왕립학회 정례회에 제출하여 설명하고, 1672년 3월 25일자 회보에 게재되어 매우 좋은 성적을 거두었기 때문에 뉴턴이 회원으로 추천되는 계기가 되었다.[27]

그레고리 이전과 마찬가지로 뉴턴도 효과적인 반사 망원경을 만드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스펙큘럼 금속을 규칙적인 곡률로 연마하는 것은 어려웠다. 또한 표면이 빠르게 변색되었고, 그 결과 거울의 반사율이 낮고 크기가 작았기 때문에 망원경을 통해 보이는 시야는 당시의 굴절 망원경에 비해 매우 어두웠다. 이러한 제작상의 어려움 때문에 뉴턴식 반사 망원경은 처음에는 널리 채택되지 않았다. 1721년 존 해들리는 왕립 학회에 훨씬 개선된 모델을 보여주었다.[22] 해들리는 포물면 거울을 만드는 데 있어 많은 문제점을 해결했다. 직경 6인치의 거울을 가진 그의 뉴턴식 망원경은 당시의 대형 공중 굴절 망원경과 비교될 만했다.[23]

2. 3. 발전과 보급

갈릴레오 갈릴레이와 조반니 프란체스코 사그레도는 굴절 망원경 발명 직후 상을 형성하는 대물렌즈로 거울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논의했고, 니콜로 추키 등은 1616년까지 그 아이디어를 실험했다고 주장했다.[12] 제임스 그레고리는 1663년에 쓴 책 ''Optica Promota''에서 포물면 거울을 사용한 반사 망원경 설계를 설명했다.[14] 뉴턴은 이 책을 읽고 반사 망원경 제작 아이디어를 얻었을 가능성이 있다.[14] 그러나 그레고리는 망원경 제작에 실패했다.[15]

뉴턴은 백색광이 다양한 색깔의 스펙트럼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자신의 이론을 증명하기 위해 반사 망원경을 만들었다.[16] 1660년대 중반 색채 이론 연구를 통해 뉴턴은 굴절 망원경의 렌즈가 프리즘처럼 작용하여 밝은 천체 주변에 무지개 색깔의 빛을 분산시켜 색수차를 발생시킨다고 결론내렸다.[17][18] 그는 렌즈를 사용하지 않는 반사 망원경을 만들면 색수차를 제거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1668년 말, 아이작 뉴턴은 최초의 반사 망원경을 만들었다.[20] 그는 대물거울 재료로 주석과 구리의 합금(스펙큘럼 금속)을 선택했고, 거울을 연마하기 위해 피치 랩을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20] 그는 구면수차가 발생하더라도 색수차는 수정될 것이라고 보았기 때문에 포물면 대신 구면을 거울 모양으로 선택했다. 주거울 초점 근처에 비스듬히 장착된 이차 거울을 추가하여 상을 90° 각도로 망원경 측면에 장착된 접안렌즈로 반사시키는 뉴턴식 망원경 설계를 완성했다. 뉴턴의 첫 번째 망원경은 직경 1.3인치(33.02mm)의 주거울과 f/5의 초점비를 가졌다.[21] 그는 이 망원경으로 목성의 네 개의 갈릴레이 위성과 금성의 초승달 위상을 볼 수 있었다. 1671년 말, 뉴턴의 친구 아이작 배로가 영국 왕립 학회에 두 번째 망원경을 보여주었고, 1672년 1월 찰스 2세에게 시연되었다. 뉴턴은 같은 해 학회의 회원으로 받아들여졌다.

뉴턴은 스펙큘럼 금속을 규칙적인 곡률로 연마하는 것이 어렵고, 표면이 빠르게 변색되어 반사율이 낮다는 문제에 직면했다. 또한, 작은 크기로 인해 굴절 망원경에 비해 시야가 매우 어두웠다. 이러한 제작상의 어려움 때문에 뉴턴식 반사 망원경은 처음에는 널리 채택되지 못했다. 그러나 1721년 존 해들리가 왕립 학회에 훨씬 개선된 모델을 보여주면서 상황이 바뀌었다.[22] 해들리는 포물면 거울을 만드는 문제점을 해결했고, 직경 6인치(152.4mm) 거울을 가진 그의 뉴턴식 망원경은 당시의 대형 공중 굴절 망원경과 성능이 필적했다.[23] 1722년에 존 헤드리가 제작한 구경 15cm, 초점거리 150cm의 망원경은[24] 당시 사용되던 구경 15cm, 초점거리 40m의 굴절망원경과 같은 성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고,[24] 이후 반사망원경이 크게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24]

3. 구조 및 원리

뉴턴식 망원경은 보통 포물면 형태의 주 반사경 또는 대물렌즈와 더 작은 평평한 부 반사경으로 구성된다. 주 반사경은 하늘의 특정 영역에서 빛을 모으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부 반사경은 빛을 광축에서 직각으로 굴절시켜 접안렌즈로 관찰할 수 있게 한다.

뉴턴식 망원경 설계

3. 1. 주 반사경

3. 2. 부 반사경 (사경)

3. 3. 접안 렌즈

3. 4. 파인더

4. 장단점

wikitext

뉴턴식 망원경은 색수차가 없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25] 이는 굴절 망원경에서 발생하는 색수차 문제를 해결한다.

같은 구경의 다른 망원경에 비해 제작 비용이 저렴하다.[25] 주경의 한 면만 연마하면 되기 때문에 그레고리, 카세그레인 망원경이나 초기 굴절 망원경보다 제작이 간단하다. 특히, 후기 색수차 보정 굴절 망원경은 연마해야 할 면이 네 개나 된다.

짧은 초점비를 통해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접안렌즈가 망원경 상단에 위치하고 짧은 f-와 결합하여 소형 장착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어 비용 절감과 휴대성 향상에 기여한다.

부경이 평면이므로 제작과 광축 정렬이 용이하고, 접안렌즈를 사용한 실 시 관측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형식이다.[31][25] 경위대식 가대에 설치하면 접안렌즈가 항상 수평을 유지하여 편안한 관측이 가능하다.[31] 적도의식 가대에 설치하는 경우 접안렌즈 방향이 변하므로 경통을 회전시키는 구조가 필요하다.[31]

「파인더」는 목표 천체를 망원경의 시야 내로 안내하기 위한, 시야가 넓은(저배율의) 보조적인 망원경이다. 이 사진에서는 「10」이라는 번호가 붙어 있다.


관측 방향과 접안렌즈를 보는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파인더가 필수적이다.[31]

케플러식 망원경과 비교하면 대구경 제품을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25] 구경 60mm 케플러식 망원경과 비슷한 가격으로 100mm 뉴턴식 망원경을 구입할 수 있으며, 같은 구경이라면 삼각대가 낮아져 소형화된다.[25] 천정 부근 관측 자세도 편하다.[25]

통 한쪽이 개방되어 기온 차로 인한 기류 발생으로 상의 시야가 나빠질 수 있으므로, 겨울철에는 관측 전에 미리 설치해 두는 것이 좋다.[25] 주경 성능이 나쁘면 보완이 어렵고, 천체를 옆에서 관측하므로 익숙하지 않으면 찾기 어려울 수 있다.[25]

대형 망원경의 경우, 특히 천정 부근 관측 시 관측자 위치가 높아져 보조 구조물이 필요하거나 추락에 주의해야 한다.

뉴턴식 망원경은 포물면 반사경을 사용하여 코마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3] 코마는 축 외 수차로, 상이 혜성 모양으로 퍼져 보이는 현상이다. 이 현상은 시야각이 증가할수록, 반사경 구경비(초점거리를 직경으로 나눈 값)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심해진다.[3] 구경비가 f/6 이하인 뉴턴식 망원경은 코마가 심각하여, 코마 보정 렌즈를 사용하여 시야 전체의 상 선명도를 높일 수 있다.[4]

광로상의 2차 반사경(부경)은 중앙부 가림 현상을 일으키고, 2차 반사경 지지대(스파이더)는 회절 스파이크를 발생시켜 명암비를 감소시킨다.[3] 시각적으로는 곡선 스파이더를 사용하여 회절 효과를 줄일 수 있지만, 바람에 의한 진동에 취약해질 수 있다.[3]

휴대용 뉴턴식 망원경은 운반 및 취급 중 충격으로 1차 반사경과 2차 반사경의 정렬(콜리메이션)이 틀어질 수 있다.[3] 따라서 망원경을 설치할 때마다 광축을 다시 정렬해야 한다.[3] 반면, 굴절 망원경이나 막수토프 카세그레인과 같은 카타디오프트릭 망원경은 콜리메이션이 고정되어 있다.[3]

초점면이 광학 튜브 상단에 비대칭적으로 위치하여, 특히 적도 의를 사용할 때 접안렌즈 위치가 불편할 수 있다.[5] 큰 망원경은 사다리나 지지대가 필요할 수 있으며[6], 일부 설계는 접안렌즈 마운트나 튜브를 회전시키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6]

천정 부근 관측 시 관측자의 위치가 높아져 보조 구조물이 필요하거나 추락에 주의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4. 1. 장점

뉴턴식 망원경은 색수차가 없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25] 이는 굴절 망원경에서 발생하는 색수차 문제를 해결한다.

같은 구경의 다른 망원경에 비해 제작 비용이 저렴하다.[25] 주경의 한 면만 연마하면 되기 때문에 그레고리, 카세그레인 망원경이나 초기 굴절 망원경보다 제작이 간단하다. 특히, 후기 색수차 보정 굴절 망원경은 연마해야 할 면이 네 개나 된다.

짧은 초점비를 통해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접안렌즈가 망원경 상단에 위치하고 짧은 f-와 결합하여 소형 장착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어 비용 절감과 휴대성 향상에 기여한다.

부경이 평면이므로 제작과 광축 정렬이 용이하고, 접안렌즈를 사용한 실 시 관측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형식이다.[31][25] 경위대식 가대에 설치하면 접안렌즈가 항상 수평을 유지하여 편안한 관측이 가능하다.[31] 적도의식 가대에 설치하는 경우 접안렌즈 방향이 변하므로 경통을 회전시키는 구조가 필요하다.[31]

관측 방향과 접안렌즈를 보는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파인더가 필수적이다.[31]

케플러식 망원경과 비교하면 대구경 제품을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25] 구경 60mm 케플러식 망원경과 비슷한 가격으로 100mm 뉴턴식 망원경을 구입할 수 있으며, 같은 구경이라면 삼각대가 낮아져 소형화된다.[25] 천정 부근 관측 자세도 편하다.[25]

통 한쪽이 개방되어 기온 차로 인한 기류 발생으로 상의 시야가 나빠질 수 있으므로, 겨울철에는 관측 전에 미리 설치해 두는 것이 좋다.[25] 주경 성능이 나쁘면 보완이 어렵고, 천체를 옆에서 관측하므로 익숙하지 않으면 찾기 어려울 수 있다.[25]

대형 망원경의 경우, 특히 천정 부근 관측 시 관측자 위치가 높아져 보조 구조물이 필요하거나 추락에 주의해야 한다.

4. 2. 단점

뉴턴식 망원경은 포물면 반사경을 사용하여 코마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3] 코마는 축 외 수차로, 상이 혜성 모양으로 퍼져 보이는 현상이다. 이 현상은 시야각이 증가할수록, 반사경 구경비(초점거리를 직경으로 나눈 값)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심해진다.[3] 구경비가 f/6 이하인 뉴턴식 망원경은 코마가 심각하여, 코마 보정 렌즈를 사용하여 시야 전체의 상 선명도를 높일 수 있다.[4]

광로상의 2차 반사경(부경)은 중앙부 가림 현상을 일으키고, 2차 반사경 지지대(스파이더)는 회절 스파이크를 발생시켜 명암비를 감소시킨다.[3] 시각적으로는 곡선 스파이더를 사용하여 회절 효과를 줄일 수 있지만, 바람에 의한 진동에 취약해질 수 있다.[3]

휴대용 뉴턴식 망원경은 운반 및 취급 중 충격으로 1차 반사경과 2차 반사경의 정렬(콜리메이션)이 틀어질 수 있다.[3] 따라서 망원경을 설치할 때마다 광축을 다시 정렬해야 한다.[3] 반면, 굴절 망원경이나 막수토프 카세그레인과 같은 카타디오프트릭 망원경은 콜리메이션이 고정되어 있다.[3]

초점면이 광학 튜브 상단에 비대칭적으로 위치하여, 특히 적도 의를 사용할 때 접안렌즈 위치가 불편할 수 있다.[5] 큰 망원경은 사다리나 지지대가 필요할 수 있으며[6], 일부 설계는 접안렌즈 마운트나 튜브를 회전시키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6]

천정 부근 관측 시 관측자의 위치가 높아져 보조 구조물이 필요하거나 추락에 주의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5. 종류

뉴턴식 반사 망원경 설계에는 렌즈를 추가하여 굴절-반사 망원경(카타디오프트릭 망원경)을 만드는 여러 가지 변형이 있다. 이는 구면 수차를 보정하거나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뉴턴식 망원경은 임의의 경위대에 설치할 수 있다. 적도의식 경위대나 간단한 2축식 경위대, 1축 경위대, 또는 뉴턴이 제작한 것의 복제품처럼 구형의 "만능 조인트"에도 설치 가능하다. 특히 경위대식 경위대(대포의 경위대와 같이 축이 단 하나인 경위대)를 가진 뉴턴식 망원경은 "돕소니안 망원경"으로 분류된다. 돕소니안 망원경도 광학적인 원리는 뉴턴식 망원경과 같으므로 뉴턴식 망원경의 일종이다.

돕소니안 망원경은 광학적인 원리는 뉴턴식 망원경 그 자체이므로, 뉴턴식 망원경의 일종이다. 뉴턴식 망원경 중에서 특히 경위대식 경위대(대포의 경위대와 같은, 축이 단 하나인 경위대)를 가진 것을 "돕소니안 망원경"으로 분류(하위 분류)한다.

슈미트-뉴턴 망원경은 뉴턴식 반사 망원경 설계에 구면수차를 보정할 뿐만 아니라 부경을 지지할 수 있는 전구경 슈미트 보정판을 주경 앞에 결합한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코마와 부경 지지에 의한 회절 효과가 적다.[7]

막수토프 망원경의 메니스커스 형태의 보정렌즈는 뉴턴식 구성에 추가될 수 있으며, 이는 넓은 시야에서 최소한의 수차를 제공한다.[8] 유사한 표준 뉴턴식 망원경의 1/4 수준, 슈미트-뉴턴식 망원경의 1/2 수준의 코마를 갖게 된다.[8] 보정렌즈에 장착된 비례적으로 작은 2차 반사경을 사용하여 높은 초점비를 사용함으로써 회절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9]

존스-버드 뉴턴식 망원경(때로는 버드-존스식이라고도 함)은 포물면 거울 대신 구면 주경을 사용하며, 구면수차는 보통 초점 조정관 내부 또는 2차 반사경 앞에 장착된 부분 개구 보정 렌즈(부분 개구 보정기)로 보정한다.[10] 이 설계는 짧은 전체 망원경 튜브 길이(보정기가 "텔레포토" 유형 레이아웃에서 초점 거리를 연장함)와 저렴한 구면 거울을 결합하여 망원경의 크기와 비용을 줄인다. 이 설계의 상용 생산 버전은 올바른 모양의 부분 개구 보정기를 생산하는 어려움으로 인해 광학적으로 손상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저렴한 망원경 시장을 대상으로 한다.[11]

5. 1. 일반 뉴턴식 망원경

일반적으로 뉴턴식 망원경은 임의의 경위대에 설치할 수 있다. 적도의식 경위대나 간단한 2축식 경위대, 1축 경위대, 또는 뉴턴이 제작한 것의 복제품처럼 구형의 "만능 조인트"에도 설치 가능하다. 특히 경위대식 경위대(대포의 경위대와 같이 축이 단 하나인 경위대)를 가진 뉴턴식 망원경은 "돕소니안 망원경"으로 분류된다. 돕소니안 망원경도 광학적인 원리는 뉴턴식 망원경과 같으므로 뉴턴식 망원경의 일종이다.

5. 2. 돕소니안 망원경

돕소니안 망원경은 광학적인 원리는 뉴턴식 망원경 그 자체이므로, 뉴턴식 망원경의 일종이다. 뉴턴식 망원경 중에서 특히 경위대식 경위대(대포의 경위대와 같은, 축이 단 하나인 경위대)를 가진 것을 "돕소니안 망원경"으로 분류(하위 분류)한다. 일반적으로 경위대는 임의이며, 적도의식 경위대에 설치해도 좋고, 간단한 2축식 경위대에 설치해도 좋다.

돕소니안 망원경은 간단한 구조와 휴대성 덕분에 아마추어 천문가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다. 특히 한국에서는 아마추어 천문 활동이 증가하고, 저렴한 가격과 제작 용이성으로 인해 돕소니안 망원경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5. 3. 슈미트-뉴턴 망원경



슈미트-뉴턴 망원경은 뉴턴식 반사 망원경 설계에 구면수차를 보정할 뿐만 아니라 부경을 지지할 수 있는 전구경 슈미트 보정판을 주경 앞에 결합한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코마와 부경 지지에 의한 회절 효과가 적다.[7]

일반적으로 경위대는 임의이며, 적도의식 경위대에 설치해도 좋고, 간단한 2축식 경위대에 설치해도 좋고, 1축 경위대에 설치해도 좋다. 뉴턴식 망원경 중에서 특히 경위대식 경위대를 가진 것은 "돕소니안 망원경"으로 분류된다. 돕소니안 망원경도 광학적인 원리는 뉴턴식 망원경 그 자체이므로, 뉴턴식 망원경의 일종이다.

5. 4. 막스토프-뉴턴 망원경

막수토프 망원경의 메니스커스 형태의 보정렌즈는 뉴턴식 구성에 추가될 수 있으며, 이는 넓은 시야에서 최소한의 수차를 제공한다.[8] 유사한 표준 뉴턴식 망원경의 1/4 수준, 슈미트-뉴턴식 망원경의 1/2 수준의 코마를 갖게 된다.[8] 보정렌즈에 장착된 비례적으로 작은 2차 반사경을 사용하여 높은 초점비를 사용함으로써 회절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9]

5. 5. 존스-버드 망원경

존스-버드 뉴턴식 망원경(때로는 버드-존스식이라고도 함)은 포물면 거울 대신 구면 주경을 사용하며, 구면수차는 보통 초점 조정관 내부 또는 2차 반사경 앞에 장착된 부분 개구 보정 렌즈(부분 개구 보정기)로 보정한다.[10] 이 설계는 짧은 전체 망원경 튜브 길이(보정기가 "텔레포토" 유형 레이아웃에서 초점 거리를 연장함)와 저렴한 구면 거울을 결합하여 망원경의 크기와 비용을 줄인다. 이 설계의 상용 생산 버전은 올바른 모양의 부분 개구 보정기를 생산하는 어려움으로 인해 광학적으로 손상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저렴한 망원경 시장을 대상으로 한다.[11]

6. 활용

6. 1. 아마추어 천문 활동

6. 2. 천문학 연구

7. 제작 및 관리

7. 1. 직접 제작

7. 2. 구매

7. 3. 관리

참조

[1] 서적 Isaac Newton: Adventurer in Though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Amateur Telescope Making https://archive.org/[...] Munn and Co., Inc.
[3] 웹사이트 8.1.1. Newtonian off-axis aberrations https://telescope-op[...] 2006-07-14
[4] 웹사이트 Tele Vue Paracor Coma Corrector for Newtonians http://www.cloudynig[...]
[5] 서적 The Physics of Metrology: All about Instruments: From Trundle Wheels to Atomic Clock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6] 서적 Make Time for the Stars: Fitting Astronomy into Your Busy Life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7] 웹사이트 Schmidt-Newton telescope http://www.telescope[...] telescopeOptics.net
[8] 서적 Telescope Optics: Evaluation and design https://books.google[...]
[9] 서적 Choosing and Using a New CAT https://books.google[...] 2009-02-28
[10] 웹사이트 10.1.2. Sub-aperture corrector examples: Single-mirror systems – Jones-Bird http://www.telescope[...]
[11] 웹사이트 TELESCOPES – OVERVIEW AND TELESCOPE TYPES, CATADIOPTRIC NEWTONIAN http://www.whichtele[...]
[12] 서적 Stargazer: The Life and Times of the Telescope https://books.google[...] Allen & Unwin
[13] 웹사이트 The Galileo Project > Science > Zucchi, Niccolo http://galileo.rice.[...]
[14] 서적 The Newton Handbook https://books.google[...] Routledge & Kegan Paul
[15] 서적 Isaac Newton: The Last Sorcerer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16] 서적 Isaac Newton: The Last Sorcerer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17] 문서 Newton thought little could be done to correct aberration short of making lenses that were f/50 or more.
[18] 서적 A Treatise on Optics https://archive.org/[...] Macmillan
[19] 서적 The History of the Telescope https://books.google[...]
[20] 서적 Reflecting Telescope Optics I: Basic Design Theory and its Historical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1] 웹사이트 telescope-optics.net Reflecting Telescopes: Newtonian, two- and three-mirror systems http://www.telescope[...]
[22] 웹사이트 amazing-space.stsci.edu – Hadley’s Reflector http://amazing-space[...]
[23] 웹사이트 The complete Amateur Astronomer – John Hadley's Reflector http://labbey.com/Te[...]
[24] 서적 天体望遠鏡のすべて'81年版
[25] 서적 天体望遠鏡の作り方
[26] 서적 天体望遠鏡の作り方
[27] 서적 天文アマチュアのための望遠鏡光学・反射編
[28] 서적 Isaac Newton: Greatest Genius of Science
[29] 서적 天体望遠鏡のすべて'81年版
[30] 서적 天体望遠鏡のすべて'81年版
[31] 서적 天文アマチュアのための望遠鏡光学・反射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