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니브흐어 문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브흐어 문자는 니브흐족의 언어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된 문자 체계이다. 1929년 그림 문자가 곰 숭배 의식에 사용되었고, 19세기 말에는 키릴 문자 및 라틴 문자를 이용한 표기 시도가 있었다. 1931년부터 1937년까지는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문자가 사용되었으며, 1937년부터 현재까지는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한 문자가 사용되고 있다. 현대 니브흐어 문자는 사할린 방언을 기준으로 하며, 다양한 변형과 추가 문자를 포함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자 - 아이슬란드어 알파벳
    아이슬란드어 알파벳은 아큐트 악센트 문자, Ðð, Þþ, Ææ, Öö를 포함한 32개의 라틴 문자로 구성되며, Þ와 Ð는 아이슬란드어 고유 문자이고, C, Q, W, Z는 외래어에서만 쓰이며, 모음은 장모음과 단모음으로 나뉜다.
  • 로마자 - 프락투어
    프락투어는 16세기 초 막시밀리안 1세 시대에 디자인된 블랙 레터 서체로, 독일어권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민족주의와 낭만주의 부흥 시기 안티콰체와의 논쟁을 겪었고, 현재는 장식적 용도로 사용된다.
  • 키릴 문자 - 초기 키릴 문자
    초기 키릴 문자는 9세기 말 프레슬라프 문학 학교에서 글라골 문자를 기반으로 창작되어 그리스 문자를 참고하여 교회 서적에 더 적합하게 만들어졌으며, 슬라브족 국가로 전파된 후 지역적 변형과 문자 개혁을 거쳐 동유럽과 아시아 전역의 언어 표기에 사용되고 있다.
  • 키릴 문자 - 루마니아어 키릴 문자
    루마니아어 키릴 문자는 루마니아어의 초기 표기에 사용된 문자 체계로, 몰도바어 키릴 문자와 함께 초기 키릴 문자와 유사하며 교회 슬라브어의 전례 언어에 사용되었고, 1830년대 라틴 문자 채택 이전에는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가 혼용되었다.
니브흐어 문자

2. 문자 이전 시기

1930년 이전까지 니브흐족은 고유한 문자 체계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1] 다만, 19세기 말부터 레오폴트 폰 슈렌크, 레프 슈테른베르크 등 일부 연구자들이 키릴 문자나 라틴 문자를 이용하여 니브흐어를 기록하려는 초기 시도가 있었다.[2]

또한, 1929년에 이루어진 연구에 따르면 하아무르강 유역의 니브흐족은 곰 숭배 의식과 같은 특정 상황에서 사용되는 기초적인 그림 문자를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된다.[1] 1884년에는 러시아 정교회 선교회가 나나이어를 기반으로 한 알파벳 교재를 출판하기도 했으나, 이는 언어적으로 다른 니브흐어에는 적용되지 못했다.[1] 결과적으로 니브흐족을 위한 본격적인 문자 체계 개발은 1930년대 이후에 시작되었다.

2. 1. 곰 숭배 의식과 그림 문자

1929년에 실시된 연구에 따르면, 하아무르강 유역에 살던 니브흐족은 기초적인 그림 문자를 사용했다.[1] 이 그림 문자는 주로 곰 숭배 의식 때 사용하는 나무 식기를 장식하는 데 쓰였다. 의식에서 곰고기를 담아 나누는 나무 국자에는 다양한 정보가 그림 문자로 새겨졌다. 여기에는 곰의 모습뿐만 아니라, 사냥 시기, 잡은 곰의 수와 성별, 나이, 그리고 사냥에 참여한 사람 수와 같은 사냥 관련 상황이 기록되었다.[1]

2. 2. 초기 문자 도입 시도 (19세기 말 ~ 20세기 초)

니브흐어를 문자로 기록하려는 최초의 시도는 19세기 말에 이루어졌다.[2] 당시 N. L. 젤란드, 레오폴트 폰 슈렌크, 레프 슈테른베르크와 같은 연구자들이 니브흐어 사전을 만들고 일부 텍스트를 기록했는데, 이때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가 모두 사용되었다.[2]

1884년에는 러시아 정교회 선교회가 카잔에서 «[https://vivaldi.nlr.ru/bx000010497/view#page= 골드족과 길랴크족 아이들을 위한 골드족 알파벳]»(Goldes alphabet for teaching Goldes and Gilyak childreneng)이라는 책을 출판했다.[1] 여기서 골드족은 나나이족을, 길랴크족은 니브흐족을 가리키는 옛 이름이다. 하지만 이 책에 실린 내용은 모두 나나이어로 작성되었으며, 나나이족과 언어적으로 관련이 없는 니브흐어를 위해 이 알파벳을 적용하려는 시도는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1]

결과적으로 1930년 이전까지 니브흐족을 위한 독자적인 문자 체계를 만들려는 본격적인 시도는 없었다.[1]

3. 라틴 문자 (1931-1937)

1931년, 소련의 문자 제정 운동의 일환으로 언어학자 예루힘 크레이노비치는 소련 극북 및 극동 소수 민족을 위해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니브흐어 문자를 처음 개발했다.[3] 이 초기 안은 1932년 2월, 통일 북부 문자 프로젝트를 통해 일부 수정되어 공식 승인되었다.[1]

3. 1. 통일 북부 문자

1931년, 소련의 문자 제정 운동 기간 동안 소련 극북 및 극동 민족을 위해 예루힘 크레이노비치는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니브흐어 문자를 개발했다. 원래 설계에는 '''A a, B в, C c, Ç ç, D d, E e, Ə ə, F f, G g, H h, Ꜧ ꜧ, I i, J j, K k, L l, M m, N n, Ŋ ŋ, O o, P p, Q q, R r, Ŗ ŗ, S s, Ş ş, T t, U u, V v, X x, Z z, Ь ь''' 문자가 포함되었다.[3]

그러나 1932년 2월, 통일 북부 문자의 다음과 같은 개정안이 승인되었다:[1]

A aB вC cD dD̦ d̦E eƏ əF fG g
H hꜦ ꜧI iJ jK kKʻ kʻL lM mN n
Ņ ņŊ ŋO oP pPʻ pʻQ qQʻ qʻR rRʻ rʻ
S sT tȚ țTʻ tʻU uV vX xZ z



문자 아래의 쉼표(D̦ d̦, Ț ț 등)는 구개음화를 의미했다. 같은 해에 이 문자로 된 첫 교재 "Cuzd̦if"가 출판되었고, 이후 다른 교육 자료들도 나왔다. 문학어는 아무르 방언을 기반으로 했다.[1] 짧은 기간 동안 니콜라옙스크나아무레에서는 이 문자로 된 신문 "Nivxgu mәkәr-qlaj-d̦if" ("니브흐의 진실")가 발행되기도 했다.

3. 2. 라틴 문자 기반 니브흐어 출판물

1932년 승인된 통일 북부 문자를 기반으로 같은 해에 니브흐어 학습서 "Cuzd̦if"가 출판되었고, 그 뒤를 이어 다른 출판물들이 나왔다. 문학어는 아무르 방언을 기반으로 했다.[1] 짧은 기간 동안 니콜라옙스크나아무레에서는 이 문자로 된 신문 "Nivxgu mәkәr-qlaj-d̦if" ("니브흐의 진실")가 발행되었다.

4. 키릴 문자 (1937-현재)

1937년, 소련의 소수 민족 언어 정책 변화에 따라 니브흐어 표기 문자가 라틴 문자에서 키릴 문자 기반으로 공식 전환되었다.[4] 이는 당시 소련 내 다른 여러 소수 민족 언어들과 함께 이루어진 조치였다. 초기 키릴 문자는 러시아어 알파벳을 기반으로 일부 변형을 가한 형태였으나,[5] 이후 니브흐어 문헌 출판이 중단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1953년 아무르 방언 학습서 편찬[6]과 1960-70년대 일부 사전 출판[7]에도 불구하고 본격적인 문자 사용과 문헌 출판은 1970년대 후반까지 활발하지 못했다. 1977년 RSFSR 교육부의 니브흐어 교육 프로그램 준비를 계기로 문자 사용이 다시 활기를 띠기 시작했으며,[8] 1979년 새로운 키릴 문자 체계가 마련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현대 니브흐어 키릴 문자의 구체적인 형태와 방언별 차이는 하위 문단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4. 1. 초기 키릴 문자 (1937-1970년대)

1937년, 소련 내 다른 소수 민족들의 문자들과 마찬가지로 니브흐어 문자 역시 공식적으로 키릴 문자 기반으로 전환되었다.[4] 이 초기 키릴 문자는 러시아 문자를 기반으로 하되 'Щ щ, Ъ ъ, Ы ы'는 사용하지 않았고, 아포스트로피를 추가하여 'Кʼ кʼ, Пʼ пʼ, Рʼ рʼ, Тʼ тʼ' 문자와 'Нг нг' 이중 자음을 사용했다.[5]

그러나 이 문자 체계가 도입된 후 니브흐어로 된 문헌 출판은 중단되었다. 1953년에 이르러서야 V.N. 사벨리예바가 키릴 문자를 사용한 니브흐어 학습서(아무르 방언)를 편찬하면서 다시 문헌이 나오기 시작했다.[6] 이 학습서에 사용된 새로운 알파벳은 러시아어 알파벳의 모든 문자에 더해 'Гʼ гʼ, Ггʼ ггʼ, Кк кк, Къ къ, Ккъ ккъ, Нʼ нʼ, Пъ пъ, Рш рш, Тъ тъ, Хх хх, Хʼ хʼ' 문자를 포함했다.[6]

하지만 이 학습서가 출판된 이후,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사전 두 권이 출판된 것을 제외하면, 1980년대 초까지 니브흐어 문헌 출판은 다시금 중단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7]

4. 2. 키릴 문자 부활과 현대 니브흐어 문자 (1970년대-현재)

니브흐어 문자의 부활은 1977년, RSFSR 교육부가 초등학교에서 니브흐어 프로그램을 준비하기 시작하면서 시작되었다. 1979년, 니브흐어의 새로운 키릴 문자 기반 문자가 만들어졌으며, 이를 토대로 1981년에는 사할린 방언 학습서(저자 블라디미르 상기와 갈리나 오타이나)가, 1982년에는 아무르 방언 학습서(저자 추네르 탁사미, 마리야 푸흐타, 알렉산드라 빙군)가 출판되었다. 이 학습서에 이어 다른 니브흐어 서적과 신문 "니브흐 디프"가 출판되었다.[8]

현재, 사할린 방언의 니브흐어 알파벳은 다음과 같다.[9]

А аБ бВ вГ гӶ ӷҒ ғӺ ӻД дЕ еЁ ёЖ жЗ з
И иЙ йК кКʼ кʼӃ ӄ (Қ қ)Ӄʼ ӄʼ (Қʼ қʼ)Л лМ мН нӇ ӈ (Ң ң)О оП п
Пʼ пʼР рР̌ р̌ (Р̆ р̆)С сТ тТʼ тʼУ уФ фХ хӼ ӽ (Ҳ ҳ)Ӿ ӿЦ ц
Ч чШ шЩ щъЫ ыьЭ эЮ юЯ я



일부 출판물에서는 'Чʼ чʼ' 문자를 사용하기도 한다.[10] 아무르 방언의 니브흐어 알파벳에는 'Ӷ ӷ' 문자가 포함되지 않는다.[11][12]

문자 'Ӷ ӷ Ӻ ӻ Қ қ Қʼ қʼ Ң ң Ҳ ҳ'의 갈고리 형태 변형은 'Просвещение'(계몽) 교과서 출판사의 자체적인 스타일 때문에 흔히 볼 수 있다. 이러한 문자 중 일부는 'Ӄ ӄ Ӄʼ ӄʼ Ӈ ӈ Ӽ ӽ'와 같이 중복된 유니코드 문자를 가지고 있다.[13] 'Ӷ ӷ' 및 'Ӻ ӻ' 문자는 이러한 중복 인코딩이 없다. 'ersh'의 분음 부호는 캐론 (caron), ''Р̌ р̌'', 또는 브레베 (breve), ''Р̆ р̆''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14] 'Ӷ ӷ Ӻ ӻ Қ қ Қʼ қʼ Ң ң Р̆ р̆ Ҳ ҳ' 문자의 틱(tick) 변형은 유일한 니브흐어 신문인 "니브흐 디프"에서 계속 사용되고 있다.[15]

5. 알파벳 대응표

[16][1]
현대
문자
1970년 사전
문자
1953년 교본
문자
라틴 문자
(1932–1937)
А аA a
Б бB в
В вV v
Г гG g
Ӷ ӷG g
Ғ ғɧ (근사치)Гʼ гʼꜦ ꜧ
Ӻ ӻԦ ԧГгʼ ггʼꜦ ꜧ
Д дD d
Е еE e
Ё ё
Ж ж
З зZ z
И иI i
Й йJ j
К кK k
Кʼ кʼКъ къKʻ kʻ
Ӄ ӄ / Қ қКк ккQ q
Ӄʼ ӄʼ / Қʼ қʼКкъ ккъQʻ qʻ
Л лL l
М мM m
Н нN n
Ӈ ӈ / Ң ңНʼ нʼŊ ŋ
О оO o
П пP p
Пʼ пʼПъ пъPʻ pʻ
Р рR r
Р̌ р̌ / Р̆ р̆Рш ршRʻ rʻ
С сS s
Т тT t
Тʼ тʼТъ тъTʻ tʻ
У уU u
Ф фF f
Х хH h
Ҳ ҳХх ххX x
Ӿ ӿҺ һХʼ хʼX x
Ц ц
Ч ч
Чʼ чʼC c
Ш ш
Щ щ
Ъ ъ
Ы ы
Ь ь
Э эE e
Ю ю
Я я


참조

[1] 서적 Языки и письменность народов Севера http://xn--90ax2c.xn[...] Гос. учебно-педагогическое изд-во
[2] 서적 Фонетика нивхского языка http://xn--90ax2c.xn[...] Учпедгиз
[3] 서적 Письменность народов Севера https://viewer.rusne[...]
[4] 간행물 Новые алфавиты для народов Севера http://fennougrica.k[...] 1937-05-25
[5] 서적 http://nauka1941-194[...] Изд-во АН СССР
[6] 문서 Букварь
[7] 서적 Academia
[8] 간행물 О сохранении языков коренных народов Севера Сахалина http://libsakh.ru/bo[...]
[9] 서적 Ниғвгун букварь
[10] 백과사전 Нивхский язык Большая россий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11] 문서 Электронное фонетическое справочное пособие по нивхскому языку Нивх диф. «Портал Хабаровск»
[12] 서적 Букварь: для подготовительного класса нивхских школ (амурский диалект) https://e.nlrs.ru/op[...] Просвещение
[13] 문서 Comments on CYRILLIC CHE WITH HOOK’s use in Khanty and Tofa (Tofalar) (L2/22-280) https://www.unicode.[...]
[14] 문서 Pʼмифускырң қʼатьгун правоғун Декларация Укрӻарң Қʼатьгун Организация (ниғвгун ӿара лоти ӿара туғскир̆ раюк)
[15] 뉴스 Нивх диф (Nivx Language) https://sakh.online/[...] newspaper 2023-05
[16] 웹사이트 Nivhi / Nivkh / Нивх (Ниғвӈ) Nivh (Niǧvŋ) http://www.eki.ee/kn[...] Eesti Keele Instituut / Institute of the Estonian Language 2012-09-28
[17] 문서 Языки и письменность народов Севера
[18] 문서 Ньиғвӈгун буква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