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나이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나이어는 중국, 러시아, 그리고 중국과 러시아의 국경 지역에 분포하는 퉁구스어족 언어이다. 나나이족은 자신들을 다양한 이름으로 부르며, 중국에서는 '허저어'로 불린다. 이 언어는 여러 방언을 가지고 있으며,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문자를 사용한다. 1930년대에는 라틴 문자가 사용되기도 했지만, 1937년 이후 키릴 문자가 표준으로 정착되었다. 나나이어는 주변 언어로부터 차용어를 받아들였으며, 우데게이어와 같은 주변 언어에 영향을 주기도 했다. 러시아 하바롭스크 지방의 나나이스키 군에서는 나나이어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중국에서는 허저족 어린이들을 위한 교과서가 출판되는 등 교육 활동이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나이어 - 나나이어 문자
    나나이어 문자는 나나이어 표기를 위해 키릴 문자, 라틴 문자 등을 기반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하고 Ӈ ӈ와 장음 부호를 사용하는 문자 체계이다.
  • 헤이룽장성의 문화 - 에벤크어
    에벤크어는 퉁구스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러시아, 중국, 몽골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고 음운론적 특징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뉘며 교착어적 특징을 가지며 러시아와 중국에서는 각각 키릴 문자와 몽골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 프리모르스키 변경주의 문화 - 우데게어
    우데게어는 러시아 하바롭스크 지방과 프리모르스키 지방에서 사용되는 퉁구스어족 언어로, 소련 정부의 강제 정착 정책과 러시아어 우세로 사용이 급감하여 멸종 위기에 놓여 있으며, 현재 러시아 정부의 소수 민족 언어 정책 변화로 존속에 위협을 받고 있다.
  • 프리모르스키 변경주의 문화 - 우수리스크 고려인문화센터
    우수리스크 고려인문화센터는 러시아 우수리스크에 위치하여 고려인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 및 알리고, 최재형 선생 옛집 보존, 안중근 의사 기념비 건립 등 독립운동 역사 기림과 더불어 한국어 강좌, 전통 무용단 공연, 신문 발행, 도서관 및 식당 운영 등으로 고려인 정체성 유지와 한국 문화 소개에 힘쓰는 문화 센터이다.
나나이어
언어 정보
이름나나이어
고유 명칭, (제공된 문서에 템플릿이 포함되어 있어, 템플릿을 제외하고 텍스트만 표시)
다른 이름허저어, 골드어
사용 국가러시아, 중국
사용 지역러시아 극동, 헤이룽장성
민족나나이족
사용자 수1,400명 (2010년 기준)
언어 계통알타이어족 (논쟁 중), 퉁구스어족, 남퉁구스어파, 나나이어군
방언아카니어, 비라르어, 사마기르어
문자키릴 문자(19세기–), 라틴 문자(1931년–1937년)
언어 부호 (ISO 639-3)gld
Glottolognana1257
언어 생존력심각하게 위기에 처한 언어
나나이어는 [[유네스코]] [[소멸 위기 언어]] 지도에서 심각하게 위기에 처한 언어로 분류됨
나나이어는 유네스코 소멸 위기 언어 지도에서 심각하게 위기에 처한 언어로 분류됨

2. 명칭

중국에서는 이 언어를 ''허저어'' (중국어: 赫哲语|허저어중국어)라고 부른다. 그곳의 나나이족은 스스로를 /na nio/, /na bəi/, /na nai/ (모두 "토착민"을 의미), /ki lən/, /χə ɖʐən/ 등으로 다양하게 부르는데, 마지막 표현이 중국의 민족명칭인 ''허저''(Hezhe)의 어원이다.[2]

3. 분포

나나이어는 러시아중국의 여러 지역에 분포한다. 러시아에서는 하바롭스크 지방, 프리모르스키 지방(연해주), 사할린주 등지에 분포하며, 특히 하바롭스크 지방의 나나이스키 군에서 가장 잘 보존되어 있다.[36] 이는 나나이어로 된 책과 교과서 출판에 힘써온 나나이어 화자 집단과, 나나이 군의 민족 자치적 상태 덕분이다. 중국에서는 헤이룽장성 등지에 분포한다.

스톨랴로프의 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 나나이족 인구는 11,883명이고 이 중 8,940명이 하바롭스크 지방의 교외 지역에서 거주한다. 그러나, 100-150명의 원어민만이 그 지역에 남아있다. 2002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는 나나이어를 사용한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12,194명 기록되었다. 이 중 49명만이 러시아어를 사용하지 못했다.[36]

2002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 따른 나나이어 사용 인구 분포[36]
지역인구 비율
하바롭스크 지방90%
프리모르스키 지방 (연해주)3.5%
사할린주1.3%
기타 지역0.5% 이하


3. 1. 방언

나나이어는 크게 아무르 방언, 쿠르-우르미 방언, 비킨 방언, 숭가리 방언 등으로 나뉜다.[34][35]

초기에는 지역적 경향에 따라 방언을 분류했으며, 립스코이-발론드는 숭가리, 상아무르, 우스리, 우르미, 쿠르, 중앙 아무르, 하 아무르의 7개 방언으로 구분했다.[8] 1920년대에는 나나이족의 정착 지역이 더 넓었기 때문에, 아직 분류되지 않은 많은 방언들이 사라져 이름이 남아있지 않다.

1940년대 말, 방언의 수가 증가하여 최대 10개까지 구별되었다. 수니크는 형태적, 음성적 특징을 강조하여 나나이어를 상 아무르 방언(사카치-알랸, 나이힌, 볼론, 즈후엔, 가린)과 중앙 아무르 방언(쿠르-우르미, 비킨, 아무르 우안, 숭가리, 우스리)의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9][10]

아브로린은 숭가리(상 아무르), (하)아무르, 쿠르-우르미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고, 이를 다시 여러 방언으로 세분했다. 수니크와 달리 볼론과 즈후엔을 나이힌 아래에, 쿠르-우르미를 별도의 그룹으로 분리했다.[11] 반면, 셈은 나나이어를 상, 중앙, 하 아무르 그룹으로 분류하고 총 10개의 방언(상 아무르: 아무르 우안, 숭가리, 비킨(우스리), 쿠르-우르미; 중앙 아무르: 사카치-알랸, 나이힌, 즈후엔; 하 아무르: 볼론, 에콘, 고린)으로 나누었다.

현대에는 인구 이동과 나나이어 교육 시스템(나이힌 방언 기반)으로 인해 방언 평준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4. 문자

나나이어로 된 첫 번째 책은 1880년대 러시아 정교회 선교사들에 의해 키릴 문자로 출판되었다.[37] 1920년대에서 30년대에 걸쳐 발렌틴 아브로린을 필두로 한 러시아 언어학자들에 의해 나나이어의 현대식 문자 형태가 완성되었다.

나나이 문어의 역사는 세 단계로 나뉜다.


  • 1930년대 초까지, 키릴 문자를 사용한 초기 시도
  • 1931–1937년 – 라틴 문자
  • 1937년 이후 – 현대 키릴 문자


1930년, 북방 민족 통일 알파벳을 북부 소수 민족을 위해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만들기로 결정했다. 1932년 1월, 나나이어를 포함한 이 알파벳들은 제1차 전러시아 북부 민족 언어 및 문자 개발 회의에서 공식적으로 승인되었다.[14]

style="font-family:Arial Unicode MS; font-size:1.4em; border-color:#000000; border-width:1px; border-style:solid; border-collapse:collapse; background-color:#F8F8EF"
A aB вꞒ єD dƷ ʒE eƏ əF f
G gH hI iJ jK kL lM mN n
Ņ ņŊ ŋO oP pR rS sT tU u
W wZ z



1936년 6월 5일, 소비에트 민족 회의 중앙 집행 위원회 간부회는 나나이어를 포함한 북부 민족의 문자를 키릴 문자로 번역하기로 결정했다.[14] 1937년 초, 나나이어 키릴 문자가 공식적으로 승인되었으며, 이 알파벳은 ''Щ щ''와 ''Ъ ъ''를 제외한 러시아어 알파벳의 모든 문자를 포함했다.[17] 1958년에는 나나이어 알파벳이 러시아어 알파벳의 33개 모든 문자와 문자 '''Ӈ ӈ'''을 포함하면서 개정되었다.[18]

현재 나나이어 알파벳은 1993년에 승인되었다.[19] 현대 나나이어 알파벳은 다음과 같다.

А аБ бВ вГ гД дЕ еЁ ёЖ ж
З зИ иЙ йК кЛ лМ мН нӇ ӈ
О оП пР рС сТ тУ уФ фХ х
Ц цЧ чШ шЩ щЪ ъЫ ыЬ ьЭ э
Ю юЯ я



중국에서는 1987년에 나나이어 학교를 위한 읽기 책이 중국어와 나나이어 텍스트가 병기되어 출판되었다. 나나이어 텍스트를 표기하기 위해 병음이 사용되었다.[20]

키릴 문자라틴 문자키릴 문자라틴 문자키릴 문자라틴 문자키릴 문자라틴 문자키릴 문자라틴 문자
А аA aЖ ж-Н нN nУ уU uЪ ъ-
Б бВ вЗ зZ zӇ ӈŊ ŋФ фF fЫ ы
В вW wИ иI iО оO oХ хH hЬ ь
Г гG gЙ йJ jП пP pЦ цЭ эƏ ə
Д дD d, Ʒ ʒК кK kР рR rЧ чЄ єЮ ю
Е еЛ лL lС сS sШ шЯ я
Ё ёМ мM mТ тT tЩ щ


5. 음운 체계

나나이어의 음운 체계는 주변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 톨스카야는 바이킨 방언에서 우데게어의 영향을 받은 몇 가지 특징을 지적했는데, 여기에는 이중 모음의 단모음화, 비음 모음의 비음 제거, 축약된 종성 모음의 삭제, 자음 종결 단어를 방지하는 삽입 모음, 모음 사이 의 삭제가 포함된다.[26]

나나이어는 모음, 자음, 음운 규칙, 모음 조화 등의 음운 체계를 가지고 있다.

자음 음소는 다음과 같이 변할 수 있다.[40][25]


  • 는 두 모음 사이에서 각각 이 된다.
  • 는 다음 음절의 앞에서 음절의 마지막 위치에서 가 된다.

5. 1. 모음

나나이어에는 /i, u, y, o, œ, a, ə/|/이, 우, 위, 오, 외, 아, 어/ru로 모두 일곱 개의 모음 음소가 있다.[38] 이중모음은 /ai, ao, əi, əo, ia, iə, io, iu, ua, ui, uo, oi, ya, yə/|/아이, 아오, 어이, 어오, 이아, 이어, 이오, 이우, 우아, 우이, 우오, 오이, 야, 여/ru로 열두 개이고, 삼중모음은 /iao, uai/|/이아오, 우아이/ru로 두 개가 허용된다. 모음은 주위의 자음에 따라 변한다.[38]

  • i|이ru는 dz, ts, s|dz, ts, sru 앞에서 i̠|이ru가 된다.
  • /i/|/이/ru는 /ɖʐ, ʈʂ, ʂ/|/ɖʐ, ʈʂ, ʂ/ru 앞에서 ɪ|ɪru가 된다.
  • /i/|/이/ru는 /m, n, l, d/|/m, n, l, d/ru 앞에서 i̟|이ru가 된다.
  • /i/|/이/ru가 음절을 시작하고 /dz, s, tɕ, ɕ, l, m, ŋ/|/dz, s, tɕ, ɕ, l, m, ŋ/ru에 앞설 때 성문 파열음 ʔ|ʔru가 들어간다.
  • /ɘ/|/어/ru는 어두에 오지 않는 음절에서 ɯ|으ru가 될 수 있다.
  • 마지막 음절의 모음은 /n/|/ㄴ/ru를 선행할 때 비음화한다.


아래의 표는 나나이어의 모음조화 규칙을 요약한 것이다.

'''나나이어의 모음 조화'''[39]
분류소분류음소비고
양모음Group 1a|아ru
Group 2o, œ|오, 외rui, u, y|이, 우, 위ru 앞에서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o|오ru는 œ|외ru 앞에서 나타나지 않는다.
음모음Group 3ə|어rua, o|아, 오ru 앞에서 중성모음이 된다.
중성모음Group 4i|이ru
Group 5u, y|우, 위ruy|위ru는 두 번 연속으로 나오지 않는다.


5. 2. 자음

나나이어에는 28개의 자음이 있다.[40][25]

 순음치음 /
치경음
권설음(치경구개음)
경구개음
연구개음구개수음
파열음style="border-right-width: 0;" |style="border-left-width: 0;" |style="border-right-width: 0;" |style="border-left-width: 0;" |    style="border-right-width: 0;" |style="border-left-width: 0;" |style="border-right-width: 0;" |style="border-left-width: 0;" |
파찰음  style="border-right-width: 0;" |style="border-left-width: 0;" |style="border-right-width: 0;" |style="border-left-width: 0;" |style="border-right-width: 0;" |style="border-left-width: 0;" |    
마찰음style="border-right-width: 0;" | style="border-right-width: 0;" | style="border-right-width: 0;" |style="border-left-width: 0;" |style="border-right-width: 0;" | style="border-right-width: 0;" | style="border-right-width: 0;" | 
비음 style="border-left-width: 0;" | style="border-left-width: 0;" |     style="border-left-width: 0;" |  
접근음   style="border-left-width: 0;" |   style="border-left-width: 0;" | style="border-left-width: 0;" |  
R음   style="border-left-width: 0;" |        



자음 음소는 다음과 같이 변할 수 있다.[40][25]


  • 는 두 모음 사이에서 각각 이 된다.
  • 는 다음 음절의 앞에서 음절의 마지막 위치에서 가 된다.

5. 3. 모음 조화

나나이어는 양모음, 음모음, 중성모음으로 구분되는 모음 조화 규칙을 가지고 있다.[39][24]

'''나나이어의 모음 조화'''
분류소분류음소비고
양모음Group 1
Group 2앞에서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는 앞에서 나타나지 않는다.
음모음Group 3앞에서 중성모음이 된다.
중성모음Group 4
Group 5는 두 번 연속으로 나오지 않는다.


6. 어휘

나나이어는 중국어, 러시아어, 몽골어, 튀르크어족 언어 등에서 차용어를 받아들였다.[42][27] 예를 들어, 중국어 '日曆'(병음: ''rìlì'')에서 유래한 日曆|rìlì중국어 (달력),[42][27] 러시아어 'помидор'에서 유래한 [pomidor](토마토)와 같은 단어가 있다.[42][27] [pomidor](토마토)는 러시아어에서 직접 차용되지 않고 다른 인접 언어를 거쳐 전파되었을 가능성도 있다.[42][27]

몽골어튀르크어족 언어들과 공유하는 단어도 있는데, 이는 차용어로 추정되지만, 알타이어족 가설을 지지하는 이들은 이를 언어학적 혈연 관계의 증거로 여기기도 한다.[43][28]

나나이어몽골어위구르어/카자흐어의미
salnansahɘlmnsaqalug / saqalkk수염
tœqonantahiamntoχoug / tawuqkk
χoninnanχœŋmnqoiug / qoikk



나나이어는 우데게이어와 같은 주변 언어에 영향을 주기도 했다.[44][29] 비킨 지역에서는 두 언어 사이에 상당한 수준의 상호 동화가 관찰되었다. 우데게이어는 고유 어휘 대신 나나이어에서 차용한 단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나나이어우데게이어 (원래 어휘)의미
banixananusasaude고맙다
dœbonaneteteude
daŋsanan(없음)책 (중국어 單子 (병음: dānzi], "목록"에서 유래)


7. 교육

러시아에서는 나나이어가 중등학교, 주로 하바롭스크 지방의 나나이 마을에서 가르치고 있다.

중국에서는 나나이족(赫哲族, 허저족)이 글을 쓸 때 중국어를 사용한다. 화자 수는 수십 년 동안 지속적으로 감소해 왔으며, 1980년대에는 언어 사용이 특수한 상황과 가족 간의 의사소통으로 제한되었다.[12] 이러한 감소 추세를 되돌리기 위해 2005년에는 허저족 어린이들을 위한 허저어 교과서가 출판되었다(병음 표기).[13]

러시아에서는 하바롭스크 지방의 나나이스키 군에서 나나이어가 가장 잘 보존되어 있다고 여겨진다. 이는 나나이어 교과서나 서적 출판에 힘쓴 나나이어 화자 집단과 나나이 군의 민족 자치에 의한 것이다. 스트랴로프의 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 나나이족 인구는 11,883명이며, 이 중 8,940명은 하바롭스크 지방 교외에 거주한다. 그러나 100~150명의 모어 화자만이 그 지역에 남아 있다. 2002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서는 나나이어를 사용한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12,194명으로 기록되었으며, 이 중 러시아어를 사용하지 않는 화자는 49명뿐이었다. 나나이어 사용자의 지역별 비율은 다음과 같다.

지역비율
하바롭스크 지방90%
연해주3.5%
사할린주1.3%
기타 지역0.5% 이하


8. 역사적 사실

신당서 발해전에 따르면 발해어에서는 왕을 "가독부(可毒夫)", "성주(聖主)", "기하(基下)"라고 불렀으며, 왕의 명령을 "교(教)"라고 불렀다. "가독부(可毒夫)"는 책부원귀 권962에서는 "가독대(可毒大)", 五代會要|오대회요중국어 권30에서는 "가독실(可毒失)"로 기록되어 있다.[30]

에르네스트 블라디미로비치 샤브쿠노프(Ernst Vladimirovich Shavkunov, Эрнст Владимирович Шавкуновru)의 연구에 따르면, 발해어에서 왕을 뜻하는 "가독부(可毒夫)"는 아마도 퉁구스계 만주어의 "카다라"(만주어: , kadala-, 카다라: 관리하다의 뜻)나 퉁구스계 나나이어의 "카이타이(凱泰)"와 관련이 있으며, 그 본래 의미는 연장자의 관리자를 의미할 것이라고 한다. 또한, 발해인과 말갈의 이름 뒤에 "몽(蒙)"자가 붙는 경우가 있는데(오차지몽(烏借芝蒙), 기진몽(己珎蒙), 모사몽(慕思蒙) 등), 이는 말갈어의 중요한 교착 어미 중 하나를 나타내며, 퉁구스계는 씨족을 "무쿤(만주어: , mukūn)", "모커(謀克)"라고 부르는데, "몽(蒙)"의 음이 "무(木)"나 "모(謀)"의 음과 가깝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 "몽(蒙)"의 음은 그 사람이 속한 씨족을 나타내는 음절일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33]

참조

[1] 간행물 Nanai http://www.ethnologu[...] Lewis 2009
[2] 문서 An 1986, p1
[3] 문서 Sem 1976, p24
[4] 문서 Stolyarov 1994
[5] 간행물 Table 4.3 http://www.perepis20[...] Russian Census (2002)
[6] 간행물 Ministry of Trade and Economic Development 2002
[7] 문서 An 1986, pp. 1–2
[8] 문서 Sem 1976: 21. Initially published in Дальневосточной энцинклопедии, 1927.
[9] 문서 Sunik 1962, p23
[10] 문서 «нанайский язык образует два наречия, распадающиеся на ряд говоров»
[11] 문서 Avrovin 1955, pp. 7–8
[12] 문서 He and Wu, 2005
[13] 문서 Li, 2005
[14] 뉴스 История создания письменностей малых народов советского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АН СССР. Дальневост. науч. центр 1971
[15] 서적 Sikun pokto http://dspace.lu.lv/[...] Uєpedgiz 1932
[16] 서적 Nanaj həsəwəni taceoceori daŋsa https://dspace.lu.lv[...] Ucpedgiz 1934
[17] 간행물 Революция и национальности 1937
[18] 웹사이트 Изучение фонетики языков малочисленных народов Севера России и проблемы развития их письменности (обзор) http://altaica.ru/LI[...] 2000
[19] 서적 Письменные языки мира: Язык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Academia 2003
[20] 서적 Национально-языковое строительство в КНР (80-е гг.) Наука 1992
[21] 웹사이트 Gospel of Luke in Nanai Language, 2002 http://servus.christ[...] 2006-12-20
[22] 간행물 Bible Translation Institute: Gospel of Luke translation into Nanai language (different versions) https://ibt.org.ru/r[...]
[23] 문서 An 1986, p8-10
[24] 문서 An 1986, p13-15
[25] 문서 An 1986, p11-13
[26] 문서 Tolskaya 2001, p24
[27] 문서 An, p7-11
[28] 문서 An, p17
[29] 간행물 Udihe http://www.ethnologu[...] Lewis 2009
[30] 뉴스 Original meaning of Dan gur in Khitai scripts: with a discussion of state name of the Dong Dan Guo http://www.ritsumei.[...] 立命館大学人文学会 2008-12
[31] 위키문헌 新唐書/卷219#渤海
[32] 서적 東アジア民族史 2-正史東夷伝 平凡社 1976-01
[33] 서적 渤海史 東方書店 1996-01
[34] 문서 Sem 1976, p24
[35] 문서 Stolyarov 1994
[36] 간행물 2002년 러시아 인구조사 http://www.perepis20[...]
[37] 웹인용 Gospel of Luke in Nanai Language, 2002 https://web.archive.[...] 2011-02-05
[38] 서적 An 1986
[39] 서적 An 1986
[40] 서적 An 1986
[41] 서적 Tolskaya 2001
[42] 서적 An
[43] 서적 An
[44] 웹사이트 Udihe http://www.ethnolog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