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콜라옙스크나아무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콜라옙스크나아무레는 아무르강 하구에 위치한 러시아의 도시로, 1850년 러시아에 의해 건설되었다. 19세기에는 극동 지역의 주요 항구로 발전했으나, 블라디보스토크로 해군 기지가 이전되면서 쇠퇴했다. 1920년에는 니항 사건으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고, 이후 니콜라예프스크나아무레로 개칭되었다. 현재는 어업과 수산물 가공이 주요 산업이며, 아무르강 항구와 니콜라옙스크나아무르 공항을 통해 교통이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니콜라옙스크나아무레 - 니콜라옙스크 사건
1920년 러시아 내전 중 니콜라옙스크에서 적군 빨치산이 일본군과 거류민을 공격하여 대규모 학살과 파괴가 발생했으며, 이는 일본의 시베리아 출병과 북사할린 점령의 구실이 되었고, 사건의 진상과 책임 소재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이 있다. - 하바롭스크 변경주의 도시 - 콤소몰스크나아무레
콤소몰스크나아무레는 하바롭스크 지방에 위치한 도시로, 금속, 기계, 석유, 조선, 항공기 제조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한 극동 지역의 주요 공업 중심지이며, 특히 수호이 전투기를 생산하는 핵심 군수 기지인 유리 가가린 기념 콤소몰스크나아무레 항공기 제조 공장이 위치해 있다. - 하바롭스크 변경주의 도시 - 비킨
비킨은 1885년 돈강 유역에 설립된 러시아 하바롭스크 지방의 도시로, 습윤 대륙성 기후를 띄며 지구온난화의 영향을 받고 있는 비킨스키 자치구의 행정 중심지이다. - 니콜라이 1세 - 데카브리스트의 난
데카브리스트의 난은 1825년 러시아 제국에서 자유주의 사상을 추구하며 입헌 군주제와 농노제 폐지를 요구한 군 장교들이 알렉산드르 1세 사망 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일으킨 봉기로, 실패로 끝났지만 러시아 자유주의 운동의 시작으로 평가받는다. - 니콜라이 1세 - 크림 전쟁
크림 전쟁은 1853년부터 1856년까지 러시아와 오스만 제국, 프랑스, 영국, 사르데냐 연합군 간에 벌어진 전쟁으로, 오스만 제국 쇠퇴, 러시아 남하 정책, 종교적 갈등이 원인이 되었으며, 1856년 파리 조약으로 러시아의 흑해 해군력 제한 등의 결과를 낳고 근대 간호 발전 등에 영향을 주었다.
니콜라옙스크나아무레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 | |
공식 명칭 | 니콜라옙스크나아무레 |
러시아어 명칭 | Никола́евск-на-Аму́ре |
만주어/시베어 명칭 | ᠮᡳᠶᠣᠣ ᡤᠠᡧᠠᠨ |
위치 | 하바롭스크 지방 |
도시 유형 | 도시 |
행정 구역 | |
국가 | 러시아 |
연방 주체 | 하바롭스크 지방 |
도시 관할 구역 | 하바롭스크 지방 관할 도시 니콜라옙스크나아무레 |
자치구 | 니콜라옙스키 군 |
도시 정착지 | 니콜라옙스크나아무레 도시 정착지 |
군 행정 중심지 | 니콜라옙스키 군 |
역사 | |
건설 | 1850년 8월 13일 |
도시 지위 획득 | 1856년 |
이전 명칭 | 묘가 (廟街) |
지리 | |
좌표 | 53°08′N 140°44′E |
인구 | |
2010년 인구 조사 | 22,752명 |
2021년 인구 | 17,668명 |
2002년 인구 조사 | 28,492명 |
1989년 인구 조사 | 36,296명 |
정치 | |
수장 | 안톤 레오노프 |
기타 정보 | |
시간대 | 블라디보스토크 시간대 (UTC+10) |
우편 번호 | 682460 |
지역 번호 | +7 42135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아무르강 유역은 여진족 등이 살았던 만주의 일부였다. 원나라 시대에 정복되어 요양행성에 속했다. 명대에는 인근의 누르간 (현 틸)에 도지휘사사가 설치되었다. 청대에도 아이군 조약으로 할양되기 전까지 청나라의 영토였다. 이 마을은 한때 중국어로 "묘가(廟街)"(미아오지에, Miàojiē)라고 불렸으며, 사할린 등과의 모피 무역으로 번성했다.
일본의 탐험가 마미야 린조는 1809년 사할린 및 아무르강 하류 탐험 시 『동달지방기행』이라는 기록을 남겼는데, 이 안에서 "후요리"라고 그가 부르는 마을에 대해 언급하고 있으며, 이는 현재 니콜라예프스크나아무레와 일치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는 당시 청나라 흑룡강 장군의 관할 하에 있던 아무르강 좌안을 탐험했고, 그 안에서 몇 개의 마을을 방문했다.
19세기 중반, 러시아인들은 청나라 영토였던 아무르 유역이 거의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고 아무르강을 거슬러 올라가 조사를 시작했다. 1850년 8월 13일, 겐나디 네벨스코이 등에 의해 니콜라예프스크 초소가 설치되었다. 이 주재소는 1856년 연해주가 설치되면서 니콜라예프스크로 개칭되었다. 청나라가 애로 전쟁에서 패배한 후, 외만주 일대는 1858년 아이군 조약과 1860년 베이징 조약으로 러시아 제국에 할양되었고, 이 지역도 러시아의 일부가 되었다.
1865년, 이 마을은 연해주의 주도가 되어 주지사의 임지로 지정되었고, 러시아 극동에서 최초의 신문이 발행되었다. 이 신문은 1920년까지 이어졌지만, 적군 파르티잔에 의해 폐간되었다. 이 지역에서는 모피 등의 교역이 활발했고, 외국인 무역상, 특히 미국 상인들이 많이 정착했다.
thumb
1890년대에는 모피 무역과 금광, 어업이 발전하면서 마을은 다시 번영을 되찾았다. 시베리아 횡단 철도가 없던 당시, 니콜라예프스크는 하천 교통을 통해 시베리아 내륙으로 통행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었다.
1914년, 아무르 하류 지역은 연해주에서 분할되어 사할린주가 되었고, 니콜라예프스크는 주의 행정 중심이 되었다. 이 당시 영주 인구는 12,000명에 달했고, 학교, 도서관, 시민관, 공원 등 공공 시설도 잘 갖춰져 있었다. 영화관 2곳과 전등, 전화도 있었다.
그러나 러시아 혁명 이후 러시아 내전기인 1920년 봄부터 여름에 걸쳐 니항 사건이 일어났다. 적군 파르티잔에 의해 점령된 마을에서는 6,000명의 주민이 학살되었고, 건물은 모두 파괴되어 폐허가 되었다. 희생자 중에는 러시아인뿐만 아니라 일본인 거류민과 일본군 수비대 약 700명 이상이 포함되어 국제적인 비판을 받았다.
니콜라예프스크는 1926년 니콜라예프스크나아무레로 개칭되었다. 현재도 아무르강의 주요 항구 중 하나이며, 어업과 목재 수출 등을 하고 있다.
2. 1. 초기 역사와 러시아의 진출
후기 중세 시대에 아무르강 하류에 거주하던 니브흐족, 오로치족, 에벤키족 등은 중국에서 '야인 여진족'으로 알려졌다. 원나라는 이 지역을 일본 공격이나 사할린의 아이누족 방어 기지로 삼기 위해 원정대를 파견했다. 원사에 따르면 1264년 니브흐족은 몽골의 주권을 인정했고, 1263년에는 현재의 니콜라옙스크나아무르에서 상류에 위치한 티르 인근에 '동정원수 사령부'를 설치했다. 거의 같은 시기에 티르 바위에 사당이 세워졌다.[9]1411년부터 1433년까지 명나라의 환관 이시하는 해서 여진 출신으로 쑹화강과 아무르강 유역의 '여진' 부족들의 충성을 얻기 위해 네 차례 대규모 사절단을 이끌었다. 이 기간 동안 티르에 영녕사가 건설되었고 비문이 새겨진 비석이 세워졌다.[9]

러시아 정착지는 1850년 8월 13일 겐나디 네벨스코이에 의해 니콜라옙스키 포스트로 설립되었으며, 니콜라이 1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0] 이 정착지는 곧 러시아 제국 태평양 연안의 주요 경제 중심지 중 하나가 되었다. 1856년 프리모르스키주가 설립되면서 도시 지위를 부여받고 니콜라옙스크나아무르로 개칭되었다.
2. 2. 개항과 발전
1850년 8월 13일 겐나디 네벨스코이가 니콜라옙스키 포스트를 설립했으며, 차르 니콜라이 1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0] 이 정착지는 곧 러시아 제국 태평양 연안의 주요 경제 중심지 중 하나가 되었다. 1854년 페트로파블롭스크 포위전 이후 1855년에는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를 대체하여 러시아의 주요 태평양 항구가 되었다. 1856년 프리모르스키주가 설립되면서 도시 지위를 부여받고 니콜라옙스크나아무르로 개칭되었다. 바실리 자보이코 제독은 니콜라옙스크나아무르에 해군 기지 건설을 감독했다.
이 도시는 중요한 상업 항구로 성장했지만, 아무르강 하구의 모래톱으로 인한 항해의 어려움과 유빙으로 인해 매년 5개월 동안 항구를 사용할 수 없게 되면서, 1870년대 초 러시아의 주요 태평양 해운 활동은 더 나은 입지를 가진 블라디보스토크로 이전되었다. 1880년 총독이 하바롭스크로 이전할 때까지 이 지역의 행정 중심지로 남아 있었다. 안톤 체호프는 1890년 사할린으로 가는 길에 이 도시를 방문하여 급격한 인구 감소를 기록했지만, 1890년대 후반 금광 발견과 연어 어업의 설립으로 이러한 추세는 다소 둔화되었다.
1861년(분큐 원년), 하코다테 봉행은 다케다 히자부로를 항해 책임자로 하여 교역선을 마련하여 니콜라예프스크로 파견했다.[19] 시오야키 제도의 아와시마에 전해지던 『흑룡강지』에 따르면, 지배 조사역 미즈노 쇼타, 제술 조사소 교수 다케다 히자부로, 의사 후카세 요하루, 무역상 홍옥청병위, 러시아어 통역 등 41명이 가메다마루에 승선하여, 하코다테에서 35일간의 항해로 니콜라예프스크에 도착하여 46일간 체류했다. 일행은 러시아 진대부의 성대한 환영을 받았고, 군사 시설과 요새를 견학했다.[20]
1869년(메이지 2년), 일본 공무 변리직(총영사)에 임명된 프랑스인 몽블랑 백작이 사할린 영유권 문제와 관련하여 니콜라예프스크가 러시아 측의 사할린 개척 기지가 되고 있다는 것을 일본 외무성에 보고했다. 무기 제조 공장이 있으며, 유럽에서 운반된 무기도 여기에 비축되어 있다고 하였다.[22]
1878년, 해군 시설이 건설 중인 부동항 블라디보스토크로 이전되었고, 시베리아 함대가 모항을 옮기면서 니콜라예프스크는 쇠퇴했다. 1890년에 니콜라예프스크를 방문한 안톤 체호프는 숙소를 찾을 수도 없었다고 한다.[18]
thumb
그러나 1890년대에는 모피 무역과 금광, 그리고 어업이 발전하여 마을은 번영을 되찾았다. 시베리아 횡단 철도가 없던 당시, 니콜라예프스크는 하천 교통으로 시베리아 내륙으로 통행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었다.[18]
니콜라예프스크에서 사업으로서의 어업은 1892년 하코다테 거주 육군 예비 중위 호리 나오요시가 시작했다. 1886년에 니콜라예프스크에 들어간 일본인 시마다 겐타로는 1896년에 시마다 상회를 설립하여 크게 발전시켰다.[26] 1895년에는 아마쿠사의 두 부부가 각각 젊은 여성들을 데리고 니콜라예프스크로 건너가 유흥업을 시작했다.
1914년, 아무르 하류 지역은 연해주에서 분할되어 사할린주가 되었고, 니콜라예프스크는 주의 행정 중심이 되었다.
2. 3. 쇠퇴와 니콜라옙스크 사건
1917년부터 1922년까지 이어진 러시아 내전 동안, 니콜라옙스크나아무레의 인구는 15,000명에서 2,000명으로 급감했다. 이는 지역 소비에트 파르티잔 지도자였던 야코프 트랴피친이 도시 전체를 불태우고, 소수의 일본인과 대다수의 러시아인을 학살했기 때문이다.[18] 트랴피친은 나중에 자신이 협력해야 할 볼셰비키에 의해 처형되었다.이 사건은 니항 사건으로 불리며, 1920년 봄부터 여름에 걸쳐 일어났다. 적군 파르티잔에 의해 점령된 마을에서는 6,000명의 주민이 학살되었고, 건물은 모두 파괴되어 폐허가 되었다.[18] 희생자 중에는 러시아인뿐만 아니라 일본인 거류민과 일본군 수비대 약 700명 이상이 포함되어 국제적인 비판을 받았다.[18] 이 사건에 대응하여 북사할린은 1920년에서 1925년 사이에 일본에 의해 잠시 점령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도시는 니코|尼港町|Nikō-chō일본어라고 불렸다.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 극동의 다른 많은 지역과 마찬가지로 니콜라옙스크나아무레도 인구 감소를 겪었다. 1989년 인구 조사에서는 36,296명이었던 인구가 2010년에는 22,772명으로 감소했다.[5]
2. 4. 소련 시대와 현재
1917년~1922년 러시아 내전 동안, 니콜라옙스크의 인구는 지역 소비에트 파르티잔 지도자인 야코프 트랴피친의 행동으로 인해 15,000명에서 2,000명으로 급감했다. 트랴피친은 도시 전체를 불태우고 소수의 일본인과 대다수의 러시아인을 학살했다.[9] 이 사건에 대응하여 1920년부터 1925년까지 북사할린은 일본에 의해 잠시 점령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도시는 니코|Nikō-chō일본어라고 불렸다.1920년 봄부터 여름에 걸쳐 일어난 니항 사건으로, 적군 파르티잔에 의해 점령된 마을에서는 6,000명의 주민이 학살되었고, 건물은 모두 파괴되어 폐허가 되었다.[18] 희생자 중에는 러시아인뿐만 아니라 일본인 거류민과 일본군 수비대 약 700명 이상이 포함되어 국제적인 비판을 받았다.[18]
1940년경 이 도시에는 굴라크 시스템의 수용소가 있었다.[11]
니콜라옙스크는 1926년에 니콜라예프스크나아무레로 개칭했다. 현재도 아무르강의 주요 항구 중 하나이며, 어업과 목재 수출 등을 하고 있다. 소련 붕괴 이후, 다른 러시아 극동 지역과 마찬가지로 인구가 감소하여, 1989년 인구 조사에서 36,296명이었던 인구가 2010년에는 22,772명으로 감소했다.[5]
3. 지리
이 도시는 아무르강 왼쪽 강둑, 아무르강이 아무르 하구로 흘러 들어가는 지점에서 80km 떨어진 곳에 있다. 하바롭스크에서 북쪽으로 977km, 콤소몰스크나아무레 기차역에서 582km 떨어져 있다. 이곳은 타타르 해협과 가장 가까운 주요 정착지이며, 타타르 해협은 본토와 사할린을 구분한다.
습윤 대륙성 기후(쾨펜 ''Dfb'')를 보이며, 거의 아한대 기후(''Dfc'')에 가까울 정도로 춥다. 알류샨 저기압의 영향으로 시베리아 대부분 지역보다 겨울철 강수량이 적지 않다. 근해에 위치한 지리적 특성으로 내부 시베리아보다 겨울철 기온이 5°C 정도 완화되지만, 여름철은 특히 5월과 6월에 눈에 띄게 서늘하다. 오야시오 해류의 안개가 사할린보다 덜 발생하여 일조 시간은 더 길다.[12][13][14]
3. 1. 위치
이 도시는 아무르강 왼쪽 강둑, 아무르강이 아무르 하구로 흘러 들어가는 지점에서 80km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하바롭스크에서 북쪽으로 977km, 콤소몰스크나아무레 기차역에서 582km 떨어져 있다. 이곳은 타타르 해협과 가장 가까운 주요 정착지이며, 타타르 해협은 본토와 사할린을 구분한다.3. 2. 기후
니콜라옙스크나아무르는 습윤 대륙성 기후(쾨펜 ''Dfb'')를 보이며, 거의 아한대 기후(''Dfc'')에 가까울 정도로 춥다. 알류샨 저기압의 영향권에 있기 때문에 시베리아 대부분 지역보다 겨울철에 강수량이 적지 않다. 근해에 위치한 지리적 특성은 내부 시베리아에 비해 겨울철 기온을 5°C 정도만 완화시키지만, 여름철은 특히 5월과 6월에 눈에 띄게 서늘하게 만든다. 하지만 오야시오 해류의 안개가 사할린 자체보다 덜 발생하며, 따라서 일조 시간은 오히려 더 길다.[33][34]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냉대 습윤 기후로 구분된다. 연중 강수가 있으며, 여름 말부터 가을에 걸쳐 강수량이 많아진다. 10월 중순부터 4월까지는 눈이 내리고 매우 춥다. 여름에는 일조량이 풍부하며, 최고 기온이 20℃ 이상으로 올라가는 날도 많다.[12][13][14]
4. 경제
어업, 수산물 가공, 선박 관리, 약간의 농업이 주된 경제 활동이다. 어업과 어류 가공은 이 도시의 주요 산업이며, 주변 지역에서는 선박 정비와 일부 농업 생산도 이루어지고 있다.
5. 교통
니콜라옙스크나아무르는 육상 교통 연결망이 없다. 시내와 외부를 오가는 교통은 아무르강 항구나 니콜라옙스크나아무르 공항을 이용한다.
5. 1. 항공
니콜라옙스크나아무르는 육상 교통 연결망이 없다. 시내와 외부를 오가는 교통은 아무르강 항구를 통하거나, 소규모 공항인 니콜라옙스크나아무르 공항을 이용하며, 이 공항은 니콜라옙스크나아무레 항공의 본거지이다.5. 2. 수운
하천항인 니콜라옙스크나아무레 해상 무역항(николáевский-на-Амýре морской торговый порт|니콜라옙스크나아무레 해상 무역항ru)이 있으며, 여름철에는 아무르강 상류의 하바롭스크, 콤소몰스크나아무레, 블라고베셴스크로 가는 정기 항로가 있다.[1]5. 3. 도로
콤소몰스크나아무레 - 셀레히노 - 니콜라옙스크나아무레 도로는 일부 구간은 포장되어 있지만, 대부분은 비포장 도로이다.6. 행정 구역
행정 구역 체계에서 니콜라옙스크나아무르는 하바롭스크 지방 니콜라옙스크구의 행정 중심지이다.[15] 니콜라옙스크구에 속하지는 않지만, 별도의 '지방 중요 도시 니콜라옙스크나아무레'로 통합되어 구와 동등한 지위를 갖는다.[1] 지방 자치체로서, 니콜라옙스크나아무르는 니콜라옙스크 자치구 내 '니콜라옙스크나아무레 도시 정착촌'으로 통합되어 있다.[3]
참조
[1]
문서
Resolution #143-pr, Article 3
[2]
OKATO
[3]
법률
Law #191
[4]
법률
Law #264
[5]
인구_참조
[6]
URL
https://rosstat.gov.[...]
[7]
논문
"Тырские стелы и храм «Юн Нин» в свете китайско-чжурчжэньских отношений XIV-XV вв."
http://www.ethnonet.[...]
2008-11-14
[8]
웹사이트
Объекты туризма — Археологические. Тырские храмы
http://www.adm.khv.r[...]
[9]
웹사이트
Adventure of Mamiya Rinzo
http://www.karafuto.[...]
[10]
서적
Siberia: Worlds Apart
https://books.google[...]
Westview Press
1998-06-04
[11]
웹사이트
Nikolayevsky-ITL on the website of Memorial (German)
http://www.gulag.mem[...]
2009-01-05
[12]
웹사이트
Климат Николаевска-на-Амуре
http://www.pogodaikl[...]
Погода и климат
2019-12-03
[13]
웹사이트
Nikolaevsk-on-Amur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9-12-03
[14]
웹사이트
Climatologie de l'année à Nikolaevsk-Na-Amure
https://www.infoclim[...]
Infoclimat
2023-10-11
[15]
OKATO
[16]
웹사이트
CITY POPULATION
https://www.citypopu[...]
2023-05-24
[17]
지도
ロシア語の地図
[18]
서적
ニコラエフスクの破壊 米訳者前文
ユーラシア貨幣歴史研究所
[19]
서적
武田斐三郎伝
北海道経済史研究所発行
[20]
웹사이트
ようこそ粟島へ 粟島歴史発見 粟島叢書 2.黒竜江誌
http://island.co-sit[...]
[21]
보고서
ロシア極東アルヒーフ文書に見られる日本および日本人 (ロシアの中のアジア/アジアの中のロシア(3)) -- (開かれたアルヒーフとアルヒーフから甦る世界) 「スラブ・ユーラシア学の構築」研究報告集 (17)
北海道大学スラブ研究センター
[22]
공문서
国立公文書館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https://www.jacar.go[...]
[23]
서적
『체ー호프전집12 사할린 섬』
筑摩書房
[24]
서적
環遊日記 上
[25]
서적
調査彙纂 第3巻 第2号
北海道拓殖銀行
[26]
뉴스
스라브연구센터 뉴스 계간 2007년 가을호 No.111 도서관 소식
http://src-h.slav.ho[...]
北海道大学
[27]
서적
尼港事件秘録 アムールのささやき
千軒社
[28]
뉴스
尼港の大惨事 (上・下)
http://shinbunbunko.[...]
時事新報
1920-04-20
[29]
웹사이트
Климат Николаевска-на-Амуре
http://pogoda.ru.net[...]
Погода и климат
2011-09-17
[30]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Nikolayevsk-on-Amur
http://www.hko.gov.h[...]
Hong Kong SAR Government
2011-09-17
[31]
서평
The destruction of Nikolayevks-on-Amur: An episode in the Russian civil war in the Far East
http://journals.camb[...]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논문
The Free City (Amur River – Hukgang) Incident The left-right confrontation in Korea – Its origin
http://www.asianrese[...]
Association For Asian Research
2003-11-13
[33]
웹인용
Климат Николаевска-на-Амуре
http://www.pogodaikl[...]
Погода и климат
2019-12-03
[34]
웹인용
Nikolaevsk-on-Amur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9-1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