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고베르투스 1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고베르투스 1세는 클로타르 2세의 장남으로, 622년 아우스트라시아의 왕으로 임명되었다. 629년 아버지의 사후에는 네우스트리아와 부르군디 왕국을 상속받아 프랑크 왕국의 유일한 왕이 되었으며, 파리를 수도로 삼았다. 그는 생드니 대성당 건설을 지원하고, 알테스 슐로스를 건설하는 등 종교와 건축 분야에 기여했다. 다고베르투스는 슬라브족과의 전쟁에서 패배했지만, 아들 시게베르트 3세를 아우스트라시아의 왕으로 임명하여 왕국을 안정시키려 했다. 639년 사망 이후, 그의 아들 클로비스 2세가 네우스트리아와 부르군트의 왕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크인의 왕 - 위그 카페
    위그 카페는 987년부터 996년까지 프랑크 왕국의 왕으로 재위하며 카페 왕조의 시조가 되었고, 왕위 계승을 위해 아들 로베르 2세를 공동 왕으로 임명하여 카페 왕조 세습의 기반을 다졌다.
  • 프랑크인의 왕 - 루도비쿠스 2세 이우니오르
    루도비쿠스 2세 이우니오르는 로타르 1세의 아들로 이탈리아를 수호하려 노력했으나 동생과의 갈등, 포로로 잡히는 등의 어려움을 겪고 사망했으며, 그의 사후 서프랑크의 카를 2세가 황제관을 차지했다.
  • 메로베우스 왕조 - 피피누스 1세
    피핀 1세는 아우스트라시아의 궁재로서 클로타르 2세, 다고베르트 1세, 지게베르트 3세의 궁정에서 활동하며 기독교 전파에 기여하고 슬라브족으로부터 기독교 마을을 보호했으며, 가톨릭 성인으로 추서되었다.
  • 메로베우스 왕조 - 아키텐 공작
    아키텐 공작은 프랑크 왕국 시대부터 아키텐 지역을 통치한 작위로, 프랑크 왕국, 푸아티에 가문, 잉글랜드 왕가 등의 지배를 거쳐 백년 전쟁 이후 프랑스 왕의 직접 통치 하에 놓였다.
다고베르투스 1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다고베르트 1세의 금화 ''[[트리앙]]''에 새겨진 초상
다고베르트 1세의 금화 트리앙에 새겨진 초상
칭호프랑크 왕
왕조메로빙거 왕조
아버지클로타르 2세
어머니할데트루데
출생일기원후 603년경/605년경
사망일639년 1월 19일 (35-36세)
사망 장소에피네쉬르센
매장 장소생드니 대성당, 파리
서명
아우스트라시아 왕
재위 기간623년 – 634년
이전 통치자클로타르 2세
다음 통치자지게베르트 3세
네우스트리아 및 부르군트 왕
재위 기간629년 10월 – 639년 1월 19일
이전 통치자클로타르 2세
다음 통치자클로비스 2세
배우자
배우자 목록고르마트루데
난틸드
울페군디스
베르힐디스
라그네트루데 (첩)
자녀
자녀 목록지게베르트 3세
클로비스 2세

2. 생애

클로타르 2세와 할데트루드(575–604)의 장남이자 프레데군트의 손자인 다고베르투스 1세는 622년 아버지에 의해 아우스트라시아의 왕으로 임명되었다. 이는 아우스트라시아 귀족들을 지배적인 프랑크족에 묶어두기 위한 조치였다. 어린 시절 다고베르투스는 메츠의 아르눌프와 란덴의 페팽의 보살핌을 받았다.

클로타르 2세는 다고베르투스 재위 기간 대부분 동안 다른 귀족 가문들과의 불안정한 동맹을 관리하려 노력했다. 클로타르가 아우스트라시아를 다고베르투스에게 넘겨줄 때, 처음에는 알자스, 보주 산맥, 아르덴을 제외했지만, 아우스트라시아 귀족들의 압력으로 이 지역들을 다고베르투스에게 양보해야 했다. 아우스트라시아 중심부 출신의 프랑크족 통치는 알자스를 아우스트라시아 궁정에 더 밀접하게 연결시켰다. 다고베르투스는 부르군디 또는 알레만족의 침략과 야심으로부터 이 지역을 보호하기 위해 아우스트라시아 남서부에 새로운 공작령(알자스 공작령)을 만들었다. 이 공작령은 보주 산맥, 부르군디 관문, 트랑스쥐라 부르군디를 포함했다. 다고베르투스는 그의 측근인 군도인을 메로빙거 왕조가 끝날 때까지 존속될 이 새로운 정체의 초대 공작으로 임명했다. 클로타르와 다고베르투스와 같은 아우스트라시아 통치자들이 7세기 동안 이 지역들을 통치했지만, 결국 강력한 귀족 가문들이 각자의 영토에서 별도의 길을 추구하면서 자율적인 왕국이 되었다.

634년에 시기베르트 3세가 아우스트라시아 분왕국의 왕이 되었다.

300x300px


629년, 아버지 클로타르 2세가 사망하자 다고베르트 1세는 네우스트리아와 부르군디 왕국을 상속받았다.[3] 이복 형제인 샤리베르가 네우스트리아를 요구했지만, 다고베르트는 이를 반대했다. 샤리베르 2세의 숙부 브로둘프가 어린 조카를 위해 다고베르트에게 청원했지만, 다고베르트는 그를 암살하고 프랑크족의 유일한 왕이 되었다. 그는 나중에 샤리베르에게 아키텐을 "위로의 선물"로 주었다.[4] 다고베르트는 비잔틴 황제 헤라클리우스와 조약을 체결하여 왕국 전역에서 유대인의 강제 세례를 시행했다. 이 조약 체결 외에도 다고베르트는 그의 제국 전역의 무역을 보장하기 위해 조치를 취했는데, 듀르스테데와 위트레흐트의 라인강 어귀를 따라 중요한 시장을 보호하는 것이 그 예이며, 이는 나중에 아바르족의 위협으로부터 오스트라시아 프랑크족을 방어하려는 그의 결의를 부분적으로 설명한다.

메로빙거 왕조 하에서 7세기 프랑크 사회는 카톨릭 신앙이 우세해지고 경제 상황도 개선되는 등 더 큰 통합을 경험했지만, 갈리아의 정치적 통일의 초기 동기는 없었다. 클로타르 2세는 네우스트리아 이웃들을 굴복시키려 하지 않고 대신 협력 정책을 선택했다. 이는 왕조의 금고를 채우기 위한 약탈을 금지하지 않았으며, 다고베르트는 스페인에서 약탈을 감행해 20만 금 ''솔리디''를 벌었다. 역사학자 이안 우드는 다고베르트가 "아마도 대부분의 메로빙거 왕보다 부유했을 것"이라고 주장하며, 비시고트족 시세난드를 도운 예를 든다. 시세난드는 스페인 비시고트족 왕좌에 오르도록 그를 도왔고, 그 대가로 시세난드는 다고베르트에게 약 227kg의 무게가 나가는 황금 접시를 수여했다.

632년, 샤리베르와 그의 아들 킬페릭이 암살되자[4] 다고베르트는 부르군디와 아키텐을 굳건히 지배하여 수년 동안 가장 강력한 메로빙거 왕이자 서방 세계에서 가장 존경받는 통치자가 되었다. 같은 해 란덴의 피핀을 중심으로 오스트라시아의 귀족들이 반란을 일으켰다. 631년, 다고베르트는 슬라브 왕인 사모를 상대로 대규모 군대를 이끌었는데, 이는 동부 영토에 거주하는 게르만 민족의 요청과 벤드족이 프랑크 상인들을 약탈하고 살해한 것에 대한 다고베르트의 불화에 기인했다. 다고베르트의 오스트라시아 군대는 보가스티스부르크 전투에서 패배했지만,[3] 그의 알레만족과 롬바르드족 동맹국들은 벤드족을 격퇴하는 데 성공했다. 당시 상황을 이용하여 작센족은 다고베르트가 오스트라시아에 대한 연간 500마리의 소 공물을 철회하는 데 동의한다면 돕겠다고 제안했다. 프레데가르는 이 합의를 받아들였지만, 벤드족이 이듬해 다시 공격했기 때문에 별 소용이 없었다고 보고한다.

634년, 다고베르트는 자신의 세 살 된 아들 시게베르트 3세를 왕위에 앉혀 반란을 일으킨 귀족들을 달랬고, 이로써 11년 전 그의 아버지가 그를 위해 했던 것처럼, 자신의 왕국 중 가장 동쪽에 있는 곳에서 왕권을 양도했다.[5] 역사가 이안 우드에 따르면, 다고베르트가 아들 시게베르트를 위한 부왕국을 세운 것은 "메로빙거 프랑크 왕국의 일반적인 구조에 중요한 장기적 영향을 미쳤다."

다고베르트의 무덤 세부 묘사, 13세기


왕으로서 다고베르트는 파리를 수도로 삼았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그는 오늘날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거주 성인 메르스부르크의 알테스 슐로스(Burg Meersburg)를 건설했다. 독실한 종교인이었던 다고베르트는 파리의 베네딕토회 수도원 부지에 생 드니 대성당을 건설하는 데에도 기여했다. 그는 또한 성 아르보가스트를 스트라스부르의 주교로 임명했다. 프레데가르는 다고베르트가 여러 면에서 사랑받았다고 썼는데, "그는 부자와 가난한 자 모두에게 정의를 베풀었다"고 덧붙이며 "그는 잠이나 음식을 거의 섭취하지 않았고, 모든 사람이 그의 앞에서 기쁨과 존경심으로 가득 떠나도록 행동하는 것만을 생각했다."

639년에 다고베르트 1세가 병으로 생드니 수도원에서 사망했을 때, 클로비스 2세가 네우스트리아부르군트 왕국의 왕위를 계승했다.[5] 성 드니를 기리기 위해 생드니 수도원을 창립하거나,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성으로 여겨지는 알테스 슐로스(Altes Schloss)를 메어스부르크에 축성했다.

2. 1. 아우스트라시아 통치 (623년 ~ 634년)

클로타르 2세와 할데트루드(575–604)의 장남이자 프레데군트의 손자인 다고베르투스 1세는 622년 아버지에 의해 아우스트라시아의 왕으로 임명되었다. 이는 아우스트라시아 귀족들을 지배적인 프랑크족에 묶어두기 위한 조치였다. 어린 시절 다고베르투스는 메츠의 아르눌프와 란덴의 페팽의 보살핌을 받았다.

클로타르 2세는 다고베르투스 재위 기간 대부분 동안 다른 귀족 가문들과의 불안정한 동맹을 관리하려 노력했다. 클로타르가 아우스트라시아를 다고베르투스에게 넘겨줄 때, 처음에는 알자스, 보주 산맥, 아르덴을 제외했지만, 아우스트라시아 귀족들의 압력으로 이 지역들을 다고베르투스에게 양보해야 했다. 아우스트라시아 중심부 출신의 프랑크족 통치는 알자스를 아우스트라시아 궁정에 더 밀접하게 연결시켰다. 다고베르투스는 부르군디 또는 알레만족의 침략과 야심으로부터 이 지역을 보호하기 위해 아우스트라시아 남서부에 새로운 공작령(알자스 공작령)을 만들었다. 이 공작령은 보주 산맥, 부르군디 관문, 트랑스쥐라 부르군디를 포함했다. 다고베르투스는 그의 측근인 군도인을 메로빙거 왕조가 끝날 때까지 존속될 이 새로운 정체의 초대 공작으로 임명했다. 클로타르와 다고베르투스와 같은 아우스트라시아 통치자들이 7세기 동안 이 지역들을 통치했지만, 결국 강력한 귀족 가문들이 각자의 영토에서 별도의 길을 추구하면서 자율적인 왕국이 되었다.

634년에 시기베르트 3세가 아우스트라시아 분왕국의 왕이 되었다.

2. 2. 프랑크 왕국 통치 (629년 ~ 639년)



629년, 아버지 클로타르 2세가 사망하자 다고베르트 1세는 네우스트리아와 부르군디 왕국을 상속받았다.[3] 이복 형제인 샤리베르가 네우스트리아를 요구했지만, 다고베르트는 이를 반대했다. 샤리베르 2세의 숙부 브로둘프가 어린 조카를 위해 다고베르트에게 청원했지만, 다고베르트는 그를 암살하고 프랑크족의 유일한 왕이 되었다. 그는 나중에 샤리베르에게 아키텐을 "위로의 선물"로 주었다.[4] 다고베르트는 비잔틴 황제 헤라클리우스와 조약을 체결하여 왕국 전역에서 유대인의 강제 세례를 시행했다. 이 조약 체결 외에도 다고베르트는 그의 제국 전역의 무역을 보장하기 위해 조치를 취했는데, 듀르스테데와 위트레흐트의 라인강 어귀를 따라 중요한 시장을 보호하는 것이 그 예이며, 이는 나중에 아바르족의 위협으로부터 오스트라시아 프랑크족을 방어하려는 그의 결의를 부분적으로 설명한다.

메로빙거 왕조 하에서 7세기 프랑크 사회는 카톨릭 신앙이 우세해지고 경제 상황도 개선되는 등 더 큰 통합을 경험했지만, 갈리아의 정치적 통일의 초기 동기는 없었다. 클로타르 2세는 네우스트리아 이웃들을 굴복시키려 하지 않고 대신 협력 정책을 선택했다. 이는 왕조의 금고를 채우기 위한 약탈을 금지하지 않았으며, 다고베르트는 스페인에서 약탈을 감행해 20만 금 ''솔리디''를 벌었다. 역사학자 이안 우드는 다고베르트가 "아마도 대부분의 메로빙거 왕보다 부유했을 것"이라고 주장하며, 비시고트족 시세난드를 도운 예를 든다. 시세난드는 스페인 비시고트족 왕좌에 오르도록 그를 도왔고, 그 대가로 시세난드는 다고베르트에게 약 227kg의 무게가 나가는 황금 접시를 수여했다.

632년, 샤리베르와 그의 아들 킬페릭이 암살되자[4] 다고베르트는 부르군디와 아키텐을 굳건히 지배하여 수년 동안 가장 강력한 메로빙거 왕이자 서방 세계에서 가장 존경받는 통치자가 되었다. 같은 해 란덴의 피핀을 중심으로 오스트라시아의 귀족들이 반란을 일으켰다. 631년, 다고베르트는 슬라브 왕인 사모를 상대로 대규모 군대를 이끌었는데, 이는 동부 영토에 거주하는 게르만 민족의 요청과 벤드족이 프랑크 상인들을 약탈하고 살해한 것에 대한 다고베르트의 불화에 기인했다. 다고베르트의 오스트라시아 군대는 보가스티스부르크 전투에서 패배했지만,[3] 그의 알레만족과 롬바르드족 동맹국들은 벤드족을 격퇴하는 데 성공했다. 당시 상황을 이용하여 작센족은 다고베르트가 오스트라시아에 대한 연간 500마리의 소 공물을 철회하는 데 동의한다면 돕겠다고 제안했다. 프레데가르는 이 합의를 받아들였지만, 벤드족이 이듬해 다시 공격했기 때문에 별 소용이 없었다고 보고한다.

634년, 다고베르트는 자신의 세 살 된 아들 시게베르트 3세를 왕위에 앉혀 반란을 일으킨 귀족들을 달랬고, 이로써 11년 전 그의 아버지가 그를 위해 했던 것처럼, 자신의 왕국 중 가장 동쪽에 있는 곳에서 왕권을 양도했다.[5] 역사가 이안 우드에 따르면, 다고베르트가 아들 시게베르트를 위한 부왕국을 세운 것은 "메로빙거 프랑크 왕국의 일반적인 구조에 중요한 장기적 영향을 미쳤다."

왕으로서 다고베르트는 파리를 수도로 삼았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그는 오늘날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거주 성인 메르스부르크의 알테스 슐로스(Burg Meersburg)를 건설했다. 독실한 종교인이었던 다고베르트는 파리의 베네딕토회 수도원 부지에 생 드니 대성당을 건설하는 데에도 기여했다. 그는 또한 성 아르보가스트를 스트라스부르의 주교로 임명했다. 프레데가르는 다고베르트가 여러 면에서 사랑받았다고 썼는데, "그는 부자와 가난한 자 모두에게 정의를 베풀었다"고 덧붙이며 "그는 잠이나 음식을 거의 섭취하지 않았고, 모든 사람이 그의 앞에서 기쁨과 존경심으로 가득 떠나도록 행동하는 것만을 생각했다."

다고베르트는 동쪽의 무리들에 맞서 자신의 영토를 지키고 바이에른까지 멀리 떨어진 귀족들이 그의 종주권을 구했다는 점에서 역사상 가장 위대한 프랑크 왕 중 한 명으로 기록되었다. J.M. 윌리스-하드릴은 다고베르트가 "클로비스의 무자비한 에너지와 샤를마뉴의 교활함을 지녔다"고 말했다. 그는 프랑크 왕국을 거의 통일했지만, 아키텐족과 부르군트족 외에 오스트라시아와 네우스트리아 프랑크족의 상반된 이해관계를 고려할 때 통일된 통치가 계속될 것을 기대하지 않았을 것이다. 639년에 다고베르트가 사망하자 란덴의 피핀은 메츠에서 자신의 지위를 회복할 수 있었다. 한편, 다고베르트는 파리생 드니 대성당에 묻혔는데, 이곳에 묻힌 최초의 프랑크 왕이었다.[5] 생 드니에 다고베르트가 매장된 것은 이후 프랑스 통치자들이 이곳에 묻히는 선례를 세웠다.

2. 3. 죽음과 유산

피핀 3세가 751년에 마지막 메로빙거 왕조를 폐위시키고 카롤링거 왕조를 세울 때까지, 다고베르투스 1세의 통치에서 나타난 분열과 암살 패턴은 그 후 1세기 동안 계속되었다. 메로빙거 왕조의 어린 소년 왕들은 어린 나이에 왕위를 계승하여 아들 한두 명을 낳을 만큼만 오래 살았기 때문에 무능한 통치자로 남았으며, 실제 권력은 대부분의 땅을 봉건적으로 지배하는 귀족 가문들의 손에 있었다.

830년대에는 앵크마르가 썼을 것으로 추정되는 다고베르투스의 전기 ''다고베르투스의 행적''이 쓰여졌다. 이 전기는 대부분 신뢰할 수 없지만, 진본 기록 문서에 기반한 정보를 담고 있다. 다고베르투스는 왕과 그의 수석 고문 성 엘리우스(프랑스어: Eloi) 간의 대화를 담고 있는 동요 ''선량한 다고베르 왕''에 불멸화되었다. 이 풍자적인 운율은 다고베르투스를 엘리우스의 좋은 조언으로 그를 구해내는 다양한 우스꽝스러운 상황에 놓는다. 18세기에 시작된 것으로 보이는 이 가사는 프랑스 혁명의 반군주제 감정을 표현하는 데 매우 인기를 얻었다. 다고베르투스와 엘리우스를 각자의 역할에 배치하는 것 외에는 역사적 정확성은 없다.

1984년에는 다고베르투스 1세를 소재로 한 112분 길이의 프랑스-이탈리아 코미디 영화 ''선량한 다고베르 왕''이 제작되었다. 사운드트랙은 귀도 앤 마우리치오 데 안젤리스가 작곡했으며, 출연진은 우고 토냐치, 콜루슈, 미셸 세로였다.

639년에 다고베르트 1세가 병으로 생드니 수도원에서 사망했을 때, 클로비스 2세가 네우스트리아부르군트 왕국의 왕위를 계승했다.[5] 성 드니를 기리기 위해 생드니 수도원을 창립하거나,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성으로 여겨지는 알테스 슐로스(Altes Schloss)를 메어스부르크에 축성했다.

3. 정책

4. 평가

5. 가족 관계

프레데가 연대기에 따르면, 다고베르트 1세는 "거의 동시에 세 명의 왕비와 여러 명의 첩"을 두었다. 625/6년에 다고베르트는 아버지의 아내 시힐데의 여동생인 고르마트루데와 결혼했지만, 이 결혼은 아이가 없었다. 629/30년에 고르마트루데와 이혼한 후, 그는 자신의 측근에서 온 작센 출신 하녀(puella)인 난틸드를 새로운 왕비로 삼았다. 난틸드는 나중에 네우스트리아와 부르고뉴의 왕이 된 클로비스 2세를 낳았다. 난틸드와 결혼한 직후, 라그네트루데라는 여인이 다고베르트 1세의 아들 시게베르트 3세를 낳았는데, 그는 나중에 오스트라시아의 왕이 되었다.

『프레데가 연대기』는 세 명의 왕비의 이름을 언급하고 있는데, 난틸드, 울페군디스, 베르킬디스이며, 첩에 대한 언급은 없다.

난틸드와의 사이에서 클로비스 2세(637년 - 657/658년)를 낳았으며, 그는 네우스트리아와 부르군트의 왕(재위: 639년 - 658년)이 되었다.

다른 여성과의 사이에서 시게베르트 3세(630년경 - 658년)를 낳았으며, 그는 아우스트라시아의 왕(재위: 634년 - 658년)이 되었다.

6. 문화

참조

[1] 서적 柴田 他
[2] 서적 柴田 他
[3] 서적 柴田 他
[4] 서적 ル・ジャン
[5] 서적 柴田 他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