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피누스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핀 1세는 아우스트라시아의 궁재이자 브라반트 공작이었다. 그는 클로타르 2세, 다고베르트 1세, 지게베르트 3세의 궁정에서 궁재로 활동하며 기독교 전파에 기여했고, 슬라브족의 침입으로부터 기독교 마을을 지켰다. 629년 다고베르트 1세에 의해 해임되었으나, 다고베르트 1세 사후 다시 궁재직에 복귀하여 국고 분배를 감독했다. 피핀 1세는 640년에 사망했으며, 가톨릭 성인으로 추서되었고 축일은 2월 21일이다. 그의 딸 베가는 카롤링거 왕조의 시조인 안제기젤과 결혼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크인 성인 - 우르술라
성녀 우르술라는 6세기 11,000명의 처녀들과 함께 순교했다는 전설 속 인물로, 쾰른의 수호 성인으로 숭배받았으나, 역사적 근거 부족으로 1969년 가톨릭교회 성인 목록에서 제외되었다. - 플람스브라반트주 출신 - 에디 메르크스
에디 메르크스는 "식인종"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그랜드 투어, 클래식 레이스, 세계 선수권 대회 등 수많은 주요 대회에서 우승하며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사이클계를 지배한 벨기에의 은퇴한 프로 사이클 선수이자 사이클 역사상 가장 위대한 선수 중 한 명으로 인정받고 있다. - 플람스브라반트주 출신 - 바르트 스빙스
바르트 스빙스는 벨기에의 스피드 스케이팅 및 인라인 스케이트 선수로,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매스 스타트 은메달,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월드 게임에서 7개의 메달을 획득하고 베를린 마라톤 인라인 스케이팅에서 우승했다. - 640년 사망 - 두순
두순은 중국 당나라 시대의 승려이자 화엄종의 초조로, 《화엄경》 연구와 민중 치료, 문수보살 화신으로 숭배받았으며 《화엄일승십현문》과 《화엄법계관문》 등의 저작을 남겼다. - 640년 사망 - 원광
원광은 6세기 신라의 승려로서 대승 불교를 전파하고 화랑도에게 세속오계를 가르쳤으며, 수나라에 고구려 출병을 요청하는 걸사표를 지어 국가 의식을 보여주었다.
| 피피누스 1세 | |
|---|---|
| 기본 정보 | |
![]() | |
| 본명 | 피핀 1세 |
| 작위 | 아우스트라시아궁재 |
| 출생 | 580년경 |
| 사망 | 640년 |
| 가문 | 피핀 가문/카롤링거 가문 |
| 아버지 | 유그 |
| 배우자 | 이타 |
| 자녀 | 그리모알트 1세 베가 게르트루트 |
| 정치 경력 | |
| 아우스트라시아 궁재 | 615년/623년 - 629년 |
2. 생애
피핀 1세는 아우스트라시아 궁재 카를로만의 아들로, 브라반트 공작이자 아우스트라시아의 궁재였다. 그는 클로타르 2세, 다고베르트 1세, 지게베르트 3세의 궁정에서 궁재로 봉사하며 기독교 신앙 전파에 기여했고, 변경 지대에서 슬라브 족의 침입으로부터 기독교 마을을 지켜냈다.[1]
613년 아우스트라시아와 부르고뉴 왕국의 유력 인사들이 네우스트리아의 클로타르 2세를 지지하여 왕국 통합에 기여했는데, 피핀 1세는 아르눌프와 함께 "아우스트라시아의 가장 강력한 두 명의 귀족" 중 한 명이었다.[1] 623년 클로타르 2세가 아들 다고베르트 1세를 아우스트라시아 왕으로 세우자 피핀 1세는 궁재가 되었고, 아르눌프와 함께 왕의 조언자로 임명되었다.
피핀 1세는 훌륭한 통치와 현명한 조언으로 칭찬받았으나, 629년 다고베르트 1세 즉위 후 일시적으로 은퇴했다. 639년 다고베르트 1세 사후 궁재직에 복귀하여 지게베르트 3세를 위해 봉사했고, 클로비스 2세와 낭틸드 사이의 국고 분배를 감독했다.
640년에 사망했다.[2] 그는 아우스트라시아에서 매우 인기가 많아, 시성되지는 않았지만 일부 순교자 수난 기록에 성인으로 기록되었다. 버틀러는 그를 "복자"로 기록하고 있다.[1] 그의 축일은 2월 21일이다.
그의 딸 베가는 메츠 성당 주교 아르눌프의 아들 안제기젤과 결혼하여 카롤링거 왕조의 시조가 되었다.[1]
2. 1. 초기 생애
피핀 1세는 카를로만의 아들로, 브라반트 공작이자 아우스트라시아의 궁재였다. 아버지로부터 브라반트 백작위를 물려받은 뒤, 브라반트 공작으로 승진했고, 아우스트라시아의 궁정 행정관을 거쳐 아우스트라시아 공작에 임명되었다. 그의 별명은 그의 출생지인 벨기에 랑댕(Landen)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고드프루아 퀴르트(Godefroid Kurth)[2]에 따르면, 브라방트 백국의 연대기 작가들이 그를 그 지역과 연관짓기 시작한 것은 12세기부터였다고 한다. 그는 때때로 피핀 1세(Pepin I)로 불리며, 그의 다른 별명(장로, 원로)은 그를 따서 명명된 피핀가(Pippinids) 가문의 수장이었던 그의 지위에서 유래한다.위조된 프레데가리우스 연대기에 따르면 그의 아버지는 카를만(칼로만)이었다.[1] 랑덴과의 연관성은 12세기에 브라반트의 연대기 기록자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고드프루아 크뤼스의 연구가 있다.
2. 2. 아우스트라시아 궁재
613년, 아우스트라시아와 부르고뉴 왕국의 유력 인사들은 네우스트리아의 클로타르 2세를 지지하여 그가 왕국을 통합하는 데 기여했다. 이들 중 피핀 1세는 아르눌프와 함께 "아우스트라시아의 가장 강력한 두 명의 귀족"으로 묘사되었다.[1] 623년, 클로타르 2세가 그의 아들 다고베르트 1세를 아우스트라시아의 왕으로 세우면서 피핀 1세는 아우스트라시아의 궁재로 임명되었다. 그는 아르눌프와 함께 다고베르트 1세의 조언자로 활동했다.[1]피핀 1세는 훌륭한 통치와 현명한 조언으로 동시대 사람들에게 칭찬을 받았다. 629년, 다고베르트 1세가 즉위하자 일시적으로 궁재직에서 해임되었으나, 639년 다고베르트 1세가 죽은 뒤 권력을 되찾았다.[2] 다고베르트 1세 사후, 피핀 1세는 시기베르트 3세를 위해 아우스트라시아의 궁재직을 맡아, 클로비스 2세와 낭틸드 사이에 국고 분배를 감독했다.[2]
2. 3. 일시적 은퇴와 복귀
629년 다고베르트 1세가 즉위하자 피핀 1세는 일시적으로 프랑크 왕국의 궁재직에서 해임되었다.[2] 그러나 다고베르트 1세가 죽은 뒤(639년) 권력을 되찾았다.[2]다고베르트 1세가 죽자, 피핀은 은퇴에서 돌아와 상속자 지게베르트 3세[2]를 위해 아우스트라시아의 궁재직을 맡았다. 그는 지게베르트 3세와 그의 동생 클로비스 2세 사이, 그리고 네우스트리아와 부르고뉴에서 클로비스 2세를 대신하여 통치하고 있던 그의 계모 낭틸드 사이의 국고 분배를 감독했다.[2] 지게베르트 3세의 상속 지분은 피핀과 부르고뉴의 궁재 아에가 사이의 우정 덕분에 부분적으로 평화롭게 양보되었다.[2]
2. 4. 사망과 유산
피핀 1세는 640년에 사망했다.[2] 그는 아우스트라시아에서 매우 인기가 많았으며, 시성되지는 않았지만 일부 순교자 수난 기록에는 성인으로 기록되었다. 버틀러는 그를 "복자"로 기록하고 있다.[1] 그의 축일은 2월 21일이다.『위조된 프레데가리우스 연대기』에 따르면 그의 아버지는 카를만(칼로만)이다. 랑덴과의 연관성은 12세기에 브라반트의 연대기 기록자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고드프루아 크뤼스의 연구가 있다.
피핀 1세는 메스 주교 Arnoald영어의 딸인 Itta of Metz영어와 결혼하여 아들 하나와 딸 둘을 두었다.[3] 아들 그리모알드 1세는 훗날 아우스트라시아 궁재(재직: 650년 - 661년)가 되었다.[3][4] 딸 베가는 안제지젤(메스 대주교 아르눌프의 아들)과 결혼하여 피핀 2세 (샤를 1세의 증조부)를 낳았다.[3] 또 다른 딸 게르트루트는 이타가 설립한 니벨 수녀원의 수녀원장이 되었고, 훗날 어머니와 함께 시성되었다. 그녀는 여행자와 쥐의 수호성인으로 여겨진다.[5]
헨트의 Bavo of Ghent영어도 피핀 1세 부부의 자녀로 여겨진다.
3. 가계
이타와 결혼하여 베가, 그리모알드 1세, 바보, 게르트루드 등 네 명의 자녀를 두었다.[3] 베가는 안제기젤과 결혼하여 피핀 2세를 낳았는데, 이는 카롤링거 왕조의 기원이 되었다.
3. 1. 자녀
- 베가: 안제기젤과 결혼하였다.[3]
- 그리모알드 1세: 아우스트라시아 궁재를 역임하였다. (재직: 650년 - 661년)[3][4]
- 바보: 겐트의 성 바보로도 불린다.
- 게르트루드: 니벨 수도원의 수녀원장이었다. 어머니 이타와 함께 성인으로 추대되었다.[5]
4. 평가
피핀 1세는 동시대 사람들로부터 훌륭한 통치와 현명한 조언으로 칭송받았다.[1][2] 몇몇 적들이 왕을 그에게서 돌아서게 하려고 했지만, 그들의 음모는 실패했고 피핀은 왕과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 그는 기독교 신앙을 전파하고 슬라브 족의 침입으로부터 기독교 마을을 보호하는 데 공헌했다.
640년에 사망한[2] 그는 아우스트라시아에서 매우 인기가 많아서, 공식적으로 성인으로 추대되지는 않았지만 일부 순교자 목록에 성인으로 기록되었다. 버틀러(Butler)는 그를 "복자(blessed)"로 기록했다.[1] 그의 축일은 2월 21일이다.
참조
[1]
서적
Lives of the Saints, Vol. II
http://www.bartleby.[...]
1866
[2]
백과사전
The Franks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909
[3]
서적
undefined
[4]
서적
undefined
[5]
백과사전
St. Gertrude of Nivelles
http://www.newadvent[...]
2017-1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