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4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634년은 갑오년으로, 당나라 정관 8년, 신라 인평 원년에 해당한다. 주요 사건으로는 신라 김유신과 김춘추의 혼인, 라시둔 칼리파조의 다마스쿠스 정복, 베다의 마지막 장 편집, 당나라의 투르크 정복 등이 있다. 또한 아부 바크르가 사망하고 우마르 1세가 칼리프가 되었으며, 다마스쿠스가 무슬림에게 정복되었다. 문화적으로는 백제의 궁남지가 조성되었고, 린디스판의 아단에 의해 린디스판에 주교 관할구가 설립되었다. 이 해에 연남생, 아타나시우스 2세 발도요, 머시아의 채드 등이 태어났고, 아부 바크르, 카드왈론, 안프리드 등이 사망했다.
2. 연호
3. 기년
국가/왕조 | 세부 정보 |
---|---|
고구려(高句麗) | 영류왕(榮留王) 17년 |
백제(百濟) | 무왕(武王) 35년 |
신라(新羅) | 선덕여왕(善德女王) 3년 / 인평(仁平) 원년 |
당(唐) | 태종(太宗) 8년 / 정관(貞觀) 8년 |
일본 | 조메이 천황(舒明天皇) 6년 / 황기(皇紀) 1294년 |
베트남 | 정관(貞觀) 8년 |
- 단기: 2967년
4. 사건
- 신라에서는 김유신이 누이 문희를 태워 죽이려 하자 선덕여왕이 이를 꾸짖었으며, 이후 김춘추가 문희와 혼인하였다.
- 인도에서는 힌두교 경전인 베다의 마지막 장 편집이 완료되었다.
- 중앙아시아에서는 아프가니스탄의 발흐가 이슬람 세력에게 정복되었다.
- 프랑크 왕국에서는 다고베르트 1세가 아우스트라시아 귀족들의 압력으로 세 살 된 아들 지게베르트 3세에게 아우스트라시아 왕위를 넘겨주었다. 또한 란덴의 피핀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브르타뉴에 대한 지배력 확장을 시도하였다(대략적인 시기).
- 브리튼 섬에서는 버니시아의 에안프리드와 그의 호위병들이 평화 협상 중 기네스의 카드왈론 왕에게 살해되었다. 에안프리드의 동생 오스왈드는 18년간의 달 리어타(현재 스코틀랜드) 망명 생활을 마치고 돌아와 헤븐필드 전투에서 스코틀랜드인(또는 픽트족) 부대를 이끌고 헥섬 인근에서 웨일스인 군대를 이끌던 카드왈론을 격파하고 사망케 했다. 오스왈드는 데이라와 버니시아를 재통합하고 노섬브리아의 왕이 되었다.
- 이슬람의 라시둔 칼리파조는 비잔틴 제국 및 사산조 페르시아를 상대로 군사적 팽창을 계속하여 레반트 지역 등으로 세력을 확장했다. 이 과정에서 다마스쿠스를 포함한 여러 주요 도시를 정복하고 중요한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었다.[1]
- 당나라는 투르크를 상대로 군사적 성공을 거두었다.
4. 1. 동아시아
- 토욕혼은 당나라 당 태종의 토욕혼 정벌 기간 중 이정이 이끄는 중국군에 의해 침략당했으며, 지도자(칸) 모용복운은 635년에 살해당했다.
- 당 태종은 장안에 대명궁 건설을 명령했다. 그는 퇴위한 아버지인 당 고조 황제를 위해 효도의 일환으로 여름 별장을 지었다.
4. 2. 서아시아 및 지중해 세계
- 아랍-비잔틴 전쟁: 비잔틴 제국의 헤라클리우스 황제는 병환으로 인해 직접 군대를 이끌고 이슬람 세력의 레반트 침공에 맞설 수 없었다. 그는 동생 테오도르에게 군대 소집을 명하여 빼앗긴 영토를 되찾으려 했다. 그러나 시리아 지역의 단성론자들과 유대인들은 동방 정교회 중심의 비잔틴 통치에 불만을 품고 있었기에, 오히려 아랍 군대를 환영하는 분위기였다.
- 2월 4일 – 다틴 전투: 야지드 이븐 아비 수피안이 이끄는 라시둔 칼리파조 군대가 가자 인근에서 기독교 아랍 군대를 격파했다. 당시 비잔틴 제국 내에서 종교적 박해를 받던 유대인들은 이슬람 군대의 승리를 반겼다.
- 라시둔 칼리파조는 아부 우바이다 이븐 알자라가 이끄는 군대를 레반트로 보내 비잔틴 제국에 대한 본격적인 정복 전쟁을 시작한다. 할리드 이븐 알왈리드는 자신이 이끌던 군대의 절반인 약 8,000명을 데리고 알히라에서 시리아 방면으로 진군했다.
- 알카르야테인 전투: 할리드가 이끄는 무슬림 아랍 군대는 항복 제안을 거부한 알카르야테인의 가산 왕조 세력을 격파하고 도시를 점령, 약탈했다. 이후 주변 다른 도시들도 점령해 나갔다.
- 마르지 라히트 전투: 할리드는 다마스쿠스 근교에서 비잔틴 군대(약 15,000명)와 가산 왕조 동맹군을 상대로 승리했다. 전투 후 기마 부대를 보내 다마스쿠스 외곽 지역을 약탈하도록 했다.
- 보스라 전투: 할리드의 군대는 보스라의 비잔틴 및 기독교 아랍 수비대(약 12,000명)를 포위한다. 며칠간의 포위 끝에 요새 도시는 항복했고, 할리드는 주민들에게 조공 납부를 조건으로 항복을 받아들였다.
- 7월 30일 – 아즈나다인 전투: 베이트셰메시(현재의 이스라엘) 근처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테오도르가 이끄는 비잔틴 군대(이슬람 측 기록에 따르면 9만 명)가 정통 칼리파 군대에게 크게 패배했다. 에메사에 있던 헤라클리우스 황제는 패전 소식을 듣고 안티오크로 후퇴했다.
- 8월 23일 – 초대 칼리프 아부 바크르가 메디나에서 사망하고, 우마르 1세가 제2대 칼리프로 즉위했다. 우마르는 이후 시리아, 페르시아, 이집트 등을 정복하며 이슬람 세력을 크게 확장시켰다.
- 9월 19일 – 다마스쿠스 공방전: 할리드가 이끄는 무슬림 아랍 군대가 비잔틴 제국의 주요 도시인 다마스쿠스를 함락시켰다. 이는 이슬람 세력이 비잔틴 제국으로부터 빼앗은 첫 번째 주요 도시였다. 항복 조건으로 다마스쿠스 주민 중 원하는 이들은 안티오크로 안전하게 퇴각하는 것이 허용되었다.
- 마라알데바 전투: 다마스쿠스에서 안티오크로 후퇴하던 비잔틴 피난민 행렬(약 10,000명)이 이슬람 군대의 추격을 받아 학살당했다. 이 과정에서 이슬람의 정예 경기병 부대인 기동 경비대는 많은 양의 고급 직물(브로케이드)을 노획했다.
- 다리 전투: 바흐만 자두이가 지휘하는 페르시아 군대(약 10,000명)가 유프라테스 강 인근(쿠파 근처)에서 무슬림 아랍 군대를 격파했다. 페르시아 군이 동원한 전투 코끼리에 아랍 군대가 혼란에 빠져 많은 사상자를 냈다. 그러나 바흐만은 패주하는 아랍 군대를 깊이 추격하지는 않았다.[1]
- 피라즈 전투: 메소포타미아 (이라크) 지역에서 할리드가 이끄는 라시둔 아랍 군대(약 15,000명)가 비잔틴 제국, 페르시아 제국, 아랍 기독교도 연합군을 상대로 승리했다. 연합군의 규모는 할리드 군대의 최소 10배 이상이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 아일랜드 출신 선교사인 린디스판의 아단이 스코틀랜드 아이오나에서 노섬브리아의 오스왈드 왕의 부름을 받아 린디스판에 주교좌를 설치하고 노섬브리아 지역의 기독교 재건에 힘썼다(대략적인 시기).
- 프랑크족 출신 선교사 비리누스가 잉글랜드 웨식스 지역의 재개종을 목표로 "햄윅" 항구(현재 사우샘프턴의 세인트 메리 지역)에 도착했다.[4] 이 시기에 세인트 메리 교회가 세워진 것으로 여겨진다.[5]
- 소프로니우스가 예루살렘 총대주교로 임명되었다. 그는 단성론을 비판하며 동방 정교회의 신앙을 옹호하는 교령을 교황 호노리우스 1세와 동방의 다른 총대주교들에게 보냈다.
5. 문화
백제 시대에 서동요 설화와 관련된 궁남지가 만들어졌다. 이는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인공 연못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 이곳에서는 매년 7월 부여서동연꽃축제가 열린다.
- 아일랜드 출신 선교사 린디스판의 아단은 아이오나 (내부 헤브리디스)에서 노섬브리아의 오스왈드 왕의 부름을 받아 린디스판 섬에 주교 관할구를 세우고 노섬브리아 지역의 기독교 재건에 힘썼다 (대략적인 날짜).
- 프랑크 출신 선교사 비리누스는 잉글랜드 웨섹스 왕국의 재개종을 목표로 파견되어, 당시 "햄윅"이라 불리던 항구(현재 사우스햄튼의 세인트 메리 구역)에 도착했다.[4] 이 시기에 사우스햄튼의 세인트 메리 교회가 세워졌다.[5]
- 예루살렘의 소프로니우스가 예루살렘 총대주교로 임명되었다. 그는 단성론을 비판하며 동방 정교회의 신앙을 설명하는 교령을 교황 호노리우스 1세와 동방의 다른 총대주교들에게 보냈다.
6. 탄생
이름 | 설명 | 사망 연도 |
---|---|---|
천남생 | 고구려의 막리지, 정치가, 군인 | 679년 |
신성공주 | 당나라 이세민의 21녀 | 662년 |
이복 | 당나라 이세민의 13남, 조왕 | 670년 |
아타나시우스 2세 발도요 |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 686년 |
머시아의 채드 | 앵글로색슨 수도원장 | 672년 |
커스버트 | 앵글로색슨 주교 | (대략적인 날짜) |
엔노 오즈누 | 일본 수도자 | (대략적인 날짜) |
7. 사망
참조
[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The periode from the Arab invasion to the Saljuq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5
[2]
서적
Byzantium and the Early Islamic Conques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3]
서적
1993
[4]
서적
Southampton's Historic Buildings
City of Southampton Society
1981
[5]
문서
A Brief History of St. Mary's Church
2009-10-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