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니엘 버클리 업다이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니엘 버클리 업다이크는 1893년 미국 보스턴에 설립된 메리마운트 프레스의 설립자이자 운영자이다. 메리마운트는 20세기 초 우수한 인쇄소로 명성을 얻었으며, 윌리엄 모리스와 미술공예운동의 영향을 받아 시작했으나, 이후 간결하고 실용적인 디자인으로 변화했다. 업다이크는 메리마운트에서 자체 제작한 활자를 사용하고 다양한 서적과 인쇄물을 제작했으며, 1922년에는 《서양 활자의 역사》를 출간하여 인쇄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 1941년 업다이크 사망 후 메리마운트는 존 비앙키가 인수하여 운영하다가 1949년 폐업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다니엘 버클리 업다이크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 1860년 2월 24일 |
사망 | 1941년 12월 29일 (향년 81세) |
국적 | 미국 |
직업 | 인쇄업자 서체 디자이너 |
활동 기간 | 1893년–1941년 |
주요 작품 | 《인쇄 서체》 |
영향 받은 인물 | 윌리엄 모리스 |
영향 준 인물 | 스탠리 모리슨 베아트리스 워드 얀 치홀트 |
2. 역사
다니엘 버클리 업다이크는 메리마운트를 설립하여 인쇄 및 디자인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1893년 보스턴에 설립된 메리마운트는 초기에는 윌리엄 모리스와 미술공예운동의 영향을 받았으나, 점차 실용적인 디자인으로 변화하였다. 1915년 존 비앙키가 공동 대표로 합류하였고, 1949년 문을 닫을 때까지 다양한 인쇄물을 제작하며 명성을 얻었다.
2. 1. 설립과 초기 활동
"평범한 일을 평범하지 않게 잘 해내는 것(to do common work uncommonly well.)"— 업다이크
이 말은 메리마운트가 20세기 초 우수한 인쇄소로 이름을 날릴 수 있었던 이유이다. 메리마운트는 업다이크가 1893년 보스턴 매사추세츠 주에 설립하였고, 1915년 존 비앙키가 공동대표로 참여하였으며, 1949년에 문을 닫았다. 메리마운트의 초기 스타일은 그 당시의 다른 인쇄소들과 마찬가지로 윌리엄 모리스와 미술공예운동에 영향을 많이 받았다.[3] 그러나 점차 모리스의 장식적이고 엄격한 작업과 다르게 간결하고 실용적인 디자인으로 바뀌어 갔고, 19세기 말엽에는 모리스의 고딕 부흥과 완전히 거리를 두게 되었다. 이러한 실용적인 디자인은 메리마운트가 책, 광고, 콘서트 프로그램, 카탈로그, 초대장 등 다양한 일에서도 사업적으로 성공을 거두게 되는 요소였다. 1920년대에는 조판공 열다섯 명, 인쇄공 네 명, 교열 편집자 두 명 등을 고용하여 회사를 소규모로 운영했는데,[4] 모든 작업물은 업다이크와 비앙키의 감독 아래 이루어졌으며, 이는 메리마운트 인쇄 제품의 품질이 우수한 이유였다. 메리마운트는 56년 동안 2만 개의 제품을 남겼다.[5]
2. 2. 디자인 철학의 변화
"평범한 일을 평범하지 않게 잘 해내는 것(to do common work uncommonly well.)"[3]- 업다이크 -
이 말은 메리마운트가 20세기 초 우수한 인쇄소로 이름을 날릴 수 있었던 이유이다. 메리마운트의 초기 스타일은 그 당시의 다른 인쇄소들과 마찬가지로 윌리엄 모리스와 미술공예운동에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러나 점차 모리스의 장식적이고 엄격한 작업과 다르게 간결하고 실용적인 디자인으로 바뀌어 갔고, 19세기 말엽에는 모리스의 고딕 부흥과 완전히 거리를 두게 되었다. 이러한 실용적인 디자인은 메리마운트가 책, 광고, 콘서트 프로그램, 카탈로그, 초대장 등 다양한 일에서도 사업적으로 성공을 거두는 데 기여했다.[3]


2. 3. 존 비앙키의 합류와 운영
1893년 업다이크는 보스턴 매사추세츠 주에 메리마운트 프레스를 설립했고, 1915년 존 비앙키가 공동 대표로 참여했다. 메리마운트 프레스는 1949년에 문을 닫았다. 메리마운트의 초기 스타일은 윌리엄 모리스와 미술공예운동에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러나 점차 간결하고 실용적인 디자인으로 바뀌어 갔고, 19세기 말엽에는 모리스의 고딕 부흥과 완전히 거리를 두게 되었다.[3] 이러한 실용적 디자인은 메리마운트가 책, 광고, 콘서트 프로그램, 카탈로그, 초대장 등 다양한 일에서도 사업적으로 성공을 거두게 되는 요소였다. 1920년대에는 조판공 열다섯 명, 인쇄공 네 명, 교열 편집자 두 명 등을 고용하여[4] 회사를 소규모로 운영했는데, 모든 작업물은 업다이크와 비앙키의 감독 아래 이루어졌으며 이는 메리마운트 인쇄 제품의 품질이 우수한 이유였다. 메리마운트는 56년 동안 2만 개의 제품을 남겼다.[5]1941년 업다이크가 사망한 이후, 비앙키는 메리마운트를 인수하였다. 이후 그의 아들 대니얼 버클리 비앙키(업다이크의 이름을 딴)가 물려받았지만 1949년 폐업했다.[6]
2. 4. 업다이크 사후와 폐업
1941년 업다이크의 사후, 비앙키는 메리마운트 프레스를 인수하였다. 이후 그의 아들 대니얼 버클리 비앙키(업다이크의 이름을 딴)가 물려받았지만 1949년 폐업했다.[6]3. 주요 활자
업다이크의 인쇄업무 일지에 따르면, 메리마운트에서 사용된 활자는 다음과 같다.[7] (★는 메리마운트가 만든 전용 활자)
활자명 | 취득 연도 |
---|---|
메리마운트(Merrymount) ★ | 1894년 |
피카 잉글리쉬 블랙(Pica English Black) | 1898년 |
캐슬론(Caslon) + 캐슬론 이탤릭(Caslon Italic) | 1896년 |
바타르드(Lettre Batarde) | 1901년 |
스카치 페이스(Scotch-Face) + 스카치 페이스 이탤릭(Scotch-Face Italic) | 1897년 |
솜(Lettre de Somme) | 1901년 |
프렌치 올드스타일(French Old Style) + 프렌치 스크립트(French Script) | 1901년 |
장송(Janson) + 장송 이탤릭(Janson Italic) | 1903년 |
마운트조이(Mountjoye (Bell)) + 마운트조이 이탤릭(Mountjoye (Bell) Italic) | 1903년 |
몬탈레그로(Montallegro) ★ | 1904년 |
옥스포드(Oxford) + 옥스포드 이탤릭(Oxford Italic) | 1906년 |
폴리필러스(Poliphilus) + 블라도(Blado) | 1925년 |
루테티아(Lutetia) + 루테티아 이탤릭(Lutetia Italic) | 1927년 |
보도니(Bodoni) + 보도니 이탤릭(Bodoni Italic) | 1930년 |
3. 1. 자체 제작 활자
업다이크의 인쇄업무 일지에 따르면, 메리마운트에서 주로 사용된 활자는 아래와 같다.[7] (취득한 해를 함께 표기, ★는 메리마운트가 만든 전용 활자이다.) 첫 번째 전용 활자인 "메리마운트"는 1895년 버트럼 굿휴가 만든 장송체를 재해석한 서체로, 진한 문자의 색조 등은 윌리엄 모리스의 켐스콧 프레스 영향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후 1904년에 만든 가벼운 이탈리아풍의 "몬탈레그로"는 메리마운트가 일반적인 전통주의 스타일을 지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활자명 | 취득 연도 |
---|---|
메리마운트(Merrymount) ★ | 1894년 |
피카 잉글리쉬 블랙(Pica English Black) | 1898년 |
캐슬론(Caslon) + 캐슬론 이탤릭(Caslon Italic) | 1896년 |
바타르드(Lettre Batarde) | 1901년 |
스카치 페이스(Scotch-Face) + 스카치 페이스 이탤릭(Scotch-Face Italic) | 1897년 |
솜(Lettre de Somme) | 1901년 |
프렌치 올드스타일(French Old Style) + 프렌치 스크립트(French Script) | 1901년 |
장송(Janson) + 장송 이탤릭(Janson Italic) | 1903년 |
마운트조이(Mountjoye (Bell)) + 마운트조이 이탤릭(Mountjoye (Bell) Italic) | 1903년 |
몬탈레그로(Montallegro) ★ | 1904년 |
옥스포드(Oxford) + 옥스포드 이탤릭(Oxford Italic) | 1906년 |
폴리필러스(Poliphilus) + 블라도(Blado) | 1925년 |
루테티아(Lutetia) + 루테티아 이탤릭(Lutetia Italic) | 1927년 |
보도니(Bodoni) + 보도니 이탤릭(Bodoni Italic) | 1930년 |
3. 2. 기타 활자
업다이크의 인쇄업무 일지에 따르면, 메리마운트에서 주로 사용된 활자는 아래와 같다.[7] 취득한 해를 함께 표기하였으며, ★는 메리마운트가 만든 전용 활자이다. 첫 번째 전용 활자인 "메리마운트"는 1895년 버트럼 굿휴가 만든 장송체를 재해석한 서체로, 진한 문자의 색조 등은 윌리엄 모리스의 켐스콧 프레스 영향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후 1904년에 만든 가벼운 이탈리아풍의 "몬탈레그로"는 메리마운트가 일반적인 전통주의 스타일을 지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활자 | 취득 연도 |
---|---|
메리마운트(Merrymount) ★ | 1894년 |
피카 잉글리쉬 블랙(Pica English Black) | 1898년 |
캐슬론(Caslon) + 캐슬론 이탤릭(Caslon Italic) | 1896년 |
바타르드(Lettre Batarde) | 1901년 |
스카치 페이스(Scotch-Face) + 스카치 페이스 이탤릭(Scotch-Face Italic) | 1897년 |
솜(Lettre de Somme) | 1901년 |
프렌치 올드스타일(French Old Style) + 프렌치 스크립트(French Script) | 1901년 |
장송(Janson) + 장송 이탤릭(Janson Italic) | 1903년 |
마운트조이(Mountjoye (Bell)) + 마운트조이 이탤릭(Mountjoye (Bell) Italic) | 1903년 |
몬탈레그로(Montallegro) ★ | 1904년 |
옥스포드(Oxford) + 옥스포드 이탤릭(Oxford Italic) | 1906년 |
폴리필러스(Poliphilus) + 블라도(Blado) | 1925년 |
루테티아(Lutetia) + 루테티아 이탤릭(Lutetia Italic) | 1927년 |
보도니(Bodoni) + 보도니 이탤릭(Bodoni Italic) | 1930년 |
4. 주요 작품
다니엘 버클리 업다이크는 메리마운트 프레스에서 여러 주요 작품을 남겼다. 1896년에는 성공회 기도서(Altar Book)를 제작했는데, 이는 메리마운트의 첫 번째 중요 작업이자 업다이크가 독자적인 사업을 시작하는 계기가 되었다.[8] 1930년에는 J. P. 모건 주니어의 지원을 받아 성공회 공동 기도서(Book of Common Prayer) 개정판을 발행했으며, 뛰어난 디자인으로 인정받았다.[10]
4. 1. 성공회 기도서(Altar Book, 1896년)
1893년부터 시작해 1896년에 완료한 메리마운트의 첫 번째 중요 작업이다. 업다이크는 "이 책이 아니었다면 리버사이드 프레스를 떠날 용기가 나지 않았을 것"이라 말했으며, 이 책을 만들어 받은 수임료로 메리마운트를 설립했다.[8] 책에 사용한 서체로 자사가 만든 첫 번째 전용 활자인 '메리마운트'를 사용하는 등 여러 가지로 공을 들인 작업이었지만, 윌리엄 모리스의 캠스콧의 영향을 받은 더 비니 프레스의 본문 타이포그래피와 버트럼, 업다이크가 디자인한 외관 장식물의 결합은 당시 미국의 타이포그래피 상황처럼 아쉬운 점이 많았다.[9]4. 2. 공동 기도서(Book of Common Prayer, 1930년)
1928년, J. P. 모건 주니어의 지원으로 성공회 공동 기도서 개정판이 결정되었다. J. P. 모건 주니어는 여러 인쇄소에 디자인을 요청했고, 그 중 업다이크가 장송체로 만든 디자인이 선택되었다. 1930년 11월에 500부를 발행하였으며, 다음 해 미국 그래픽아트 협회 올해의 50권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10]5. 《서양 활자의 역사》
1922년 출간된 《서양 활자의 인쇄》는 업다이크가 하버드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인쇄 기술 과정을 강의한 내용을 정리한 책이다. 이 저서는 시기별(1450~1500년, 1500~1800년, 19세기 이후) 설명 후 지역별 소개로 이어진다.
서문에서 그는 "현대의 활자가 그 시대를 명료하게 나타내고 있는가? 만약 그렇다면 타이포그래피의 현대적 성향이 어디로 향하고 있는가"란 질문을 던진다. 그리고 첫 번째 질문에 대한 답으로 "인쇄는 생활을 지향하는 예술의 형태로 항상 그 시기의 성향을 반영한다... 하지만 오늘날의 생활이 과연 얼마나 훌륭할 것인가?"라고 묻는다. 업다이크는 당시의 현대 활자가 '생활(유행)'에 휩쓸리지 말기를 권한다. 불꽃같이 타오르다 사그라진 아르누보, 지역색이 짙은 유럽 활자 등을 예로 들며, 어제의 열광이 내일의 비평으로 이어지는 시대를 향해 조금 천천히 시간을 갖자고 타이른다.[11] 이는 격변하는 시대의 미국 인쇄에 대한 업다이크의 전통주의 관점을 보여준다.
참조
[1]
서적
Notes on the Merrymount Press & its Work
Harvard University Press
1934-01-01
[2]
저널
필사본과 인쇄에서 서체의 역사에 관한 논문 선집
[3]
서적
The Well-Made Book: Essays & Lectures
Mark Beatty, Publisher
2002-01-01
[4]
저널
플러런
1924-01-01
[5]
서적
The Merrymount Press: An Exhibition of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the Press
Harvard University Press
1993-01-01
[6]
저널
The Merrymount Janson Type and Matricies
2017-01-01
[7]
서적
Notes on the Merrymount Press & its Work
Harvard University Press
1934-01-01
[8]
서적
Notes on the Merrymount Press & its Work
Harvard University Press
1934-01-01
[9]
서적
현대 타이포그래피
[10]
저널
The Merrymount Janson Type and Matricies
2017-01-01
[11]
서적
서양 활자의 역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