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마가젤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마가젤속(Nanger)은 소과 영양족에 속하는 포유류 속이다. 다마가젤, 그랜트가젤, 죄머링가젤의 3종이 알려져 있다. 이들은 아프리카의 사바나와 스텝 기후 지역에 주로 서식하며, 각 종은 서식지와 특징적인 생태적 특성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양아과 - 부탄타킨
부탄타킨은 부탄, 중국, 인도에 서식하며 해발 1,000~4,500m 고도의 숲에서 풀, 새싹, 나뭇잎 등을 먹는 주행성 포유류로, 불법 사냥과 서식지 파괴로 위협받고 있으며 부탄의 국가 동물이다. - 영양아과 - 스프링복
스프링복은 남아프리카 건조 지역에 서식하는 영양으로, 등 중앙의 피부 주름, 잎을 주식으로 하는 점, 프롱킹이라는 도약 행동을 보이는 특징을 가지며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상징 동물로도 활용된다. - 아프리카의 포유류 - 큰돌고래
큰돌고래는 전 세계 온대 및 열대 해역에 서식하며 지능이 높고 사회적인 돌고래과 포유류로, 소리와 몸짓으로 의사소통하고 반향정위를 사용하며, 인간과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겪고 있다. - 아프리카의 포유류 - 더스키돌고래
더스키돌고래는 남반구 해안에 서식하는 몸길이 1.6~2.2m의 작은 돌고래로, 어두운 회색 몸통과 밝은 배를 가지며, 포경, 혼획, 서식지 파괴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호 노력이 필요하다.
다마가젤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Nanger Lataste, 1885 |
명명자 | Lataste, 1885 |
타입 종 | Antilope mhorr |
타입 종 명명자 | Bennett, 1833 |
화석 범위 | 선신세 - 홀로세 (360만년 전 ~ 현재)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우제목 |
과 | 소과 |
아과 | 블랙백아과 |
족 | 영양족 |
속 | 다마가젤속 (Nanger) |
하위 분류 | |
종 | 다마가젤 (Nanger dama) 그랜트가젤 (Nanger granti) 제메링가젤 (Nanger soemmerringii) |
2. 하위 종
- 다마가젤(''N. dama'') - 차드, 말리, 니제르에 서식한다.
- 그랜트가젤(''N. granti'') - 탄자니아 북부, 남수단, 에티오피아, 케냐 해안, 빅토리아호 인근에 분포한다.
- 죄머링가젤(''N. soemmerringii'') - 아프리카의 뿔 지역에 분포한다.
2. 1. 다마가젤 (''N. dama'')

'''''N. dama''''' (Pallas, 1766)
다마가젤은 차드, 니제르, 말리의 토착종이다. 1766년 페터 시몬 팔라스가 ''dama''(다마)라는 종소명으로 명명했다.
사바나 기후나 스텝 기후에서 드문드문 숲을 이룬 사헬 초원에 살며, 아카시아속이나 수수속 식생을 동반한다. 모래가 많은 곳은 피하고, 피난하기 쉬운 낮은 산이나 고원에 주로 나타난다. 아카시아속이 없는 모로코 남부에서는 관목이 밀생하는 곳에서 발견되었지만, 모로코와 알제리에서는 멸종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2. 2. 그랜트가젤 (''N. granti'')
그랜트가젤은 우간다, 에티오피아, 케냐, 소말리아, 탄자니아, 남수단에 서식한다. 1872년 빅터 브룩이 ''granti''(그란티)라는 종소명을 명명했다.해발 2,500m까지의 아사막, 가시 덤불이 있는 저지대, 사바나, 탁 트인 평원, 산악 지대 초원 등에서 서식한다. 시야가 트인 건조한 평원과 사바나, 높고 시원한 고원을 포함한다. 세렝게티 국립공원의 평원과 사바나가 대표적인 서식지이다. 물에 의존하지 않아 다른 초식 동물이 접근하기 어려운 곳에서 생활한다. 건기에는 풀이 짧은 평원으로, 우기에는 사바나의 수목으로 이동하는 특이한 습성을 보인다. 우기에는 여러 무리가 톰슨가젤과 같은 지역에서 함께 서식하기도 한다.
2. 3. 죄머링가젤 (''N. soemmerringii'')
'''죄머링가젤''' (''N. soemmerringii'')은 아프리카의 뿔 지역에 분포한다.[2] 에티오피아, 에리트레아, 지부티, 소말리아의 토착종이다. 학명 ''N. soemmerringii''는 1826년 필리프 야코프 크레츠슈마르에 의해 명명되었다.건조·반건조한 해안 평야, 아카시아속 나무가 생육한 사바나, 평야의 초원에 서식하며, 시야가 트인 무성한 사바나와 수목이 적은 초원에서 발견된다. 다흐라크 제도의 개체는 본토 개체보다 작다.
3. 계통 분류
다음은 2019년 주라노(Zurano) 등의 연구에 기초한 영양족의 계통 분류이다.[3]
{| class="wikitable"
|-
! 영양족
|-
|
{| class="wikitable"
|-
| 라피케루스속
|-
|
|-
|
{| class="wikitable"
|-
| 프로카프라속
|-
|
{| class="wikitable"
|-
| 오리비영양속
|-
|
{| class="wikitable"
|-
| 사이가속
|-
|
{| class="wikitable"
|-
| 스프링복속
|-
| 게레눅속
|-
|
{| class="wikitable"
|-
| 인도영양속
|-
|
|}
|}
|}
|}
|}
|}
|}
참조
[1]
간행물
[2]
간행물
[3]
논문
Cetartiodactyla: Updating a time-calibrated molecular phylogen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