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차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차드는 중앙 아프리카에 위치한 내륙 국가로, 오랜 내전과 부정부패로 인해 "아프리카의 죽은 심장"으로 불리기도 한다. 기원전 7000년경부터 인류가 정착하여 여러 문명의 교차로가 되었으며, 9세기에는 카네무 왕국이 건국되어 사하라 사막 횡단 무역을 통해 번성했다. 1900년 프랑스에 의해 점령되어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의 일부가 되었고, 1960년 프랑스로부터 독립했다. 독립 이후 여러 차례의 내전과 권력 투쟁을 겪었으며, 2021년 이드리스 데비 대통령 사망 이후 그의 아들 마하마트 데비 이트노가 과도 군사 위원회를 이끌고 있다. 차드는 대통령 중심의 강력한 행정부와 프랑스 민법과 관습법에 기반한 사법 체계를 갖추고 있다. 23개 지역으로 행정 구역이 나뉘며, 다양한 민족과 언어가 공존한다. 주요 산업은 농업과 석유이며, 면화와 석유가 주요 수출품이다. 차드는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국가 중 하나이며, 교육 수준과 위생 환경이 열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랍어권 - 쿠웨이트
    쿠웨이트는 서아시아의 입헌 군주국으로, 석유 매장량을 바탕으로 높은 경제 수준을 유지하며, 1990년 이라크의 침공 이후 다국적군의 도움으로 국토를 회복했고, 1979년 대한민국과 수교했다.
  • 아랍어권 - 알제리
    알제리는 아프리카 북부 마그레브 지역에 위치한 국가로, 지중해 연안에 자리 잡고 있으며, 사하라 사막을 포함한 국토를 가지고 있으며, 오랜 역사와 다양한 문화를 거쳐 독립했으며, 현재는 대통령 중심 공화국 체제이나 군부의 영향력이 큰 국가이다.
  • 프랑코포니 회원국 - 세네갈
    서아프리카에 위치한 세네갈 공화국은 다양한 민족과 문화, 이슬람교를 배경으로 농업, 어업, 관광 등의 경제 부문을 기반으로 하며, 프랑스 식민 지배를 거쳐 독립 후 비교적 안정적인 민주주의를 유지하고 있는 다중 언어 국가이다.
  • 프랑코포니 회원국 - 가봉
    가봉은 중앙아프리카 서부에 위치한 대통령 공화제 국가로, 1960년 프랑스로부터 독립한 후 봉고 가문이 장기 집권했으나 2023년 쿠데타로 알리 봉고 온딤바 대통령이 축출되었으며, 석유 자원을 바탕으로 경제 성장을 이루었지만 자원 의존적인 경제 구조와 부정부패 문제를 안고 있다.
  • 내륙국 - 레소토
    레소토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둘러싸인 내륙 국가로, 모슈슈 1세가 세운 왕국이 영국의 보호령을 거쳐 1966년 독립했으며, 현재는 입헌군주국으로 레체시 3세가 국가 원수, 샘 마테카네가 총리이다.
  • 내륙국 - 에스와티니
    에스와티니 왕국은 아프리카 남부의 내륙국으로, 영국에서 독립 후 국명을 변경했으며, 국왕이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하는 입헌군주제 국가이고, 남아프리카 공화국, 모잠비크와 국경을 접하며, 농업, 제조업, 서비스업 중심의 경제를 가지고 있고, 높은 HIV/AIDS 감염률과 빈곤이 사회 문제이다.
차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차드 지도
차드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차드 공화국
로마자 표기Republique du Tchad
현지 이름جمهورية تشاد
République du Tchad
표어Unité, Travail, Progrès (통일, 노동, 진보)
국가La Tchadienne (차드의 노래)
수도은자메나
최대 도시은자메나
공용어아랍어
프랑스어
민족 구성사라족 26.6%
아랍족 12.9%
카넴부족 8.5%
마살리트족 7.2%
투부족 6.9%
마사족 4.8%
비디요족 3.7%
불랄라족 3.7%
마바족 3.0%
다주족 2.6%
문당족 2.5%
남부 가브리족 2.4%
자가와족 2.4%
풀라족 2.1%
투푸리족 2.0%
타마족 1.6%
카로족 1.4%
바기르미족 1.3%
마스마제족 1.0%
기타 차드족 2.6%
외국인 0.7%
종교이슬람교 55.1%
기독교 41.1%
무종교 2.4%
애니미즘 1.3%
기타 0.1%
국적차드인
정부 형태단일 준대통령제 공화국, 세습 독재 하에 있음
정치
대통령마하마트 데비
총리알라마예 할리나
입법부국가 과도 위원회
역사
식민지 설립1900년 9월 5일 프랑스령 차드
자치권 획득1958년 11월 28일
독립1960년 8월 11일 프랑스로부터 독립
지리
면적1,300,000 km²
면적 순위20위
수역 비율1.9%
인구
추정 인구 (2024년)19,093,595명
인구 순위66위
인구 밀도14.4명/km²
경제
GDP (PPP)$323억 7500만 (2023년 추정)
GDP (PPP) 순위147위
1인당 GDP (PPP)$1,806 (2023년 추정)
1인당 GDP (PPP) 순위179위
명목 GDP$125억 9600만 (2023년 추정)
명목 GDP 순위145위
1인당 명목 GDP$702 (2023년 추정)
1인당 명목 GDP 순위183위
지니 계수37.4 (2022년)
인간 개발 지수0.394 (2022년)
인간 개발 지수 순위189위
통화중앙아프리카 CFA 프랑
통화 코드XAF
기타 정보
시간대WAT
UTC 오프셋+1
차량 통행 방향오른쪽
국제 전화 코드+235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td

2. 역사

차드는 과거 여러 왕조를 거쳐 1960년 8월 11일 프랑스로부터 독립했다.

독립 이후 정치적 불안정이 이어졌으며, 1982년 히센느 하브레가 쿠데타로 집권했다.[226] 그는 집권 기간 동안 반대파를 포함한 다수를 고문하고 살해하는 등 인권 탄압으로 인해 '아프리카의 피노체트'라는 비판을 받았다.[226][227] 하브레는 1990년 당시 군부 실세였던 이드리스 데비가 일으킨 쿠데타로 축출되었다.[226] 이드리스 데비는 1990년 12월 2일부터 2021년 사망할 때까지 장기간 집권했다.

2. 1. 독립 이전

기원전 7천년 경, 현재 차드 영토 북부 지역의 환경 조건이 인간이 정착하기에 유리해지면서 인구가 크게 증가했다. 아프리카의 중요한 고고학 유적 중 상당수가 차드, 특히 보르쿠-에네디-티베스티(Borkou-Ennedi-Tibesti) 지역에서 발견되며, 일부는 기원전 2000년 이전의 것으로 추정된다.[14][15]



2,000년 이상 차드 분지에는 농업을 기반으로 한 정착민들이 거주했으며, 이 지역은 여러 문명의 교차로 역할을 했다. 가장 초기에 알려진 문명은 유물과 구전 역사를 통해 전해지는 전설적인 사오(Sao) 문명이다. 사오 문명은 이후 카넴 제국에 의해 정복되었다.[16][17] 카넴 제국은 서기 1천년 말까지 차드의 사헬 지대에서 발전한 여러 제국 중 가장 오랫동안 존속했다. 9세기경 차드호 동북부 카넴 지역에 건국된 카넴 왕국은 사하라 횡단 무역을 기반으로 남쪽에서 얻은 상아와 노예 등을 주로 수출했다.[161] 11세기에는 이슬람교를 받아들였으나, 14세기에 본거지를 빼앗기고 차드호 남서쪽 보르누 지역으로 중심지를 옮겨 보르누 제국이 되었다. 16세기 후반 이드리스 알로마 왕이 카넴 지역을 되찾았고, 카넴과 보르누는 19세기까지 차드 분지의 주도 세력으로 남았다. 이 두 왕국은 연속성이 있어 통칭 카넴-보르누 제국으로 불린다. 이 외에도 16세기와 17세기에 바기르미 술탄국과 와다이 제국이 등장했으며[15], 여러 소규모 왕국들도 존재했다.[162] 이들 국가는 사하라 횡단 무역로 지배를 통해 권력을 유지했으며[15], 이슬람교를 받아들였지만[18] 남부 초원 지대까지는 지배력을 확장하지 못하고 주로 노예 습격을 감행했다.[18] 카넴 제국에서는 인구의 약 3분의 1이 노예였던 것으로 추정된다.[19]

아프리카 분할이 진행되면서 1900년 프랑스는 이 지역을 점령하여 Territoire Militaire des Pays et Protectorats du Tchad|차드 국가 및 보호령 군사 지역프랑스어을 설립했다. 1920년까지 프랑스는 식민지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확보하고 이를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의 일부로 편입시켰다.[20] 프랑스의 차드 지배는 영토 통합 정책의 부재와 다른 프랑스 식민지에 비해 뒤처진 현대화가 특징이었다.[21]

프랑스는 차드를 주로 미숙련 노동력과 중요하지 않은 면화 공급원으로 간주했다. 1929년에는 대규모 면화 생산을 도입했으며, 이 외에도 땅콩 같은 상품 작물이 도입되었다.[163] 차드의 식민 행정은 심각한 인력 부족에 시달렸고, 프랑스 본국에서 능력이 부족한 관리들이 파견되는 경우가 많았다. 식민 통치는 남부의 사라족에게만 효과적으로 이루어졌고, 이슬람교도가 많은 북부와 동부 지역에 대한 프랑스의 영향력은 명목상에 그쳤다. 교육 제도 역시 이러한 방치 속에서 제대로 발전하지 못했다.[15][21]



제2차 세계 대전 후 프랑스는 차드에 해외 영토 지위를 부여하고, 주민들에게 프랑스 국민의회와 차드 의회에 대표를 선출할 권리를 주었다. 당시 가장 큰 정당은 남부 지역에 기반을 둔 차드 진보당(Parti Progressiste Tchadien|파르티 프로그레시스트 차디앵프랑스어, PPT)이었다. 1958년에는 프랑스 공동체 내에서 자치 정부가 수립되었고, 마침내 1960년 8월 11일 차드는 독립을 달성했다. PPT의 지도자이자 사라족 출신인 프랑수아 톰발바예(François Tombalbaye)가 초대 대통령이 되었다.[15][23][24]

2. 2. 독립 이후

1960년 8월 11일, 차드는 프랑스로부터 독립하였다. 독립 후 초대 대통령 프랑수아 톰발바이는 집권당인 차드 진보당의 일당 체제를 수립하고 다른 정당들을 금지하는 등 독재 체제를 구축했다. 톰발바이 정권은 정치적 기반이 있는 남부의 기독교인을 중용하였고, 이에 북부의 이슬람교도들이 반발하여 1965년 말 내전이 발발했다. 이 반란은 북부 아오주 지역의 영토 문제를 두고 차드와 갈등하던 리비아 정부의 지원을 받았다.

1975년 펠릭스 말룸쿠데타를 일으켜 톰발바이 정권을 무너뜨렸지만, 새 정부 역시 남부를 중시하는 정책을 유지하면서 북부 반군과의 대립은 계속되었다. 한편, 반군 내부에서는 구쿠니 외디파와 이센 하브레파 간의 주도권 다툼이 격화되었다. 1978년 말룸 대통령은 하브레파와 손을 잡고 정부에 참여시켰으나, 이 연합은 1979년 와해되었고 결국 하브레파가 수도 은자메나를 점령하면서 말룸은 망명했다.[164]

수도를 장악한 하브레는 구쿠니파와 연합하여 북부 통합 정부를 구성했다. 구쿠니가 대통령에 취임했지만, 1980년 두 세력 간의 갈등이 다시 격화되어 전투가 벌어졌고, 연말에는 리비아의 지원을 받은 구쿠니파가 수도를 점령했다. 그러나 구쿠니와 리비아의 관계가 틀어지면서 리비아군은 1981년 11월 철수했고, 주력 지원을 잃은 구쿠니 정권은 1982년 6월 히센느 하브레에게 밀려 붕괴되었다. 하브레가 수도를 점령하고 정권을 장악했다.[165][226]

하브레는 집권 기간 동안 반대파를 포함해 약 4만 명을 고문하고 살해하는 등 극심한 인권 탄압을 자행하여 '아프리카의 피노체트'라는 비판을 받았다.[226] 그의 통치 하에서 체계적이고 잔인한 고문이 이루어졌다는 사실이 이후 밝혀졌다.[227] 한편, 축출된 구쿠니파는 다시 리비아의 지원을 받아 1983년 북부 지역을 침공하여 북위 16도선 이북의 사막 지대를 점령했다.[166] 양측의 대립은 1986년 말 발발한 이른바 토요타 전쟁으로 이어졌고, 이 전쟁에서 차드 정부군이 압도적인 우위를 점했다.[165] 결국 1988년 양측 간에 휴전이 성립되었다.[166]

하브레는 1988년 재선에 성공했지만, 당시 군부 실세였던 이드리스 데비리비아와의 영토 문제를 둘러싼 갈등 끝에 1990년 데비가 일으킨 쿠데타로 축출되었다.[226] 하브레는 망명했으며, 그의 인권 범죄에 대한 재판이 추진되었다.[227] 1990년 12월 2일부터 정권을 잡은 이드리스 데비는 현재까지 차드의 대통령으로 장기 집권하고 있다.

2. 3. 데비 정권

1990년 12월 2일, 당시 군 사령관이었던 이드리스 데비는 쿠데타를 일으켜 히센느 하브레 대통령을 축출하고 정권을 장악했다.[226][33] 하브레 정권은 부패와 폭력에 기반한 독재 체제를 구축했으며, 재임 기간 동안 반대파를 포함해 약 4만 명을 고문하고 살해한 것으로 추정된다.[226][31][32] 이로 인해 '아프리카의 피노체트'라는 비판을 받았다.[226] 그는 또한 자신의 부족인 투부족을 우대하고 이전 동맹이었던 자가와족을 차별했다.[33] 하브레는 2005년 세네갈에서 가택 연금되었고,[34] 2016년 5월, 강간, 성노예, 4만 명 살해 지시 등 인권 침해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종신형을 선고받았다.[35]

내부 정치적 반대, 쿠데타 시도 및 내전에도 불구하고, 이드리스 데비는 1990년부터 2021년 사망할 때까지 차드를 계속 통치했다.


집권 후 이드리스 데비는 반군 세력과의 화해를 모색하고 다당제 정치를 재도입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1996년 새로운 헌법이 국민투표를 통해 승인되었고, 같은 해 데비는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했다.[167] 그는 2001년 선거에서도 재선에 성공했다.[36] 2003년 차드에서 석유 개발이 시작되면서 국가 발전에 대한 기대가 높아졌다.

그러나 데비 정권은 점차 권위주의적 성격을 강화했다. 2005년에는 국민투표를 통해 대통령의 3선 연임을 금지하는 헌법 조항을 폐지하여[37][168] 장기 집권의 기반을 마련했으며, 이는 시민 사회와 야당의 거센 반발을 샀다.[37] 이러한 정치적 긴장 속에서 2005년 동부 지역에서 반정부 세력이 봉기하면서 새로운 내전이 시작되었다.[167]

2006년 데비는 야당이 보이콧한 선거에서 세 번째 임기를 시작했다.[37] 같은 해 4월, 수단을 거점으로 둔 반정부 세력 통합 민주 변혁 전선(FUC)이 수도 은자메나를 공격했으나 정부군에 의해 격퇴되었다(2006년 엔자메나 전투).[169] 이 사건으로 차드와 수단 간의 관계는 극도로 악화되었고, 양국은 서로 상대방이 반군을 지원하거나 내정에 간섭하고 있다고 비난했다.[169] 차드 동부에서는 종족 간 폭력이 심화되었고, 유엔난민고등판무관사무소는 다르푸르 분쟁과 유사한 대량학살의 위험성을 경고했다.[38] 2008년 2월에는 FUC를 포함한 반정부 연합 세력인 민주주의·개발 발전 연합(UFDD)이 다시 수도를 침공했지만, 이번에도 정부군에 의해 진압되었다(2008년 엔자메나 전투).[171][173][39]

2010년 1월(또는 2월[176]), 차드와 수단은 관계 정상화에 합의하여 5년간 지속된 갈등을 종식시켰다.[40] 이 합의로 수단에 머물던 차드 반군이 귀환하고 7년 만에 양국 국경이 개방되었으며, 국경 안정을 위한 공동 부대가 배치되었다.[40] 2013년 5월에는 데비 대통령에 대한 쿠데타 시도가 사전에 발각되어 저지되기도 했다.[41]

내전은 소강 국면에 접어들었으나,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단체 보코하람의 위협이 새로운 안보 문제로 부상했다. 차드는 다국적 합동 특수부대의 일원으로서 보코하람 소탕 작전에 적극 참여했다.[42] 그러나 2015년 2월 보코하람이 차드 영토 내에서 처음으로 공격을 감행했고,[177] 같은 해 6월에는 수도 은자메나에서 연쇄 자살 폭탄 테러가 발생하여 120명 이상이 사망하는 등[178] 치안 불안이 계속되었다.

한편, 북부 리비아를 근거지로 활동하는 반군 단체 차드 변화와 화합을 위한 전선(FACT)은 지속적으로 정권 전복을 시도했다. 2021년 4월 대통령 선거 기간에 FACT는 대규모 공세를 개시했고, 이드리스 데비 대통령은 북부 전선에서 전투를 지휘하던 중 입은 부상으로 4월 20일 사망했다.[42][179] FACT는 한때 카넴 주를 점령했다고 주장했으나,[180] 2021년 5월 9일 차드군은 FACT 포로 156명을 공개하며 군사적 승리를 선언했다.[181]

이드리스 데비의 사망 후, 그의 아들인 마하마트 데비 이트노 장군이 이끄는 차드 과도 군사위원회가 권력을 승계했다. 군사위원회는 헌법의 효력을 정지시키고 새로운 과도 헌장을 발표하여 마하마트 데비에게 대통령 권한대행 및 군 통수권을 부여했다.[43] 2024년 5월 6일에 치러진 대통령 선거에서 마하마트 데비는 6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고, 선거 과정에 대한 논란 속에서 5월 23일 공식 취임했다.[44]

3. 정치

차드는 공화제를 채택한 국가로, 헌법에 기반한 정치 체제를 운영한다. 2018년 4월 30일에 새로운 헌법이 승인되었으나,[182] 2021년 4월 이드리스 데비 대통령 사망 후 들어선 군사평의회에 의해 사실상 효력이 정지되었다.[186] 이후 2023년 12월 17일 실시된 국민투표를 통해 신헌법이 승인되었고,[187][188] 2024년 5월 6일 대통령 선거를 통해 마하마트 데비가 정식 대통령으로 취임했다.[189]

차드의 정치 체제는 역사적으로 대통령에게 강력한 권한이 집중되는 경향을 보여왔다. 대통령은 행정부 수반으로서 주요 공직자 임명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해왔다.[86] 입법권은 국민의회에 있으나[88], 실제 운영에서는 행정부의 영향력이 강하게 작용하는 경우가 많았다.[88] 사법 체계는 프랑스 민법과 차드 관습법을 기반으로 한다.[88][89]

그러나 차드는 정치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에 있으며, 낮은 통치 능력과 심각한 부패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국제 투명성 기구(Transparency International)가 발표한 2021년 부패 인식 지수(CPI)에서 차드는 180개국 중 164위를 기록했으며,[95] 2018년에도 최하위권(140개국 중 136위)에 머물렀다.[183] 평화기금(FFP)은 차드를 실패 국가로 분류했으며, 2021년 취약 국가 지수에서는 7위를 기록했다.[94] 2023년 V-Dem 민주주의 지수에서는 전 세계에서 16번째로 낮은 순위의 선거 민주주의 국가로 평가받았다.[102] 과거 이드리스 데비 정권은 친족 등용과 부족주의에 기반한 통치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으며,[96] 차드 남부에서는 토지를 둘러싼 갈등이 폭력 사태로 이어지는 경우가 빈번하다.[97]

2021년 4월 20일, 30년 이상 집권해 온 이드리스 데비 대통령이 북부 반군과의 교전 중 입은 부상으로 사망하면서 차드 정치는 큰 전환점을 맞았다. 그의 아들 마하마트 데비가 이끄는 군사평의회가 권력을 장악하고 헌법 효력을 정지시켰으며, 국민의회와 정부를 해산했다.[98][99][100][184] 군사평의회는 당초 18개월의 과도 통치를 약속했으나,[101] 2022년 10월 통치 기간을 2년 더 연장하기로 결정했다.[185] 이후 2023년 신헌법 제정과 2024년 대선을 통해 마하마트 데비가 대통령에 취임하면서 과도 체제는 공식적으로 종료되었으나, 차드는 여전히 정치적 안정을 위한 과제를 안고 있다.[189]

3. 1. 국가 원수

국가원수인 대통령은 국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된다. 1996년 헌법에서는 임기가 5년이었으나, 2018년 개정된 헌법에 따라 6년으로 연장되었다.[190] 중임 제한 규정 또한 변화를 겪었다. 1996년 헌법은 최대 2회 중임을 허용했지만, 2005년 헌법 개정을 통해 임기 제한이 사라졌다가[87], 2018년 신헌법에서 재선 1회(연속 2기)까지만 가능하도록 다시 도입되었다.[191] 이러한 중임 제한을 둘러싼 변화는 당시 현직 대통령의 임기를 연장하기 위한 조치라는 비판이 있다.[182]

2021년 4월 20일, 장기 집권하던 이드리스 데비 대통령이 사망하면서 국가 권력 구조에 큰 변화가 생겼다. 국민의회와 정부가 해산되었고, 군 장교들로 구성된 과도 군사 위원회가 국가를 이끌게 되었다. 위원회의 의장은 이드리스 데비의 아들인 마하마트 카카이다.[98][99][100] 현재 헌법은 효력이 정지된 상태이며, 새로운 헌법 제정이 예정되어 있다. 군사 위원회는 18개월의 과도기를 거쳐 선거를 실시하겠다고 발표했다.[101]

3. 2. 행정

차드의 헌법은 대통령이 정치 체제의 중심이 되는 강력한 행정부를 규정하고 있다. 대통령은 총리와 내각을 임명할 권한을 가지며, 판사, 장군, 지방 관리, 국영 기업 책임자 임명에도 큰 영향력을 행사한다.[86] 중대한 위협 상황 시, 대통령은 국민의회와 협의하여 계엄령을 선포할 수 있다. 대통령은 국민의 직접 투표로 선출되며 임기는 5년이다. 2005년에는 헌법상의 임기 제한이 삭제되어[87], 당시 이드리스 데비 대통령이 기존의 2선 제한을 넘어 집권하는 것이 가능해졌다.[87] 데비 전 대통령의 핵심 측근 대부분은 자가와 부족 출신이었지만, 정부에는 남부 지역 인사나 야당 인사도 일부 포함되었다.[88][89]

차드의 법 체계는 프랑스 민법과 차드 관습법에 기반한다. 다만 관습법은 공공질서나 헌법적 평등 보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만 인정된다. 헌법은 사법부의 독립을 보장하지만, 실제로는 대통령이 주요 사법 관료 대부분을 임명한다. 최고 사법 기관인 대법원과 헌법재판소는 2000년대 들어 완전히 기능하기 시작했다. 대법원은 대통령이 임명하는 대법원장과, 대통령 및 국민의회가 종신 임명하는 15명의 평의원으로 구성된다. 헌법재판소는 9년 임기의 판사 9명이 이끌며, 법률, 조약, 국제 협정 등이 채택되기 전에 합헌성을 심사할 권한을 가진다.[88][89]

입법은 국민의회가 담당한다. 국민의회는 4년 임기의 의원 155명으로 구성되며, 매년 3월과 10월에 정기 회의를 열고 필요시 총리의 요청으로 특별 회의를 개최할 수 있다. 의원들은 2년마다 국민의회 의장을 선출한다. 대통령은 새로 통과된 법률에 대해 15일 이내에 서명하거나 거부할 권한이 있다. 국민의회는 총리의 정부 운영 계획을 승인해야 하며, 불신임 투표를 통해 총리의 사퇴를 강제할 수도 있다. 하지만 국민의회가 1년 동안 두 번 행정부의 계획을 거부하면, 대통령은 국민의회를 해산하고 새로운 선거를 실시할 수 있다. 실제로는 대통령이 다수당인 애국 구원 운동(MPS)을 통해 국민의회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해왔다.[88]

1992년 야당이 합법화되기 전까지는 데비 전 대통령의 애국 구원 운동(MPS)이 유일한 합법 정당이었다.[88] 이후 78개의 정당이 등록되어 활동하고 있다.[90] 그러나 2005년, 데비 전 대통령이 3선에 출마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헌법 개정 국민투표에 대해 야당과 인권 단체들은 보이콧했다.[91] 당시 선거 운동 기간 동안 유권자 등록 과정에서의 광범위한 부정 행위와 정부의 독립 언론 매체 검열이 보고되기도 했다.[92] 2006년 대통령 선거는 주요 야당이 보이콧하면서 형식적인 절차에 불과했다는 평가를 받았다.[93]

차드는 평화기금(FFP)에 의해 실패 국가로 분류되었으며, 2021년 취약 국가 지수에서는 7위를 기록했다.[94] 부패 문제도 심각하여, 국제 투명성 기구의 2021년 부패 인식 지수에서 180개국 중 164위를 차지했다.[95] 이드리스 데비 전 대통령은 친족 등용과 부족주의에 기반한 통치를 한다는 비판을 받았다.[96] 차드 남부에서는 토지를 둘러싼 갈등이 격화되어 폭력 사태로 번지는 경우가 잦으며, 이는 지역 사회의 문화를 약화시키고 농민들의 생계를 위협하고 있다.[97]

2021년 4월 20일, 장기 집권하던 이드리스 데비 대통령이 사망하면서 국민의회와 정부가 해산되었다. 이후 군 장교들로 구성된 과도 군사 위원회가 국가를 이끌게 되었으며, 데비의 아들인 마하마트 데비 이트노가 위원장을 맡고 있다.[98][99][100] 현재 헌법은 효력이 정지된 상태이며, 향후 구성될 민간 국가 과도 위원회가 새로운 헌법 초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군사 위원회는 18개월의 과도 기간이 끝나면 선거를 실시하겠다고 밝혔다.[101]

2023년 V-Dem 민주주의 지수에 따르면, 차드는 전 세계에서 16번째로 낮은 순위의 선거 민주주의 국가이며, 아프리카 국가 중에서는 4번째로 낮은 순위를 기록했다.[102]

총리직은 1996년 헌법에 따라 대통령이 임명했으나, 2018년 개정 헌법에서 폐지되었다.[191] 그러나 2021년 출범한 마하마트 데비 과도 정부 하에서 다시 부활했다.[192]

3. 3. 입법

차드의 입법은 단원제 의회인 국민의회(Assemblée Nationale)가 담당한다.[88] 국민의회는 4년 임기의 의원 155명[88](다른 자료에서는 188석[184])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국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된다.[184] 국민의회는 매년 3월과 10월에 정기 회기를 열고, 필요한 경우 총리의 요청에 따라 특별 회기를 개최할 수 있다. 의원들은 2년마다 국민의회 의장을 선출한다.[88]

국민의회는 법률을 제정하고 총리가 제출한 정부 계획을 승인할 권한을 가진다. 또한 불신임 투표를 통해 총리의 사퇴를 요구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통령은 국민의회가 통과시킨 법률에 대해 15일 이내에 서명하거나 거부할 권한을 갖는다. 만약 국민의회가 1년 동안 두 차례 행정부의 계획을 거부하면, 대통령은 국민의회를 해산하고 새로운 선거를 실시할 수 있다.[88] 실제로 대통령은 다수당인 애국 구원 운동(MPS)을 통해 국민의회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한다.[88]

차드는 제도적으로 다당제 민주주의 국가이다. 1992년 야당 활동이 합법화되기 전까지는 데비 전 대통령의 MPS가 유일한 합법 정당이었다.[88] 이후 등록된 78개의 정당이 활동하고 있다.[90] 그러나 이드리스 데비가 이끄는 MPS는 1990년 이후 장기 집권을 유지하고 있으며, 데비 정권 하에서는 국제 선거 감시단으로부터 여러 차례 부정 선거 지적을 받았다. 이러한 이유로 야당 세력은 취약하지만, 비교적 영향력 있는 정당으로는 민주 진보 연합, 공화국 연방 운동 등이 있다.

2021년 4월 20일, 장기 집권하던 이드리스 데비 대통령이 사망함에 따라 국민의회와 정부가 해산되었다.[98][99][100][184] 이후 그의 아들인 마하마트 카카가 이끄는 군 장교들로 구성된 과도 군사 위원회가 국가 지도부를 대체했다.[98][99][100] 같은 해 9월 24일, 마하마트 데비 의장은 93명의 위원을 지명하여 임시 의회 역할을 하는 국가 과도 위원회를 출범시켰으며, 이 기구는 2022년 10월까지 과도 의회로 기능했다.[192] 군사 위원회는 18개월의 과도 기간이 끝나면 선거를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으나[101], 구체적인 일정은 유동적이다. 현재 헌법은 정지된 상태이며, 새로운 헌법 제정이 예정되어 있다.[101]

3. 4. 사법

차드의 법 체계는 프랑스 민법과 차드 관습법을 기반으로 한다. 다만, 관습법이 공공 질서나 평등에 대한 헌법적 보장을 저해하는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88][89] 헌법은 사법부의 독립을 보장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대통령이 대부분의 주요 사법 관계자를 임명하여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한다.[88][89]

최고 사법 기관으로는 차드 대법원과 차드 헌법재판소가 있으며, 2000년부터 완전히 기능하고 있다.[88][89]

  • 차드 대법원: 대통령이 임명하는 대법원장과, 대통령과 국민의회가 종신 임명하는 15명의 평의원으로 구성된다.[88][89]
  • 차드 헌법재판소: 9년 임기로 선출된 9명의 판사로 구성되며, 법률, 조약, 국제 협정이 채택되기 전에 이를 심사할 권한을 가진다.[88][89]


2021년 4월 이드리스 데비 대통령 사망 이후, 군 장교들로 구성된 과도 군사 위원회가 국가를 이끌고 있으며, 그의 아들 마하마트 데비 이트노가 위원장을 맡고 있다.[98][99][100] 이로 인해 기존 헌법은 효력이 정지된 상태이며, 새로운 헌법 제정을 기다리고 있다. 군사 위원회는 18개월의 과도 기간 후 선거를 실시하겠다고 발표했다.[101]

4. 행정 구역

2012년부터 차드는 기존의 14개 주(préfectures)를 폐지하고 지방 분권화 정책의 일환으로 23개 지역(régions)으로 행정 구역을 개편했다.[113] 각 지역은 대통령이 임명하는 주지사가 관리하며, 지역 아래로는 61개의 주(départements)[114], 200개의 아주(sous-préfectures), 그리고 446개의 칸톤(cantons)으로 세분화된다.[115][116]

칸톤은 법적, 규제적 정비가 완료되는 대로 '코뮌 뤼랄'(communautés rurales)로 대체될 예정이다.[117] 차드 헌법은 지방 분권화를 통해 지역 주민들이 자체 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118] 각 행정 구역은 선출된 지방 의회에 의해 운영되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119] 그러나 지방 선거는 2005년 예정이었으나 여러 차례 연기되어 아직 실시되지 못했다.[120][90]

차드의 23개 지역은 다음과 같다.

번호지역인구
(2009)
인구
면적
(km2)
수도
1바타 (Batha)488,458748,39593732km2아티바타 동부 주, 바타 서부 주, 피트리
22샤리-바기르미 (Chari-Baguirmi)578,425884,92447226km2마세냐바기르미, 샤리, 루그 샤리 주
23하제르-라미스 (Hadjer-Lamis)566,858870,23131376km2마사코리다바바주, 다가나주, 하라제 알 비아르 주
5와디 피라 (Wadi Fira)508,383792,39456362km2빌틴빌틴, 다르 타마 주, 코베 주
2바르엘가젤 (Bahr el Gazel)257,267407,25658525km2무소로바르엘가젤 북부 주, 바르엘가젤 남부 주
3보르쿠 (Borkou)93,584154,865271513km2파야라르고보르쿠, 보르쿠 야라 주
8엔네디 동부 (Ennedi-Est)107,302175,32181696km2암자라스암자라스, 와디 하와르 주
12엔네디 서부 (Ennedi-Ouest)60,617109,753117686km2파다파다, 무르차 주
9게라 (Guéra)538,359824,16162678km2몽고압투유르주, 바르 시그나카 주, 게라, 망갈메
13카넴 (Kanem)333,387505,83970516km2마오카넴, 북부 카넴 주, 와디 비쌈 주
14라크 (Lac)331,496509,25820543km2맘디, 와이 주
11로곤 서부 (Logone Occidental)689,0441,053,9588969km2문두도제주, 궤니주, 라크웨이, 응구르코소 주
7로곤 동부 (Logone Oriental)779,3391,184,56724119km2도바라냐주, 라냐 펜데 주, 라 펜데 주, 쿠 동부 주, 쿠 서부 주, 몽 드 람 주
15만둘 (Mandoul)628,0651,002,34617761km2쿰라바르 사라 주, 만둘 서부 주, 만둘 동부 주
6마요-케비 동부 (Mayo-Kebbi Est)774,7821,179,26018458km2봉고르카비아주, 마요 보네이 주, 마요-레미, 몽 드 일리 주
10마요-케비 서부 (Mayo-Kebbi Ouest)564,470858,59312787km2팔라라크 레레, 마요 달라 주
19므와앵샤리 (Moyen-Chari)588,008902,31142307km2사르바르 코, 그랑드 시도 주, 라크 이로
4와다이 (Ouaddaï)721,1661,102,46730790km2아베셰압디, 아숭가주, 와라
17살라마트 (Salamat)302,301470,25669631km2암 티만아부데이아, 바르 아줌 주, 하라제-망게뉴
18실라 (Sila)387,461591,30036745km2고즈 베이다주르프 알 아흐마르 주, 키미티 주
20탕질레 (Tandjilé)661,9061,007,81217891km2라이탕질레 동부 주, 탕질레 서부 주
21티베스티 (Tibesti)25,48352,626135896km2바르다이티베스티 동부 주, 티베스티 서부 주
16은자메나 (수도)951,4181,434,592408km2은자메나10개의 다와이르 또는 구역(arrondissements)



차드의 주요 도시와 인구는 다음과 같다.

차드의 도시들
순위도시인구지역
1993년 인구조사[73]2009년 인구조사[73]
1.은자메나530,965951,418은자메나
2.문두99,530137,251로곤 서부
3.아베셰54,62897,963와다이
4.사르75,49697,224므와앵샤리
5.켈로31,31957,859탕질레
6.암 티만21,26952,270살라마트
7.도바17,92049,647로곤 동부
8.팔라26,11649,461마요-케비 서부
9.봉고르20,44844,578마요-케비 동부
10.고즈 베이다3,08341,248실라


5. 지리

차드는 남쪽의 수다니아 사바나, 북쪽의 사하라 사막, 중앙의 사헬 지대로 구분되는 세 개의 뚜렷한 지역으로 나뉜다.


차드 지도


차드는 아프리카 중북부에 위치한 광대한 내륙국이다. 국토 면적은 1284000km2[7]로 세계에서 20번째로 크며,[46][47] 페루보다 약간 작고 남아프리카 공화국보다 약간 크다.[46][47] 북쪽으로 리비아, 동쪽으로 수단, 서쪽으로 니제르, 나이지리아, 카메룬, 남쪽으로 중앙아프리카 공화국과 국경을 접한다.[45] 수도 은자메나는 카메룬의 가장 가까운 항구 도시인 두알라에서 1060km 떨어져 있다.[45][48] 바다에서 멀리 떨어져 있고 대부분 사막 기후이며, 오랜 내전과 부정부패로 인해 때때로 "아프리카의 죽은 심장"이라고 불리기도 한다.[49]

차드의 지형은 북쪽과 동쪽이 엔네디 고원과 티베스티 산맥으로 둘러싸인 넓은 분지가 특징이다.[45] 북부 티베스티 산맥에는 사하라 사막 전체에서 가장 높은 산지이자 휴화산인 에미 쿠시가 있으며, 해발 3414m에 달한다.[45] 동부 수단 국경 부근에도 에네디 산맥과 와다이 산맥 등이 있다.

국명 '차드'는 차드호에서 유래했으며, 이 호수의 이름은 카누리어로 "호수"를 뜻하는 단어에서 왔다.[50] 차드호는 서쪽 끝에 위치하며, 7,000년 전에는 330000km2 면적의 거대한 호수였던 차드 분지의 잔재이다.[45] 21세기에는 면적이 17806km2 정도로 줄어들었고 계절에 따라 수면적이 크게 변동하지만,[51] 여전히 아프리카에서 두 번째로 큰 습지(호수)이다.[52] 1980년대와 1990년대 사막화로 인해 호수 존속이 우려되었으나, 1998년경부터 수위가 회복되기 시작하여 2003년 이후 회복 추세가 강해졌다.[197] 차드의 주요 강인 샤리 강과 그 지류인 로그네 강은 남동쪽에서 차드호로 흘러들어온다.[45][54]

차드의 기후는 대체로 위도에 따라 구분되며 북쪽으로 갈수록 건조해진다. 매년 열대 수렴대가 남쪽에서 북쪽으로 이동하며 우기를 가져오는데, 남부에서는 5월~10월, 사헬 지대에서는 6월~9월에 비가 내린다.[55] 이러한 강수량 차이로 인해 세 개의 주요 지리적 지역이 형성된다.[48]

  • 사하라 사막 지대: 국토 북부 3분의 1을 차지하며, 연 강수량이 50mm 미만인 사막 기후(BW)이다. 오아시스를 제외하면 식생이 거의 없고 광대한 사하라 사막이 펼쳐져 있다.[48]
  • 사헬 지대: 차드 중부에 해당하며, 연 강수량은 300mm에서 600mm 정도인 스텝 기후(BS)이다.[48][198] 건조한 초원과 가시덤불 스텝(주로 아카시아 나무)이 특징이다. 수도 은자메나(연 강수량 528mm[199])가 이 지역에 속한다.[48]
  • 수단 사바나 지대: 남부 지역으로, 연 강수량이 900mm를 넘으며[48] (600mm ~ 1500mm[198]) 사바나 기후(Aw)에 해당한다. 습윤 초원과 관목으로 이루어진 사바나가 펼쳐져 있다.[48]


차드에는 동 수다니아 사바나, 사헬 아카시아 사바나, 차드호 범람 사바나, 동 사하라 산악 건조림, 남 사하라 초원 및 삼림, 티베스티-제벨 우에이나트 산악 건조림 등 여섯 개의 주요 육상 생태 지역이 있다.[53]

5. 1. 야생 동물

아프리카코끼리


차드의 동식물은 세 가지 기후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사하라 사막 지역에서는 오아시스의 대추야자 숲만이 식물상을 이루며, 사헬 지대에는 야자수와 아카시아가 자란다. 남쪽의 수단 지대는 광활한 초원 또는 대초원으로 가축 방목에 적합하다. 2002년 기준으로 차드 전역에는 포유류 134종 이상, 조류 509종(텃새 354종, 철새 155종), 식물 1,600종 이상이 서식하고 있다.[57][56]

코끼리, 사자, 물소, 하마, 코뿔소, 기린, 영양, 표범, 치타, 하이에나 그리고 많은 종류의 이 서식하지만, 대부분의 대형 육식동물 개체 수는 20세기 초 이후 급격히 감소했다.[57][58] 특히 자쿠마 국립공원과 같은 남부 지역에서는 코끼리 밀렵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엔네디 고원에 서식하는 소수의 서아프리카 악어는 오늘날 사하라 사막에서 알려진 마지막 서식지 중 하나이다.[59]

차드의 산림 피복은 2020년 기준 전체 토지 면적의 약 3%인 4313000ha에 달하며, 이는 1990년의 6730000ha에서 감소한 수치이다. 2020년 자연적으로 재생된 산림은 4293000ha, 조림된 산림은 19800ha였다. 2015년 기준 산림 면적의 100%가 국유지로 보고되었다.[60][61]

차드의 2018년 산림 경관 무결성 지수 평균 점수는 6.18/10으로, 172개국 중 83위를 기록했다.[62] 광범위한 삼림 벌채로 인해 아카시아, 바오밥, 대추야자, 야자수와 같은 나무들이 사라졌고, 이는 야생 동물의 자연 서식지 파괴로 이어졌다. 인간 정착지 증가로 인한 사냥과 가축 사육 역시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사자, 표범, 코뿔소와 같은 동물의 개체 수가 크게 감소했다.[63]

국제연합 식량농업기구(FAO)는 차드 남동부 자쿠마 국립공원(ZNP), 시니아카-미니아, 아욱 보호구역에서 농민, 농목민, 목축민 간의 관계 개선을 통해 지속 가능한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64] 국가 차원의 보존 노력의 일환으로 사막의 확산을 막기 위해 120만 그루 이상의 나무를 다시 심었는데, 이는 아라비아 검을 생산하는 아카시아 나무와 과일 나무를 통해 경제적 수익을 창출하여 지역 경제에도 도움을 주고 있다.[63]

밀렵, 특히 수익성이 높은 상아 산업을 위한 코끼리 밀렵은 심각한 문제이며, 자쿠마와 같은 국립공원에서도 관리인들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다. 코끼리는 조직적인 밀렵꾼들에 의해 공원 안팎에서 종종 무리 지어 학살당한다.[65] 공원 인력이 부족하고 여러 관리인이 밀렵꾼들에게 살해당했다는 사실은 이 문제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66]

2023년 차드 중부, 카메룬과의 국경 근처에 있는 세나오우라 국립공원에서 약 20년 만에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던 사자가 확인되었다.[200]

6. 경제

1950년 이후 차드의 1인당 GDP 추이


차드는 유엔이 지정한 후발개도국 중 하나로,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국가 중 하나로 꼽힌다. 2009년 1인당 GDP(구매력평가 기준)는 1651USD에 불과했으며,[4] 인간개발지수 기준으로도 세계 최하위권에 머물러 있다. 인구의 약 80%가 빈곤선 이하의 생활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4] 빈곤 감소 노력으로 2003년 55%였던 빈곤율이 2011년 47%로 감소했으나, 절대적인 빈곤 인구는 오히려 470만 명(2003년)에서 650만 명(2019년)으로 증가했다. 2018년 기준으로도 여전히 10명 중 4.2명이 빈곤선 아래에서 살아가고 있다.[130]

차드의 경제는 전통적으로 남부 지역의 농업과 목축업에 크게 의존해왔다. 특히 면화는 석유 생산이 본격화되기 전까지 수출의 약 80%를 차지하는 핵심 작물이었다.[125] 그러나 2003년 남부 도바 유전에서 카메룬의 크리비 항까지 이어지는 1070km 길이의 파이프라인이 완공되면서[212] 석유가 새로운 주요 수출품으로 부상했다. 현재 차드 수출액의 대부분은 원유가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1996년부터 2005년까지 연평균 9%의 높은 경제 성장을 이끄는 원동력이 되기도 했으나,[228] 동시에 국제 유가 변동에 취약한 경제 구조를 만들었다.

차드의 경제 발전은 여러 구조적인 문제에 발목 잡혀 있다. 장기간 지속된 내전과 정치적 불안정, 정부의 낮은 통치 역량과 만연한 부패는 외국인 투자를 위축시키고 경제 성장을 저해하는 주요 원인이다.[204] 평화기금회가 발표하는 취약국가지수에서 차드는 꾸준히 최하위권을 기록하고 있다.[204] 식민지 시대부터 이어진 자원 착취 중심의 경제 구조와 산업화를 촉진하지 못한 세계 경제 시스템 편입,[122] 국내 농업 생산 지원 실패 등도 국민 대다수를 빈곤 속에 살게 하는 요인이다.[123][124] 또한, 교통망을 비롯한 사회 기반 시설 부족도 심각하다. 도로는 대부분 비포장 상태이며 우기에는 통행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고,[215] 철도는 존재하지 않아 물류 이동에 큰 제약을 받는다. 차드호와 연결된 하천 수운 역시 사막화의 영향으로 이용이 제한적이다.[215] 도시 지역의 기반 시설도 열악하여, 도시 거주자의 절반가량만이 깨끗한 식수를 이용할 수 있으며 기본적인 위생 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비율은 2%에 불과하다.[45][117]

차드의 기아 문제는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 2016년 세계 기아 지수(GHI)에서 차드는 조사 대상 118개 개발도상국 중 117위를 기록하며 세계 최악의 기아 수준을 보였다.[229] 이는 오랜 내전과 불안정한 식량 생산, 그리고 수단 다르푸르 지역과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등 주변국으로부터 대규모 난민 유입으로 인한 인도주의적 위기와도 관련이 깊다. 2008년 기준으로 차드는 약 28만 명의 수단 난민, 5만 5천 명의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난민, 그리고 17만 명 이상의 국내 실향민을 수용하고 있었다.[126] 이러한 상황은 인도주의적 지원에 대한 의존도를 높였으며, 2008년 은자메나 전투와 같은 분쟁은 구호 활동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127][128][129]

차드는 중앙아프리카 국가 은행, 중앙아프리카 관세 및 경제 연합(UDEAC), 아프리카 사업법 조화 기구(OHADA)의 회원국이며,[121] 통화는 중앙아프리카 CFA 프랑을 사용한다. 내전으로 인해 떠났던 외국인 투자자들은 2000년대 들어 석유 부문을 중심으로 다시 유입되기 시작했으나,[46][88] 여전히 경제 전반의 발전은 더딘 상황이다. 석유 외의 광물 자원으로는 탄산나트륨(나트론)이 과거 생산된 바 있으며,[121] 빌틴 주에서 금 함유 석영이 발견되기도 했고,[46] 우라늄 광맥도 존재하지만 개발은 지연되고 있다.

6. 1. 농업

차드 인구의 80% 이상이 생계를 위해 자급자족 농업과 축산업에 의존하고 있다.[46] 식민지 시대 자원 착취(주로 면화와 원유)와 지역 농업 생산 지원 실패는 많은 차드 국민들이 불안정한 삶과 기아에 시달리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123][124] 차드의 농업은 지역 기후에 따라 재배되는 작물과 가축의 종류가 다르다.

차드 북부는 건조 지역이어서 농업은 주로 중부와 남부에 집중되어 있다. 강수량 차이에 따라 지역별 재배 작물이 다르다. 농경 가능 한계선에 가까운 사헬 지대에서는 건조에 강한 수수가 주로 재배되며, 농경보다는 , 염소, , 당나귀, 등을 키우는 목축이 중심이다.[15][205] 북부 사막 지대의 오아시스에서는 대추야자와 콩류가 일부 생산되며,[15] 낙타 목축이 이루어진다.[210]

차드 호 주변에서는 범람원을 이용한 집약적인 옥수수 재배가 성행한다.[206] 1980년대 차드 호가 급격히 축소되면서 말라붙은 호수 바닥에 주민들이 정착하여 농업을 중심으로 목축과 어업을 결합한 개발이 빠르게 진행되어 식량 생산이 증가하기도 했다.[207]

영토의 남쪽 10%는 가장 비옥한 경작지로, 풍부한 수수기장이 생산된다.[15] 특히 샤리강과 로곤강 중류 지역은 비옥한 토양을 가진 곡창지대로, 수수를 중심으로 기장, 땅콩, 그리고 습지대를 이용한 등이 재배된다. 남동부에서는 카사바와 수수 재배가 주를 이루며, 땅콩과 기장도 함께 재배된다.[208] 상품 작물 중에서는 남부 샤리강 이남에서 재배되는 면화가 가장 중요하며, 석유 생산 이전에는 차드 수출의 약 80%를 차지하는 핵심 품목이었다.[125][208] 그러나 세계 면화 가격 하락으로 주요 면화 회사인 코통차드가 어려움을 겪었으며, 프랑스, 네덜란드, 유럽 연합, 국제부흥개발은행(IBRD)의 지원을 받아 재건되었다.[88] 2011년 기준 면화가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2%로 감소했다.[209]

물탑으로 물을 공급받는 마오의 여성들. 차드에서는 깨끗한 물을 이용하는 것이 종종 문제가 된다.


목축업 역시 중요한 산업으로, 북부에서는 낙타, 스텝이나 사바나에서는 를 주로 사육한다.[210] 2011년에는 가축 수출이 전체 수출액의 6.0%를 차지하여 원유 다음으로 중요한 수출품이 되었다.[209] 가축에서 얻는 고기와 가죽도 수출된다. 면화 외에도 와 아라비아 고무가 주요 수출품이다. 그러나 이러한 목축 활동은 사막화를 가속하는 부작용도 낳고 있다.

차드의 농업은 샤리강과 로곤강 유역의 습지 농업을 제외하면 대부분 강수량에 의존하는 천수 농업 형태이기 때문에, 강수량 변화에 따라 가뭄 피해를 자주 입는다.[211] 또한 도시 기반 시설이 부족하여 도시 거주자의 48%만이 식수를 이용할 수 있고, 2%만이 기본적인 위생 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45][117]

6. 2. 석유·에너지 산업

2019년 차드 수출품 비율


2000년대 들어 석유 부문에 대한 대규모 외국인 투자가 시작되면서 차드의 경제 전망에 변화가 생겼다.[46][88] 엑손모빌(ExxonMobil)이 주도하고 셰브런(Chevron Corporation)과 페트로나스(Petronas)가 참여한 컨소시엄은 차드 남부의 약 10억 배럴 규모 석유 매장량 개발에 37억달러를 투자했다. 2003년에는 남부 로곤 오리엔탈 주(Logone Oriental)의 도바(Doba) 유전에서 카메룬크리비(Kribi) 항까지 이어지는 총 길이 1070km의 석유 파이프라인이 완공되었다.[212] 이 파이프라인 건설에는 세계은행도 일부 자금을 지원했다.[88][120]

파이프라인 완공으로 하루 10만 배럴의 원유 생산 및 수출이 시작되었고,[212] 석유는 빠르게 차드의 주요 수출품으로 자리 잡았다. 과거 수출의 80%를 차지하던 면화를 제치고, 2011년 기준으로 원유는 차드 전체 수출의 86.7%를 차지하게 되었다.[213] 이로 인해 차드 경제는 국제 유가 변동에 민감한 구조가 되었으며, 실제로 2016년에는 유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경제 성장률이 -1.1%를 기록하기도 했다.[202]

도바 유전에서 발생하는 수익은 감시 위원회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214] 세계은행은 파이프라인 건설 자금 지원 조건으로 석유 수익의 80%를 빈곤 감소 등 개발 프로젝트에 사용하도록 요구했다. 그러나 2006년 1월, 차드 정부가 이 비율을 줄이는 법안을 통과시키자 세계은행은 대출 프로그램을 중단하는 등 갈등을 겪었다.[88][120] 같은 해 7월, 양측은 차드 정부가 석유 관련 지출의 70%를 우선순위 빈곤 감소 프로그램에 사용하기로 약속하는 내용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며 갈등을 봉합했다.[137]

한편, 차드의 에너지 사정은 여전히 열악하다. 국영 차드 수자원 및 전력 회사(STEE)는 수년간의 관리 부실로 수도 은자메나 시민의 15%, 전국 인구의 1.5%에게만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135] 2008년 기준으로 차드의 전력 생산은 거의 화력 발전에 의존하고 있으며,[212] 대부분의 국민들은 여전히 나무나 동물 배설물과 같은 바이오매스 연료를 주된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있다.[136]

석유 외에 다른 광물 자원 개발은 더딘 편이다. 아오주 지역(Aozu)에서 우라늄 광맥이 발견되었으나, 과거 리비아와의 영토 분쟁 등의 이유로 개발이 지연되고 있다. 1960년대에는 차드 광업에서 탄산나트륨(나트론)을 생산했으며,[121] 빌틴 주에서 금이 함유된 석영이 발견되었다는 보고도 있다.[46]

6. 3. 관광

차드 관광 정보는 주로 차드에서 가장 큰 보호구역인 자쿠마 국립공원에 대한 소개로 이루어져 있다.

6. 4. 교통

차드는 장기간의 내전과 교통망 미비로 경제 발전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도로망은 대부분 비포장 상태이며, 우기에는 통행이 불가능한 구간이 많다.[215] 내전으로 인해 교통 인프라 개발이 크게 저해되어, 1987년에는 포장 도로가 30km에 불과했다.[131] 이후 도로 재건 프로젝트를 통해 2004년까지 포장 도로는 550km로 확장되었으나,[132] 여전히 도로망은 제한적이며 상당 부분은 연중 몇 달 동안 통행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범아프리카 고속도로망 지도


차드를 통과하는 세 개의 범아프리카 고속도로 노선은 다음과 같다.

  • 트리폴리-케이프타운 고속도로 (3호선)
  • 다카르-은자메나 고속도로 (5호선)
  • 은자메나-지부티 고속도로 (6호선)


철도는 2011년까지 건설되지 않았으며,[133] 자체 철도망이 없어 수출입품의 해상 운송을 위해 카메룬의 철도 시스템과 두알라 항구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133] 수도 은자메나에서 수단과 카메룬으로 향하는 2개 노선 건설이 2016년 2월부터 시작되었으며, 2020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천 수운은 차드호와 연결된 강들을 이용한다. 차드호은자메나 사이는 연중 항행이 가능하지만, 최근 사막화 진행으로 다른 수로는 우기 외에는 선박 통행이 불가능하다.[215] 우기에는 샤리강을 따라 은자메나에서 사르까지, 로고네강을 따라 문두까지 항행할 수 있다.[215]

2013년 기준으로 차드에는 약 59개의 공항이 있으며, 그중 포장된 활주로를 갖춘 공항은 9개에 불과하다.[134] 수도에는 은자메나 국제공항이 있어 파리와 여러 아프리카 도시로 정기 직항편이 운항된다.

7. 인구

투부 유목민들, 에네디 산맥


차드 국가 통계청은 2015년 차드 인구를 13,630,252명에서 13,679,203명 사이로 추정했으며, 중간값 추정치는 13,670,084명이다. 중간값 추정치를 기준으로 도시 지역에는 3,212,470명, 농촌 지역에는 10,457,614명이 거주했다.[67] 차드 인구는 젊은 편이며, 15세 미만 인구가 약 47%를 차지한다. 출산율은 인구 1,000명당 42.35명으로 추정되며, 사망률은 16.69명이다. 평균 수명은 52세이다.[68] 2017년 중반 기준으로 국가 통계청은 인구를 15,775,400명으로 평가했으며, 그 중 15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수도 엔자메나에 거주하고 있다.

차드 인구는 불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다. 사하라 사막의 보르쿠-에네디-티베스티 주의 인구 밀도는 0.1명/km²인 반면, 로그원 서부 주의 인구 밀도는 52.4명/km²이다. 수도의 인구 밀도는 이보다 더 높다.[48] 국가 인구의 약 절반이 국토 남부 5분의 1에 거주하고 있어 이 지역이 가장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이다.[69]

도시 생활은 수도 엔자메나에 집중되어 있으며, 수도 인구는 대부분 상업에 종사하고 있다. 다른 주요 도시로는 사르, 문두, 아베셰, 도바가 있는데, 규모는 상당히 작지만 인구와 경제 활동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45] 2003년 이후, 전쟁으로 혼란에 빠진 다르푸르에서 23만 명의 수단 난민이 차드 동부로 피난했다. 동부 내전으로 인해 172,600명의 차드인들이 난민이 된 것과 더불어 이는 지역 사회 간의 긴장을 고조시켰다.[70][71]

일부다처제는 흔하며, 여성의 39%가 일부다처제 가정에서 생활하고 있다. 배우자가 결혼 시 이를 수용할 수 없다고 명시하지 않는 한 일부다처제를 자동으로 허용하는 법률에 의해 허용된다.[72] 여성에 대한 폭력은 금지되어 있지만, 가정 폭력은 흔하다. 여성 성기 절제 또한 금지되어 있지만, 이 관행은 널리 퍼져 있으며 전통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 차드 여성의 상당수가 이러한 절차를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성들은 교육과 훈련에서 동등한 기회를 누리지 못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정규 부문 일자리를 얻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프랑스 법에 기반한 재산 및 상속법이 여성을 차별하지 않지만, 지역 지도자들은 전통 관습에 따라 대부분의 상속 사건을 남성에게 유리하게 판결한다.[90]

7. 1. 민족

차드의 주민들은 동아프리카, 중앙아프리카, 서아프리카, 그리고 북아프리카에서 온 다양한 조상들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75] 차드에는 200개가 넘는 다양한 민족 집단이 존재하며,[88] 이들은 다양한 사회 구조를 이루고 있다. 식민 정부와 독립 정부는 국가적 통합을 시도했지만, 대부분의 차드 국민에게는 핵가족을 제외하고는 자신이 속한 지역 사회나 민족 집단이 가장 중요한 정체성의 기반이 된다.[15][45]

차드에서 춤을 추는 음붐 여성들


차드의 민족은 크게 거주 지역과 종교에 따라 나눌 수 있다. 북부와 중부에는 주로 이슬람교를 믿는 민족들이, 남부에는 기독교나 전통 애니미즘 신앙을 가진 민족들이 주로 분포한다.[216] 이러한 구분은 때때로 남북 간의 갈등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다만, 흔히 '남부 민족'으로 분류되는 집단이 거주하는 지역은 지리적인 남부 전체라기보다는 샤리강 이남의 남서부 지역에 비교적 한정되어 있으며, 그 외 넓은 지역은 '북부 민족'의 거주 지역으로 여겨진다.[216]

주민 대부분은 수단계 흑인이며, 주요 민족 집단은 다음과 같다.[216]

구분주요 민족주요 거주지 및 특징1993년 인구 비율[217]
남부 민족
(주로 정착 농경민)
사라족남서부 거주, 차드 최대 민족. 혈족 중심 사회.[15][45]27.7%
무단족남부 거주-
남부 민족 전체는 차드 인구의 약 절반 차지[216]
북부 및 중부 민족
(유목민 다수 포함)
아랍계 민족 (바가라족 등)중부 거주 유목민 중심, 차드 제2의 민족.12.3%
투부족 (다자족, 테다족 포함)북부 사하라 사막 거주 유목민.-
자가와족동부 거주-
하우사족--
풀베족--
카넴부족--
마바족--


7. 2. 언어

1996년 3월 31일자 헌법 9조 1항에 따라 차드의 공용어는 프랑스어아랍어이다. 이 외에도 사라어를 비롯한 120개 이상의 다양한 언어가 사용되고 있다. 차드는 프랑스어사용국기구(프랑코포니)의 정회원국이기도 하다.

차드에서 사용되는 언어들은 여러 어족에 걸쳐 분포한다. 차드어군은 아프로아시아어족의 일부로, 차드에서 유래한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수십 개의 토착 언어를 포함한다. 또한 중앙 수다니어군, 마반어군, 여러 나이저-콩고어족 언어들도 사용된다.

주요 지역별 언어는 다음과 같다.

  • 남부: 사라어군에 속하는 응가망바이어, 다른 어족인 무단어 등
  • 북부: 투부어군에 속하는 테다어와 다자가어 등
  • 차드호 주변: 카누리어
  • 중부: 차드 아랍어, 카넨부어, 마바어 등


특히 차드 아랍어는 이동 상인과 정착 상인들의 활동으로 인해 지역 사회에서 널리 쓰이는 링구아 프랑카 역할을 하고 있다.[15]

7. 3. 종교

차드는 종교적으로 다양한 국가이다. 퓨 리서치 센터의 2010년 조사를 포함한 여러 추산에 따르면 인구의 52~58%가 무슬림이고, 39~44%가 기독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10] 기독교인 중 가톨릭 신자는 22%, 개신교는 17%였다.[76][77] 소수의 인구(약 4% 추정)는 애니미즘을 포함한 토착 종교를 따른다.

2012년 퓨 리서치 조사에 따르면, 차드 무슬림의 48%는 수니파, 21%는 시아파, 4%는 아마디야, 23%는 특정 교파에 속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슬람은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나는데, 예를 들어 차드 무슬림의 55%는 수피 수도회에 속해 있다.[78] 차드에서 가장 흔한 이슬람 형태는 티자니야 수도회로, 무슬림의 35%가 이를 따르며 일부 지역 아프리카 전통 종교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78] 2020년 종교 데이터 아카이브 협회(ARDA)는 차드 무슬림 대다수가 티자니야 수피 수도회에 속한 수니파라고 추산했다.[79] 차드 무슬림 중 소수(5~10%)는 더 근본주의적인 관행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경우에는 사우디아라비아 중심의 살라피 운동과 관련될 수 있다.[79][80]

로마 가톨릭이 차드에서 가장 큰 기독교 종파이다.[79] 나이지리아에 기반을 둔 "위너스 채플"을 포함한 대부분의 프로테스탄트는 다양한 복음주의 기독교 단체와 제휴하고 있다. 바하이교와 여호와의 증인 신앙 공동체 구성원들도 차드에 있다. 두 종교 모두 1960년 독립 이후에 소개되었으므로 차드에서는 "새로운" 종교로 간주된다.[81][80]

애니미즘은 다양한 조상과 장소 중심의 토착 종교를 포함하며, 그 표현은 매우 특수하다. 프랑스미국 선교사들을 통해 전파된 기독교 역시 차드의 이슬람처럼 기존 토착 신앙 요소와 융합되는 모습을 보인다.[15]

무슬림들은 주로 차드 북부와 동부에 집중되어 있으며, 애니미스트와 기독교인들은 주로 차드 남부와 게라에 거주한다.[45] 많은 무슬림들이 차드 남부에도 거주하지만 북부의 기독교인은 거의 없다.[81] 헌법은 세속 국가를 규정하고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며, 다양한 종교 공동체는 일반적으로 문제없이 공존한다.[79][80]

차드에는 기독교와 이슬람 단체를 대표하는 외국 선교사들이 있다. 주로 수단, 사우디아라비아, 파키스탄 출신의 순회 무슬림 설교가들도 방문한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자금 지원은 일반적으로 사회 및 교육 프로젝트와 광범위한 모스크 건설을 지원한다.[80]

7. 4. 교육

차드의 교육자들은 인구가 넓게 흩어져 살고 있고, 자녀를 학교에 보내는 데 부모들이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등의 이유로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의무 교육이 시행되고 있지만, 남학생의 초등학교 취학률은 68%에 불과하며 인구의 절반 이상이 글을 읽고 쓰지 못한다. 고등 교육은 엔자메나 대학교에서 제공된다.[45][88] 차드의 문해율은 33%로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서 가장 낮은 수준에 속한다.[83]

2013년 미국 노동부의 차드 아동 노동 실태 조사[84]에 따르면, 5세에서 14세 사이 아동의 취학률은 39%에 불과했다. 이는 아동 노동 문제와도 관련이 있는데, 보고서에 따르면 5세에서 14세 사이 아동의 53%가 일을 하고 있으며, 7세에서 14세 사이 아동의 30%는 일과 학업을 병행하고 있었다. 보다 최근의 미국 노동부 보고서에서는 소 사육이 미성년 아동을 고용하는 주요 농업 활동으로 언급되었다.[85]

7. 5. 보건

차드의 기아 문제는 매우 심각한 상태이다. 매년 아일랜드의 비정부 기구(NGO)인 컨선월드와이드(Concern Worldwide), 독일의 NGO인 세계기아원조(Welthungerhilfe), 그리고 미국의 연구기관인 국제식량정책연구소(IFPRI)가 협력하여 발표하는 세계기아지수(GHI)에 따르면, 2016년 차드의 기아지수는 100점 만점 중 44.3점을 기록했다. 이는 당시 가장 심각한 기아 수준을 보인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46.1점과 비교해도 큰 차이가 없는 수준이며, 조사 대상이었던 118개 개발도상국 중 117위에 해당하여 매우 심각한 기아 상태를 보여준다.[229] 또한, 임신과 출산으로 인한 여성 사망률이 6.49%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218]

8. 외교

워싱턴 D.C. 주재 차드 대사관


차드의 외교 관계는 주변국과의 분쟁과 강대국의 개입으로 복잡한 양상을 보여왔다. 특히 이드리스 데비 정권 시기에는 지도부 내 갈등으로 분열되었음에도 데비 정권 전복을 목표로 하는 여러 무장 반군 세력의 도전에 직면했다.[103] 이들 세력은 2006년 4월 13일 수도 은자메나를 공격하기도 했으나 결국 격퇴되었다.

차드에 가장 큰 외국 영향력을 행사하는 국가는 과거 식민 종주국이었던 프랑스로, 차드에 1,000명의 병력을 주둔시키고 있다. 데비 정권은 반군을 격퇴하는 과정에서 프랑스의 군사적 지원(물류 및 정보)에 크게 의존했으며, 프랑스는 차드의 불안정이 지역 전체로 확산될 것을 우려하여 개입해왔다.[104] 그러나 1999년 차드가 미국의 엑손모빌 회사에 석유 시추 권한을 부여하면서 프랑스와의 관계가 일부 악화되기도 했다.[105]

차드는 수십 년간 다양한 반군 세력 문제로 어려움을 겪어왔다. 2007년에는 민주변화를 위한 통합전선(FUC) 군인을 정부군에 통합하는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고,[106] 차드 정의민주운동(MDJT)과 같은 다른 반군 단체들도 2003년 데비 대통령 전복을 시도하며 정부군과 충돌했다. 또한 동부 지역에서는 수단 하르툼 정부의 지원을 받는 것으로 알려진 잔자위드 민병대와의 충돌도 발생했으며, 이 과정에서 헬리콥터 기관총 등을 동원한 민간인 살해가 보고되기도 했다.[107] 저항세력연합(UFR)과 같은 반군 단체는 2010년 기준으로 약 6,000명의 병력과 300대의 차량을 보유하고 정부와 계속해서 대립하는 것으로 알려졌다.[108]

차드는 대한민국, 리비아, 수단, 루마니아, 벨기에, 아랍에미리트,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니제르, 나이지리아, 카메룬, 중화인민공화국, 이스라엘, 일본 등 여러 국가와 외교 관계를 맺고 있다. 각 국가와의 관계는 역사적 배경, 지리적 인접성, 경제적 이해관계, 지역 안보 문제 등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 참고)

8. 1. 한국과의 관계

1961년 한국과 수교하였으며 의료, 무역협정을 체결했다. 현재 주카메룬대사관에서 겸임하고 있다. 북한과는 1969년 수교하였다.

8. 2. 리비아와의 관계

차드는 북쪽 이웃인 리비아와 북부 국경 지대인 아오주지대의 영유권을 둘러싸고 오랫동안 대립해왔다. 특히 1980년대에는 리비아가 당시 차드의 하브레 정권에 반대하는 구쿠니 세력을 지원하며 군대를 파견했고, 이로 인해 리비아군과 차드군 사이에 토요타 전쟁을 포함한 군사적 충돌이 발생했다. 이 전쟁에서 차드가 승리하였으나, 양국 관계는 극도로 악화되었다. 1988년 양국 간에 휴전이 성립되었고, 분쟁 지역의 귀속 문제는 국제사법재판소(ICJ)로 넘어갔다. 1994년 국제사법재판소는 아오주지대가 차드의 영토라고 판결했으며, 이후 유엔 아오주지대 감시단(UNASOG)이 파견되어 리비아군의 철수를 감시했다.

8. 3. 수단과의 관계

수단과는 동쪽으로 국경을 맞대고 있으며, 2003년경부터 다르푸르 분쟁이 심화되면서 관계에 영향을 받기 시작했다. 분쟁으로 인해 수단에서 차드로 난민이 대거 유입되었고, 차드 내 반정부 세력의 활동도 활발해졌다. 양국은 서로 상대방의 반정부 세력을 지원하고 있다고 의심하며 관계가 악화되었다.[193] 차드 동부에서는 수단 하르툼 정부의 지원을 받는 것으로 알려진 잔자위드 반군과 여러 차례 충돌이 있었으며, 이들은 헬리콥터 기관총 등을 동원해 민간인을 공격하기도 했다.[107]

2006년 4월에는 차드의 반정부군이 수도 은자메나를 공격하는 사태까지 벌어졌다. 당시 이드리스 데비 대통령은 공격을 격퇴하고 다음 해 총선에서 승리하며 권력 기반을 다졌으나, 2008년 1월에는 움하제르, 아티 등이 반정부 세력의 영향권 아래 놓였고, 2월에는 수도 은자메나가 다시 공격받는 등 불안정한 상황이 이어졌다. 2008년 5월, 수단다르푸르 반군 조직이 수단의 수도 하르툼을 공격하자, 수단 정부는 그 배후로 차드를 지목하며 외교 관계 단절을 선언하기도 했다.[230]

이후 양국은 관계 개선을 모색하여 2010년 2월 공식적으로 화해하고 외교 관계를 복원하였다.[176] 그러나 다르푸르 분쟁의 여파는 계속되어, 2023년 8월에는 아랍에미리트(UAE)가 차드 내 수단 난민들을 위한 인도주의적 구호 활동을 시작하는 등[109][110] 분쟁으로 인한 문제가 완전히 해소되지는 않았다.

8. 4. 기타 국가와의 관계

;대한민국과의 관계

대한민국과 1961년 수교하였으며 의료, 무역협정을 체결했다. 현재 주카메룬 대한민국 대사관에서 겸임하고있다. 북한과는 1969년 수교하였다.

;리비아와의 관계

차드 정부는 리비아 정부와 북쪽 국경 아오주지대를 둘러싸고 오랫동안 대립해왔다. 1980년대에는 리비아가 당시 히센 하브레 정권과 대립하는 구쿠니 웨데이 세력을 지원하였고, 파병된 리비아군과 차드군 사이에 토요타 전쟁이 발생했다. 이후 차드가 승리하였고, 이로 인해 리비아와 차드의 사이가 극도로 나빠졌다. 1988년 휴전이 성립된 후, 1994년 국제사법재판소(ICJ)의 판결에 따라 아오주지대는 차드 영토가 되었고, 유엔 아오주지대 감시단(UNASOG)이 파견되어 리비아군의 철수를 감시했다.

;수단과의 관계

동쪽 이웃 수단과는 2003년경부터 다르푸르 분쟁이 심화됨에 따라 수단에서 차드로 난민 유입이 발생했을 뿐만 아니라, 차드의 반정부 세력도 활성화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차드는 수단이 차드의 반정부 세력을 지원한다고 판단했고, 수단은 차드가 수단의 반정부 세력을 지원한다고 판단하여 양국 관계가 악화되었다.[193] 2008년 5월, 수단다르푸르 반군 조직이 수도 하르툼을 공격하자, 수단은 다르푸르의 배후로 차드를 지목하며, 외교 관계를 단절하였다.[230] 2006년 4월에는 반정부군이 수도 은자메나를 공격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이드리스 데비 대통령은 공격을 격퇴하고, 이듬해 5월 총선에서 승리하여 다시 국내 체제를 강화했지만, 2008년 1월에는 움하제르(Oum Hadjer), 아티가 반정부 세력의 영향하에 들어갔고, 이듬해 2월에는 다시 수도 은자메나가 공격을 받았다. 그 후, 2010년 2월 양국이 화해하여 관계가 회복되었다.[176]

;루마니아와의 관계

차드는 루마니아1969년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으며, 국기가 비슷한 것으로 보이지만 EU 평화 유지군의 임무도 또한 참관하였던 내역도 역시 있었다.

;프랑스·벨기에와의 관계

차드는 프랑스, 벨기에와의 대외 관계는 어느 정도 유지되고 있으나, 차드와 두 나라 사이의 상주공관 여부를 보면 차드는 프랑스파리벨기에 브뤼셀에 대사관을 동시에 두고 있으며, 프랑스은자메나에 대사관을 따로 파견되는 반면 벨기에카메룬 야운데 주재 대사관이 차드를 따로 파견하고 있다.

데비는 지도부 갈등으로 심하게 분열되었지만 그를 전복하려는 의도만은 하나였던 여러 무장 반군 세력의 반대에 직면했다.[103] 이들 세력은 2006년 4월 13일 수도를 공격했지만 결국 격퇴되었다. 차드에 가장 큰 외국 영향력을 행사하는 국가는 프랑스로, 차드에 1,000명의 병력을 주둔시키고 있다. 데비는 반군을 격퇴하는 데 프랑스의 지원에 의존했으며, 프랑스는 지역 안정의 완전한 붕괴를 우려하여 차드군에 물류 및 정보 지원을 제공했다.[104] 그럼에도 불구하고 1999년 미국의 엑손모빌 회사에 대한 석유 시추 권한 부여로 프랑스-차드 관계는 악화되었다.[105]

;아랍에미리트와의 관계

UAE의 외국 원조는 2023년 8월 3일 차드의 아므자라스(Amdjarass)시에서 시작되었다. UAE는 차드 국민에게 지속적으로 지원을 제공하고 UAE의 인도주의 기관을 통해 차드의 수단 난민에게 인도주의적 구호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노력을 지원하고 있다.[109][110]

;중앙아프리카 공화국과의 관계

남쪽 이웃 중앙아프리카에는 데비 정권이 반복적으로 개입했다. 2003년에는 프랑수아 보지제의 쿠데타를 지원했고, 보지제 대통령과의 관계가 악화되자 동국 북부의 이슬람교도 반정부 세력인 셀레카와 우호적인 관계를 맺었다. 2013년 셀레카가 정권을 장악하자 미셸 조토디아 잠정 대통령의 군사 정권을 지원했지만, 통치 능력이 없는 조토디아가 동국의 치안을 극도로 악화시키자 지원을 중단했고, 2014년 1월 조토디아는 사임을 강요당했다. 그러나 조토디아 정권이 붕괴되자, 그 배후였던 차드에 대한 불만이 폭발하여 많은 차드인들이 중앙아프리카에서 탈출했고, 유엔PKO중앙아프리카 지원 국제 임무에 참여했던 차드군도 철수했다.[194]

;서아프리카 국가와의 관계

서쪽 이웃 니제르, 나이지리아, 카메룬과는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있으며, 2015년 이후 격화되는 보코 하람의 테러 활동에 대해서는 이들 국가와의 공동 작전을 자주 실시하고 있다.[195]

;중화인민공화국·중화민국과의 관계

차드는 중화민국(타이완)의 승인국이었지만(1962년 - 1972년, 1997년 - 2006년), 아프리카에서 적극적인 외교를 펼치는 중화인민공화국과 2006년 8월 복교했다.[168] 따라서 현재 중화민국과는 단교 상태이다.

;이스라엘과의 관계

북부 국민이 이슬람교도 중심이기도 하여, 1972년 이스라엘과 단교하였다. 그러나 이슬람 과격파 대책 등으로 인해 이스라엘에 재접근하여, 2018년 11월 데비가 차드 지도자로서 처음으로 이스라엘을 방문했다. 2019년 1월에는 이스라엘 총리 벤야민 네타냐후가 은자메나를 방문하여 국교 회복에 합의하고 군사·안보 협정을 체결했다.[196]

;일본과의 관계

구분인원수기준 연도
차드 체류 일본인5명2022년 6월[168]
일본 체류 차드인4명2021년 6월[168]


9. 문화

다양한 민족과 언어를 가진 차드는 풍부한 문화 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차드 정부는 차드 국립 박물관과 차드 문화 센터를 개관하여 차드 문화와 전통을 적극적으로 홍보해왔다.[45]

차드 재봉사가 전통 의상을 판매하고 있다.

9. 1. 음식 문화

수수차드 요리의 주요 주식이다. 수수로 만든 반죽 공을 소스에 찍어 먹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이 요리는 북부에서는 ''알리시''(alysh)라고 불리고, 남부에서는 ''비야''(biya)라고 한다. 이외에도 이나 키스라(Kisra)라고 불리는 , 그리고 인제라도 주식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소비되는 다른 곡물로는 기장이 있다.

생선 요리도 인기가 많은데, 주로 ''살랑가''(salanga)나 ''반다''(banda) 형태로 준비되어 판매된다. 살랑가는 햇볕에 말리고 약간 훈제한 알레스테스속이나 히드로키누스속 생선을 의미하고, 반다는 훈제한 대형 생선을 말한다.[141] 생선은 훈제 외에도 절임 형태로도 소비된다.

음료로는 히비스커스 잎으로 만든 달콤한 붉은 차인 ''카르카제''(Carcaje)가 인기가 있다. 알코올 음료는 주로 남부 지역에서 소비되는데, 사람들은 수수 맥주를 즐겨 마신다. 붉은 수수로 만든 맥주는 ''빌리-빌리''(billi-billi)라고 하고, 흰 수수로 만든 맥주는 ''코샤테''(coshate)라고 부른다.[142]

주요 식재료로는 오크라카사바 같은 채소가 있으며, 육류 소비도 이루어진다. 일부 지역에서는 곤충 식용 문화도 확인된다.

9. 2. 문학

다른 사헬 지대 국가들처럼 차드 문학은 경제적, 정치적, 정신적 어려움을 겪었으며, 이는 잘 알려진 작가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차드 작가들은 주로 망명하거나 해외에 머물면서 글을 쓸 수밖에 없었고, 이 때문에 정치적 억압과 역사적 사건을 다루는 주제가 문학의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1962년 이후 20명의 차드 작가들이 약 60편의 소설을 발표했다.

국제적으로 알려진 작가로는 조셉 브라힘 세이드, 바바 무스타파, 앙투안 방귀, 쿨시 람코 등이 있다. 비록 차드가 문학계에서 세계적으로 아주 유명한 인물을 많이 배출하지는 못했지만, 극작가인 바바 무스타파, 정치가이자 작가인 앙투안 방귀와 조제프 브라힘 세이드, 시인이자 소설가이며 대학 강사였던 쿨시 람코와 같이 실력 있는 문인들이 활동하고 있다.

2003년, 차드의 유일한 문학 비평가인 아마트 타보예는 차드 문학에 대한 국제적 이해와 젊은 세대의 관심을 높이고, 부족한 출판 및 홍보 환경을 보완하기 위해 Anthologie de la littérature tchadienne|앙톨로지 드 라 리테라튀르 차디엔프랑스어(차드 문학 선집)을 출판했다.[142][144][145]

9. 3. 음악

차드의 음악은 다양한 악기를 포함하는데, 활 모양의 하프인 ''킨데''(kindeund), 긴 틴호른인 ''카카키''(kakakiha), 그리고 박(calabash)을 확성기로 사용하는 현악기인 ''후후''(hu huund) 등이 있다. 특정 민족 집단은 특정 악기나 조합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사라족은 호루라기, 발라폰, 하프, ''코조''(kodjound) 드럼을 선호하며, 카넴부족은 드럼 소리와 플루트 같은 악기의 소리를 결합한다.[142]

1964년에 결성된 차리 재즈는 차드의 현대 음악계를 개척한 그룹으로 평가된다. 이후 아프리칸 멜로디(African Melody영어)나 인터내셔널 샬랄(International Challal영어)과 같은 그룹들은 현대적인 요소와 전통적인 요소를 혼합하려는 시도를 했다. 반면, 티베스티(Tibesti영어)와 같은 인기 그룹들은 차드 남부의 전통 음악 스타일인 ''사이''(saiund)를 활용하며 전통 계승에 더 중점을 두었다. 과거 차드 사람들은 현대 음악을 멸시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1995년을 기점으로 관심이 증가하면서 차드 예술가들의 CD나 오디오 카세트 유통이 촉진되었다. 하지만 저작권 침해 문제와 예술가의 권리에 대한 법적 보호 장치가 미흡하다는 점은 차드 음악 산업 발전에 여전히 과제로 남아 있다.[142][143]

9. 4. 영화

차드의 영화 산업은 1960년대 에두아르 살리(Edouard Sailly)의 단편 영화로 시작되었으나, 내전의 피해와 전국에 단 하나뿐인 영화관(은자메나의 노르망디(Normandie)) 부족으로 인해 발전이 저해되었다.[149][150] 차드의 장편 영화 산업은 1990년대에 이르러 마하마트-살레 하룬, 이사 세르주 셀로, 아바카르 셰네 마사르(Abakar Chene Massar)와 같은 감독들의 등장으로 다시 성장하기 시작했다.[151]

마하마트-살레 하룬 감독의 영화 ''아부나''는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았으며, 그의 또 다른 작품 ''다라트''(دارات|다라트ar)는 제63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에서 심사위원 특별상을 수상했다. 2010년에는 장편 영화 ''소리치는 남자''(Un homme qui crie|소리치는 남자프랑스어)로 2010 칸 영화제에서 심사위원상을 수상하며, 칸 영화제 경쟁 부문에 처음으로 진출하여 수상한 최초의 차드 감독이 되었다.[152] 이사 세르주 셀로 감독은 ''다레살람''(دار السلام|다레살람ar)과 ''DP75: 타르티나 시티''(DP75: Tartina City|DP75: 타르티나 시티프랑스어) 등의 작품을 감독했다.[153][154][155][156]

9. 5. 스포츠

축구는 차드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이다.[157] 국가대표팀은 국제 대회 기간 동안 많은 관심을 받으며, 차드 출신 축구 선수들은 프랑스 리그에서 활약하기도 했다.[142] 1988년에는 국내 축구 리그인 차드 프리미어 리그가 창설되었으며, 르네상스 FC가 6연패를 포함해 리그 최다인 7회 우승을 차지했다. 차드 축구 연맹이 구성하는 국가대표팀은 아직 FIFA 월드컵이나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진출한 경험은 없다. 농구와 프리스타일 레슬링도 널리 행해지는데, 특히 레슬링은 선수들이 전통적인 동물 가죽을 입고 몸에 흙을 묻히는 방식으로 진행된다.[142]

9. 6. 세계유산

차드에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된 유산이 2건 있다. 하나는 자연유산이고, 다른 하나는 복합유산이다.

우니앙가 호수군은 사하라 사막 중앙부, 북부 티베스티 산지 서부에서 에네디 지방 동부에 걸쳐 있는 호수군으로, 2012년에 자연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에네디 산지의 자연 및 문화 경관 역시 사하라 사막에 위치하며, 2016년에 복합유산으로 등재되었다.[222]

9. 7. 공휴일

wikitext


참조

[1] 웹사이트 Analyse Thematique des Resultats Definitifs Etat et Structures de la Population https://web.archive.[...] Institut National de la Statistique, des Études Économiques et Démographiques du Tchad 2020-05-03
[2] 뉴스 Chad's military ruler Mahamat Deby names transitional parliament https://www.aljazeer[...] 2021-09-24
[3] CIA World Factbook 2023-06-22
[4]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3 Edition. (Chad) https://www.imf.org/[...]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23-10-10
[5] 웹사이트 Gini Index coefficient https://www.cia.gov/[...] The World Factbook 2024-09-24
[6] 간행물 Human Development Report 2023/24 https://hdr.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24-03-13
[7] 웹사이트 Le TCHAD en bref https://web.archive.[...] INSEED 2013-07-22
[8] 웹사이트 Glottolog 4.8 - Languages of Chad https://glottolog.or[...]
[9] 웹사이트 Religions in Chad | PEW-GRF https://web.archive.[...]
[10] 웹사이트 Enquête Démographique et de Santé 1996–1997 https://dhsprogram.c[...]
[11] 웹사이트 Chad's authoritarian Deby unwilling to quit https://www.dw.com/e[...] 2016-04-08
[12] 잡지 This African Country Has Had a Yearlong Ban on Social Media. Here's What's Behind the Blackout https://time.com/555[...] 2019-03-28
[13] 웹사이트 ExxonMobil and Chad's Authoritarian Regime: An 'Unholy Bargain' https://www.pri.org/[...] Public Radio International 2012-06-05
[14] 서적 Decalo
[15] 서적 Chad
[16] 서적 1988
[17] 서적 Decalo
[18] 서적 Decalo
[19] 백과사전 Welcome to Encyclopædia Britannica's Guide to Black History https://www.britanni[...]
[20] 서적 Decalo
[21] 서적 Decalo
[22] 서적 Decalo
[23] 서적 Decalo
[24] 서적 Nolutshungu
[25] 뉴스 Death of a Dictator https://web.archive.[...] Time 1975-04-28
[26] 서적 Decalo
[27] 서적 Nolutshungu
[28] 서적 Nolutshungu
[29] 서적 Nolutshungu
[30] 서적 Arabs at War: Military Effectiveness, 1948–1991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002
[31] 서적 Universal Jurisdiction: National Courts and the Prosecution of Serious Crimes Under International Law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06
[32] 웹사이트 Chad: the Habré Legacy https://www.amnesty.[...] Amnesty International 2001-10-16
[33] 서적 Nolutshungu
[34] 뉴스 Chad ex-leader Habre charged in Senegal with war crimes https://www.bbc.co.u[...] BBC 2013-07-02
[35] 뉴스 Hissène Habré: Chad's ex-ruler convicted of crimes against humanity https://www.bbc.com/[...] BBC 2016
[36] 서적 Profiles of People in Power: The World's Government Leaders Routledge
[37] 뉴스 Le pétrole au cœur des nouveaux soubresauts au Tchad IPS
[38] 뉴스 Chad may face genocide, UN warns http://news.bbc.co.u[...] BBC News 2007-02-16
[39] 뉴스 Chad's leader asserts he controls https://www.usatoday[...] USA Today 2008-02-06
[40] 간행물 World Report 2011: Chad https://web.archive.[...] Human Rights Watch 2011-01-24
[41] 뉴스 Chad government foils coup attempt – minister https://web.archive.[...] Reuters
[42] 뉴스 Chad's president Idriss Déby dies 'in clashes with rebels' https://www.bbc.com/[...] BBC News 2021-04-20
[43] 뉴스 Chad in turmoil after Deby death as rebels, opposition challenge military https://www.reuters.[...] Reuters 2021-04-21
[44] 뉴스 Chad transitional ruler inaugurated amid legitimacy concerns https://www.voanews.[...] Voice of America 2024-05-23
[45] 백과사전 Chad Encyclopædia Britannica
[46] 간행물 Chad CIA
[47] 웹사이트 Rank Order – Area https://www.cia.gov/[...] United States Central Intelligence Agency
[48] 웹사이트 Chad http://www.unhchr.ch[...] United Nations Commission on Human Rights 1997-12-12
[49] 학술지 S.H. Frankel: Reminiscences of an Economist (Review Article) 1992-12
[50] 서적 Glocal English: The Changing Face and Forms of Nigerian English in a Global World Peter Lang
[51] 백과사전 Chad, Lake Encyclopædia Britannica
[52] 서적 Restoring and Protecting the World's Lakes and Reservoirs World Bank Publications
[53] 학술지 An Ecoregion-Based Approach to Protecting Half the Terrestrial Realm
[54] 서적 Le Peuple Tchadien: ses racines et sa vie quotidienne L'Harmattan
[55] 서적 Decalo
[56] 학술지 The Flora of Chad: a checklist and brief analysis https://www.pensoft.[...]
[57] 웹사이트 Important Bird Areas in Africa and associated islands – Chad https://web.archive.[...] Birdlife International Organization
[58] 웹사이트 Plant and Animal Life https://web.archive.[...] The Living Africa
[59] 학술지 Crocodiles in the Sahara Desert: An Update of Distribution, Habitats and Population Status for Conservation Planning in Mauritania 2011-02-25
[60] 보고서 Terms and Definitions FRA 2025 Forest Resources Assessment, Working Paper 194 https://openknowledg[...]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61] 웹사이트 Global Forest Resources Assessment 2020, Chad https://fra-data.fao[...]
[62] 학술지 Anthropogenic modification of forests means only 40% of remaining forests have high ecosystem integrity – Supplementary Material
[63] 웹사이트 Our Africa http://www.our-afric[...] Our Africa organization
[64] 웹사이트 Livestock-wildlife-environment interactions in Chad https://web.archiv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65] 잡지 African Elephants Slaughtered in Herds Near Chad Wildlife Park https://web.archive.[...] 2006-08-30
[66] 뉴스 Rangers in Isolated Central Africa Uncover Grim Cost of Protecting Wildlife https://www.nytimes.[...] 2012-12-31
[67] 보고서 Projections demographiques 2009–2050 Tome 1: Niveau national https://web.archive.[...] INSEED 2014-07
[68] 웹사이트 Life expectancy at birth, total (years) http://data.worldban[...] World Bank 2016-10
[69] 웹사이트 Chad Livelihood Profiles http://pdf.usaid.gov[...] United State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2005-03
[70] 웹사이트 COMMISSION DECISION of on the financing of a Global Plan for humanitarian operations from the budget of the European Union in CHAD http://ec.europa.eu/[...] European Commission
[71] 웹아카이브 Chad: Humanitarian Profile – 2006/2007 http://www.reliefweb[...] Office for the Coordination of Humanitarian Affairs 2007-01-08
[72] 웹아카이브 Chad http://www.reproduct[...] Center for Reproductive Rights 2000
[73] 웹사이트 INSEED-TCHAD – Document http://www.inseed-td[...] Inseed-td.net 2018-04-24
[74] 웹사이트 Global Hunger Index Scores by 2024 GHI Rank https://www.globalhu[...] 2024-12-13
[75] 논문 Chad Genetic Diversity Reveals an African History Marked by Multiple Holocene Eurasian Migrations 2016-12-01
[76] 웹사이트 Table: Christian Population as Percentages of Total Population by Country http://www.pewforum.[...] Pew Research Center 2011-12-19
[77] 웹사이트 Table: Muslim Population by Country http://www.pewforum.[...] Pew Research Center 2011-01-27
[78] 웹사이트 The World's Muslims: Unity and Diversity http://www.pewforum.[...] Pew Forum on Religious & Public life 2012-08-09
[79] 웹사이트 Religious demographics (Chad) https://www.thearda.[...] 2020
[80] 웹아카이브 Chad https://2001-2009.st[...] Bureau of Democracy, Human Rights, and Labor, U.S. Department of State 2006-09-15
[81] 웹사이트 2021 Report on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Chad https://www.state.go[...]
[82] 웹아카이브 Pew Research Center's Religion & Public Life Project: Chad http://www.globalrel[...] Pew Research Center 2010
[83] 웹사이트 50 Things You Didn't Know About Africa http://www.saylor.or[...] World Bank
[84] 웹사이트 Findings on the Worst Forms of Child Labor – Chad http://www.dol.gov/i[...]
[85] 웹사이트 List of Goods Produced by Child Labor or Forced Labor http://www.dol.gov/i[...]
[86] 웹사이트 Chad 1996 (rev. 2005) https://www.constitu[...]
[87] 뉴스 Chad votes to end two-term limit http://news.bbc.co.u[...] BBC News 2005-06-22
[88] 웹아카이브 Background Note: Chad https://2009-2017.s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06-09
[89] 웹아카이브 Republic of Chad – Public Administration Country Profile http://unpan1.un.org[...]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2004-11
[90] 웹아카이브 Chad https://2001-2009.st[...] Bureau of Democracy, Human Rights, and Labor, U.S. Department of State 2007-03-06
[91] 웹아카이브 Chad http://www.amnesty.o[...] Amnesty International Publications
[92] 웹사이트 Chad (2006) http://www.freedomho[...] Freedom House, Inc.
[93] 웹아카이브 Chad leader's victory confirmed http://news.bbc.co.u[...] BBC News 2006-05-14
[94] 웹사이트 Fragile States Index {{!}} The Fund for Peace https://fragilestate[...]
[95] 웹사이트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latest) https://www.transpar[...] Transparency International
[96] 뉴스 Isolated Deby clings to power http://news.bbc.co.u[...] BBC News 2006-04-13
[97] 뉴스 Commercialisation is destroying community rules https://www.dandc.eu[...] 2017-06-17
[98] 뉴스 Chad President Idriss Deby killed on frontline, son to take over https://news.trust.o[...] Thomas Reuters News 2021-04-20
[99] 웹사이트 Chad Sets Up Transitional Military Council Headed By Son Of Late President – Reports https://www.urdupoin[...]
[100] 웹사이트 Chad President Idriss Deby dies on front lines, according to an army statement https://www.dw.com/e[...] 2021-04-20
[101] 웹사이트 Calm and order in Chad three months after Idriss Déby's death https://www.africane[...] 2021-07-19
[102] 웹사이트 The V-Dem Dataset https://www.v-dem.ne[...] V-Dem Institute 2023
[103] 웹아카이브 Tchad: vers le retour de la guerre? http://www.crisisgro[...] International Crisis Group 2006-06-01
[104] 웹사이트 Instability on the March in Sudan, Chad and Central African Republic http://www.pinr.com/[...] PINR 2006-12-06
[105] 웹아카이브 Chad's vulnerable president http://news.bbc.co.u[...] BBC News 2006-03-15
[106] 서적 Early to War: Child Soldiers in the Chad Conflict https://books.google[...] Human Rights Watch
[107] 웹사이트 Victims of Genocide in Darfur: Past, Present, and Future – Sudan Tribune: Plural news and views on Sudan http://www.sudantrib[...] 2013-09-28
[108] 웹사이트 Chad rebels say to resume fight, Deby's promises unmet https://www.reuters.[...] 2013-03-21
[109] 웹사이트 United Arab Emirates (UAE) Opens Coordination Office for Foreign Aid in Chad https://african.busi[...] 2023-08-04
[110] 웹사이트 UAE opens coordination office for foreign aid in Chad https://www.zawya.co[...] 2023-08-04
[111] CIA World Factbook 2021-09-29
[112] 웹사이트 Military expenditure (% of GDP) | Data https://data.worldba[...] 2020-01-01
[113] 웹사이트 Regions of Chad http://www.statoids.[...] 2015-06-15
[114] 간행물 Tableau des codes des circonscritions – Ministère de l'Intérieur 2008-04
[115] 뉴스 Chad https://2001-2009.st[...] Bureau of Democracy, Human Rights, and Labor, U.S. Department of State 2005-02-28
[116] 간행물 A qui Profitent les Dépenses Sociales au Tchad? Une Analyse d'Incidence à Partir des Données d'Enquête http://www.pep-net.o[...] Poverty and Economic Policy null
[117] 웹사이트 Chad – Community Based Integrated Ecosystem Management Project http://www-wds.world[...] World Bank 2002-09-24
[118] 웹사이트 Tchad http://www.unesco.or[...] UNESCO, Education for All null
[119] 웹사이트 La decentralisation au Tchad https://web.archive.[...] 2007-06-19
[120] 웹사이트 Chad http://www.oecd.org/[...] OECD 2007-05
[121] 웹사이트 OHADA.com: The business law portal in Africa http://www.ohada.com[...] 2009-03-22
[122] 서적 Poverty and neoliberalism: persistence and reproduction in the global south https://books.google[...] Pluto Press
[123] 서적 Maldevelopment: Anatomy of a Global Failure https://books.google[...] United Nations University Press
[124] 서적 Looting Africa: The Economics of Exploitation https://books.google[...] Zed Books
[125] 참고자료 Decalo
[126] 웹사이트 Humanitarian Action in Chad: Facts and Figures – Snapshot Report http://webarchive.lo[...] UN 2008-03-06
[127] 웹사이트 Eastern Chad: Concerns over vital humanitarian needs http://webarchive.lo[...] UN 2008-02-07
[128] 뉴스 Chadian Rebels Urge Cease-Fire As Push Falters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08-02-06
[129] 웹사이트 Crisis in Chad http://www.savethech[...] 2013-09-28
[130] 웹사이트 The World Bank in Chad https://www.worldban[...] 2022-05-25
[131] 웹사이트 Chad Poverty Assessment: Constraints to Rural Development http://www-wds.world[...] World Bank 1997-10-21
[132] 웹사이트 Lettre d'information http://www.deltcd.ec[...] Délégation de la Commission Européenne au Tchad 2004-09
[133] 웹사이트 Geography Against Development: A Case for Landlocked Developing Countries http://unohrlls.org/[...] United Nations 2007-06-19
[134] CIA World Factbook 2017-04-16
[135] 웹사이트 Chad Country Commercial Guide – FY 2005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Commerce 2007-05-06
[136] 웹사이트 Chad and Cameroon https://web.archive.[...]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2007-01
[137] 웹사이트 World Bank, Govt. of Chad Sign Memorandum of Understanding on Poverty Reduction http://web.worldbank[...] World Bank 2006-07-14
[138] 웹사이트 Gateway expands presence in Guinea and Senegal http://www.itnewsafr[...] 2010-04-22
[139] 웹사이트 NRI Overall Ranking 2014 http://www3.weforum.[...] World Economic Forum 2014-06-28
[140] 웹사이트 Chad Mobile Market (Q1 2008 – Q3 2010) http://www.mnodirect[...]
[141] 간행물 Symposium on the evaluation of fishery resources in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inland fisheries http://www.fao.org/d[...] FAO 1972-11-29
[142] 웹사이트 Chad: A Cultural Profile http://www.cp-pc.ca/[...] Citizenship and Immigration Canada 2007-06-19
[143] 웹사이트 La musique recherche son identité http://www.cefod.org[...] 2003
[144] 웹사이트 Littérature tchadienne : Jeune mais riche http://www.cefod.org[...] 2003
[145] 서적 Camel Tracks: Critical Perspectives on Sahelian Literatures Africa World Press 1999
[146] 웹사이트 Radio Stations | Embassy of the United States Ndjamena, Chad http://ndjamena.usem[...] Ndjamena.usembassy.gov 2013-09-28
[147] 웹사이트 Newspapers | Embassy of the United States Ndjamena, Chad http://ndjamena.usem[...] Ndjamena.usembassy.gov 2013-09-28
[148] 간행물 Chad – 2006 Freedom Press Institute
[149] 웹사이트 Dawn – Chad's only cinema dusts off its silver screen https://www.dawn.com[...] Dawn 2011-04-09
[150] 웹사이트 The Hindu - The man who brought cinema to war-hit Chad https://www.thehindu[...] 2017-12-09
[151] 웹사이트 Vertigo – Fatherlands: On Mahamat-Saleh Haroun, Africa and an Evolving Political Cinema https://www.closeupf[...]
[152] 웹사이트 'Uncle Boonmee' wins Palme d'Or https://variety.com/[...] Variety 2010-05-23
[153] 웹사이트 Issa Serge Coelo, cinéaste tchadien: ''On a encore du travail à faire'' http://www.cefod.org[...] 2007-04
[154] 웹사이트 An interview with Mahamet-Saleh Haroun, writer and director of Abouna ("Our Father") http://www.jigsawlou[...] 2004-03-23
[155] 웹사이트 Mirren crowned 'queen' at Venice http://news.bbc.co.u[...] BBC News 2006-09-09
[156] 웹사이트 Cinéma: un avenir plein d'espoir http://www.cefod.org[...] 2003
[157] 웹사이트 Chad https://www.fifa.com[...] FIFA, Goal Programme 2007-07-02
[158] 웹사이트 UNdata http://data.un.org/e[...] 국련 2021-11-05
[159] 웹사이트 IMF Data and Statistics, 0ctober 2021 https://www.imf.org/[...] IMF 2021-11-05
[160] 웹사이트 チャド共和国 https://www.library.[...] 東京都立図書館 2021-04-24
[161] 서적 朝倉世界地理講座 アフリカⅠ 朝倉書店 2007-04-10
[162] 서적 朝倉世界地理講座 アフリカⅠ 朝倉書店 2007-04-10
[163] 서적 朝倉世界地理講座 アフリカⅠ 朝倉書店 2007-04-10
[164] 서적 世界地理大百科事典2 アフリカ 朝倉書店 1998
[165] 서적 世界地理大百科事典2 アフリカ 朝倉書店 1998
[166] 서적 現代アフリカ・クーデター全史 叢文社 2005
[167] 서적 現代アフリカ・クーデター全史 叢文社 2005
[168] 웹사이트 チャド共和国(Republic of Chad)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日本国外務省 2021-04-24
[169] 뉴스 <ダルフール和平交渉>チャド軍とスーダン軍が衝突、各国特使らが相次いで大統領と会談 - スーダン https://www.afpbb.co[...] AFPBB 2007-04-13
[170] 뉴스 チャドとスーダン、和解協定に署名 - サウジアラビア https://www.afpbb.co[...] AFPBB 2007-05-04
[171] 뉴스 チャド反政府勢力が首都ヌジャメナ制圧 https://www.afpbb.co[...] AFPBB 2008-02-02
[172] 뉴스 チャド、首都での戦闘続く、外国人ら国外退避 https://www.afpbb.co[...] AFPBB 2008-02-04
[173] 뉴스 チャド、国内全土に非常事態宣言を発令 https://www.afpbb.co[...] AFPBB 2008-02-15
[174] 뉴스 スーダンがチャドと断交、ダルフール反政府勢力を支援と非難 https://www.afpbb.co[...] AFPBB 2008-05-12
[175] 뉴스 チャド、反政府勢力が東部の町を奪取か 米国は大使館職員退去を開始 https://www.afpbb.co[...] AFPBB 2008-06-17
[176] 뉴스 スーダン反政府勢力、停戦で暫定合意 ダルフール紛争 https://www.afpbb.co[...] AFPBB 2010-02-22
[177] 뉴스 ボコ・ハラム、初めてチャド国内を攻撃 チャド軍が撃退 https://www.afpbb.co[...] AFPBB 2015-02-14
[178] 뉴스 チャド首都で連続自爆攻撃、死傷者120人超 ボコ・ハラムか https://www.afpbb.co[...] AFPBB 2015-06-16
[179] 웹사이트 チャド軍、反政府勢力300人殺害と発表 https://www.afpbb.co[...] AFP 2021-05-10
[180] 웹사이트 反政府勢力、チャド首都への進軍継続表明 大統領死去で https://www.afpbb.co[...] AFP 2021-05-10
[181] 웹사이트 チャド政権、反政府勢力との戦闘で勝利宣言 捕虜156人公開 https://www.afpbb.co[...] AFP 2021-05-10
[182] 웹사이트 チャドで新憲法採択 http://www.tufs.ac.j[...] 現代アフリカ地域研究センター 2021-04-13
[183] 뉴스 世界で最も腐敗している国 ワースト29 https://www.business[...] Business Insider Japan 2019-12-31
[184] 뉴스 Chad's President Idriss Déby dies after 'clashes with rebels' https://www.bbc.com/[...] BBC News 2021-04-20
[185] 뉴스 Junta set to stay in power after Chad delays elections by two years https://www.reuters.[...] Reuters 2022-10-03
[186] 뉴스 Rebels threaten to march on capital as Chad reels from president’s battlefield death https://www.reuters.[...] Reuters 2023-12-30
[187] 뉴스 Chad holds referendum on new constitution amid opposition protests https://www.aljazeer[...] Al Jazeera English 2023-12-30
[188] 뉴스 Chad votes yes to new constitution backed by junta https://www.reuters.[...] Reuters 2023-12-30
[189] 뉴스 チャド大統領選、現職デビ氏が勝利 対立候補の不正訴え認められず https://www.jiji.com[...] 時事通信 2024-06-29
[190] 뉴스 チャド大統領の任期延長 長期政権懸念、野党反発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9-12-31
[191] 웹사이트 チャド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日本国外務省 2019-12-31
[192] 뉴스 Chad’s military ruler Mahamat Deby names transitional parliament https://www.aljazeer[...] Al Jazeera English 2021-09-25
[193] 서적 データブック オブ・ザ・ワールド 2012年版 世界各国要覧と最新統計 二宮書店 2012-01-10
[194] 간행물 論考:中央アフリカにおける国家の崩壊 https://www.ide.go.j[...] アジア経済研究所 2021-04-24
[195] 뉴스 ボコ・ハラムの攻撃か、チャド兵11人死亡 チャド湖周辺 https://www.afpbb.co[...] AFPBB 2019-12-30
[196] 뉴스 中東・アフリカ諸国 イスラエルに接近/軍事やIT 高い技術力魅力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9-02-10
[197] 서적 ニジェール 独立50年の全体像 東京図書出版 2013-05-23
[198] 서적 チャド盆地の地域史と農牧業 朝倉書店 2007-04-10
[199] 서적 データブック オブ・ザ・ワールド 2018年版 世界各国要覧と最新統計 二宮書店 2018-01-10
[200] 웹사이트 国立公園にライオンの姿、約20年ぶり チャド https://www.cnn.co.j[...] CNN 2023-04-25
[201] 서적 データブック オブ・ザ・ワールド 2016年版 世界各国要覧と最新統計 二宮書店 2016-01-10
[202] 서적 データブック オブ・ザ・ワールド 2018年版 世界各国要覧と最新統計 二宮書店 2018-01-10
[203] 서적 ベラン世界地理体系9 西部・中部アフリカ 朝倉書店 2017-01-15
[204] 웹사이트 Fragile States Index 2019 https://fundforpeace[...] 平和基金会 2019-12-31
[205] 서적 チャド盆地の地域史と農牧業 朝倉書店 2007-04-10
[206] 서적 チャド盆地の地域史と農牧業 朝倉書店 2007-04-10
[207] 서적 地図で見るアフリカハンドブック 原書房 2019-04-05
[208] 서적 チャド盆地の地域史と農牧業 朝倉書店 2007-04-10
[209] 서적 データブック オブ・ザ・ワールド 2016年版 世界各国要覧と最新統計 二宮書店 2016-01-10
[210] 서적 チャド盆地の地域史と農牧業 朝倉書店 2007-04-10
[211] 서적 세계지리대백과사전2 아프리카 朝倉書店 1998
[212] 서적 데이터북 오브 더 월드 2012년판 세계각국요람과 최신통계 二宮書店 2012-01-10
[213] 서적 데이터북 오브 더 월드 2016년판 세계각국요람과 최신통계 二宮書店 2016-01-10
[214] 잡지 【特集】枯渇迫る石油 https://natgeo.nikke[...] 2004-06
[215] 서적 세계지리대백과사전2 아프리카 朝倉書店 1998
[216] 서적 베란 세계지리체계9 서부·중부 아프리카 朝倉書店 2017-01-15
[217] 서적 데이터북 오브 더 월드 2018년판 세계각국요람과 최신통계 二宮書店 2018-01-10
[218] 웹사이트 세계_임신출산에 의한 사망률 랭킹 - 세계랭킹 http://top10.sakura.[...] 2021-02-26
[219] 뉴스 차드에서 농경민과 목축민이 충돌, 37명 사망 "국가적 우려"라고 대통령 https://www.afpbb.co[...] 2019-08-10
[220] 뉴스 난민 전체의 6할 가까이, 요르단 등 10개국에서 수용 아무네스티 https://www.afpbb.co[...] AFPBB 2016-10-04
[221] 잡지 전화에 고통받는 중앙아프리카 2017-05
[222] 간행물 제40회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 관하여(개요) https://www.bunka.go[...] 문화청 기념물과 세계문화유산실 2016-07
[223]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3 Edition. (Chad) https://www.imf.org/[...] 국제 통화 기금 2023-10-18
[224]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Report 2023/24 https://hdr.undp.org[...] 유엔 개발 계획 2024-03-13
[225] 백과사전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226] 웹인용 차드 독재자 아브르 특별법정 선다 http://news.khan.co.[...] 2015-03-01
[227] 웹인용 차드 독재자 세네갈서 재판 직면 http://www.newsis.co[...] 2015-03-01
[228] 뉴스 아프리카 전환점 돌아..성장 국면으로 들어선 듯 [WB보고서]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010-05-01
[229] 저널 Global Hunger Index-기아가 없는 세상 http://www.concern.o[...] 컨선월드와이드(Concern Worldwide), 독일의 NGO인 세계기아원조(Welthungerhilfe) 그리고 미국의 연구기관인 국제식량정책연구소(IFPRI) 2017-08-18
[230] 뉴스 수단, 이웃나라 차드와 외교관계 단절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010-05-02
[231] 일반
[232]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