딕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딕딕은 동아프리카 관목 지대와 사바나에 서식하는 소형 영양의 일종으로, 위협을 느낄 때 "딕" 소리를 내는 것에서 이름이 유래했다. 딕딕은 앙골라, 우간다, 에티오피아 등지에 분포하며, 암컷은 수컷보다 크고 수컷은 작은 뿔을 가지고 있다. 딕딕은 주로 초식성으로 잎, 싹, 과일 등을 먹으며, 일부일처제로 짝을 이루어 생활한다. 천적으로는 표범, 사자 등이 있으며,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개체수가 감소하는 종도 있다. 딕딕은 귄터딕딕, 커크딕딕, 실버딕딕, 솔트딕딕 4종으로 분류된다.
딕딕(dik-dik)이라는 이름은 위협을 느낄 때 암컷 딕딕이 길고 관 모양의 주둥이를 통해 내는 반복적인 "딕" 소리의 의성어에서 유래되었다.[3]
딕딕은 주로 동아프리카의 관목 지대, 사바나, 건조한 초원, 반사막 등지에 서식한다.[15] 이들은 먹이가 되는 식물, 특히 관목이 풍부하고 몸을 숨길 은신처가 많은 덤불 지대나 바위가 많은 환경, 키 작은 풀이 있는 곳을 선호한다.[7][16] 울창한 숲이나 탁 트인 평원은 비교적 선호하지 않는다.[7]
암컷 딕딕은 수컷보다 약간 더 크다.[17] 수컷에게만 뿔이 있으며, 뿔은 작고(약 약 7.62cm)[15] 뒤로 기울어져 있고 세로로 홈이 파여 있다. 머리 털은 때때로 수컷의 짧은 뿔을 부분적으로 가리는 똑바로 선 뭉치를 형성하며,[15][16][17] 정수리의 털이 관상으로 길게 자라기도 한다.[15][16][17]
딕딕은 소과 영양아과 영양족에 속하는 포유류로, 작은영양속(''Madoqua'')을 형성한다. 이 속에는 총 4종의 딕딕이 포함되어 있다.[2] 상세한 하위 종 목록과 계통 분류 정보는 아래 관련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명칭
3. 분포
4. 서식지
딕딕은 보통 짝을 이루어 약 5ha 크기의 영역을 형성하고 생활한다.[15] 이 영역은 주로 덤불이 많고 키 작은 덤불로 덮여 있으며, 때로는 건조하고 바위가 많은 하천 부지 근처이기도 하여 은신처가 풍부하다. 이들은 나뭇가지에 냄새샘 분비물을 문지르거나 정해진 장소에 배설물을 쌓아 자신의 영역임을 표시하며,[16] 위협을 느꼈을 때 사용하기 위해 영역 경계와 주변을 따라 일정한 통로를 만들어 둔다.[8] 딕딕의 털 색깔은 주변 환경과 비슷하여 위장에 유리하다.[8]
주로 야행성으로 활동하며, 낮에는 덤불 속 등에서 휴식을 취한다.[18] 먹이가 풍부한 환경에서는 드물게 더 큰 무리를 형성하기도 한다.[15][16]
5. 형태
상체는 회갈색 또는 회색을 띤 갈색이며,[18] 다리, 배, 볏, 옆구리를 포함한 하체는 황갈색이다.[18] 배 쪽의 털색은 흰색이다.[15] 각 눈 안쪽 모서리 아래에는 맨살의 검은 반점이 있는데, 이곳에 발달한 눈물샘(안와선)이 있어 어둡고 끈적한 분비물을 생성한다.[16][17] 딕딕은 풀 줄기나 잔가지를 이 분비샘에 문질러 자신의 영역을 표시한다.
코는 약간 길고 길쭉한 주둥이 형태를 띠며, 특히 귄터딕딕은 피가 펌핑되는 풀무 같은 근육이 발달해 있다.[15][16][17] 이는 콧구멍 표면에서 수분을 증발시키거나[15][16][17] 공기 흐름과 그에 따른 증발을 통해 피를 냉각시켜 신체로 재순환되기 전에 체온을 조절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호흡 조절은 극단적인 조건에서만 이루어지며, 딕딕은 최대 40°C의 기온을 견딜 수 있다.[4] 주둥이 끝은 털로 덮여 피부가 노출되지 않는다(비경 없음).[16][17]
귀는 숟가락 모양이며,[16][17] 귓바퀴 안쪽에는 흰색의 뻣뻣한 털(강모)로 된 줄무늬가 2~3개 있다.[16][17] 꼬리는 짧고 융기 모양이다.[15][16][17]
발굽은 제3, 4 발굽(주굽)이 가늘고 길며 끝이 뾰족하고, 제2, 5 발굽(측굽)은 매우 작다.[16][17] 발굽 위를 연결하는 피부막은 발달하지 않았고 발굽 앞단에 닿지 않는다.[16] 서혜부에는 냄새샘(서혜선)이 없지만, 발굽 위쪽 홈(굽선, 발샘)에는 냄새샘(취선)이 있다.[16][17] 암컷의 젖꼭지는 4개이다.[16]
6. 생태


딕딕은 주로 건조한 초원, 관목림, 반사막 등지에 서식하며[15], 덤불이 무성하고 바위나 돌이 많은 환경을 선호한다[16]. 기본적으로 일부일처제를 이루어[9][10] 평생 짝을 유지하며[15], 짝과 함께 영역 생활을 한다[15]. 자신의 영역을 표시하기 위해 나뭇가지 등에 냄새샘 분비물을 문지르거나 특정 장소에 똥 무더기를 쌓아두기도 한다[10][16]. 먹이가 풍부한 환경에서는 더 큰 무리를 형성하기도 한다[15][16].
딕딕은 야행성 동물로, 주로 밤에 활동하고 낮에는 휴식을 취한다[18]. 다른 개체를 만났을 때 위협을 느끼면 머리 꼭대기의 털을 세우고 특유의 울음소리를 내는데[15], 이 소리가 스와힐리어 이름 및 '딕딕'이라는 명칭의 유래가 되었다[16][17]. 건조한 환경에 적응했으며[5], 초식동물로서[4][16][17] 다양한 포식자를 피해 생존한다[8].
6. 1. 생리적 적응
딕딕은 건조한 환경에서 생존하는 데 도움이 되는 특별한 생리적 적응을 가지고 있다.[5] 예를 들어, 딕딕은 소와 같은 다른 동물에 비해 땀샘 밀도가 낮다.[5] 또한, 더 건조한 환경에서는 소변을 농축하여 체내 수분을 효과적으로 보존한다.[5] 이러한 적응 덕분에 물을 직접 마시지 않고 생존할 수 있으며, 필요한 염분은 별도로 섭취한다.[17][21]
작은 체구 때문에 딕딕은 모든 반추류 중에서 킬로그램당 대사율과 에너지 요구량이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6] 그러나 실제로는 열과 건조 환경에 대한 생리적 적응으로 인해 예상보다 낮은 대사율을 보인다.[6]
6. 2. 식성
딕딕은 초식동물이다.[4] 식단은 주로 잎, 싹, 과일, 딸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4], 관목의 잎, 아카시아의 낙엽, 꽃 등도 먹는다.[16][17] 풀은 거의 먹지 않거나 전혀 먹지 않는다.[4] 음식으로부터 충분한 양의 물을 섭취하기 때문에 물을 따로 마실 필요는 없지만[4], 염분은 섭취한다.[17][21]
우제류의 특징처럼 네 개의 방으로 이루어진 위를 가지고 있으며, 미생물의 도움을 받아 음식을 소화한다. 먼저 소화시킨 음식을 다시 게워내 씹는 되새김질을 한다.[4] 딕딕의 뾰족한 머리 모양은 아카시아 나무의 가시 사이에서 잎을 먹는 데 유리하며[4][22], 먹이를 먹는 동안에도 머리를 높이 들어 주변의 포식자를 경계할 수 있다.[4]
6. 3. 번식
딕딕은 일부일처제를 이루며[9][10], 짝은 평생 유지된다[15]. 짝과 함께 보내는 시간은 약 64% 정도이다. 수컷은 기회가 생기면 짝 외의 암컷과 교미를 시도하기도 하지만, 암컷은 그렇지 않다[9]. 딕딕의 일부일처제는 포식자에 둘러싸인 환경에서 새로운 짝을 찾는 위험을 줄이기 위한 진화적 적응일 수 있다는 가설이 있다[11][12].
수컷은 배설물 더미를 만들어 자신의 영역을 표시하고, 암컷의 배설물 위에 자신의 것을 덮어 표시를 강화한다[10]. 영역을 가진 이웃 간의 갈등은 드물지만, 발생하면 각 영역의 수컷들이 서로에게 돌진하여 멈추거나 머리를 맞댄 후, 머리 볏을 세운 채 다음 공격을 위해 물러서는 방식으로 해결한다[10].
암컷은 생후 6~8개월, 수컷은 생후 8~12개월에 성적으로 성숙한다[13][17]. 암컷의 임신 기간은 약 6개월(169일~174일)이며[13][16][17], 한 번에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출산은 주로 우기의 시작과 끝 무렵, 일 년에 최대 두 번 이루어진다[13][16][17]. 다른 반추동물과 달리 딕딕 새끼는 코부터 나오며 앞다리는 몸 옆에 붙인 채 태어난다[13]. 태어날 때의 몸무게는 암컷이 약 560g에서 680g, 수컷이 약 725g에서 795g이다[13].
어미는 새끼를 포식자로부터 안전한 곳에 숨겨두고 수유를 한다[23]. 수유 기간은 6주[13] 또는 3~4개월[17] 정도이며, 한 번에 몇 분 이상 젖을 먹이지 않는다[13]. 어린 딕딕의 생존율은 약 50%이다[13]. 새끼는 빠르게 성장하여 생후 7개월이면 완전히 자라고[13], 8개월이면 성체와 거의 같은 크기가 되며[17], 12개월에 성체가 된다[17]. 새끼가 완전히 성장하는 7개월[13] 또는 8개월[17] 무렵이 되면 부모로부터 독립해야 하는데, 아버지는 아들을, 어머니는 딸을 자신의 영역에서 내쫓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13][23].
야생에서의 수명은 3~4년이지만[17], 사육 상태에서는 10년까지 살 수 있다[16].
6. 4. 천적
딕딕의 주요 포식자로는 표범, 카라칼, 사자, 하이에나, 아프리카 야생 개 그리고 인간이 있다. 그 외에도 왕도마뱀, 치타, 자칼, 개코원숭이, 독수리, 매, 비단뱀 등이 딕딕을 사냥한다. 딕딕은 포식에 대처하기 위해 뛰어난 시력과 빠른 속도를 갖추도록 적응했다. 달리는 속도는 시속 42km에 달하며[8], 다른 자료에서는 시속 60km에 이른다고도 한다[24]. 또한 높은 출산율 역시 생존에 유리한 적응 방식 중 하나이다.[8]
7. 분류
7. 1. 하위 종
딕딕에는 다음 4종이 있다.[2]7. 2. 계통 분류
2019년 주라노(Zurano) 등의 연구에 따르면, 영양족 내에서 딕딕(작은영양속, ''Madoqua'')은 베이라영양속( ''Dorcatragus'')과 가장 가까운 관계이며, 이 두 속은 라피케루스속( ''Raphicerus'')과 자매군을 형성한다.[26] 미토콘드리아 DNA 및 핵 DNA 분석 연구(Hassanina et al., 2012; Barmann et al., 2013)에서도 딕딕 속 내 종들의 계통 관계가 연구되었으며, 예를 들어 키르크딕딕( ''M. kirkii''), 귄터딕딕( ''M. guentheri''), 에리트레아딕딕( ''M. saltiana'') 등이 서로 가까운 관계임이 밝혀졌다.
과거에는 블랙벅아과의 로열안테로프족(Neotragini)에 포함시키기도 했으나, 분자계통분석 결과 로열안테로프족이 여러 계통이 섞인 다계통군으로 밝혀지면서 현재의 분류 체계로 수정되었다.
아래는 딕딕 속(''Madoqua'')에 속하는 종들의 목록이다. (MSW3(Grabb, 2005), 이마이즈미(1988) 기준)
| 학명 | 일반명 | 영명 |
|---|---|---|
| Madoqua guentheri | 귄터딕딕 | Günther's dik-dik |
| Madoqua kirki | 키르크딕딕 | Kirk's dik-dik |
| Madoqua piacentinii | 은색딕딕 (피아첸티니딕딕) | Silver dik-dik (Piacentini's dik-dik) |
| Madoqua saltiana | 에리트레아딕딕 (솔트딕딕) | Salt's dik-dik |
8. 인간과의 관계
방목에 의한 서식지 파괴, 사냥 등으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는 종도 있다[17]. 또한, 쇳소리 같은 울음소리로 사냥을 방해하는 성가신 동물로 여겨져, 사냥꾼들에게 미움을 받기도 한다[23].
참조
[1]
IRMNG
Madoqua
2022-05-24
[2]
MSW3
[3]
웹사이트
9 Fun Facts About the Dik-Dik
http://mentalfloss.c[...]
2014-07-15
[4]
웹사이트
Dik-dik
https://www.awf.org/[...]
2024-06-25
[5]
학술지
The Water Metabolism of a Small East African Antelope: The Dik-Dik
https://www.jstor.or[...]
1973
[6]
학술지
Physiology of the dik-dik antelope
https://doi.org/10.1[...]
1988-01-01
[7]
웹사이트
Blue Planet Biomes - Savanna Biome
https://blueplanetbi[...]
2024-06-25
[8]
웹사이트
the Living Africa: wildlife - bovid family - dik-dik
http://library.think[...]
[9]
학술지
Genetic and behavioural evidence of monogamy in a mammal, Kirk's dik-dik (Madoqua kirkii)
[10]
서적
The Behavior Guide to African Mammals: Including Hoofed Mammals, Carnivores, Primate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1]
학술지
Female dispersion and the evolution of monogamy in the dik-dik
[12]
간행물
National Geographic "Earth Almanac"
National Geographic
1996-06
[13]
웹사이트
Madoqua kirkii: Information
https://animaldivers[...]
1999
[14]
서적
Madoqua
http://www.departme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5]
서적
動物大百科4 大型草食獣
平凡社
[16]
서적
世界の動物 分類と飼育7 (偶蹄目III)
東京動物園協会
[17]
서적
動物世界遺産 レッド・データ・アニマルズ6 アフリカ
講談社
[18]
웹사이트
the Living Africa:wildlife - bovid family - dik-dik
http://library.think[...]
[19]
학술지
A revised phylogeny of Antilopini (Bovidae, Artiodactyla) using combined mitochondrial and nuclear genes
[20]
학술지
Pattern and timing of diversification of Cetartiodactyla (Mammalia, Laurasiatheria), as revealed by a comprehensive analysis of mitochondrial genomes
[21]
웹사이트
AWF:Wildlife:Dikdik
http://www.awf.org/c[...]
[22]
웹사이트
The Life of Mammals ほ乳類・大自然の物語 3.Plant predators
http://www18.ocn.ne.[...]
[23]
웹사이트
ADW:Madquia Kirkii Information
http://animaldiversi[...]
[24]
웹사이트
220回 「跳べ!サバンナの牛若丸」|ダーウィンが来た!生き物新伝説
http://cgi2.nhk.or.j[...]
[25]
MSW3
[26]
학술지
Cetartiodactyla: Updating a time-calibrated molecular phylogen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