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단수 (바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단수(바둑)는 바둑에서 상대방의 돌을 다음 수에 잡을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대 돌의 활로가 하나만 남은 상태를 말하며, 단수를 통해 돌을 잡거나, 집을 늘리고, 세력을 확장할 수 있다. 단수의 종류에는 한 점 단수, 여러 점 단수, 양단수, 연단수 등이 있으며, 연단수에는 촉촉수, 몰아떨구기, 축, 환격, 회돌이 등이 있다. 또한, 단수와 관련된 바둑 격언이 존재하며, 장문은 단수와 유사한 용어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둑 용어 - 컴퓨터 바둑
    컴퓨터 바둑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바둑을 두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을 의미하며, 딥러닝 기술 발전으로 프로 기사를 이기고 바둑계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 바둑 용어 - 신포석
    신포석은 기타니 미노루와 우칭위안이 1933년 창안하여 중앙을 중시하는 파격적인 바둑 포석 방법으로, 바둑계에 큰 영향을 주어 현대 바둑 포석 발전에 기여했다.
  • 바둑에 관한 - 이세돌
    대한민국의 프로 바둑 기사 이세돌은 12세에 입단하여 2000년대 세계 바둑계를 이끌었고, 알파고와의 대국으로 주목받았으며, 공격적인 기풍으로 '비금도 소년', '쎈돌' 등으로 불렸고, 은퇴 후에는 텍사스 홀덤 플레이어 및 보드게임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 바둑에 관한 - 충암고등학교
    충암고등학교는 1965년 설립된 학교법인 충암학원이 운영하는 서울 서대문구에 위치한 사립 고등학교이며, 1969년 개교하여 인문계열 교육과 국내 최대 규모의 바둑 도장 운영을 병행하고, 윤석열 대통령, 배우 김명민, 프로 바둑 기사 이창호 등 다양한 분야의 동문을 배출했다.
단수 (바둑)
바둑에서의 단수
정의
설명상대방의 돌을 둘러싸서 다음 수로 잡을 수 있는 상태
일본어
표기아타리 (あたり, 当たり)
로마자 표기Atari
설명
의미바둑에서, 상대방의 돌을 둘러싸서 다음 수로 잡을 수 있는 상태
'닿음', '적중'의 의미를 갖는 일본어
참고
관련 용어아다리

2. 단수의 기본 개념

바둑에서 '''단수'''(單手)는 상대방 돌의 활로가 하나만 남아서 다음 차례에 바로 잡을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즉, 어떤 돌이 단수 상태에 놓이면, 상대방이 다음 수에 그 돌을 잡을 수 있게 된다.

단수는 상대방의 돌을 직접적으로 위협하여 잡거나, 상대방이 돌을 살리기 위해 다른 곳에 둘 기회를 빼앗는 기본적인 기술이다. 이를 통해 자신의 집을 늘리거나 세력을 확장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지점에 돌을 놓아 상대방 돌의 활로를 하나로 만들면 그 돌은 단수 상태가 된다. 상대방은 이 돌을 살리기 위해 활로를 늘리는 수를 두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다음 차례에 잡히게 된다.

한 번의 착수로 상대방의 돌 두 군데 이상을 동시에 단수 상태로 만드는 양단수나, 상대방의 돌이 단수를 피해 달아나더라도 계속해서 단수가 되도록 몰아가는 연단수와 같은 다양한 응용 기술이 존재한다.

2. 1. 단수의 예시

아래 예시 상황에서 흑이 A(d3)나 B(c4) 자리에 돌을 놓으면 중앙의 백 돌(c3)은 활로가 하나만 남는 단수 상태가 된다. 백이 다음 차례에 활로를 늘려 도망가지 않으면 흑에게 잡히게 된다.

만약 흑이 d3 자리에 두면 백 돌은 단수가 되어 다음 차례에 잡힐 수 있다. 백이 잡히지 않으려면 c4(A) 자리에 두어 활로를 확보해야 한다.

특정 상황에서는 여러 곳이 동시에 단수 자리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잡한 대국 상황에서는 흑이 다음 차례에 A로 표시된 여러 지점 중 한 곳에 두면 바로 백 돌을 잡을 수 있는 경우가 발생한다.

'''양단수'''(兩單手)는 한 번의 착수로 상대방의 돌 두 군데 이상을 동시에 단수 상태로 만드는 수이다. 예를 들어, 백이 특정 위치(예: b2)에 두었을 때 인접한 흑 돌 두 개(예: b3, c2)가 동시에 단수가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흑은 두 돌 중 하나를 살리면 다른 하나는 필연적으로 잡히게 된다.

'''연단수'''(連單手)는 상대방의 돌이 단수를 피하여 달아나더라도 계속해서 단수가 되도록 몰아가는 수이다. 넓은 의미에서 연속적인 단수를 통해 이득을 보는 여러 기술을 포함하며,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 촉촉수: 단수를 당한 돌이 연결해도 다시 단수가 되어 바로 잡히는 형태.
  • 몰아떨구기: 단수를 당해 달아나도 계속 단수로 몰려 결국 잡히는 형태.
  • 축: 몰아떨구기와 유사하게 연속적인 단수로 잡지만, 돌의 경로가 계단 모양을 이루는 형태.
  • 환격: 상대방이 자신의 돌을 잡도록 유도한 뒤, 다시 공격하여 잡는 형태.
  • 회돌이: 환격처럼 자신의 돌을 희생하여 상대방이 잡게 만든 후, 촉촉수나 몰아떨구기 등으로 상대 돌을 잡는 형태.

3. 여러 형태의 단수

단수에는 여러 가지 형태가 존재한다.

가장 기본적인 형태 외에, 특수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단수들이 있다. 대표적으로 양단수와 연단수가 있다.


  • '''양단수'''(兩單手): 한 번의 수로 상대방의 돌 두 군데 이상을 동시에 단수 상태로 만드는 수를 말한다. 예를 들어, 특정 지점에 돌을 놓았을 때 상대방의 서로 다른 돌 그룹 두 개가 동시에 활로가 하나만 남게 되는 경우이다. 이 경우 상대방은 두 그룹 모두를 살릴 수 없어 하나는 포기해야 하는 상황에 놓인다. 두 곳이 동시에 단수가 되는 상태를 '양아타리'라고 부르기도 한다.[2]

  • '''연단수'''(連單手): 상대방의 돌이 단수를 피하기 위해 달아나더라도 계속해서 단수를 만들어 몰아가는 수를 의미한다. 연단수는 연속적인 단수 공격을 통해 결국 상대 돌을 잡는 기술들을 포괄하며, 촉촉수, 몰아떨구기, , 환격, 회돌이 등이 이에 속한다.

3. 1. 일반적인 단수

바둑돌활로(숨구멍)가 하나밖에 남지 않은 상태를 단수(單手)라고 한다. 바로 다음 차례에 상대방이 그 마지막 남은 활로를 메우면 해당 돌(들)은 잡히게 된다.[1] 단수는 바둑에서 가장 기본적인 공격 기술 중 하나이며, 상대방 돌을 잡거나 위협하는 데 사용된다.

단수는 단수된 돌의 개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 한 점 단수: 바둑돌 한 개가 단수 상태인 경우이다. 예를 들어, 백돌 하나가 십자(+) 모양으로 흑돌 세 개에 둘러싸여 활로가 하나만 남았다면, 흑이 남은 활로 한 곳에 돌을 두는 순간 백돌은 단수가 된다. 이렇게 단수가 된 돌은 다음 차례에 잡히지 않으려면, 스스로 활로를 늘리는 곳(예: 다른 돌과 연결)에 두어 달아나야 한다. 만약 달아날 곳이 없다면 잡히게 된다.

  • 여러 점 단수: 두 개 이상의 돌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덩어리를 이루고 있을 때, 이 덩어리 전체의 활로가 하나만 남은 경우이다. 여러 개의 돌이 연결되어 있더라도 활로가 하나뿐이라면 단수 상태가 되며, 다음 차례에 그 활로가 메워지면 연결된 돌 전체가 잡히게 된다.


아래 그림은 다양한 단수 상황의 예시이다.

장문 역시 단수의 일종으로 볼 수 있는데, 상대방 돌을 몰아가면서 활로를 하나만 남겨 단수 형태로 만드는 기술이다. 아래 그림에서 백돌로 표시된 돌들은 흑이 특정 지점(A)에 두면 잡히는 단수 상태이며, 흑돌 역시 백이 특정 지점(A 또는 B)에 두면 잡히는 단수 상태이다.

3. 2. 양단수 (兩單手)

바둑에서 돌 두 곳을 동시에 단수 상태로 만드는 수를 '''양단수'''(兩單手)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특정 지점에 돌을 놓았을 때 상대방의 돌 두 그룹 이상이 동시에 단수에 걸리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대방은 단수에 걸린 자신의 돌 모두를 살리는 것이 불가능하며, 적어도 두 그룹 중 하나를 선택하고 나머지 하나는 포기해야 한다.

두 곳이 동시에 단수가 되는 상태를 '양아타리'라고 부르기도 한다.[2] 양단수는 상대방 돌을 효과적으로 잡거나 이득을 취할 수 있는 중요한 기술 중 하나이다.

3. 3. 연단수 (連單手)

상대방의 돌이 도망쳐도 계속해서 단수가 되도록 몰아가는 수를 연단수(連單手|롄단서우zho)라고 한다. 연단수는 기본적으로 연속해서 단수를 만드는 행위를 의미하므로 그 범위가 넓다고 할 수 있다. 흔히 촉촉수와 몰아떨구기만을 연단수로 여기는 경우가 많지만, , 환격, 회돌이 등도 연단수의 범주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3. 3. 1. 촉촉수

상대의 돌이 단수를 당해 도망쳐 연결하더라도 다시 단수가 되어 바로 잡히는 형태를 말한다. 이는 연단수 連單手|연단수zho의 한 종류로, 상대의 돌이 도망쳐도 계속해서 단수가 되도록 몰아가는 수이다.

3. 3. 2. 몰아떨구기

상대의 돌이 단수를 당해 달아나더라도, 다시 연속적으로 단수에 몰려 결국 잡히게 되는 형태를 말한다. 이는 상대 돌이 도망쳐도 계속 단수가 되도록 몰아가는 수인 연단수(連單手)의 한 종류이다. 연단수는 기본적으로 연속해서 단수를 만드는 행위를 의미하며, 몰아떨구기 외에도 촉촉수, , 환격, 회돌이 등도 연단수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3. 3. 3. 축 (軸)

연단수의 한 종류로 분류될 수 있다. 몰아떨구기와 같이 연속으로 단수를 당해 돌이 잡히는 상황이지만, 그 형태가 계단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점이 특징이다.

3. 3. 4. 환격 (還擊)

환격(還擊)은 연단수의 한 종류이다. 자신의 돌을 일부러 호구 형태 등에 놓아 상대방이 단수를 쳐서 따내도록 유도한 뒤, 곧바로 다시 단수를 쳐서 상대방의 돌을 잡는 기술을 말한다. 즉, 미끼를 주어 상대가 잡도록 하고, 그 다음 수로 상대 돌을 되잡는 방식이다.

3. 3. 5. 회돌이

연단수(連單手)의 일종으로, 환격과 같이 자신의 돌을 미끼로 주어 상대가 잡게 만든 이후 촉촉수나 몰아떨구기 형태로 상대의 돌을 다시 잡아내는 기술을 말한다. 즉, 작은 희생을 통해 상대방 돌을 제압하는 전략적인 수이다.

4. 단수 관련 바둑 격언


  • 단수단수의 멍텅구리 바둑인가: 바둑에서 너무 쉽게 단수를 연이어 치는 것은 상대를 오히려 강하게 만들어 주는 등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오는 경우가 많다는 의미이다.[1] 단수를 칠 수 있는 권리를 잠시 보류하고, 상황의 득실을 따져가며 두는 것이 더 좋은 수가 될 때가 많다.

5. 단수 관련 용어 (참고)

일본식 바둑 용어 중 '장문'(アタリ|아타리일본어)이라는 표현이 있다. 한국에서는 주로 '단수'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장문'은 잘 쓰이지 않지만, 참고 삼아 소개한다.

장문은 단수와 마찬가지로, 상대방이 다음 차례에 특정 지점에 돌을 놓으면 잡히게 되는 상태를 가리킨다. 예를 들어, 바둑판 위의 특정 백돌(--) 그룹이 흑이 특정 지점(예: 'a' 지점)에 돌을 놓으면 바로 잡히는 상태에 놓여 있을 때, 이 백돌 그룹은 장문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 흑돌(--, --) 그룹 역시 백이 특정 지점(예: 'a' 또는 'b' 지점)에 돌을 놓으면 잡히는 상태일 때 장문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囲碁用語「アタリ」 https://www.ntkr.co.[...] 2020-09-21
[2] 웹사이트 囲碁用語「両アタリ」 https://www.ntkr.co.[...] 2020-09-21
[3] 뉴스 (KRA가 우리말을 지킵니다)일본어 판치는 세계 바둑계 http://sports.khan.c[...] 스포츠칸 2010-07-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