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외교부 차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외교부 차관은 대통령이 임명하며, 외교부 장관을 보좌하여 소관 사무를 처리하고 소속 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 외교부 차관은 장관 유고 시 직무를 대행하며, 제1차관은 양자 외교 및 외교부 조직 관리를, 제2차관은 다자 외교를 담당한다. 외무부 차관은 1948년부터 1998년까지 존속했으며, 이후 외교통상부 차관, 외교부 제1·2차관 체제로 개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외교부 차관 - 김규현
김규현은 대한민국의 외교관이자 관료로, 외무고시 합격 후 외교통상부 북미1과장, 주미국 대사관 참사관 등을 거쳐 박근혜 정부에서 외교부 제1차관, 국가안보실 제1차장 등을 역임했고 윤석열 정부에서 국가정보원장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했다. - 대한민국의 외교부 차관 - 조태열
조태열은 서울대 법대와 옥스퍼드 대학을 졸업하고 외무고시 합격 후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WTO 분쟁패널 의장, 외교부 제2차관, 주 유엔 대사 등을 역임하고 2024년 외교부 장관으로 임명되었으며, G7 가입 추진 및 한중 관계 개선 등 활발한 외교 활동을 펼치고 있는 시인 조지훈의 아들이자 독립운동가 조헌영의 손자이다. - 대한민국 외교부 - 대한민국의 외교부 장관
대한민국의 외교부 장관은 국무총리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는 행정부의 장관으로서, 외교 정책을 총괄하고 외교, 경제 외교, 국제 관계 업무 조정, 조약 체결, 재외국민 보호 및 지원, 국제 정세 분석 등의 업무를 담당하며, 역대 장관들은 국익과 국제적 위상 제고에 노력해왔다. - 대한민국 외교부 - 한국국제교류재단
한국국제교류재단(KF)은 외교부 산하 공공기관으로, 한국과 세계 각국의 교류 협력 증진을 목표로 1991년 설립되어 해외 한국학 연구 지원, 문화 교류, 인적 네트워크 구축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한국의 국제적 위상 강화에 기여한다. - 대한민국의 차관급 공직자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은 국민을 대표하여 법률 제정과 국정 심의를 수행하며 4년 임기에 만 18세 이상에게 선거권이 주어지고, 면책특권과 불체포특권을 가지는 동시에 청렴, 국익 우선, 품위 유지의 의무를 지닌다. - 대한민국의 차관급 공직자 - 대한민국의 대검찰청 차장검사
대한민국의 대검찰청 차장검사는 검찰총장을 보좌하며, 검찰총장의 부재 시 직무를 대행하며, 정권의 성격과 검찰 개혁 추진 상황에 따라 그 역할과 위상이 변화해왔다.
대한민국의 외교부 차관 | |
---|---|
직책 개요 | |
국가 | 대한민국 |
직책 명칭 | 외교부 차관 |
임명권자 | 대통령 |
소속 정부기관 | 외교부 |
직속 상관 | 외교부 장관 |
2. 임명
대통령이 임명한다.
외교부 차관은 장관을 보좌하여 소관 사무를 처리하고 소속 공무원을 지휘·감독하며, 장관이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 제1차관, 제2차관 순으로 그 직무를 대행한다.[1] 제1차관은 양자 외교, 인사와 예산 등 외교부 조직 관리를 책임진다.[1] 제2차관은 다자 외교를 책임진다.[2]
대한민국의 외교부 차관은 시대별로 외무부 차관, 외교통상부 차관, 외교부 차관(1, 2차관)으로 구분된다.
3. 역할
4. 역대 차관
정부 대수 이름 임기 비고 제1공화국 초대 고창일(高昌一) 1948년 8월~1949년 2월 3일 2대 조정환(曺正煥) 1949년 3월 7일~1951년 7월 7일 3대 박암(朴巖) 1951년 7월 10일~1951년 8월 4대 갈홍기(葛弘基) 1952년 2월~1952년 10월 5대 조정환(曺正煥) 1952년 10월~1955년 7월 29일 6대 김동조(金東祚) 1957년 5월 3일~1959년 9월 12일 7대 최규하(崔圭夏) 1959년 9월 12일~1960년 5월 11일 대통령 및 국무총리 역임 8대 이수영(李壽榮) 1960년 5월 11일~1960년 8월 23일 제2공화국 9대 우희창(禹熙昌) 1960년 8월 23일~1961년 1월 30일 정무차관 9대 김용식(金溶植) 1960년 8월 30일~1961년 5월 10일 사무차관 10대 김재순(金在淳) 1961년 1월 30일~1961년 5월 3일 정무차관 10대 이수영(李壽榮) 1961년 6월 16일~1961년 7월 7일 사무차관 11대 박동진(朴東鎭) 1961년 7월 7일~1961년 10월 11일 12대 이원경(李源京) 1961년 10월 11일~1962년 8월 28일 13대 최문경(崔文卿) 1962년 8월 28일~1963년 12월 17일 제3공화국 14대 정일영(鄭一永) 1963년 12월 17일~1964년 10월 19일 15대 문덕주(文德周) 1964년 10월 19일~1965년 10월 22일 16대 김영주(金永周) 1965년 10월 22일~1967년 9월 22일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중령 출신, 우간다 주재 대사, 벨기에 주재 대사 17대 진필식(陳弼植) 1967년 9월 22일~1969년 12월 8일 18대 윤석헌(尹錫憲) 1969년 12월 8일~1974년 2월 4일 rowspan=2 | 제4공화국 19대 노신영(盧信永) 1974년 2월 11일~1976년 3월 9일 국무총리 역임 20대 윤하정(尹河珽) 1976년 3월 9일~1978년 5월 27일 21대 이민용(李玟容) 1978년 5월 27일~1980년 5월 26일 22대 김동휘(金東輝) 1980년 5월 26일~1982년 5월 24일 rowspan=2 | 제5공화국 23대 노재원(盧載源) 1982년 5월 24일~1984년 3월 3일 24대 이상옥(李相玉) 1984년 3월 3일~1986년 9월 5일 25대 오재희(吳在熙) 1986년 9월 5일~1987년 9월 5일 26대 박쌍용(朴雙龍) 1987년 9월 5일~1988년 3월 4일 노태우 정부 27대 신동원(申東元) 1988년 3월 5일~1989년 12월 29일 28대 유종하(柳宗夏) 1989년 12월 29일~1992년 2월 27일 29대 노창희(盧昌熹) 1992년 2월 27일~1993년 3월 3일 김영삼 정부 30대 홍순영(洪淳瑛) 1993년 3월 4일~1994년 5월 23일 31대 박건우(朴健雨) 1994년 5월 23일~1995년 1월 17일 32대 이시영(李時榮) 1995년 1월 20일~1995년 12월 23일 33대 이기주(李祺周) 1995년 12월 23일~1998년 3월 3일
1998년 김대중 정부 출범과 함께 외교통상부가 신설되면서 외교통상부 차관직이 설치되었다. 2005년 7월 22일 이태식 차관이 제1차관으로 이동하면서 차관직은 제1차관과 제2차관으로 분리되었다. 이후 2013년 박근혜 정부에서 외교부로 명칭이 변경되면서 현재는 외교부 제1차관과 제2차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4. 1. 외교통상부 차관
1998년 김대중 정부 출범과 함께 외교통상부가 신설되면서 외교통상부 차관직이 설치되었다.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김대중 정부 | 초대 | 선준영 | 1998년 3월 8일~2000년 1월 27일 | |
2대 | 반기문 | 2000년 1월 27일~2001년 4월 1일 | 유엔 사무총장 역임 | |
3대 | 최성홍 | 2001년 4월 1일~2002년 2월 3일 | ||
4대 | 김항경 | 2002년 2월 4일~2003년 3월 3일 | ||
노무현 정부 | 5대 | 김재섭 | 2003년 3월 3일~2004년 1월 28일 | |
6대 | 최영진 | 2004년 1월 28일~2004년 12월 27일 | ||
7대 | 이태식 | 2004년 12월 27일~2005년 7월 22일 |
2005년 7월 22일 이태식 차관이 제1차관으로 이동하면서 차관직은 제1차관과 제2차관으로 분리되었다.
4. 1. 1. 외교통상부 제1차관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노무현 정부 | 8대 | 이태식 | 2005년 7월 22일~2005년 9월 29일 | |
9대 | 유명환 | 2005년 9월 29일~2006년 12월 1일 | 외교부 장관 역임 | |
10대 | 조중표 | 2006년 12월 1일~2008년 2월 29일 | ||
이명박 정부 | 11대 | 권종락 | 2008년 2월 29일~2009년 11월 13일 | |
12대 | 신각수 | 2009년 11월 14일~2011년 2월 8일 | ||
13대 | 박석환 | 2011년 2월 9일~2012년 3월 2일 | ||
14대 | 안호영 | 2012년 3월 2일~2013년 3월 13일 | 주미대사 역임 |
4. 1. 2. 외교통상부 제2차관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노무현 정부 | 8대 | 유명환 | 2005년 8월 1일~2005년 9월 29일 | 외교부 장관 역임 |
9대 | 이규형 | 2005년 9월 29일~2006년 11월 30일 | ||
10대 | 김호영 | 2006년 12월 1일~2008년 2월 29일 | ||
이명박 정부 | 11대 | 김성환 | 2008년 2월 29일~2008년 6월 30일 | |
12대 | 신각수 | 2008년 7월 1일~2009년 11월 14일 | ||
13대 | 천영우 | 2009년 11월 14일~2010년 10월 26일 | ||
14대 | 민동석 | 2010년 10월 27일~2012년 3월 2일 | ||
15대 | 김성한 | 2012년 3월 2일~2013년 3월 13일 | 국가안보실장 역임 |
4. 2. 외교부 제2차관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박근혜 정부 | 초대 | 조태열 | 2013년 3월 13일~2016년 11월 17일 | 외교부 장관 역임 |
2대 | 안총기 | 2016년 11월 18일~2017년 5월 31일 | ||
문재인 정부 | 3대 | 조현 | 2017년 6월 1일~2018년 9월 27일 | 주유엔대사 역임 |
4대 | 이태호 | 2018년 9월 28일~2020년 12월 24일 | ||
5대 | 최종문 | 2020년 12월 25일~2022년 5월 9일 | ||
윤석열 정부 | 6대 | 이도훈 | 2022년 5월 10일~2023년 7월 2일 | 주러대사 역임 |
7대 | 오영주 | 2023년 7월 3일~2023년 12월 28일 |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역임 | |
8대 | 강인선 | 2024년 1월 10일 ~ |
참조
[1]
웹인용
외부 출신 최연소 차관에 ‘술렁’…최종건 합류한 외교부 어디로
https://news.kbs.co.[...]
2024-03-06
[2]
웹인용
"[프로필] 尹외교안보정책 설계자 김성한…새 정부 안보사령탑으로"
https://www.yna.co.k[...]
2024-03-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