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대한민국의 대통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대한민국의 대통령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국가원수이자 행정부의 수반이며, 국군 통수권자이다. 5년 단임제로 국민의 직접 선거를 통해 선출되며, 헌법에 따라 다양한 권한과 의무를 갖는다. 대통령은 국가의 독립, 영토 보전, 헌법 수호의 책무를 지며, 외교, 국방, 사면, 법률안 거부 등 광범위한 권한을 행사한다. 대통령 유고 시에는 국무총리, 법률이 정한 국무위원 순으로 권한을 대행한다. 대한민국은 건국 이후 대통령제를 유지해 왔으며, 과거 부통령 제도가 존재했으나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대통령 - 한덕수
    한덕수는 경제 관료 출신 정치인으로, 제47대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며, 윤석열 정부에서 국무총리로 임명되어 의사 파업 대응과 의료 개혁을 추진했고, 대통령 탄핵 이후 권한대행을 맡았으나 탄핵소추로 직무가 정지되었다.
  • 대한민국의 대통령 - 문재인
    대한민국의 제19대 대통령인 문재인은 인권 변호사 출신으로 노무현 정부의 핵심 측근을 지냈으며, 2017년 대통령에 당선되어 국민 통합, 남북 관계 개선, 검찰 개혁 등을 추진했으나 부동산 정책 실패와 코로나19 팬데믹, 재보궐선거 참패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퇴임 후 양산 평산마을에서 생활하고 있다.
  • 아시아의 국가원수 - 한덕수
    한덕수는 경제 관료 출신 정치인으로, 제47대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며, 윤석열 정부에서 국무총리로 임명되어 의사 파업 대응과 의료 개혁을 추진했고, 대통령 탄핵 이후 권한대행을 맡았으나 탄핵소추로 직무가 정지되었다.
  • 아시아의 국가원수 - 광서제
    광서제는 도광제의 손자이자 순친왕 혁현의 아들로, 1875년 청나라의 황제가 되었으며, 서태후의 섭정 아래 무술변법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유폐된 채 사망했다.
  • 대한민국의 정치에 관한 - 한덕수
    한덕수는 경제 관료 출신 정치인으로, 제47대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며, 윤석열 정부에서 국무총리로 임명되어 의사 파업 대응과 의료 개혁을 추진했고, 대통령 탄핵 이후 권한대행을 맡았으나 탄핵소추로 직무가 정지되었다.
  • 대한민국의 정치에 관한 - 문재인
    대한민국의 제19대 대통령인 문재인은 인권 변호사 출신으로 노무현 정부의 핵심 측근을 지냈으며, 2017년 대통령에 당선되어 국민 통합, 남북 관계 개선, 검찰 개혁 등을 추진했으나 부동산 정책 실패와 코로나19 팬데믹, 재보궐선거 참패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퇴임 후 양산 평산마을에서 생활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대통령
기본 정보
대한민국 대통령의 문장
대통령 문장
대한민국 대통령의 기
대통령 깃발
직위국가원수
정부수반
최고사령관
소속 기관국무회의
국가안전보장회의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관저대한민국 대통령실
소재지서울
공식 웹사이트영문 웹사이트
한국어 웹사이트
직책
현직윤석열 (직무 정지 중)
현직 임기 시작2022년 5월 10일 (직무 정지: 2024년 12월 14일)
권한대행한덕수 (2024년 12월 14일 ~)
임명 방식직접 선거
임기5년 (단임제)
창설일1948년 7월 24일
초대 대통령이승만
급여240,648,000 KRW (2021년 기준)
권한 및 책임
행정부행정부
직속 기관대통령실
역사
전임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통령
기타
비공식 명칭대한민국 대통령
직무 대행국무총리

2. 대통령의 지위

대한민국 헌법은 대통령의 자격과 권한을 규정하고 있다. 대통령은 국가원수(제66조 1항), 행정권을 가진 정부의 수반(제66조 4항), 그리고 대한민국 국군의 통수권자(제74조 1항)이다. 대통령은 입법 및 사법에 직접 관여하는 권한은 없지만, 입법권(제53조 2항)과 사법권(제104조 1항)의 일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다.

부통령직은 없으며, 국무총리가 대통령을 보좌하고, 비상시 권한을 대행한다. 다만, 제1공화국 시대(1948년 - 1960년)에는 부통령이 존재했다.

대통령에게는 불체포특권(제84조)과 긴급조치권(제76조)이 부여되어 있지만, 그 발동에는 제약이 있다. 또한, 대통령은 국회 해산권이 없고, 시민권의 정지도 인정되지 않는다.

대통령의 보수는 인사혁신처가 규정하는 공무원의 보수·수당에 관한 규정에 따라 매년 개정되며, 2016년 연봉은 2억 1200만 이었다.[21] 대통령은 대통령비서실의 지원과 대통령경호실의 경호를 받는다. 대통령비서실에는 "특수활동비"라는 예산의 일부가 배정되었으며, 2016년 배정액은 146억 9200만 원이었다.[22] 특수활동비는 그 내역을 공개할 필요가 없고, 기밀비의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박근혜 정권 시대에는 대통령의 의복 등 사적인 지출에도 일부가 유용되었다.[22]

대한민국 대통령의 청사는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있는 대한민국 대통령실 (용산 대통령실)이며, 2022년부터 사용되고 있다. 건국 직후에는 조선총독의 구 청사를 '''경무대'''라는 명칭으로 청사로 사용하였으며, 1960년에 청사의 명칭을 '''청와대'''로 변경하고, 1991년부터는 구 청사와 같은 부지에 새로 지은 청사를 사용하였다. 1983년부터 2003년까지 대통령 전용 별장으로 충청북도청남대가 설치되어 있었다.

2. 1. 국가원수로서의 지위

대통령은 국가원수로서의 지위에 있으며, 대한민국 헌법은 이를 “국가의 원수이며 외국에 대하여 국가를 대표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국가의 원수는 국내법상 국가의 통일성과 항구성을 상징하며, 국내에서는 최고의 통치권을 행사하고 대외적으로는 국가를 대표하는 자격을 가진 국가기관을 말한다.

대통령이 조약을 체결·비준하고 외교사절을 신임·접수 또는 파견하며, 선전포고와 강화를 할 외교에 관한 권한을 가지는 것은 국가 원수로서의 지위에 따른 것이다.[7]

2. 2. 정부수반으로서의 지위

대한민국 헌법 제66조 제4항은 “행정권은 대통령을 수반으로 하는 정부에 속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 규정에 따라 대통령은 행정수반의 지위를 가지며, 정부를 조직하고 이끌어 나간다.[114]

대통령은 정부조직권, 행정각부 장관 임명권, 감사원 조직 및 통할권을 가진 기관이다. 동시에 국무회의 의장으로서 행정각부를 통할하는 행정 최고 지휘자 지위도 갖는다. 또한, 일정한 직무를 수행하는 공무원에 대한 임명권과 영전수여권 등을 가진다.[114] 국방부행정부에 속해있기 때문에 대통령은 행정부 수반으로서 국군통수권을 가진다.

대한민국 헌법 제3장은 대통령의 권한과 의무를 명시하고 있다. 대통령의 의무는 다음과 같다.

  • 헌법 준수
  • 대한민국의 안전과 영토 보존
  • 평화적인 한국의 통일 추진 (일반적으로 평화통일자문회의 위원장 역할 수행)


대통령에게 부여되는 권한은 다음과 같다.

  • 정부 행정부 수반으로서의 권한
  • 대한민국 군 최고 사령관으로서의 권한
  • 전쟁 선포 권한
  • 국가적으로 중요한 사안에 대한 국민투표 실시 권한
  • 대통령령 발령 권한
  • 국가에 대한 공로자에게 훈장 수여 권한
  • 사면 권한
  • 계엄령 또는 비상사태 선포 권한
  • 거부권 행사 (국회의 3분의 2 찬성으로 거부권 무효화 가능)[7]


국회가 대통령 결정에 반대하는 경우, 그 결정은 즉시 무효화된다.

대통령은 중요한 정책 문제를 국민투표에 부칠 수 있으며, 전쟁을 선포하고, 평화 협정 및 기타 조약을 체결하고, 고위 공직자를 임명하고, 사면할 수 있다(국회 동의 필요). 심각한 내란, 외란 위협, 경제적 또는 재정적 위기 시, 대통령은 "국가 안보 또는 공공의 질서 유지를 위해" 긴급 권한을 행사할 수 있다. 긴급 조치는 국회가 회기 중이 아니고 소집할 시간이 없는 경우에만 가능하며, "최소한 필요한 범위"로 제한된다.

1987년 헌법은 1980년 헌법에서 정부가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일시 정지할 수 있도록 명시한 조항을 삭제했다. 그러나 대통령은 위기 기간 동안 기존 법률을 개정하거나 폐지할 수 있는 다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그러한 긴급 조치가 헌법 일부 조항을 일시 정지시킬 수 있는지 여부는 불분명하다. 긴급 조치는 국회에 제출되어 동의를 얻어야 한다. 국회 승인을 얻지 못하면 긴급 조치는 취소되며, 대통령 명령으로 무효화되었던 법률은 원래 효력을 회복한다. 이러한 점에서 입법부 권한은 조약 비준이나 전쟁 선포의 경우보다 더 강력하게 주장되고 있는데, 이 경우 헌법은 국회가 대통령 행동에 대해 "동의할 권리가 있다"고만 규정하고 있다. 1980년 헌법과 달리 1987년 헌법은 대통령이 국회를 해산할 수 없다고 명시하고 있다.

2. 3. 헌법의 수호자로서의 지위

대한민국 헌법 제66조 제2항과 제3항은 대통령이 국가의 독립, 영토 보전, 국가의 계속성과 헌법을 수호할 책무를 지니며, 조국의 평화적 통일을 위한 성실한 의무를 진다고 명시하고 있다.[115] 이는 대통령이 국가와 헌법의 수호자이자 한반도 통일 책무자임을 나타낸다.

헌법 제3장은 대통령의 권한과 의무를 규정하고 있는데, 대통령은 다음과 같은 의무를 가진다.

  • 헌법 준수
  • 대한민국의 안전과 영토 보존
  • 평화적인 한국의 통일 추진 (일반적으로 평화통일자문회의 위원장 역할 수행)


1987년 헌법은 1980년 헌법과 달리 정부가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일시적으로 정지할 수 있도록 명시한 조항을 삭제하였다.[7]

3. 대통령 선거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는 대한민국 헌법과 공직선거법에 따라 실시된다. 대통령은 국민의 보통, 평등, 직접, 비밀 선거를 통해 선출되며, 과반수득표제 방식이 적용된다.

3. 1. 선출 방식

대한민국 대통령은 국회의원의 피선거권이 있고 선거일 현재 40세 이상인 대한민국 국민이 출마할 수 있다. 대통령은 국민의 보통, 평등, 직접, 비밀 선거로 선출되며, 최다 득표자가 당선된다. 최고 득표자가 2명 이상일 경우에는 국회 재적 의원 과반수가 출석한 공개회의에서 다수표를 얻은 사람이 당선된다. 대통령 후보자가 한 명일 때에는 그 득표자가 총 선거권자의 3분의 1 이상을 득표해야 한다.

대통령 선거는 현직 대통령의 임기가 만료되는 경우, 임기 만료 70일 전부터 40일 전 사이에 실시된다. 대통령이 궐위되거나, 대통령 당선자가 사망 또는 판결 등의 사유로 자격을 상실한 경우에는 60일 이내에 후임자를 선거한다.

선거가 끝나면, 대통령 당선자의 임기는 대한민국 공직선거법 제14조 제1항에 따라 시작일이 결정된다.[23] 현임 대통령의 임기 만료 전에 선거가 실시되는 경우, 현임자의 임기 만료일 다음 날 0시부터 차기 대통령의 임기가 시작된다. 현임 대통령의 임기 만료 후에 선거가 실시되거나, 대통령이 궐위된 상황에서 선거가 실시되는 경우에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선거 당선자를 확정한 순간부터 임기가 시작된다.[24]

민주화 선언 이후, 현행 선출 방법으로 치러진 대통령 선거는 다음과 같다.

선거일선거명비고
1987년 12월 16일제13대 대통령 선거현직 대통령 임기 만료
1992년 12월 18일제14대 대통령 선거현직 대통령 임기 만료
1997년 12월 18일제15대 대통령 선거현직 대통령 임기 만료
2002년 12월 19일제16대 대통령 선거현직 대통령 임기 만료
2007년 12월 19일제17대 대통령 선거현직 대통령 임기 만료
2012년 12월 19일제18대 대통령 선거현직 대통령 임기 만료
2017년 5월 9일제19대 대통령 선거현직 대통령 궐위
2022년 3월 9일제20대 대통령 선거현직 대통령 임기 만료


3. 2. 선거 시기

대한민국의 대통령 선거 시기는 대통령의 임기가 만료되는 때와 궐위된 때로 나누어 규정하고 있다. 대통령의 임기가 만료되는 때에는 임기 만료 70일 전부터 40일 전 사이에 후임자를 선거한다. 대통령이 궐위된 때 또는 대통령 당선자가 사망하거나 판결 기타의 사유로 그 자격을 상실한 때에는 60일 이내에 후임자를 선거한다.[23][24]

현직 대통령의 임기가 만료되는 경우에는 임기 만료일 70일 전부터 40일 전 사이에, 대통령이 궐위되었거나 대통령 당선자가 사망 또는 판결 등의 사유로 그 자격을 상실한 때에는 궐위 또는 자격 상실로부터 60일 이내에 후임 대통령을 선출해야 한다.

민주화 선언 이후, 현행 선출 방법으로 치러진 대통령 선거는 다음과 같다.

선거날짜실시 사유
제13대 대통령 선거1987년 12월 16일현직 대통령의 임기 만료
제14대 대통령 선거1992년 12월 18일현직 대통령의 임기 만료
제15대 대통령 선거1997년 12월 18일현직 대통령의 임기 만료
제16대 대통령 선거2002년 12월 19일현직 대통령의 임기 만료
제17대 대통령 선거2007년 12월 19일현직 대통령의 임기 만료
제18대 대통령 선거2012년 12월 19일현직 대통령의 임기 만료
제19대 대통령 선거2017년 5월 9일현직 대통령의 궐위
제20대 대통령 선거2022년 3월 9일현직 대통령의 임기 만료


3. 3. 역대 대통령 선거 결과

대한민국 대통령 선출은 현행 헌법 제67조에 따라 이루어진다. 대통령은 국민의 보통, 평등, 직접, 비밀 선거로 선출된다.

투표 결과 최고 득표자가 2인 이상일 경우, 국회 재적 의원 과반수가 출석한 공개 회의에서 다수표를 얻은 자가 당선된다. 대통령 후보자가 1명뿐이라도 선거는 실시되며, 유권자 총수의 3분의 1 이상을 득표해야 당선될 수 있다.

선거는 현직 대통령 임기가 만료되는 경우 임기 만료일 70일 전부터 40일 전 사이에, 대통령이 궐위되었거나 당선자가 사망 또는 판결 등으로 자격을 상실한 경우에는 60일 이내에 실시된다(제68조).

민주화 선언 이후, 현행 선출 방식으로 치러진 대통령 선거는 다음과 같다.

3. 4. 대통령 당선인

현 대통령의 임기가 70여 일 남은 시점에서 선거를 시행하여 차기 대통령 취임자로 확정될 시 대통령 당선인 신분이 된다. 현직이자 전임 대통령이 임기를 마치고 당선인이 취임하면 정식 대통령으로 호칭된다.[23]

대통령 선거 규칙은 대한민국 헌법과 공직선거법에 의해 정의된다. 대통령은 과반수득표제를 사용하는 직접 민주 투표에 의해 선출된다. 대한민국 대통령 선출은 현행 헌법 제67조의 규정에 따라 이루어진다.

국회의원의 피선거권이 있으며, 선거일 기준으로 만 40세에 달한 대한민국 국민이 대통령에 입후보할 수 있다. 대통령은 대한민국 국민의 보통·평등·직접 및 비밀 선거에 의해 선출된다.

투표 결과, 최고 득표자가 2인 이상일 경우, 대한민국 국회의 재적 의원 과반수가 출석한 공개 회의에서 다수표를 얻은 자가 당선인 된다.

대통령 후보자가 1명뿐이더라도 선거는 실시되며, 선거에서 얻은 신임표 수가 유권자 총수의 3분의 1 이상이 아니면 대통령으로 당선될 수 없다.

선거는 현임 대통령의 임기가 만료되는 경우에는, 임기 만료일 70일 전부터 40일 전 사이에 실시된다. 대통령이 궐위되었거나, 대통령 당선자가 사망 또는 판결 등의 사유로 그 자격을 상실한 때에는, 궐위 또는 자격 상실로부터 60일 이내에 후임 대통령을 선출해야 한다(제68조).

선거 종료 후, 대통령 당선자의 임기는 대한민국 공직선거법|label=대한민국 공직선거법한국어 제14조 제1항에 따라 시작일이 결정된다.[24] 선거가 현임 대통령의 임기 만료 전에 실시되는 경우, 현임자의 임기 만료일 다음 날 0시부터 차기 대통령의 임기가 시작된다. 선거가 현임 대통령의 임기 만료 후에 실시되거나, 대통령이 궐위된 상황 하에서 선거가 실시되는 경우에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선거 당선자를 확정한 순간부터 임기가 시작된다.

이 규정에 따라, 2017년에 선출된 제19대 대통령 문재인제6공화국 체제하에서 처음으로 당선 결정과 동시에, 정권 이양 준비 기간 없이 대통령직에 취임하게 되었다.[23]

4. 대통령의 임기

대한민국의 대통령 임기는 5년이며, 중임은 할 수 없다.[25] 과거 정권이 정권 연장을 위해 개헌을 추진했던 것에 대한 반성으로, 대통령 임기 연장이나 중임 변경을 위한 개헌은 그 개헌안 제안 당시의 대통령에게는 효력이 없다.

대통령은 임기 시작일 0시에 취임하며[116], 취임식은 취임 요건이 아니다. 1987년 헌법 개정으로 1988년 이후 임기는 5년 단임으로 고정되어 재직 일수는 1826일 또는 1827일이다.[117]

4. 1. 임기

대한민국의 대통령 임기는 5년이며, 한 번만 임기를 수행할 수 있는 단임제이다.[25] 과거 정권 연장을 위한 개헌 시도에 대한 반성으로, 대통령 임기 연장이나 중임 변경을 위한 헌법 개정은 그 개헌안 제안 당시의 대통령에게는 효력이 없다.

대통령은 임기 시작일 0시에 취임하며[116], 취임식은 취임 요건이 아니다.

1987년 헌법 개정으로 1988년부터 임기는 5년 단임으로 고정되어, 재직 일수는 1826일 또는 1827일이다.[117]

다음은 5년 단임제 이외의 임기를 가진 대통령들이다.



헌법개정으로 임기 연장이나 중임 제한 해제가 이루어져도, 개헌 제안 당시 현직 대통령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제128조 2항)

현행 헌법은 대통령의 자발적 사임에 대해 명확히 규정하고 있지 않다. 헌법학자들은 제68조나 제71조의 '결위'로 간주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26] 실제 사례가 없어 처리 방식은 미정이다.

중임 금지 규정은 박정희의 장기 독재에 대한 반성으로 만들어졌다.[27] 제3공화국 헌법은 대통령 임기를 4년, 1회 중임 가능으로 규정했다. 그러나 박정희는 3선 개헌을 통해 3선을 가능하게 했고, 10월 유신으로 대통령 선출 방식을 직접 선거에서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에 의한 간접 선거로 변경하는 유신 헌법을 제정하여, 1979년 암살될 때까지 প্রায় 16년간 대통령직을 유지했다.[28]

이러한 장기 집권에 대한 반성으로 전두환 정권의 제5공화국 헌법(1980년 채택)에서 처음으로 중임 금지 규정이 도입되었다. (단, 대통령 선출은 여전히 간접 선거였다.)[29] 민주화 선언 이후 제6공화국 헌법에서 대통령 직선제가 부활하면서 중임 금지 규정도 유지되었고, 노태우 이후 역대 대통령들은 모두 1기 5년 임기를 마쳤다.[30] 그러나 중임 금지로 인해 지속적인 정책 수행이 어렵다는 지적도 있어, 민주화 이후에도 중임 금지 규정에 대한 개헌 논의가 있었다.[31][32]

대통령 임기 중 궐위 또는 사고로 직무 불능 시, 국무총리가 1순위, 법률로 정해진 국무위원이 2순위 이하로 대통령 권한을 대행한다.(제71조)

4. 2. 역대 대통령 임기

대한민국의 대통령 임기는 5년 단임제로, 중임(재선)은 불가능하다.[25] 이는 대한민국 헌법 제70조에 명시되어 있다. 1987년 헌법 개정으로 1988년 이후 대통령 임기는 5년으로 고정되었으며, 햇수로는 5년이지만, 실제 재직 일수는 1826일 또는 1827일이다.[117]

1987년 이전까지는 임기 기간에 변동이 있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981년부터 대통령 중임이 금지되었다.

만약 헌법 개정을 통해 임기 연장이나 중임 제한 해제가 이루어지더라도, 해당 개헌 제안 당시의 현직 대통령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25] 이는 대한민국 헌법 제128조 제2항에 명시되어 있다. 과거 정권들이 정권 연장을 위해 개헌을 추진했던 것에 대한 반성으로 만들어진 조항이다.

대통령은 임기 개시일 0시에 취임하며[116], 취임식은 취임의 요건이 아니다.

역대 대통령들의 임기는 다음과 같다.



대통령 임기 중 유고나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는 국무총리가 제1순위, 법률로 정해진 국무위원이 제2순위 이하의 순서로 대통령 권한을 대행한다. (헌법 제71조)

4. 3. 선서 및 의무

대통령은 취임할 때 다음과 같이 선서한다.[119]

나는 헌법을 준수하고 국가를 보위하며 조국의 평화적 통일과 국민의 자유와 복리의 증진 및 민족문화의 창달에 노력하여 대통령으로서의 직책을 성실히 수행할 것을 국민 앞에 엄숙히 선서합니다.


대통령의 직무상 의무는 다음과 같다.[119]

  • 헌법 수호 의무: 대통령은 헌법을 수호하고 이를 실현할 의무를 진다.
  • 국가의 독립·보전 의무: 대통령은 국가가 주권적으로 독립하고 계속 존속할 수 있도록 직무를 수행하여야 할 책임과 의무를 진다.
  • 직무 수행 의무
  • 겸직 금지 의무: 대통령은 국무총리, 국무위원, 행정 각 부처의 장, 기타 법률이 정하는 공직이나 사직을 겸할 수 없다.
  • 평화 통일 노력 의무: 대통령은 조국의 평화적 통일을 위한 성실한 의무를 진다.

5. 역대 대통령

6. 대통령의 특권

2021년 기준으로 대통령은 연봉으로 240648000KRW을 받으며[1], 임기 중 여행, 물품 및 서비스 비용을 충당하기 위한 공개되지 않은 경비 계정도 가지고 있다.

또한, 대통령은 서울에 있는 '총리공관'과 국무총리실을 유지 관리한다. 총리공관은 국무총리의 공식 관저이자 직장이다. 국무총리는 다른 모든 공식 정부 사무실과 관저를 사용할 수 있다.

대통령은 또한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대통령이 언제든지 방문할 수 있도록 준비된 많은 지역 사무소를 가지고 있다. 관저는 아니지만, 이 사무소들은 국가가 소유하고 있으며 대통령이 해당 지역이나 도시에 있을 때 사용된다.

지상 이동의 경우, 대통령은 개조된 현대자동차 넥쏘 SUV를 의전차량으로 사용한다.[13] 항공 이동의 경우, 대통령은 호출 부호 코드원을 사용하는 보잉 747-400의 군용 개조 버전 항공기와 시콜스키 S-92의 군용 개조 버전인 대통령 전용 헬기를 사용한다.

대통령의 권한은 대통령이 직무를 정지하는 동안에는 국무총리를 제1위, 법률로 정해진 국무위원(각 국가 행정기관의 장)을 제2위 이하로 하는 계승 순서로 대행된다.

2017년 3월 현재, 국회로부터 탄핵소추 결의를 받은 대통령과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42]

대통령이미지소속 정당재임 기간비고
박정희--민주공화당81972년 12월 27일 ~ 1978년 12월 26일
91978년 12월 27일 ~ 1979년 10월 26일재임 중 사망 (10·26 사건)
최규하--무소속[51]1979년 10월 26일 ~ 1979년 12월 7일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101979년 12월 8일 ~ 1980년 8월 16일임기 만료 전 사퇴 (신군부 쿠데타로 군부 내부 실권을 장악한 전두환, 노태우 등에 의한 5·17 쿠데타로 군부에 정권을 장악당해 사퇴)
박충훈--무소속[51]1980년 8월 16일 ~ 1980년 9월 1일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대리)[34]



국회의 탄핵 결의부터 헌법재판소의 판단이 내려질 때까지 최장 180일 동안, 소추된 대통령은 대통령으로서의 신분을 유지하며 대통령 관저에서 생활할 수 있다. 신변 경호·의전 등의 예우와 업무 추진비를 제외한 급여도 소추 전과 마찬가지로 받을 수 있다. 다만, 직무가 정지되는 동안은 “통치 행위”로 간주되는 모든 활동이 정지되므로, 관저 내 대통령 집무실 출입은 제한되지만, 예외적으로 비공식적인 업무 연락을 받는 경우가 있다.[41]

탄핵이 성립되면 대통령은 즉시 파면되고, 경호·경비 이외의 대통령직 경험자에 대한 예우가 모두 박탈되며, 파면 후 5년간 공직에 취임할 수 없다. 탄핵은 대통령직 파면 여부만 결정하며, 재직 중 행위의 면책 사유가 되지 않는다(헌법 제84조 4항). 따라서 탄핵소추 사유에 따라 파면 후 민사·형사상 책임을 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사면 대상이 되지 않는다는 견해가 일반적이다.[40] 한편 탄핵소추가 기각 또는 각하된 경우, 소추된 대통령은 직무 특성상 즉시 복직한다.

한국 탄핵재판은 일심제이므로, 헌법재판소 선고와 동시에 결정이 확정된다. 단, “헌법재판소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사항이 판단되지 않은 경우”에 한해 재심이 가능하다는 해석이 있다. 재심 청구는 재심 이유 인지 후 30일 이내 또는 탄핵 결정 후 5년 이내에 해야 한다.[40]

6. 1. 불소추특권

헌법 제84조는 "대통령은 내란 또는 외환의 죄를 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재직 중 형사상의 소추를 받지 아니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는 대통령의 헌법상 지위에 따르는 권위를 유지하면서 일상적인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대통령은 재직 중에 내란 또는 외환의 죄를 범하지 않는 이상 형사 피고인으로 재판을 받지 않는다.[120]

내란 또는 외환의 죄를 범한 경우에 소추되는 것은, 이러한 행위가 헌법 수호자의 지위를 스스로 부정하여 헌법 질서와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죄를 범한 시점은 취임 이전이나 이후를 모두 포함한다. 이러한 죄 이외에는 법원의 재판권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법원은 공소기각 판결(형사소송법 제327조 제1호)을 한다. 다만 재직 시에 기소되지 않더라도, 퇴임 시까지는 공소시효의 진행이 정지된다.[121]

6. 2. 직무수행상의 면책특권

대통령은 직무를 수행하면서 행하는 적법한 모든 행위에 대하여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는다. 대통령의 판단 오류 등으로 인한 정책 집행의 오류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다만 위법한 행위나 범죄행위에 대해서는 법적인 책임을 진다.

임기 중 대통령은 내란외환 죄를 제외한 모든 형사소추로부터 면책된다(제84조). 하지만 헌법 위반 또는 공법 위반 행위가 인정될 경우, 소정의 절차를 거쳐 탄핵될 가능성이 있다. 탄핵 절차는 현행 헌법 제65조, 제111조 및 제113조에 따라 진행된다.

대한민국 헌법은 특정 공직자에 대한 탄핵소추 권한을 국회에만 부여하고 있으므로, 대통령을 탄핵하려면 우선 국회가 대통령 탄핵소추를 의결해야 한다(제65조 제1항).

다른 공직자와 달리, 국회는 재적 의원 과반수의 찬성을 얻어 대통령 탄핵소추를 발의하고, 발의 후 24시간 이후 72시간 이내에 무기명 투표를 실시한다. 투표 결과, 국회 재적 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이 있으면 탄핵소추가 의결된다(동조 제2항). 의결을 받은 대통령은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이 있을 때까지 직무 집행이 정지된다(동조 제3항).

7. 대통령의 권한

대통령은 그 지위에 따라 일정한 권한을 갖는다.[122] 대한민국 헌법은 대통령의 권한과 의무를 명시하고 있다. 대통령은 행정부 수반, 군 최고 사령관으로서 다음과 같은 권한을 갖는다.[7]



대통령은 중요한 정책 문제를 국민투표에 부칠 수 있으며, 전쟁을 선포하고, 평화 협정 및 기타 조약을 체결하고, 고위 공직자를 임명하고, 사면을 할 수 있다(국회의 동의를 얻어야 함).

국회가 대통령의 결정에 반대하는 경우, 그 결정은 즉시 무효화된다. 또한, 1987년 헌법은 대통령이 국회를 해산할 수 없다고 명시하고 있다.

대통령은 5년마다 실시되는 대통령 선거를 통해 선출된다. 현행 대한민국 헌법(제6공화국 헌법, 1987년 채택)은 대통령의 자격과 권한을 규정하고 있다. 대통령은 국가원수(제66조 1항), 행정권을 가진 정부의 수반(제66조 4항)이며, 입법사법에 직접 관여하는 권한은 없지만, 입법권(제53조 2항)과 사법권(제104조 1항)의 일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다.

부통령직은 없으며, 국무총리가 대통령을 보좌하고, 비상시 권한을 대행한다.

대통령에게는 불체포특권(제84조)과 긴급조치권(제76조)이 부여되어 있지만, 그 발동에는 제약이 있다. 또한, 대통령은 국회의 해산권이 없고, 시민권의 정지도 인정되지 않는다.

대통령의 보수(봉급)는 인사혁신처에서 규정하는 공무원보수·수당에 관한 규정에 따라 매년 개정되며, 2016년 연봉은 2억 1200만 이었다.[21]

7. 1. 외교에 관한 권한

대한민국의 대통령은 국가를 대표하여 조약을 체결하고 비준하는 권한을 가진다(헌법 제73조). 또한 외교사절을 신임, 접수, 파견하며(헌법 제73조), 선전포고와 강화(講和)에 관한 권한(헌법 제73조), 그리고 국군을 외국에 파견하는 권한(헌법 제60조 제2항)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외교 관련 권한을 행사할 때는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쳐야 하며(헌법 제89조 제2호~제6호), 국무총리와 관계 국무위원이 함께 서명한 문서로 해야 한다(헌법 제82조). 또한, 특정 조약을 체결·비준하거나 외국 군대를 대한민국에 주둔시키려면 국회의 동의가 필요하다(헌법 제60조 제1항 및 제2항).

7. 2. 국군통수권

대한민국 헌법에 따르면, 대통령은 대한민국 군의 최고 사령관으로서 군 통수권을 가진다.[7] 대통령은 군 최고 사령관으로서 전쟁 선포 권한을 갖는다.[7]

국회가 대통령의 결정에 반대하는 경우, 그 결정은 즉시 무효화된다.

7. 3. 비상시 권한

대통령은 대한민국 헌법과 법률에 따라 국군을 통솔한다(헌법 제74조).[123] 다만, 군사에 관한 중요 사항은 국가안전보장회의의 자문과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쳐야 하며, 국무총리와 관계 국무위원이 함께 서명한 문서로 해야 한다(헌법 제91조, 제89조 제6호, 제82조). 선전포고나 국군의 외국 파견 등에는 국회의 사전 동의가 필요하다(헌법 제60조 제2항).

대통령은 다음과 같은 비상시 권한을 가진다.

이러한 긴급 조치는 국회가 회기 중이 아니고 소집할 시간이 없는 경우에만 취해질 수 있으며, "최소한 필요한 범위"로 제한된다. 긴급 조치는 국회에 제출되어 동의를 얻어야 하며, 국회의 승인을 얻지 못하면 취소될 수 있다.

7. 4. 국정 통합·조정

대통령은 국가와 헌법의 수호자로서 위헌정당 해산제도에 대한 제소권을 갖는다(헌법 제8조 제4항). 대통령은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쳐(헌법 제89조 제3호) 헌법개정안을 발의할 수 있다(헌법 제128조 제1항).

"대통령은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외교·국방·통일·기타 국가 안위에 관한 중요정책을 국민투표에 붙일 수 있다"(헌법 제72조). 이는 대한민국 헌법이 채택하고 있는 간접민주제의 예외인 직접민주제에 대한 규정이며,[124] 헌법개정안에 대한 국민투표와 달리 임의로 실시할 수 있다.

특히 헌법개정안의 경우 국회의 의결을 거치도록 규정하고 있는 헌법 제130조 제2항에도 불구하고, 제72조의 국민투표를 통해 국회의 의결 없이 헌법개정안을 확정하려는 시도는 헌법에 명백히 위배된다.[125] 헌법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책에 대한 국민투표를 실시하는 것 또한 허용되지 않는다.

7. 5. 헌법기관 구성

대통령은 헌법기관 구성자로서 헌법기관을 구성할 권한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단, 감사원장, 대법원장, 대법관, 헌법재판소장을 임명하려면 국회의 동의가 필요하다.[7]

7. 6. 행정부 수반

대한민국 헌법 제66조 제4항에는 “행정권은 대통령을 수반으로 하는 정부에 속한다.”라고 규정되어 있다.[114] 이 규정에 따라 대통령은 행정부의 수반 지위를 가지며, 정부를 조직하고 이끌어 나간다.

대통령은 정부조직권, 행정각부 장관 임명권, 감사원 조직 및 통할권을 가진 기관이다. 또한 국무회의 의장, 행정 각 부처를 통솔하는 행정 최고 지휘자 등의 지위를 갖는다.[114] 이는 대통령이 행정부 수반임을 나타낸다. 이외에도 특정 직무를 수행하는 공무원에 대한 임명권, 영전수여권 등을 가진다.[114] 국방부행정부 소속이므로, 대통령은 행정부 수반으로서 국군통수권 또한 가진다.

행정부 수반은 행정부를 조직하고, 집행에 관한 최고 결정 및 지휘감독권을 행사함을 의미한다. 대통령은 탄핵소추에 의하지 않고는 국회에 책임을 지지 않는다.

대통령은 국회에서 의결되어 정부로 넘어온 법률안에 대해 이의가 있을 때 재의를 요구할 수 있는 법률안 거부권을 가진다. 이는 미국 대통령제 헌법에서 유래되었다.

현대 복지국가, 사회국가에서는 전문적이고 기술적인 사항이 많아지고, 이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필요하다. 따라서 국회가 모든 사항을 법률로 규정하기 어려워, 법률로 구체적인 범위를 정해 행정부에 입법권을 위임한다. 행정부에 의해 만들어진 법을 행정입법이라 한다. 대통령은 법률에서 구체적으로 범위를 정하여 위임받은 사항과 법률 집행을 위해 필요한 사항에 관하여 대통령령(시행령)을 발할 수 있다.

대한민국의 대통령은 행정부 수반으로서 행정부의 각 부서와 기관을 만들거나 폐지할 수 있다. 또한 각 부서와 기관을 책임질 장관이나 기관장을 임명할 수 있다. 청와대 내부 인사나 조직도 대통령이 결정할 수 있다.

대통령은 헌법과 법률에 따라 공무원을 임명한다.

국회가 대통령 결정에 반대하면 그 결정은 즉시 무효가 된다.

심각한 내란, 외환 위협, 경제/재정 위기 시 대통령은 "국가 안보 또는 공공 질서 유지를 위해" 긴급 권한을 행사할 수 있다. 긴급 조치는 국회가 회기 중이 아니고 소집할 시간이 없을 때만, "최소한 필요한 범위"로 제한된다.

1987년 헌법은 정부가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일시 정지할 수 있게 한 1980년 헌법 조항을 삭제했다. 그러나 대통령은 위기 시 기존 법률을 개정/폐지할 수 있다. 긴급 조치가 헌법 일부를 일시 정지시킬 수 있는지는 불분명하다. 긴급 조치는 국회 동의가 필요하며, 미승인 시 취소되고 무효화되었던 법률은 원래 효력을 회복한다. 입법부 권한은 조약 비준, 전쟁 선포보다 강력하다. 헌법은 국회가 대통령 행동에 "동의할 권리가 있다"고만 규정한다. 1987년 헌법은 대통령의 국회 해산을 금지한다.

대한민국 대통령은 행정부 수반(제66조 4항)으로서 경찰(행정안전부 경찰청), 검찰(법무부 검찰청), 직속 정보기관(국가정보원)을 관할한다.

7. 7. 권한 행사의 방법

대통령은 권한을 행사할 때 다음과 같은 방법을 따른다.[130]

8. 대통령 권한대행

'''대한민국 대통령 권한대행'''은 대한민국 정부에서 대통령 직위가 궐위되거나 사고로 인하여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 대통령 자리를 대신하는 직위이다.

대한민국 헌법 제71조는 "대통령이 궐위되거나 사고로 인하여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에는 국무총리, 법률이 정한 국무위원의 순서로 그 권한을 대행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8. 1. 대통령 권한대행 승계 서열

순위직위
1국무총리
2기획재정부 장관
3교육부 장관
4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5외교부 장관
6통일부 장관
7법무부 장관
8국방부 장관
9행정안전부 장관
10국가보훈부 장관
11문화체육관광부 장관
12농림축산식품부 장관
13산업통상자원부 장관
14보건복지부 장관
15환경부 장관
16고용노동부 장관
17여성가족부 장관
18국토교통부 장관
19해양수산부 장관
20중소벤처기업부 장관


9. 퇴임 후의 예우

헌법 제85조에 따라 전직 대통령의 신분과 예우에 관해서는 법률로 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전직 대통령 예우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있다. 이 법에 따르면 전직 대통령이 재직 중 탄핵되거나 금고 이상의 형이 확정된 경우 등에는 경호 이외의 예우는 하지 않는다.

헌법 제90조 제2항에 따라 국가원로자문회의를 두는 경우, 전직 대통령 중 직전 대통령은 국가원로자문회의 의장이 된다. 그러나 1989년 3월 국가원로자문회의법이 폐지되었고, 1995년 12월에는 전직 대통령 예우법의 해당 규정도 폐기되었다. 현재 국가원로자문회의 규정은 존재하지만, 설치되지는 않고 있다.

현재 생존하는 전직 대통령은 이명박, 박근혜, 문재인 3명이지만, 이 중 문재인 대통령을 제외한 두 대통령은 전직 대통령에 대한 예우가 박탈되었다. 박근혜탄핵으로, 이명박은 재임 기간 중 직권남용 등의 혐의로 예우가 박탈되었다. 다만, 박근혜는 사면 복권으로, 이명박은 배우자가 생존하여 경호 예우는 받고 있다.

모든 전직 대통령은 종신 연금과 대통령경호처의 경호를 받는다. 전직 대통령은 대통령경호처의 보호를 거부할 수 없다. 최근 몇 년 동안 한국 대통령들은 퇴임 후 논란에 휩싸이는 경우가 많았는데, 지난 6명 중 4명이 수감되었다.[14][15][16][17]

9. 1. 장례와 안장

대통령은 사망 시 국가장법에 따라 유족 등의 의견을 고려하여 행정자치부 장관의 제청으로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대통령이 결정하는 바에 따라 국가장으로 장례를 치를 수 있다. 또한, 국립묘지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국립서울현충원국립대전현충원 안장 대상자가 된다. 국립묘지에 안장되지 않더라도 장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보존묘지로 지정될 수 있다.

역대 대통령들의 장례 및 안장 현황은 다음과 같다.

이름사망일장례 방식안장 위치비고
이승만1965년 7월 19일가족장서울특별시 동작구 현충로 210 (국립서울현충원 독립묘역)
박정희1979년 10월 26일국장서울특별시 동작구 현충로 210 (국립서울현충원 독립묘역)
윤보선1990년 7월 18일가족장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 동천리 산 34-2 (사설묘지)
최규하2006년 10월 22일국민장대전광역시 유성구 현충원로 251 (국립대전현충원 국가원수묘역 1호)
노무현2009년 5월 23일국민장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본산리 21-7 (사설묘지, 국가보존묘지 1호)
김대중2009년 8월 18일국장서울특별시 동작구 현충로 210 (국립서울현충원 독립묘역)
김영삼2015년 11월 22일국가장서울특별시 동작구 현충로 210 (국립서울현충원 독립묘역)
노태우2021년 10월 26일국가장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헤이리로 98 (국가보존묘지 2호)
전두환2021년 11월 23일가족장안장 위치 미정



탄핵된 대통령은 연금, 무료 의료 서비스, 퇴임 후 사무실 운영비 지원, 개인 비서 및 운전기사, 사후 국립서울현충원 안장권 등 퇴임 후 혜택을 박탈당한다. 하지만 대통령경호법에 따라 경호는 계속 받을 자격이 있다.[17]

10. 관련 사건

헌법 제79조 제1항은 대통령의 사면권을 규정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면법이 제정되어 있다.[126] 사면은 형의 선고 효과나 공소권을 소멸시키거나, 형의 집행을 면제시키는 국가 원수의 행위를 말한다. 헌법은 대통령에게 사면, 감형, 복권 권한을 부여한다.[127]

사면권의 한계에 대한 명시적인 조문은 없지만, 일부 법학자들은 다음과 같은 한계를 주장한다.[128]

# 국가 이익과 국민 화합 차원에서 행사되어야 하며, 정치적 이유로 남용될 수 없다.

# 권력분립 원칙에 따라 사법권의 본질을 침해할 수 없다.

# 탄핵 등의 정치적 책임을 질 사람에 대해 공소권이나 탄핵소추권 소멸은 안 된다.

# 사면 결정에 사법부의 의견이 반영되어야 한다.

# 국회는 일반 사면에 대한 동의 여부를 심리할 때 대통령이 제안하지 않은 죄의 종류를 추가할 수 없다.

10. 1. 대통령의 선거중립의무준수요청 조치 사건 (2007헌마700)

대통령의 선거중립의무 준수요청 조치 사건(2007헌마700)은 대통령의 선거중립의무 준수요청 등 조치 취소에 대한 헌법재판소 결정례이다.[131]

현직 대통령인 청구인이 대통령 선거에 즈음하여 강연, 특강, 기념사, 대담 등에서 공직선거법상의 선거중립을 해치는 내용의 발언을 거듭하자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선거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발언을 자제해 줄 것을 촉구하는 내용의 ‘대통령의 선거중립의무 준수’ 조치를 취하였다. 이에 청구인은 위 조치가 정치적 표현의 자유를 침해한다면서 헌법소원을 청구하였다.[131]

위 법률조항은 선거영역에서의 특별법으로서 일반법인 국가공무원법 조항에 우선하여 적용된다. 이 사건 법률조항의 행위는 공직자가 공직상 부여되는 정치적 비중과 영향력을 국민 모두에 대하여 봉사하고 책임을 지는 그의 과제와 부합하지 않는 방법으로 사용하여 선거에서의 득표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를 말한다. 공무원의 중립의무를 정한 공직선거법 제9조는 입법목적과 입법경위, 수범자의 범위 및 선거과정의 특징을 고려할 때 명확성의 원칙에 반하지 않으며, 공명선거의 책무는 우선적으로 국정의 책임자인 대통령에게 있으므로 대통령의 정치인으로서의 지위가 인정된다고 하더라도 선거활동에 관하여는 선거중립의무가 우선되어야 한다. 이 사건 법률조항은 단지 선거가 임박한 시기에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방법으로 선거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만을 제한적으로 금하고 있으므로 과잉금지원칙에 위반되어 정치적 표현의 자유를 침해한다고 볼 수 없다. 따라서 이 사건 법률조항은 헌법에 위반되지 않는다.

참조

[1] 법령 공무원보수규정(제31380호)(20210105) / (별표 32) 고정급적 연봉제 적용대상 공무원의 연봉표(제35조 관련) https://upload.wikim[...]
[2] 법률 Article 70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3] 웹사이트 Yoon Suk Yeol to be sworn in as South Korea's new president https://english.kyod[...] 2022-05-10
[4] 뉴스 (LEAD) Yoon to take oath of office as S. Korea's new president https://en.yna.co.kr[...] 2022-05-10
[5] 웹사이트 Justice icon Yoon Suk Yeol elected new South Korea president, but rocky road ahead https://www.straitst[...] 2022-03-11
[6] 웹사이트 Who is Han Duck-soo, South Korea's acting president after Yoon impeachment? https://www.reuters.[...] 2024-12-15
[7] 법률 Article 53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8]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http://www.moleg.go.[...] South Korean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8-12-26
[9] 법률 CONSTITUTIONAL COURT ACT https://www.law.go.k[...]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21-02-09
[10] 뉴스 Revisiting Roh Moo-hyun impeachment http://www.koreahera[...] 2021-02-09
[11] 웹사이트 Park Geun-hye fired as court upholds impeachment http://www.aljazeera[...] 2017-03-10
[12] 뉴스 Cheong Wa Dae opens to public after 74 years https://www.koreatim[...] 2022-05-10
[13] 뉴스 Fuel Cell Car Has Become S. Korea's Presidential Vehicle http://world.kbs.co.[...] 2021-02-08
[14] 뉴스 South Korea's troubling history of jailing ex-presidents https://www.aei.org/[...] 2018-10-09
[15] 웹사이트 Most South Korean leaders have faced turbulent downfalls—Park Geun-hye is no exception https://www.newsweek[...] 2018-04-06
[16] 웹사이트 The South Korean Presidency Isn't Cursed. It Just Needs to be Reformed https://thediplomat.[...] 2018-10-12
[17] 웹사이트 Park Geun-hye stripped of all presidential perks, to move out of Blue House immediately http://www.asiaone.c[...] asiaone.com 2018-05-01
[18] 뉴스 대통령 탄핵시 대행 순위는? https://news.kbs.co.[...] 2021-02-06
[19] 웹사이트 韓国首相の弾劾訴追案を可決 副首相が「大統領代行の代行」に https://mainichi.jp/[...] 2024-12-27
[20] 문서 공무원보수규정(제31380호)(20210105) / (별표 32) 고정급적 연봉제 적용대상 공무원의 연봉표(제35조 관련) https://upload.wikim[...]
[21] 뉴스 韓国・朴槿恵大統領の2016年給与が決定!前年から70万円アップに―韓国紙 https://www.recordch[...] Record China 2016-01-06
[22] 뉴스 大統領の活動費を大幅削減 野党の問題指摘で=韓国国会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6-11-04
[23] 뉴스 韓経:【社説】韓国、先進化法・公聴会法の改正なければ次の大統領も失敗する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7-03-17
[24] 뉴스 韓国大統領選 当選認定して即任期開始…異例づくめの移行手続き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7-05-09
[25] 기타
[26] 뉴스 헌법학자들 "대통령 하야, 헌정중단·파괴와 무관" http://www.sedaily.c[...] 서울경제신문 2016-11-15
[27] 뉴스 レームダック化しつつある韓国・朴槿恵大統領、憲法改正に意欲 その狙いは? https://www.huffingt[...] ハフィントン・ポスト 2016-10-25
[28] 기타
[29] 기타
[30] 기타
[31] 뉴스 パク大統領 大統領の任期めぐり憲法改正に着手へ http://www3.nhk.or.j[...] 2016-10-24
[32] 뉴스 改憲に意欲 再選制導入目指す https://mainichi.jp/[...] 2016-10-24
[33] 일반
[34] 일반
[35] 일반
[36] 일반
[37] 일반
[38] 일반
[39] 일반
[40] 뉴스 [韓国大統領罷免]朴槿恵氏 年金など礼遇資格剥奪 http://japanese.yonh[...] 2017-03-10
[41] 뉴스 大統領府という「監獄」 http://japan.hani.co[...] 2016-12-10
[42] 웹사이트 朴大統領の弾劾訴追案を可決 https://mainichi.jp/[...] 2016-12-09
[43] 뉴스 来年の元大統領関連予算が確定 朴大統領の待遇は?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6-12-06
[44] 뉴스 退任したMBが受け取る前職大統領礼遇は… http://japan.hani.co[...] 2013-02-20
[45] 뉴스 [韓国大統領罷免]失職でも国が警護 最長10年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7-03-10
[46] 웹사이트 https://www.mois.go.[...]
[47] 웹사이트 http://www.mohw.go.k[...]
[48] 법률 韓国のパスポート法施行令第10条の1
[49] 일반
[50] 일반
[51] text
[52] 뉴스 李明博元大統領を逮捕 韓国検察、朴槿恵被告に続き4人目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8-03-23
[53] 웹사이트 李明博元韓国大統領 懲役17年の実刑確定=再び収監へ https://jp.yna.co.kr[...] 2020-10-29
[54] 웹사이트 韓国 パク前大統領を逮捕 収賄などの疑いで http://www3.nhk.or.j[...] 2017-03-31
[55] 웹사이트 朴槿恵氏逮捕 大統領経験者では3人目=韓国 http://japanese.yonh[...] 2017-03-31
[56] 웹사이트 朴槿恵前大統領の懲役20年が確定 韓国最高裁、赦免が焦点 https://www.sankei.c[...] 2021-01-14
[57] text
[58] 웹사이트 韓国ムン大統領 最後の演説「南北間 対話再開などせつに願う」 https://web.archive.[...] 2022-05-10
[59] 뉴스 尹大統領の権限停止 法案拒否権など行使できず https://jp.yna.co.kr[...] 聯合ニュース 2024-12-14
[60] 웹사이트 韓国首相の弾劾訴追案を可決 副首相が「大統領代行の代行」に https://mainichi.jp/[...] 2024-12-27
[61] 뉴스 汚職で収監は当たり前…韓国の大統領が退任後に袋だたきに遭う意外な理由 https://president.jp[...] プレジデント 2022-02-26
[62] 뉴스 失墜する「韓国大統領」たち。逮捕、収監、暗殺、亡命、自殺… https://www.huffingt[...] ハフポスト 2018-04-10
[63] 뉴스 韓国大統領の悲惨な末路、ここまでとは…中国ネットで話題に https://www.recordch[...] レコードチャイナ 2018-03-21
[64] 서적 韓国大統領列伝 権力者の栄華と転落 中公新書 2002
[65] 뉴스 過去大統領の司法処理は…全斗煥・盧泰愚、拘束2年後に特別赦免 http://japan.hani.co[...] ハンギョレ新聞 2017-03-11
[66] 뉴스 罪を犯しても、特赦のある韓国は「犯罪天国」? https://news.yahoo.c[...] Yahooニュース 2016-08-13
[67] 뉴스 韓国の全斗煥元大統領に有罪判決 光州事件で名誉毀損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0-12-01
[68] 뉴스 韓国の金泳三元大統領、他界~民主化、反日、経済危機 https://news.yahoo.c[...] Yahooニュース 2015-11-22
[69] 뉴스 MB‘不正親戚’直接 赦免 推進…歴代政権で前例無し http://japan.hani.co[...] ハンギョレ新聞 2013-01-09
[70] 뉴스 李明博氏も被疑者に…「帝王的大統領制」が招いた不幸の歴史 https://archive.is/M[...] 朝鮮日報 2018-03-14
[71] 뉴스 大統領三男の弘傑氏、宣告期日を延期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02-10-29
[72] 뉴스 弘傑氏の義理の兄弟 検察が出頭求める http://japanese.dong[...] 東亜日報 2002-04-30
[73] 뉴스 金大中3人の息子全員が不正…左派の牙城での大会、ヤジが飛ぶ中、空気変えた「盧武鉉演説」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17-12-26
[74] 뉴스 交通違反者370万人の減点帳消しへ 光復60年特赦 http://japanese.dong[...] 東亜日報 2005-08-13
[75] 뉴스 金大中大統領、次男逮捕で国民に謝罪へ http://japanese.dong[...] 東亜日報 2002-06-11
[76] 뉴스 <韓国>元首脳の逮捕常態化 大きな権限背景に https://headlines.ya[...] 毎日新聞 2018-03-23
[77] 뉴스 「自殺、亡命、暗殺、投獄… 悲劇多い歴代韓国大統領」 http://sankei.jp.msn[...] MSN産経ニュース 2009-05-23
[78] 뉴스 李明博大統領の実兄を逮捕起訴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2-07-27
[79] 뉴스 「【中央時評】大統領の父親をかじって食べる息子(2)」 https://japanese.joi[...] 聯合ニュース 2013-08-02
[80] 뉴스 李明博元大統領側近「我々が知っていることを話せば文大統領に…」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8-01-19
[81] 뉴스 韓国検察が李元大統領の長男を聴取 収賄疑惑絡みか https://www.zakzak.c[...] ZAKZAK 2018-02-26
[82] 뉴스 李明博元大統領、ソウル東部拘置所に収監…元大統領として4番目の恥辱 http://japan.hani.co[...] ハンギョレ 2018-03-23
[83] 뉴스 李明博元大統領を起訴 韓国検察、収賄や横領などの罪で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18-04-10
[84] 웹사이트 懲役17年の李明博元大統領が上告 弁護人「全面無罪を主張」 https://jp.yna.co.kr[...] 2020-02-24
[85] 뉴스 李明博元韓国大統領 懲役17年の実刑確定=再び収監へ https://jp.yna.co.kr[...] 聯合ニュース 2020-10-29
[86] 뉴스 李明博元大統領に恩赦 残る刑期15年免除、保守層結集か―韓国 https://www.jiji.com[...] 時事ドットコム 2022-12-27
[87] 뉴스 朴槿恵前大統領に懲役20年、贈収賄事件差し戻し審判決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0-07-10
[88] 뉴스 朴槿恵前大統領 差し戻し上告審で懲役20年確定=収賄や職権乱用 http://yna.kr/AJP202[...] 聯合ニュース 2021-01-14
[89] 뉴스 韓国の朴槿恵前大統領を釈放 精神的に不安定、治療に専念へ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1-12-31
[90] 뉴스 文在寅・前韓国大統領を収賄容疑の「被疑者」と明記 検察、娘一家への不正支援疑惑巡り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4-09-02
[91] 뉴스 文在寅前大統領の娘が飲酒運転で立件 免許取り消しレベル https://jp.yna.co.kr[...] 2024-10-07
[92] 텍스트
[93] 텍스트
[94] 뉴스 【萬物相】「私はこんなことをするため大統領になったわけでは…」 https://archive.is/2[...] 朝鮮日報 2016-11-05
[95] 웹사이트 朴槿恵だけじゃない!韓国歴代大統領、血塗られた末路の異常国家…軒並み自殺、死刑判決、懲役刑 https://biz-journal.[...] 2017-03-31
[96] 웹사이트 韓国大統領経験者はなぜ、みな不幸な末路をたどるのか http://bunshun.jp/ar[...] 2018-04-05
[97] 웹사이트 韓国の大統領はなぜ必ず不幸になる? 独特の宗教事情 https://gendai.media[...] 2022-02-05
[98] 웹사이트 韓国・文在寅を「3流政治」とこきおろした大手新聞の「すごい中身」 https://www.dailyshi[...] 2016-11-17
[99] 텍스트
[100] 웹사이트 韓国の大統領はなぜ反日になるのか http://ikedanobuo.li[...] 2017-04-08
[101] 뉴스 多くの歴代大統領が悲惨な末路を迎えた韓国 なぜ繰り返されるのか https://news.livedoo[...] まぐまぐニュース 2016-11-03
[102] 위키 崔順実ゲート事件への追及は朴槿恵大統領の弾劾訴追前から既に始まっており、朴槿恵の逮捕も文在寅の大統領当選前に行われている。
[103] 뉴스 韓国大統領史の不名誉…「退任=被疑者」公式化するのか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8-03-14
[104] 뉴스 李明博元大統領逮捕、典型的な標的捜査だ http://editorial.x-w[...] 朝鮮日報 2018-03-23
[105] 뉴스 支持率7割、韓国・文大統領が進める「積弊清算」のゆくえは https://news.yahoo.c[...] Yahoo!ニュース 2018-01-04
[106] 뉴스 대통령 국정수행지지도, 부정평가가 긍정평가 앞질러 http://www.hani.co.k[...] ハンギョレ 2018-12-21
[107] 뉴스 「前政権捜査」擁護した尹大統領「民主党政権時代はしなかったのか」 http://japan.hani.co[...] ハンギョレ 2022-06-18
[108] 뉴스 尹大統領は「つぶす」と言った…「文政権利権カルテル」叩き強まる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22-06-22
[109] 뉴스 [社説]新旧権力の対立激化、政略的な利用はすべきでない http://japan.hani.co[...] ハンギョレ 2022-06-20
[110] 뉴스 【コラム】尹錫悦式「積弊捜査システム」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22-06-21
[111] 웹사이트 大韓民国憲法第1号(朝鮮語) https://ko.wikisourc[...]
[112] 웹사이트 大韓民国憲法第3号(朝鮮語) https://ko.wikisourc[...]
[113] 웹사이트 大韓民国憲法第2号(朝鮮語) https://ko.wikisourc[...]
[114] 뉴스 7000여 국가요직 임명장에 '이명박' 서명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08-02-26
[115] 서적 개정판 법학통론 형설출판사 2003
[116] 법률 공직선거법 제14조 제1항
[117] 일반 윤년 2월 29일 계산
[118] 일반 1982년 헌법 개정 및 고건 국무총리 대행
[119] 판례 헌법재판소 2004년 5월 14일 선고, 2004헌나1
[120] 판례 헌법재판소 1995년 1월 20일 선고, 94헌마246
[121] 판례 헌재 1995년 1월 20일 선고, 94헌마246 1995-01-20
[122] 서적 헌법학 현암사 2007
[123] 서적 헌법학개론 박영사 2001
[124] 서적 헌법사례연습 2005
[125] 서적 헌법사례연습
[126] 판례 헌법재판소 2004년 5월 14일 선고, 2004헌나1 결정 2004-05-14
[127] 서적 헌법학
[128] 서적 헌법학개론
[129] 서적 (서적명 미상)
[130] 서적 (서적명 미상)
[131] 뉴스 황도수 2008년 분야별 중요판례분석] (2)헌법] https://www.lawtimes[...] 2016-03-2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