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케이블 텔레비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케이블 텔레비전은 1991년 서울 일부 지역에서 시험방송을 시작하여 1995년 본방송을 개시했으며, 2000년대 이후 디지털 전환과 UHD 방송 도입 등 기술 발전을 거듭했다.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 전송망사업자(NO)로 구성되며, 다양한 장르의 채널을 제공한다. 주요 SO로는 SK브로드밴드, LG헬로비전, CMB 등이 있으며, 전송망사업자로는 스카이라이프, KT, LG유플러스, SK브로드밴드가 있다.
1989년 위성방송이 개시되었고, 1991년 4월 15일 서울 일부 지역에서 시험방송이 시작되었다.[2] 1994년 4월 20일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가 설립되었다. 1995년 1월 5일 전국 32곳에서 시험방송을 개시하였고, 3월 1일 본방송(24개 PP, 48개 SO)과 케이블TV 위성방송 채널 안내가 시작되었다.
대한민국 방송법에서는 케이블 TV 사업자를 종합유선방송사업자(System Operator, SO영어)와 전송망사업자(Network Operator, NO영어)로 정의한다.[4]
2. 연혁
2004년 디지털 케이블TV 시험방송 시범 서비스를 실시하였고, 2005년 디지털 케이블TV 상용 서비스 및 방송을 시작하였다. 2007년 케이블 PP와 SO의 SD 및 HD 방송 채널을 개시하고, 아날로그 케이블의 디지털(SD/HD) 전환을 시작하였다. 2014년 아날로그 케이블 디지털 알뜰형 상품을 출시하였고, 2015년 UHD 방송을 개시하였다.
2. 1. 태동기 (1980년대 ~ 1990년대 초)
1989년 위성방송이 개시되었다.[2] 1991년 4월 15일에는 서울 일부 지역에서 시험방송이 시작되었고,[2] 1994년 4월 20일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가 설립되었다.
2. 2. 개국과 성장 (1990년대 중반 ~ 2000년대 초)
1995년 1월 5일 전국 32곳에서 케이블TV 시험방송이 시작되었다.[2] 같은 해 3월 1일에는 24개 프로그램 공급자(PP)와 48개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가 참여한 가운데 본방송이 개시되었으며, 케이블TV와 위성방송 채널 안내가 시작되었다.[2]
2. 3. 디지털 전환과 경쟁 심화 (2000년대 중반 ~ 현재)
2004년 디지털 케이블TV 시험방송 시범 서비스를 실시하였고, 2005년에는 디지털 케이블TV 상용 서비스 및 디지털 케이블TV 방송을 시작하였다.[2] 2007년에는 케이블 PP.SO SD 및 HD 방송 채널을 개시하고, 아날로그 케이블의 디지털 전환(SD/HD)을 시작하였다. 2014년에는 아날로그 케이블 디지털 알뜰형 상품을 출시하였고, 2015년에는 UHD 방송을 개시하였다.
문재인 정부는 유료방송 규제 완화 정책을 추진하였고, 이에 따라 케이블 TV 업계에서는 인수합병(M&A)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3. 회원사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는 전국 시·군·구별로 99개사가 있으며, 이들은 사업자 간 수평적 결합으로 복합소유(MSO, Multi System Operator영어) 형태가 늘어나고 있다.[4] 강원도, 제주도, 울산, 대전은 동일 권역 내에 단일 케이블 사업자 지역이다. 주요 MSO는 다음과 같다.MSO SK브로드밴드 (케이블) LG헬로비전 CMB HCN 딜라이브 NHTV 농협방송사 NIB 남인천방송 ABN 아름방송 JCN 울산중앙방송 CCS충북방송 SCS 서경방송 KCN금강방송 KCTV 제주방송 KCTV 광주방송 GCS 푸른방송
전송망사업자(NO)는 전국 단위의 위성방송 및 IPTV 사업자를 말하며, 다음과 같다.사업자 채널 스카이라이프 스카이가이드 (505) KT 지니TV 포커스프라임 (115), 채널 키즈랜드 (960), 지니TV 가이드 (997) LG유플러스 U+무비플러스 (43), U+투데이 (999) SK브로드밴드 Btv 투데이 (50, 999)
3. 1. 방송채널사용사업자 (PP)
3. 2. 종합유선방송사업자 (SO)
대한민국 방송법에서는 종합유선방송사업자라고 정의되어 있다.[4] 전국에 시·군·구별로 99개사가 있다. 이들 케이블TV 방송국은 사업자 간 수평적 결합으로 인해 복합소유의 MSO(Multi System Operator)들이 늘어가고 있다.[4] 강원도, 제주도, 울산, 대전은 동일 권역 내에 단일 케이블 사업자 지역이다.
주요 MSO는 다음과 같다.
| MSO |
|---|
| SK브로드밴드 (케이블) |
| LG헬로비전 |
| CMB |
| HCN |
| 딜라이브 |
| NHTV 농협방송사 |
| NIB 남인천방송 |
| ABN 아름방송 |
| JCN 울산중앙방송 |
| CCS충북방송 |
| SCS 서경방송 |
| KCN금강방송 |
| KCTV 제주방송 |
| KCTV 광주방송 |
| GCS 푸른방송 |
3. 3. 전송망사업자 (NO)
전국 단위의 위성방송 및 IPTV 사업자는 다음과 같다.| 사업자 | 채널 |
|---|---|
| 스카이라이프 | 스카이가이드 (505) |
| KT | 지니TV 포커스프라임 (115), 채널 키즈랜드 (960), 지니TV 가이드 (997) |
| LG유플러스 | U+무비플러스 (43), U+투데이 (999) |
| SK브로드밴드 | Btv 투데이 (50, 999) |
4. 법적 규제 및 쟁점
대한민국 방송법에서는 종합유선방송사업자를 종합유선방송사업자라고 정의하고 있다.[4] 전국에 시·군·구별로 99개사가 있으며, 이들 케이블TV 방송국은 사업자 간 수평적 결합으로 인해 복합소유의 MSO(Multi System Operator)들이 늘어가고 있다.[4] 강원도, 제주도, 울산, 대전은 동일 권역 내에 단일 케이블 사업자 지역이다.
참조
[1]
뉴스
케이블TV 준비 제대로 했나?
http://news.kbs.co.k[...]
KBS 뉴스 9
1995-03-08
[2]
문서
한국통신 목동전화국 내 한국통신 종합유선방송시범사업단(KEC) 개시
[3]
법률
방송법 제2조 제1호 라목
[4]
간행물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8-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