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위성방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성방송은 인공위성을 중계소로 활용하여 넓은 지역에 방송 신호를 송출하는 방식이다. 지상파 방송의 난시청 문제를 해결하고 더 많은 정보량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초기 비용이 많이 들고 인공위성 수명, 스페이스 데브리 충돌, 기상 악화 등의 외부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는 단점도 있다. 위성방송은 1974년 미국에서 처음 실험되었으며, 1990년대 이후 디지털 기술 발전과 DBS 위성방송의 등장으로 상용화가 확대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KT 스카이라이프가 유일한 위성방송 사업자이며, IPTV 서비스와 결합하여 가입자를 유치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위성방송 - 셋톱박스
    셋톱박스는 텔레비전 수신기의 기능 확장 장치로, 디지털 방송 수신 및 디코딩을 거쳐 VOD, 타임 시프팅 등 스마트 TV 유사 기능을 제공하지만 개인정보 침해 및 에너지 소비 문제도 존재한다.
  • 위성방송 - 방송위성
    방송위성은 지상에서 전파를 받아 주파수를 변환 후 다시 지상으로 송신하는 인공위성으로, 통신 위성과 달리 Ku 밴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높은 송신 출력을 갖도록 설계되고 커버 범위가 제한되기도 한다.
위성방송
개요
가정용 위성 접시 안테나
가정용 위성 접시 안테나
유형방송 기술
사용 분야텔레비전 방송
관련 기술통신 위성
직접 위성 방송 (DBS)
위성 텔레비전
Free-to-air
Free-to-view
구독 텔레비전
기술적 측면
서비스 유형아날로그
디지털
변조 방식QPSK
8PSK
주파수 대역C 대역 (3.7-4.2 GHz)
Ku 대역 (11.7-12.7 GHz)
Ka 대역 (20-30 GHz)
역사
최초 방송1962년 (텔스타 위성)
상업 방송 시작1970년대
작동 원리
위성정지 궤도에 위치한 통신 위성 사용
송신지상국에서 위성으로 텔레비전 신호 업로드
수신위성에서 가정용 접시 안테나로 신호 재전송
장점 및 단점
장점넓은 커버리지 영역
고품질 신호 제공 가능
다양한 채널 제공
단점초기 설치 비용 발생
기상 조건에 따른 신호 간섭 가능성
위성 위치에 따른 채널 제한
규제 및 법적 문제
규제 기관각 국가별 방송통신위원회 또는 유사 기관
법적 문제저작권 침해, 불법 시청 등
시장 동향
주요 사업자디시 네트워크
다이렉TV
스카이
기술 발전고화질 텔레비전 (HDTV)
초고화질 텔레비전 (UHDTV)
주문형 비디오 (VOD) 서비스
기타
관련 용어위성 방송 수신기 (Set-top box)
LNB (Low-Noise Block downconverter)
FTA 수신기 (Free-to-Air receiver)
참고 자료FCC (미국 연방통신위원회) 소비자 안내
LyngSat (위성 채널 정보 사이트)

2. 특징

위성방송은 지상파 방송과 달리 인공위성을 중계소로 활용하여 방송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식이다.[16][18] 주로 지구 적도 상공 약 35786km 높이에 위치한 정지 궤도 위성에 트랜스폰더(중계기)를 탑재하여, 지상에서 보낸 신호를 받아 다른 주파수로 변환한 뒤 넓은 지역으로 다시 송출한다. 정지 궤도 위성은 지구 자전 속도와 동일하게 움직여 항상 같은 위치에 있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지상의 파라볼라 안테나는 한 번 방향을 맞추면 계속해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방식의 가장 큰 특징은 지상파 방송의 전파 도달 거리가 지형 등에 의해 제한되는 것과 달리, 위성 하나로 국가 전체나 대륙 같은 매우 넓은 지역을 포괄할 수 있다는 점이다.[16][18] 이러한 특성 덕분에 산간이나 도서 지역처럼 지상파 수신이 어려운 난시청 지역 문제를 해결하는 데 효과적이다.[19] 초기 위성방송 도입의 주요 목적 중 하나가 바로 이 난시청 해소였다.

또한, 위성방송은 지상파 방송 채널 외에 다양한 전문 채널이나 고화질(HD) 채널을 제공하는 다채널 매체로서의 역할도 수행한다. 대한민국의 EBS 위성 교육방송처럼 특정 목적을 위한 전문 방송 제공도 가능하다.

하지만 위성방송은 몇 가지 제약과 단점도 안고 있다. 인공위성 발사 및 운영에 막대한 초기 비용이 들고, 위성 자체의 수명이 한정되어 있으며 우주 공간의 스페이스 데브리(우주 쓰레기)와의 충돌 위험 등 외부 요인에 취약하다. 또한, 악천후 시 강우 감쇠 현상으로 수신 품질이 저하되거나 끊길 수 있으며, 1년에 두 차례 태양 간섭 현상으로 인한 수신 장애가 발생하기도 한다.[13] 최근에는 인터넷 기반의 스트리밍 텔레비전 서비스가 확산되면서 위성방송 가입자가 감소하는 추세도 나타나고 있다.[23]

2. 1. 기술적 특징

위성TV 다이아그램


위성방송은 일반적으로 지구 적도 상공 약 36000km의 정지 궤도에 위치한 통신위성을 중계기로 사용한다.[27][28] 정지 궤도 위성은 지구의 자전 속도와 같은 속도로 공전하기 때문에 지상에서 볼 때 항상 같은 위치에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 특성 덕분에 지상의 수신 안테나는 위성을 향해 고정될 수 있어 별도의 추적 장치가 필요 없다. 일부 시스템은 고위도 지역 서비스를 위해 경사각이 +/−63.4도이고 공전 주기가 약 12시간인 타원형 몰니야 궤도를 사용하기도 한다.

신호 전송은 지상의 업링크 시설에 있는 대형 송신 안테나(직경 9~12미터)에서 시작된다. 이 안테나는 특정 위성을 향해 마이크로파 신호를 송신한다. 업링크에는 주로 강우 감쇠에 강한 C 밴드(4–8 GHz) 주파수가 사용된다. 위성에 탑재된 트랜스폰더는 이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여 다른 주파수 대역(주로 Ku 밴드, 12–18 GHz)으로 변환하고 증폭한 뒤, 지상을 향해 다시 송신(다운링크)한다. 주파수를 변환하는 이유는 업링크 신호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다운링크에는 주로 10.7–12.7 GHz 대역이 사용된다.

일반적인 통신위성에는 여러 개의 트랜스폰더가 탑재되어 있다. 예를 들어, Ku 밴드용으로는 최대 32개, C 밴드용으로는 최대 24개의 트랜스폰더를 가질 수 있으며, 각 트랜스폰더의 대역폭은 27~50 MHz 정도이다. 위성 간의 신호 간섭을 막기 위해 정지 궤도 상에서 C 밴드 위성은 경도 2° 간격, Ku 밴드 위성은 1° 간격으로 배치된다.

인도에서 온 DTH 위성 안테나.


아파트 단지에 설치된 DBS 위성 안테나


다운링크된 위성 신호는 매우 약하기 때문에, 각 가정에서는 파라볼라 안테나(접시형 안테나)를 사용하여 신호를 모은다. 안테나의 초점에는 피드혼이 위치하며, 수집된 신호는 저잡음 블록 다운컨버터(LNB)로 전달된다. LNB는 약한 신호를 증폭하고, 수신된 고주파 신호(Ku 또는 C 밴드)를 동축 케이블로 전송하기 쉬운 더 낮은 중간 주파수(IF, Intermediate Frequency, 주로 L-대역: 950–2150 MHz)로 변환하는 핵심 장치다. LNB 덕분에 비교적 저렴한 RG-6 같은 동축 케이블을 사용하여 신호를 실내의 셋톱박스(수신기)까지 전송할 수 있게 되었다. 초기 위성 시스템에서는 LNB 대신 저잡음 증폭기(LNA)를 사용하고 고주파 신호를 그대로 전송해야 했기 때문에 매우 비싼 저손실 케이블이 필요했다.

선형 편파된 LNB의 뒷면.


LNB는 수신 신호의 편파(수평/수직 또는 좌/우 원형 편파)와 주파수 대역(상/하위 대역)을 셋톱박스의 지시에 따라 선택해야 하므로, 기본적으로 하나의 LNB는 하나의 셋톱박스만 제어할 수 있다. 셋톱박스는 DiSEqC(Digital Satellite Equipment Control)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LNB의 작동 모드를 제어한다. 따라서 한 개의 안테나로 여러 대의 셋톱박스를 사용하려면, 각기 다른 모드로 작동할 수 있는 특수 LNB와 멀티스위치라는 장치가 필요하다. 여러 위성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안테나에 전동 모터를 장착하여 DiSEqC 프로토콜로 제어하는 시스템도 사용된다.

실내의 셋톱박스는 LNB로부터 받은 IF 신호를 받아 특정 채널을 선택하고, 복조 과정을 거쳐 영상 및 음성 신호로 변환한 뒤 텔레비전으로 출력한다. 유료 방송의 경우, 암호화된 신호를 해독하는 조건부 접속) 기능도 포함하며, 이러한 수신기를 통합 수신기/디코더(IRD)라고 부르기도 한다.

위성방송은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고유한 기술적 문제점을 가진다. Ku 밴드는 파장이 약 2.5cm로 비교적 짧아, 빗방울 크기가 10mm 정도 되는 큰 가 내릴 경우 전파가 빗방울에 흡수되거나 산란되어 신호가 급격히 약해지는 강우 감쇠(rain fade)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 이로 인해 화면이 깨지거나 일시적으로 수신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강우 감쇠를 완화하기 위해 더 큰 직경의 안테나를 사용하기도 한다. 반면, C 밴드는 강우 감쇠에는 강하지만 지상의 다른 통신 시스템(예: 마이크로파 통신망)으로부터 간섭을 받기 쉽다. 또한, 태양이 수신 안테나와 위성 사이에 일직선으로 위치할 때 태양의 전파 방해로 인해 수신 장애가 발생하는 태양간섭 현상도 주기적으로 발생한다.

위성 신호는 지구에서 위성까지의 긴 거리를 왕복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압축 및 복원)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지상파 방송에 비해 약 1초 정도의 지연 시간이 발생한다.[86]

대한민국의 KT스카이라이프는 DCS(Dish Convergence Solution) 기술을 통해, 일부 지역(서울, 경기 및 5대 광역시 등)에서는 KT의 인터넷 망을 통해 위성 신호를 IP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함으로써, 별도의 위성 안테나 설치 없이 위성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2. 2. 장점

지상파 방송은 송신소에서 보이는 범위의 근린 지역에만 방송을 전달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반면 위성방송은 적도 상공 약 35786km 높이의 정지 궤도 위성에 트랜스폰더(중계기)를 설치하여 방송 전파를 중계한다. 지구에서 쏘아 올린 전파를 위성에서 수신한 뒤, 다른 주파수로 변환하여 넓은 지역으로 다시 송신하는 방식이다. 정지 궤도에서는 지구의 거의 절반에 해당하는 넓은 영역을 포괄할 수 있어, 지상파 방송보다 훨씬 넓은 범위에서 방송 수신이 가능하다.[16][18] 이 때문에 지상의 안테나 설치 위치에 따른 방송 지역 제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위성방송은 초기에 산간이나 도서 지역 등 지상파 수신이 어려운 난시청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되었다.[19] 기존 지상파 방송 콘텐츠를 재송신하는 방식으로 난시청 문제를 해소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위성방송은 다매체 다채널 시대에 발맞춰 지상파 방송에서 제공하기 어려웠던 전문성 높은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등 채널 수를 늘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에서는 정부 차원의 사교육비 경감 및 학교 공교육 보완 대책의 일환으로 EBS 위성 교육방송이 개국하여 전문적인 교육 콘텐츠를 제공한 바 있다. 위성방송은 더 많은 정보량을 쉽게 전달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진다.

기술적으로는 Ku 밴드 (12~18 GHz) 주파수를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며, 완전 디지털 방식을 통해 고화질의 선명한 영상과 스테레오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14] 최근에는 기술 발전을 통해 편의성도 증대되고 있다. 예를 들어, KT스카이라이프가 개발한 DCS(Dish Convergence Solution) 방식은 KT의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위성 신호를 IP 신호로 변환해 전송하므로, 특정 지역(서울, 경기 및 5대 광역시)에서는 별도의 파라볼라 안테나 설치 없이도 위성방송 시청이 가능하며, OTT 서비스와 같은 부가 통신 서비스 이용도 용이하다.

2. 3. 단점

위성 방송은 넓은 지역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몇 가지 단점도 가지고 있다.

우선, 위성 방송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하는 데에는 막대한 초기 비용이 필요하다. 인공위성을 제작하고 로켓으로 발사하여 정지 궤도에 배치하는 과정에 상당한 투자가 요구되며, 실제 방송 서비스를 시작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다.

또한, 우주 공간에서 운영되는 인공위성의 특성상 여러 외부 요인에 취약하다. 인공위성 자체의 수명이 정해져 있고, 우주 공간을 떠다니는 스페이스 데브리(우주 쓰레기)와 충돌할 위험도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 발생 시 즉각적인 대처가 어렵고, 방송 서비스가 중단될 수 있으므로 항상 대체 위성을 준비해야 하는 부담이 따른다.

기상 조건 역시 위성방송 수신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다. 특히 Ku 밴드(12~18 GHz) 주파수를 사용하는 위성방송은 강우 감쇠 현상에 취약하다. Ku 밴드의 전파 파장(약 2.5cm)은 빗방울 크기(약 10mm)와 상대적으로 가까워, 비가 많이 내리면 전파가 빗방울에 흡수되거나 산란되어 신호가 약해지거나 끊길 수 있다. 폭설이나 뇌우 시 얼음 결정 등 다른 악천후도 비슷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C 밴드(4~8 GHz)는 강우 감쇠 영향은 적지만, 지상의 다른 통신 전파와 간섭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수신 안테나의 크기를 키우면 어느 정도 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다. 태양 간섭(Sun Outage) 현상도 주기적으로 발생한다. 1년에 두 번, 춘분추분 무렵 약 2주 동안 매일 10분 정도 태양이 위성 바로 뒤쪽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태양에서 나오는 강력한 전파 잡음이 위성 신호를 간섭하여 일시적으로 수신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13]

신호 지연 문제도 있다. 위성방송 신호는 지구에서 인공위성까지 매우 먼 거리를 왕복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지상파 방송에 비해 약간의 시간 지연(딜레이)이 발생하여 영상이나 음성이 미세하게 늦게 전달될 수 있다.[86]

최근에는 인터넷을 통한 스트리밍 텔레비전 서비스가 대중화되고 지상파 텔레비전의 디지털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위성방송의 가입자가 감소하는 코드 커팅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23]

3. 이용

위성방송은 한 방향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미디어의 특성상 주로 텔레비전 방송이나 라디오 방송으로 이용된다.[19] 인공위성을 사용하기 때문에 국경에 구애받지 않고 넓은 지역에 신호를 보낼 수 있어, 아시아사트와 같이 여러 국가를 대상으로 하는 국제 방송에 유리하다. 또한 지상에 송신 설비를 설치하기 어려운 산간이나 도서 지역에서도 방송을 수신할 수 있게 하여 난시청 지역 해소에 기여한다.

일본의 경우, 초기에는 난시청 해소를 주요 목적으로 삼았으나, 실제로는 지상파 방송에서 다루기 어려운 전문 분야의 프로그램을 제공하거나 채널 수를 늘리는 방향으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미국에서는 케이블 텔레비전(CATV)과의 경쟁 속에서 디렉TV와 같은 직접 위성 방송 서비스가 성장했다.

위성방송은 지상 설비 구축에 비해 초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상업적인 목적으로도 활발히 이용된다. 특히, 기존의 통신위성을 임대하는 방식으로 비용 부담을 줄여 다양한 유료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위성방송은 지리적 제약을 극복하고 다양한 콘텐츠를 전달하는 중요한 방송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3. 1. 도입 과정

기존의 방송은 지상의 안테나 설비를 통해 송신되었으나, 로켓 기술의 발전으로 인공위성을 이용한 방송이 가능해졌다. 인공위성을 사용하면 지상 설비 없이 우주에서 넓은 지역으로 직접 전파를 보낼 수 있다. 이 덕분에 산이 많은 지역 등 지상파 수신이 어려운 난시청 지역 문제를 해결하고, 더 많은 양의 정보를 쉽게 전달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위성방송을 시작하려면 막대한 초기 비용이 필요하고 도입까지의 과정이 길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방송을 시작하더라도 인공위성의 수명이 다하거나 스페이스 데브리(우주 쓰레기)와의 충돌 등으로 위성을 사용할 수 없게 되면 방송 기능을 상실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항상 대체할 수 있는 인공위성을 준비해야 하는 문제도 안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초기에는 기존에 많은 방송용 인공위성을 보유한 항공 우주 산업 선진국들이 위성방송을 주도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다른 국가들도 점차 도입하게 되었다.

위성방송을 도입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인공위성을 자체적으로 발사할 것인지, 아니면 기존에 있는 위성을 빌려 사용할 것인지에 따라 비용이 크게 달라진다. 일반적으로는 미국 등 다른 나라가 보유한 다기능 통신위성을 임대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군사적인 위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직접 인공위성을 발사하는 국가도 있다. 다만, 이러한 국가들 중 상당수는 자체적인 로켓 발사 기술이 부족하여, 위성 발사 자체는 기술을 보유한 다른 나라에 위탁하는 경우가 많다.

위성방송에 활용되는 기존 인공위성은 주로 학술 연구나 군사 통신 목적으로 사용되던 통신위성인 경우가 많다. 대부분 발사된 지 5년 정도 지난 구형 위성이며, 통신 속도가 최신 기술만큼 빠르지는 않지만 방송 송수신에는 충분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

4. 역사

1974년 미국의 응용기술 위성 ATS-6를 이용한 중계 실험과 1976년 캐나다의 통신기술 위성 CTS를 이용한 방송 실험 등 초기 시험을 통해 위성방송 기술의 가능성이 확인되었고, 이는 이후 상업적 이용 확대로 이어졌다.

한편, 북한의 조선중앙TV는 1999년 7월 3일 태국의 통신위성 '타이콤 3(Thaicom 3)'을 통해 아시아, 태평양 및 유럽 일부 지역까지 시험 방송을 시작했으며, 같은 해 10월 10일부터 본방송으로 전환하였다.[87][88][89][90][91][92]

4. 1. 초기 역사

1945년 영국 SF 작가 아서 C. 클라크는 지구 궤도에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세 개의 위성을 통해 작동하는 전 세계 통신 시스템을 제안했다.[27][28] 이 제안은 1945년 10월호 무선 월드 잡지에 게재되었으며, 클라크는 이 공로로 1963년 프랭클린 연구소의 스튜어트 발렌타인 메달을 수상했다.[29][30]

최초의 인공위성은 1957년 발사된 스푸트니크 1호였으며, 이후 우주 시대 초기에 위성 통신 실험이 이루어졌다. 1958년 말에는 파이오니어 1에 의한 최초의 중계 테스트와 SCORE 위성에 의한 최초의 라디오 방송이 진행되었다.



AT&T 텔스타 1 테스트 (최초의 위성 TV 방송, 1962년 7월 11일)


유럽에서 북아메리카로의 최초의 공개 위성 텔레비전 신호는 1962년 7월 23일 텔스타 위성을 통해 대서양을 가로질러 중계되었다. 이는 7월 11일에 있었던 시험 방송 이후 거의 2주 만이었다.[32] 이 신호는 북아메리카와 유럽 국가에서 수신 및 방송되었으며 1억 명 이상이 시청한 것으로 추산된다.[32] 같은 해 발사된 ''릴레이 1'' 위성은 미국에서 일본으로 텔레비전 신호를 전송한 최초의 위성이었다.[33]

최초의 정지 궤도 통신 위성인 싱콤 2는 1963년 7월 26일에 발사되었다.[34] 그 후 최초의 실질적인 정지 궤도 위성인 싱콤 3는 국제 날짜 변경선 근처 궤도에 배치되어, 도쿄에서 열린 1964년 하계 올림픽텔레비전 중계를 미국으로 전송하는 데 사용되었다.[35][36]

인텔샛 I (1965), 세계 최초의 상업 통신 위성은 우리 세계 다국적 방송 (1967) 등 여러 방송을 중계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이는 최초의 다중 위성 중계 텔레비전 방송이었다.


세계 최초의 상업 통신 위성인 인텔샛 I("얼리 버드"라는 별칭으로 불림)은 1965년 4월 6일에 정지 궤도로 발사되었다.[37] 소련은 1967년 10월, 최초의 국가 네트워크 위성 시스템인 오르비타를 구축했다. 이 시스템은 고타원 궤도의 몰니야 위성을 사용하여 지상 다운링크 방송국에 텔레비전 신호를 재방송하고 전달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38]



1969년 아폴로 11호달 착륙 장면은 인텔샛 위성 등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방송되어 위성 중계의 중요성을 보여주었다.[39][40]

텔레비전 전송을 수행하는 최초의 국내 위성은 1972년 11월 9일에 발사된 캐나다의 정지 궤도 위성인 Anik 1이었다.[41]

4. 2. 발전 과정

1945년 영국의 SF 작가 아서 C. 클라크는 지구 정지 궤도에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세 개의 위성을 통해 전 세계 통신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제안했다.[27][28] 이 제안은 1945년 10월 무선 월드 잡지에 실렸으며, 그는 이 공로로 1963년 프랭클린 연구소로부터 스튜어트 발렌타인 메달을 받았다.[29][30]

최초의 위성 통신 시도는 우주 시대 초기에 이루어졌다. 1958년 스푸트니크 1호가 인류 최초의 인공위성이 된 후, 같은 해 말 파이오니어 1 위성이 최초의 중계 시험을 진행했고 SCORE 위성이 최초의 라디오 방송을 송출했다.

유럽에서 북아메리카로 전송된 최초의 공개 위성 텔레비전 신호는 1962년 7월 23일 텔스타 위성을 통해 대서양을 건너 중계되었다. 이보다 약 2주 전인 7월 11일에 이미 시험 방송이 이루어졌다.[32] 이 역사적인 방송은 북아메리카와 유럽 국가들에서 수신 및 방송되었으며 1억 명 이상이 시청한 것으로 추정된다.[32] 같은 해 발사된 ''릴레이 1'' 위성은 미국에서 일본으로 텔레비전 신호를 전송한 최초의 위성이었다.[33] 최초의 정지 궤도 통신 위성인 싱콤 2는 1963년 7월 26일에 발사되었고,[34] 뒤이어 발사된 최초의 정지 궤도 위성 싱콤 3는 국제 날짜 변경선 근처 궤도에서 1964년 하계 올림픽도쿄 현지 영상을 미국으로 중계하는 데 사용되었다.[35][36]

세계 최초의 상업 통신 위성인 인텔샛 I("얼리 버드")은 1965년 4월 6일 정지 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했다.[37] 1967년에는 소련이 최초의 국가 네트워크 위성 시스템인 오르비타를 구축했다. 이 시스템은 타원 궤도를 도는 몰니야 위성을 이용하여 지상 다운링크 방송국에 텔레비전 신호를 중계하는 방식이었다.[38] 1969년 인류 최초의 달 착륙 장면은 호니서클 크릭 추적소에서 전송되어 인텔샛 III F-4 위성을 통해 전 세계로 생중계되었다.[39][40]

텔레비전 방송을 목적으로 한 최초의 국내 위성은 1972년 11월 9일 발사된 캐나다의 정지 궤도 위성 Anik 1이었다.[41] 1973년에는 엘비스 프레슬리의 하와이 라이브 콘서트인 알로하 하와이가 Intelsat IV F-4 위성을 통해 전 세계 여러 국가에 중계되는 등 초기 국제 방송 이벤트도 이루어졌다.

호주 해외 통신 위원회 (OTC)가 Intelsat IV F-4 위성을 통해 방송한 알로하 하와이 광고. 엘비스 프레슬리의 라이브 콘서트를 담은 초기 국제 방송 행사 중 하나였다.


1974년 미국은 응용기술 위성 ATS-6를 발사하여 2.6GHz 대역에서 중계 실험을 수행했는데, 이는 세계 최초의 실험적인 교육 및 직접 방송 위성 (DBS)이었다.[42] ATS-6는 광대역 FM 변조 방식을 사용했으며, 주 전송 대상은 인도 아대륙이었으나 서유럽에서도 기존 UHF 텔레비전 방송 기술을 활용한 가정용 장비로 신호를 수신할 수 있었다.[43] 1976년에는 캐나다가 통신기술 위성 CTS로 방송 실험을 진행했다. 이러한 실험들은 위성방송 기술의 가능성을 입증하며 상업적 이용 확대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같은 해인 1976년 10월 26일, 소련은 직접 가정 방송(DBS) 텔레비전 서비스를 위한 최초의 정지 궤도 위성 시리즈인 Ekran 1을 발사했다.[44] 이 위성은 714MHz의 UHF 주파수를 사용하여, 고가의 마이크로파 기술 대신 일반적인 UHF TV 수신기로도 시청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45]

1970년대 후반 미국에서는 케이블 텔레비전 산업의 성장과 함께 위성 텔레비전 산업도 발전하기 시작했다. 통신 위성은 케이블 텔레비전 헤드엔드로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배포하는 데 사용되었다. HBO, TBS, CBN(후에 The Family Channel) 등은 위성을 통해 프로그램을 공급한 초기 사업자들이다. 1976년 캘리포니아 샌 안드레아스의 테일러 하워드는 직접 제작한 시스템으로 C 밴드 위성 신호를 수신한 최초의 일반인이 되었다.[46] 1978년에는 미국의 비영리 공영 방송사인 PBS가 위성을 통한 프로그램 배포를 시작했다.[47]

1979년 소련 엔지니어들은 위성을 이용한 TV 신호 방송 및 전달 시스템인 '모스크바 시스템'을 개발하고, 같은 해 정지 궤도를 사용하는 고리존트 통신 위성을 발사했다.[48] 이 위성에는 강력한 트랜스폰더가 탑재되어 지상 수신용 포물선 안테나의 크기를 4m와 2.5m로 줄일 수 있었다.[48] 같은 해 10월 18일, 미국 FCC는 개인이 연방 정부의 허가 없이도 가정용 위성 수신 설비(지구국)를 소유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했다.[49] 1979년 Neiman-Marcus 백화점의 크리스마스 카탈로그에는 최초의 가정용 위성 TV 시스템이 36500USD에 소개되기도 했다.[50] 이 시스템의 접시 안테나 지름은 약 약 6.10m에 달했으며[51] 원격 조종이 가능했다.[52] 이후 가격은 절반으로 떨어졌지만 채널 수는 8개에 불과했다.[53] 1980년에는 소비자와 위성 TV 시스템 소유자를 대표하는 단체인 개인 및 상업 지구국 협회(SPACE)가 설립되었다.[54]

초기 위성 텔레비전 시스템, 즉 TVRO(Television Receive-Only) 시스템은 높은 가격과 거대한 접시 안테나 크기 때문에 대중화되기 어려웠다.[61]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초의 위성 접시 안테나는 지름이 약 3.05m 에서 약 4.88m에 달했고,[64] 유리 섬유나 단단한 알루미늄, 강철로 만들어졌으며,[55] 미국에서의 가격은 5000USD를 넘어서 때로는 10000USD에 달하기도 했다.[60] 지상국에서 송출된 프로그램은 지구 상공 약 약 35888.28km에 위치한 18개의 위성에서 중계되었다.[56][57]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위성 텔레비전은 미국과 유럽에서 자리를 잡기 시작했다. 1982년 4월 26일, 영국 최초의 위성 채널인 Satellite Television Ltd.(후에 Sky One)가 ESA의 OTS를 통해 방송을 시작했다.[58] 1981년부터 1985년 사이, TVRO 시스템의 가격이 하락하면서 판매량이 증가했다. 수신기 기술의 발전과 갈륨 비소 FET 기술의 도입으로 더 작은 접시 안테나 사용이 가능해졌다. 1984년 미국에서는 50만 대의 시스템이 판매되었으며, 일부는 2000USD 정도에 불과했다.[60][66] 특정 위성만 수신하는 접시 안테나는 훨씬 더 저렴했다.[59] 지역 방송국이나 케이블 TV 서비스가 없는 지역의 주민들은 월 사용료 없이 양질의 방송을 수신할 수 있게 되었다.[60][57]

그러나 큰 접시 안테나는 미관상의 문제로 여겨져 많은 지역 사회, 특히 콘도미니엄이나 주택 소유자 협회에서 설치를 엄격히 제한했다.[3] 이러한 제한은 1986년 FCC가 이를 불법으로 규정하면서 완화되었다.[61] 자치 단체는 설치 위치 조정 등 다른 규정을 적용할 수는 있었지만, 사용 자체를 금지할 수는 없었다.[61] 이후 접시 안테나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이러한 규제의 필요성은 점차 줄어들었다.[61]

원래 모든 위성 채널은 암호화 없이 평문 (ITC)으로 방송되었다. 이는 수신 장비가 매우 비쌌기 때문이다. 하지만 TVRO 시스템 보급이 늘어나자 프로그램 제공업체와 방송사들은 신호를 암호화하고 유료 가입 모델을 도입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1984년 10월, 미국 의회는 1984년 케이블 통신 정책법을 통과시켰다. 이 법은 TVRO 시스템 사용자가 암호화되지 않은 신호를 무료로 수신할 권리를 보장하고, 신호를 암호화하는 사업자에게는 합리적인 가격으로 시청권을 제공하도록 의무화했다.[57][62] 케이블 채널들이 대형 접시 안테나를 통한 무료 시청을 막으면서, 다른 사업자들이 위성방송 시장에 진입할 유인이 생겼다.[63] 1986년 1월, HBO는 당시 사용되던 VideoCipher II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사 채널을 암호화하기 시작했다.[64] 다른 채널들도 보안 수준이 낮은 암호화 시스템을 도입했다. HBO의 암호화 조치는 당시 다른 시청 방법이 없었던 대형 접시 안테나 소유자들의 거센 항의를 불러일으켰다.[65] 결국 HBO는 접시 안테나 소유자들이 월 12.95USD (케이블 가입자와 비슷하거나 더 높은 요금)를 내고 직접 구독할 수 있도록 허용했으며, 별도로 395USD의 디스크램블러를 구매해야 했다.[65] 이러한 상황은 1986년 4월 존 R. 맥두걸이 HBO의 신호를 송출하던 Galaxy 1 위성의 트랜스폰더를 해킹하여 방송 신호 침입 시위를 벌이는 사건으로 이어지기도 했다.[65] 이후 다른 상업 채널들도 HBO를 따라 채널 암호화를 시작했다.[67] 1986년 12월 2일에는 위성 방송 및 통신 산업을 대표하는 위성 방송 및 통신 협회(SBCA)가 SPACE와 직접 방송 위성 협회(DBSA)의 합병으로 설립되었다.[66]

VideoCipher II 시스템은 영상 신호에는 아날로그 암호화를, 음성 신호에는 DES 기반 암호화를 사용했다. 하지만 이 시스템은 결국 해독되었고, 불법 복제된 디스크램블러 장치가 암시장에서 거래되었다.[67]

1987년까지 9개 채널이 암호화되었지만, 여전히 99개의 다른 채널은 무료로 시청 가능했다.[62] HBO는 초기에 월 19.95USD의 요금을 책정했지만, 곧 연간 200USD에 모든 채널을 시청할 수 있는 패키지가 등장했다.[62] 접시 안테나 판매량은 1985년 60만 대에서 1986년 35만 대로 감소했지만, 유료 TV 서비스의 등장은 케이블 서비스 이용이 불가능한 지역의 시청자들에게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지면서 산업은 다시 회복세를 보였다.[62] 암호화는 또한 PPV (Pay-Per-View) 이벤트의 발전을 촉진했다.[62] 1988년 11월 1일, NBC는 C 밴드 신호를 암호화하기 시작했지만, 광고 시청자를 잃지 않기 위해 Ku 밴드 신호는 암호화하지 않았다.[68] 당시 미국 내 200만 명의 위성 접시 사용자 대부분은 여전히 C 밴드를 사용하고 있었다.[68] ABC와 CBS도 암호화를 고려했지만, CBS는 지역 네트워크 제휴사를 수신하지 못하는 시청자 수를 고려하여 주저했다.[68] 미국의 위성 텔레비전 신호 해적 행위가 만연하자, 1992년 케이블 텔레비전 소비자 보호 및 경쟁법이 제정되었다. 이 법은 신호 절도에 가담한 사람에게 최대 5만달러의 벌금과 최대 2년의 징역형을 부과할 수 있도록 규정했다.[69] 재범자는 최대 10만달러의 벌금과 최대 5년의 징역형에 처해질 수 있었다.[69]

유럽에서도 위성 텔레비전이 개발되었지만, 초기에는 저출력 통신 위성을 사용했기 때문에 1.7m가 넘는 큰 접시 안테나가 필요했다. 그러나 1988년 12월 11일, 룩셈부르크는 Astra 1A 위성을 발사하여 서유럽에 중출력 위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70] 이는 Ku 밴드로 신호를 전송하여 작은 접시(90 cm)로도 수신이 가능한 최초의 중출력 위성 중 하나였다.[70] 아스트라의 발사는 영국의 국가 직접 방송 위성 사업자였던 British Satellite Broadcasting보다 먼저 시장에 진입하는 결과를 낳았다.

일본에서는 1992년부터 NHK를 중심으로 상업 위성 방송이 시작되었다. NHK는 규제 개발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정부 연구 자금을 활용했으며, 우정성(MPT)은 시장 진입을 보호하여 암호화된 WOWOW 채널을 만들었다. 이 채널은 NHK 디코더가 있는 접시 안테나를 통해 접근할 수 있었다.[71]

1990년대 초 미국에서는 4개의 대형 케이블 회사가 합작하여 중출력 위성을 사용하는 직접 방송 회사인 PrimeStar를 설립했다. 비교적 강력한 전송 덕분에 더 작은 (90 cm) 접시 안테나 사용이 가능했다. 그러나 1994년 Hughes의 DirecTV와 Dish Network 위성 텔레비전 시스템이 출시되면서 PrimeStar의 인기는 감소했다.

디지털 텔레비전 위성 방송은 1994년 미국에서 DirecTV가 DSS 형식을 사용하여 시작되었다. 이후 1994년과 1995년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중동, 북아프리카,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1996년과 1997년에는 프랑스, 독일, 스페인, 포르투갈, 이탈리아, 네덜란드 등 유럽 국가와 일본, 북미 및 라틴 아메리카에서 디지털 위성 방송이 시작되었다. 영국과 아일랜드에서는 1998년에 디지털 DVB-S 방송이 시작되었고, 일본은 2000년에 ISDB-S 표준으로 방송을 시작했다.

1996년 3월 4일, EchoStar는 EchoStar 1 위성을 사용하여 Digital Sky Highway (Dish Network) 서비스를 시작했다.[72] EchoStar는 1996년 9월 두 번째 위성을 발사하여 Dish Network에서 제공하는 채널 수를 170개로 늘렸다.[72] 이 시스템들은 150~200개의 비디오 및 오디오 채널에서 더 나은 화질과 스테레오 사운드를 제공했으며 작은 접시 안테나 사용을 가능하게 했다. 이는 기존의 TVRO 시스템의 인기를 크게 감소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1990년대 중반, 채널들은 DigiCipher 조건부 접근 시스템을 사용하여 디지털 텔레비전 전송으로 전환하기 시작했다.[73]

암호화 외에도, PrimeStar 및 DirecTV와 같은 DBS 서비스의 미국 내 광범위한 보급은 1990년대 초부터 TVRO 시스템의 인기를 감소시켰다. Ku 밴드에서 작동하는 DBS 위성의 신호는 주파수와 출력이 더 높으며 (현대 위성의 태양 전지판 및 에너지 변환 효율 개선 덕분에), 따라서 C 밴드보다 훨씬 작은 접시 안테나가 필요하다. 또한 현재 사용되는 디지털 변조 방식은 아날로그 변조 방식보다 수신기에서 더 적은 신호 강도를 요구한다.[74] 각 위성은 또한 Ku 밴드에서 최대 32개의 트랜스폰더를 탑재할 수 있는 반면, C 밴드에서는 24개만 탑재할 수 있으며, 여러 디지털 부채널은 단일 트랜스폰더에서 다중화 (MCPC)되거나 개별적으로 (SCPC) 전송될 수 있다.[75] 개선된 마이크로파 기술과 반도체 재료로 인한 노이즈 감소의 발전도 영향을 미쳤다.[75] 그러나 DBS 서비스에 사용되는 더 높은 주파수의 단점 중 하나는 폭우 시 시청자가 신호를 잃는 우천 감쇠 현상이다. C 밴드 위성 텔레비전 신호는 우천 감쇠의 영향을 덜 받는다.[76]

현재 미국의 DBS 기반 위성 제공업체 (Dish Network 및 DirecTV)는 자체 DBS 위성 외에도 기존 FSS급 위성의 Ku-band 트랜스폰더 용량을 추가로 활용하고 있다. 이는 HD (고화질) 채널과 동시 방송되는 지역 방송국 채널 수가 증가함에 따라 더 많은 채널 용량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이다. 이러한 FSS 위성 채널 수신을 위해 DirecTV와 Dish Network는 가입자에게 기존 18인치 (Dish Network "Dish500"의 경우 20인치) 접시보다 두 배 큰 직경 (36인치)의 접시 안테나를 제공하고 있다. 이 새로운 하이브리드 접시("SlimLine" 및 "SuperDish" 모델)에는 두 개의 원형 편파 LNBF (각각 제공업체의 DBS 위성 수신용)와 FSS 위성 채널 수신을 위한 표준 선형 편파 LNB가 장착되어 있다. 이 새로운 접시는 현재 두 제공업체의 표준이며, 기존의 작은 접시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거나 DBS 위성을 통해 방송되는 특정 프로그램 패키지나 서비스에만 사용된다.

1999년 11월 29일, 미국의 빌 클린턴 대통령은 위성 홈 뷰어 개선법 (SHVIA)에 서명했다.[77] 이 법은 미국인들이 처음으로 직접 방송 위성 시스템을 통해 지역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77]

한편, 북한의 조선중앙TV는 1999년 7월 3일 태국의 통신 위성 사업자인 시나와트라 새틀라이트 사와 협력하여 인도양 상공의 '타이콤 3(Thaicom 3)' 위성을 통해 아시아, 태평양 국가 및 유럽 일부 지역까지 시험 방송을 시작했으며, 같은 해 10월 10일부터 본방송으로 전환했다.[87][88][89][90][91][92]

4. 3. 현대

1980년대 후반, 위성 텔레비전 시스템의 보급이 늘어나면서 프로그램 제공업체와 방송사들은 신호를 암호화하고 유료 가입 시스템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1984년 10월, 미국 의회는 1984년 케이블 통신 정책법을 통과시켜, TVRO 시스템 사용자가 암호화되지 않은 신호는 무료로 수신할 권리를 보장하고, 암호화된 신호는 합리적인 요금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57][62]

1986년 1월, HBO는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 VideoCipher II 시스템을 사용하여 자사 채널을 암호화하기 시작했다.[64] 이는 당시 큰 접시 안테나 시스템 소유자들로부터 많은 항의를 받았는데, 이들은 케이블 서비스가 없는 지역에서 유일하게 선명한 신호를 수신할 방법이었던 위성 신호 접근이 어려워질 것을 우려했다.[65] 결국 HBO는 접시 안테나 소유자들이 월 12.95USD에 직접 구독하고, 395USD짜리 디스크램블러를 구매하도록 허용했다.[65] 이러한 암호화는 1986년 4월 존 R. 맥두걸이 HBO의 트랜스폰더 Galaxy 1 신호를 방해하는 방송 신호 침입 사건의 배경이 되기도 했다.[65] 이후 다른 상업 채널들도 HBO를 따라 암호화를 시작했다.[67] VideoCipher II 시스템은 해독되었고, 이를 위한 불법 암시장이 형성되기도 했다.[67]

암호화는 위성 텔레비전 산업에 변화를 가져왔다. 1987년까지 9개 채널이 암호화되었지만, 여전히 99개 채널은 무료로 시청 가능했다.[62] 유료 서비스의 등장은 주문형 비디오 이벤트와 같은 새로운 서비스 모델 개발로 이어졌다.[62] 그러나 신호 해적 행위 문제도 심각해져, 미국에서는 1992년 케이블 텔레비전 소비자 보호 및 경쟁법이 제정되어 신호 도용에 대한 처벌(최대 5만달러 벌금 및 2년 징역, 재범 시 최대 10만달러 벌금 및 5년 징역)을 강화했다.[69]

유럽에서도 위성 텔레비전이 발전했지만 초기에는 1.7m가 넘는 큰 접시가 필요했다. 1988년 12월, 룩셈부르크의 Astra 1A 위성 발사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이 위성은 Ku 밴드를 사용하여 중간 전력으로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90cm 크기의 작은 접시로도 수신이 가능하게 했다.[70] 이는 직접 방송 위성(DBS) 시대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렸다.

1990년대 초 미국에서는 PrimeStar가 중간 전력 위성을 이용한 직접 방송 서비스를 시작하여 90cm 크기의 접시 사용을 가능하게 했다. 그러나 1994년 Hughes의 DirecTV와 이후 Dish Network 같은 고출력 DBS 서비스가 등장하면서 PrimeStar의 인기는 감소했다.

디지털 위성방송은 1994년 미국의 DirecTV가 DSS 형식을 사용하여 시작하면서 본격화되었다. 이후 1994년과 1995년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중동, 북아프리카, 아시아 태평양 지역으로 확산되었고, 1996년과 1997년에는 유럽 주요 국가들과 일본, 북미, 라틴 아메리카 등지로 확대되었다. 영국과 아일랜드에서는 1998년 DVB-S 방식의 디지털 방송이 시작되었고, 일본은 2000년에 ISDB-S 표준으로 방송을 시작했다. 1996년 3월 EchoStar는 EchoStar 1 위성을 사용하여 Digital Sky Highway (Dish Network) 서비스를 시작했으며,[72] 같은 해 9월 두 번째 위성을 발사하여 Dish Network에서 사용 가능한 채널 수를 170개로 늘렸다.[72] 디지털 방송은 더 나은 화질과 음질, 더 많은 채널 수를 제공했으며, 작은 크기의 수신 안테나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기존의 대형 접시를 사용하는 TVRO 시스템의 인기를 급격히 감소시켰다. 1990년대 중반부터 채널들은 DigiCipher 조건부 접근 시스템을 사용하여 디지털 전송으로 전환하기 시작했다.[73]

Ku 밴드를 사용하는 DBS 위성 신호는 기존의 C 밴드 신호보다 주파수와 출력이 높아 훨씬 작은 접시로 수신이 가능했다. 또한 디지털 변조 방식은 아날로그 방식보다 적은 신호 강도로도 수신이 가능했다.[74] 각 위성은 C 밴드(24개)보다 많은 최대 32개의 Ku 밴드 트랜스폰더를 탑재할 수 있었고, 하나의 트랜스폰더에 여러 디지털 부채널을 다중화(MCPC)하여 전송 효율을 높였다.[75] 그러나 Ku 밴드는 주파수가 높아 폭우 시 신호가 약해지거나 끊기는 우천 감쇠 현상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C 밴드는 우천 감쇠의 영향을 덜 받는다.[76]

고화질(HD) 채널과 지역 방송국 채널 수가 증가함에 따라, 미국의 위성방송 사업자들(Dish Network, DirecTV)은 기존 DBS 위성 외에 FSS급 위성의 Ku 밴드 용량을 추가로 활용하기 시작했다. 이를 위해 가입자들에게 기존의 18인치(약 46cm) 또는 20인치(약 51cm) 접시보다 큰 36인치(약 91cm) 직경의 새로운 하이브리드 접시("SuperDish", "SlimLine")를 제공했다.

1999년 11월 29일, 미국에서는 위성 홈 뷰어 개선법(SHVIA)이 통과되어 시청자들이 위성방송을 통해 자신의 지역 방송 채널을 수신할 수 있게 되었다.[77]

5.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는 KT 스카이라이프가 유일한 위성방송 사업자이다. 초기 위성방송은 인구가 적거나 산세가 험한 지역의 난시청 문제를 해결하고, 지상파 방송에서 제공하기 어려웠던 다채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정부 차원의 사교육비 경감 및 학교 공교육 보완 대책의 일환으로 개국한 EBS 위성 교육방송은 이러한 다채널 전문 방송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현재 KT 스카이라이프는 KTIPTV 서비스인 '지니 TV 스카이라이프'와 같은 결합 상품을 통해 가입자를 유치하고 있으며, 결합 상품 가입자에게는 위성 단독 상품보다 더 많은 요금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IPTV 서비스가 보편화되면서 위성방송의 보급률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지만, 결합 상품을 통해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KT 스카이라이프가 개발한 DCS(Dish Convergence Solution) 방식을 통해, KT 인터넷 망을 사용하는 서울, 경기 및 5대 광역시(인천, 부산, 광주, 대구, 대전)에서는 별도의 접시형 안테나 설치 없이 위성 신호를 IP 신호로 변환하여 인터넷 망으로 전송받을 수 있다. 이 방식은 아파트 등 다세대 주택에도 설치가 용이하며, OTT 서비스 등 부가 통신 서비스 이용도 가능하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 IPTVOTT 서비스가 빠르게 성장하면서 위성방송 가입자 수는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과거에는 일본과 지리적으로 가까워 위성 전파의 스필오버 현상으로 일본 NHK-BS 방송을 직접 수신하는 것도 가능했었다.[84][85]

6. 다른 국가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은 1963년 무선 통신 규칙에서 "방송 위성 서비스"를 정의했다. 이는 우주국에서 송신하거나 재전송되는 신호, 또는 지구 궤도를 도는 물체에서의 반사를 통해 일반 대중이 직접 수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우주 통신 서비스를 의미한다.[78]

1970년대 들어 일부 국가에서는 외국 위성 방송이 자국의 문화적, 정치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다. 이는 신세계 정보 통신 질서(NWICO) 제안으로 이어지는 배경이 되었다. 그러나 기술적인 한계로 인해 위성 방송을 특정 국가의 국경 내로만 제한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웠다. 맥브라이드 보고서가 논의될 무렵, 이 문제는 유엔 우주 공간 평화 이용 위원회(COPUOS)에서도 다루어졌다. 대부분의 회원국은 자국 영토 내 방송 수신에 대한 사전 동의 원칙을 지지했지만, 일부 국가는 이것이 정보의 자유를 침해한다고 반박했다. 관련 국가들은 합의에 이르지 못했고, 결국 1982년 유엔 총회는 다수결로 유엔 총회 결의안 37/92("DBS 원칙")를 채택했다. 하지만 위성 방송 기술을 보유한 주요 국가 대부분이 이 결의안에 반대했기 때문에, "DBS 원칙"은 실질적인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으로 평가받는다.[79]

6. 1. 미국

북아메리카(미국, 캐나다, 멕시코) 지역에서는 Galaxy 19 위성을 통해 80개 이상의 무료(FTA) 디지털 채널을 시청할 수 있다. 이들 채널은 대부분 특정 민족이나 종교 관련 내용을 다루는 경우가 많다. Galaxy 19 외에도 AMC-4, AMC-6, Galaxy 18, Satmex 5 등이 주요 무료 채널 전송 위성으로 사용된다. GloryStar와 같은 회사는 Galaxy 19를 통해 무료 종교 방송 채널을 제공하기도 한다.

6. 2. 일본

일본의 대표적인 위성방송 서비스로는 스카이퍼! 프리미엄 서비스와 공영방송 NHK의 위성방송 채널 등을 들 수 있다. 일본의 위성방송은 초기에 텔레비전 난시청 지역 해소를 주요 목적으로 도입되었으나, 점차 다채널 유료방송 서비스 제공 중심으로 발전해왔다.

6. 3. 중국

중국에서는 보도가 중국 공산당의 관리하에 있으며, 당국의 통제가 미치지 않는 위성 방송의 직접 수신은 외국인이 숙박 가능한 3성급 이상의 호텔이나 간부 주택을 제외하고는 금지되어 있다. 대신 도시 지역에서는 케이블 TV가 보편적으로 보급되어 있다. 한편,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케이블 TV가 설치되지 않은 농촌 지역을 대상으로 복지 사업의 일환으로 위성 방송 보급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 사업을 통해 수신할 수 있는 채널은 중국중앙텔레비전방송 (CCTV)을 비롯한 국영 방송으로 한정되며, 전 세계의 다양한 위성 방송을 자유롭게 시청할 수는 없다(화이트리스트 방식).[83]

7. 법적 정의

일본 법령상 "위성 방송"이라는 용어에 대한 정의는 총무성 성령인 방송법 시행 규칙(이하 "시행 규칙")에 규정되어 있었다.

2009년(헤이세이 21년) 2월 20일 시행 규칙 개정[80]을 통해, 제17조의 8 제3항 제1호에서 위성방송을 "인공 위성에 의해 행해지는 방송"이라고 정의했다. 또한 같은 조항에서 다음과 같이 세부적으로 구분했다:


  • '''특별 위성방송''' (제2호): 전파의 편파가 좌선 편파(전파 진행 방향을 향해 전계 벡터가 시간과 함께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원편파)가 아닌 위성방송으로,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한다:
  • 방송 위성 업무용 주파수(국제 전기 통신 연합 헌장의 무선 통신 규칙 부록 제30호에 따라 일본에 할당된 11.7GHz 초과 12.2GHz까지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위성방송
  • 방송 위성 업무용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위성방송
  • '''일반 위성방송''' (제3호): 특별 위성방송 이외의 위성방송. (해당 방송을 송출하는 인공위성 또는 동일 궤도/위치의 다른 인공위성에서 송출되는 경우로 한정)


이러한 구분은 BS 디지털 방송과 동경 110도 CS 디지털 방송의 수신 기기가 대부분 호환 가능했기 때문에, 보급을 촉진하기 위해 명칭을 통일한 것이다.

그러나 2011년(헤이세이 23년) 6월 30일, 개정된 방송법이 시행되면서[81], 방송은 방송 전용 또는 우선 할당 주파수를 사용하는 기간 방송과 그 외의 일반 방송으로 크게 나뉘게 되었다.

이와 동시에 시행 규칙도 개정되어[82] 기존의 위성방송 관련 규정은 삭제되었다. 이에 따라 특별 위성방송은 '''위성 기간 방송'''으로, 일반 위성방송은 '''위성 일반 방송'''으로 명칭과 분류가 변경되었다.

이후 일본 법령에서는 단순히 "위성 방송"이라는 용어 자체에 대한 별도의 정의를 규정하고 있지 않다.

참조

[1] 문서 ITU Radio Regulations, Section IV. Radio Stations and Systems – Article 1.39, definition: ''Broadcasting-satellite service''
[2] 서적 Copyright Infringement https://books.google[...] Kluwer Law International 2014-09-18
[3] 웹사이트 Installing Consumer-Owned Antennas and Satellite Dishes http://www.fcc.gov/c[...] FCC 2008-11-21
[4] 웹사이트 Star One D2 at 70.0°W https://www.lyngsat.[...] 2023-12-10
[5] 웹사이트 Lista completa de frequências https://portalbsd.co[...] 2023-12-10
[6] 학술지 Europe's Best Kept Secret https://books.google[...] Reed Business Publishing 2014-07-28
[7] 학술지 Microstrip Impedance Program https://books.google[...] Communications Technology, Incorporated 2014-07-28
[8] 학술지 Microwave Journal International https://books.google[...] Horizon House 2014-07-28
[9] 학술지 Leaky dishes drown out terrestrial TV https://books.google[...] Reed Business Information 2014-07-28
[10] 서적 Satellite Systems:Principles and Technologie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4-07-29
[11] 서적 Satellite Systems Engineering in an IPv6 Environment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4-07-29
[12] 서적 The Essential Guide to Telecommunications https://books.google[...] Prentice Hall 2014-07-29
[13] 서적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s Design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4-07-29
[14] 웹사이트 Frequency letter bands https://web.archive.[...] 2014-01-30
[15] 웹사이트 JEDI Innovation report https://itea3.org/in[...] 2014-07-22
[16] 서적 Introduction To Satellite Communications Artech House
[17] 학술지 Space TV Hearst Magazines 1994-08
[18] 웹사이트 Intelsat New Media Brochure http://www.intelsat.[...] 2014-07-21
[19] 보고서 Digital Video Broadcasting (DVB); Implementation of Binary Phase Shift Keying (BPSK) modulation in DVB satellite transmission systems http://www.etsi.org/[...] 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 2014-07-20
[20] 웹사이트 Satellitenfernsehen in Deutschland http://www.kabelfern[...] 2016-04-05
[21] 웹사이트 ZDFneo, 3sat, BR, NDR, SWR, WDR, Phoenix, KiKa starten HD Kanäle http://www.kabel-int[...] 2012-04-08
[22] 웹사이트 HDTV: Neue HD-Kanäle von ARD und ZDF ab 30. April 2012 http://digital.t-onl[...] 2012-04-08
[23] 웹사이트 Cable and satellite TV companies need a miracle to save them from cord-cutting https://www.fastcomp[...] 2019-07-05
[24] 웹사이트 NBC tacks on Telemundo oversight to Gaspin's tasks http://www.latimes.c[...] Los Angeles Times 2010-05-14
[25] 학술지 Satellite Communications Training from NRI! https://books.google[...] Bonnier Corporation 2014-12-16
[26] 뉴스 Sensing SATCOM Success Is New Simulsat From ATCi http://www.satnews.c[...] 2014-12-16
[27] 웹사이트 The Arthur C. Clarke Foundation https://web.archive.[...] 2016-06-01
[28] 서적 Media and Culture: An Introduction to Mass Communication https://books.google[...] Macmillan Publishers 2014-08-15
[29] 웹사이트 The 1945 Proposal by Arthur C. Clarke for Geostationary Satellite Communications http://lakdiva.org/c[...] 2019-12-06
[30] 서적 Wireless technologies and the 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https://books.google[...] DIANE Publishing 2014-08-15
[31] 웹사이트 20 Years Ago: First Image of Earth from Mars and Other Postcards of Home https://www.nasa.gov[...] 2024-09-28
[32] 웹사이트 The Birth of Satellite TV, 50 Years Ago http://www.history.c[...] History Channel 2014-06-05
[33] 웹사이트 Relay 1 https://nssdc.gsfc.n[...] NASA 2014-07-20
[34] 웹사이트 Syncom 2 https://nssdc.gsfc.n[...] NASA 2014-06-05
[35] 웹사이트 Significant Achievements in Space Communications and Navigation, 1958–1964 https://ntrs.nasa.go[...] NASA 2009-10-31
[36] 웹사이트 Syncom 3 https://nssdc.gsfc.n[...] NASA 2011-05-16
[37] 웹사이트 Encyclopedia Astronautica - Intelsat I https://web.archive.[...] 2010-04-05
[38] 서적 Soviet-bloc Research in Geophysics, Astronomy, and Space https://books.google[...] U.S. Joint Publications Research Service 2014-12-16
[39] 웹사이트 The Dish made Parkes famous, but the first pictures from the Moon actually came from Honeysuckle Creek https://www.abc.net.[...] 2019-07-18
[40] 웹사이트 TV seen in Western Australia https://honeysucklec[...] 1972-07-15
[41] 뉴스 Anik A1 launching: bridging the gap http://archives.cbc.[...] CBC English TV 1972-11-09
[42] 웹사이트 NASA - ATS http://www.nasa.gov/[...] NASA 2010-01-22
[43] 서적 Long Distance Television Reception (TV-DX) For the Enthusiast
[44] 웹사이트 Ekran https://web.archive.[...] Astronautix
[45] 웹사이트 Ekran (11F647) https://space.skyroc[...] 2019-12-06
[46] 뉴스 Taylor Howard, 70, Pioneer In Satellite TV for the Home https://www.nytimes.[...] 2002-11-15
[47] 서적 Public Service Broadcasting in the Age of Globalization
[48] 웹사이트 Gorizont https://web.archive.[...] Encyclopedia Astronautica
[49] 웹사이트 The "Glory Days" of Satellite https://web.archive.[...]
[50] 서적 The Guide to United States Popular Culture https://books.google[...] Popular Press
[51] 뉴스 Tiny Satellite Dishes Sprout in Rural Areas https://www.latimes.[...] 1996-07-28
[52] 뉴스 Stealing Free TV, Part 2 http://extras.denver[...] The Denver Post
[53] 뉴스 Whatta dish : Home satellite reception a TV turn-on 1989-01-24
[54] 뉴스 Earth Station Is Very Popular Dish https://news.google.[...] 1980-12-21
[55] 서적 Ku-Band Satellite TV: Theory, Installation and Repair
[56] 뉴스 Watching TV Via Satellite Is Their Dish 1981-09-27
[57] 뉴스 Satellite TV Dishes Getting Good Reception 1984-12-30
[58] 웹사이트 Broadband Cable 10th Anniversary http://tinypic.com/v[...] TinyPic
[59] 뉴스 Research Needed in Buying Dish: High Cost Is Important Consideration for Consumer 1984-10-25
[60] 뉴스 America's Favorite Dish 1984-07-07
[61] 뉴스 Old satellite dish restrictions under fire New laws urged for smaller models https://www.baltimor[...] The Baltimore Sun 1993-10-10
[62] 뉴스 Satellite TV Skies Brighten As War With Programmers Ends https://www.chicagot[...] 1987-05-22
[63] 뉴스 Direct-Broadcast TV Is Still Not Turned On 1985-01-20
[64] 뉴스 SATELLITE DISHES SURVIVE GREAT SCRAMBLE OF 1980S https://web.archive.[...] Deseret News 1990-01-14
[65] 웹사이트 On The Trail Of 'Captain Midnight' https://web.archive.[...] Philly 1986-04-29
[66] 웹사이트 Industry History https://web.archive.[...] Satellite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Association
[67] 서적 Trademark Counterfeiting, Product Piracy, and the Billion Dollar Threat to the U.S. Economy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9-01-01
[68] 뉴스 Scrambled NBC Bad News for Satellite Pirates 1988-11-03
[69] 법률 Cable Television Consumer Protection and Competition Act of 1992 http://www.gpo.gov/f[...] 1992-10-08
[70] 웹사이트 ASTRA 1A Satellite details 1988-109B NORAD 19688 http://www.n2yo.com/[...] N2YO 2014-07-12
[71] 서적 Encyclopedia of Contemporary Japanese Culture Routledge 2002
[72] 서적 Communication Technology Update Taylor & Francis
[73] 학술지 High Technology Strategy and Entrepreneurship https://web.archive.[...] INSEAD 2001-06-01
[74] 서적 Satellites: Operations and Applications: The New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cal Press 2004
[75] 서적 Advances in Recent Trends in Communication and Networks https://books.google[...] Allied Publishers 2014-07-16
[76] 웹사이트 Rain fade: satellite TV signal and adverse weather http://dish-cable.co[...] 2014-07-16
[77] 법률 Satellite Home Viewer Improvement Act http://transition.fc[...] 2014-07-30
[78] 학술지 Direct Satellite Broadcasting: A Case Study in the Development of the Law of Space Communications
[79] 백과사전 satellite Broadcasting 2019
[80] 법률 平成21年総務省令第7号による改正
[81] 법률 平成22年法律第65号による改正の施行
[82] 법률 平成23年総務省令第62号による改正
[83] 웹사이트 放送政策転換は中国農村をどう変えるか https://www.nhk.or.j[...]
[84] 뉴스 일본문화 침투 가속화 KBS 1990-09-10
[85] 웹사이트 衆議院議員草川昭三君提出放送衛星の電波が隣国へ漏洩するいわゆるスピルオーバーに関する質問に対する答弁書 https://www.shugiin.[...] 内閣総理大臣 1990-11-02
[86] 뉴스 위성방송, 공중파보다 약 1초 지연현상 http://news.kbs.co.k[...] KBS 뉴스 9 1996-07-02
[87] 뉴스 북한, 6월 19일부터 해외 위성방송 시작 http://news.kbs.co.k[...] KBS 뉴스 9 1999-07-15
[88] 뉴스 태국 통신위성 중계기 빌려 7월부터 북한도 위성방송 시작 https://imnews.imbc.[...] MBC 뉴스데스크 1999-07-15
[89] 뉴스 서울서 본 북한위성텔레비전 http://news.kbs.co.k[...] KBS 뉴스 9 1999-07-21
[90] 뉴스 북한, 10월 10일부터 본격적 위성방송 시작 http://news.kbs.co.k[...] KBS 뉴스 9 1999-10-11
[91] 뉴스 정부, 북한 위성방송 시청 허용 연기 결정 https://imnews.imbc.[...] MBC 뉴스데스크 1999-10-08
[92] 뉴스 정부, 북한 위성방송 TV 시청 허용 결정 https://imnews.imbc.[...] MBC 뉴스데스크 1999-10-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