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원호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원호처는 1962년 4월 16일 '원호처설치법'에 의해 군사원호청을 폐지하고 신설된 대한민국 정부의 행정 기관이다. 1962년 5월부터 1984년 12월까지 중앙 조직, 지방 조직, 소속 기관 등을 운영했으며, 1984년 12월 31일 폐지되고 국가보훈처로 변경되었다. 초대 처장은 민병권이며, 윤영모, 김병삼, 박기석, 장동운, 유근창, 김재명, 이종호, 조철권 등이 역대 처장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4년 폐지 - 밴쿠버 화이트캡스 (1974년)
밴쿠버 화이트캡스 (1974년)는 1973년 창단되어 1984년까지 활동한 캐나다의 축구 클럽으로, 1979년 북미 사커 리그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 1984년 폐지 - 노바스코샤 보이저스
노바스코샤 보이저스는 1971년부터 1984년까지 AHL에 참가하여 핼리팩스를 연고지로 활동하며 세 번의 우승을 차지하고 댄 메티비에, 웨인 톰슨 등의 주요 선수를 배출한 아이스하키 팀이다. - 대한민국 국가보훈부 - 국립서울현충원
국립서울현충원은 서울 동작구에 위치한 국립묘지로, 한국전쟁 전사자, 순국선열, 애국지사, 국가유공자 등이 안장되어 있으며, 국가 정체성을 상징하는 역사적 장소이다. - 대한민국 국가보훈부 - 독립기념관 (대한민국)
독립기념관은 한국의 국난극복사와 국가발전사 관련 자료를 수집, 전시, 연구하고 역사 교육을 제공하는 기관으로, 1987년 개관하여 현재 국가보훈처에서 관리하며 다양한 전시 시설과 자료를 통해 올바른 역사관 정립에 기여한다. - 1962년 설립 - 후쿠시마 TV
후쿠시마 TV는 후쿠시마현 최초의 민영 텔레비전 방송국으로 개국하여 여러 네트워크와의 제휴 및 탈퇴를 거쳐 현재는 FNN/FNS 계열의 완전 독점 방송국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후쿠시마현이 주식의 절반을 소유하여 공공적인 성격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 1962년 설립 - 정수장학회
정수장학회는 김지태가 설립한 부일장학회를 모태로 5.16 군사정변 이후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인재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단체로, 문화방송(MBC)과 부산일보 지분을 보유하고 박정희 친인척 및 측근이 운영하며 설립 과정과 소유권 문제 등으로 논란이 되어왔고 과거사위원회는 재산이 강압에 의해 헌납되었다고 결론내렸다.
대한민국 원호처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전신 | 군사원호청 |
해산일 | 1984년 12월 31일 |
후신 | 국가보훈처 |
2. 설치 근거 및 소관 업무
4. 조직
대한민국 원호처는 1962년 5월부터 1984년 12월까지 다양한 중앙 조직을 운영했다. 관리국, 원호국, 회계국(1962.05 ~ 1978.06), 운영국(1978.06 ~ 1984.12)과 같은 국 단위 조직과, 기획관리실(1978.06 ~ 1984.12), 총무과(1962.05 ~ 1984.12) 등이 있었다.
1962년 5월부터 1984년 12월까지 광주, 대구, 대전, 부산, 서울에 지방원호청을 두었다. 제주시에는 1962년 5월부터 1981년 11월까지 지방원호지청을, 1981년 11월부터 1984년 12월까지는 원호지청을 운영했다.
1981년 11월부터 1984년 12월까지 강릉, 강진, 경주, 김천, 마산, 목포, 부여, 상주, 서울남부, 서울북부, 수원, 순천, 안동, 울산, 의정부, 이리, 인천, 전주, 진주, 천안, 청주, 춘천, 충주, 함양, 홍성에 원호지청을 설치하여 운영했다. 서울동부 및 서울서부 원호지청은 1969년 9월부터 1981년 11월까지 운영되었다.
1969년 9월부터 1981년 11월까지 국립원호병원을, 1969년 9월부터 1984년 12월까지 국립원호원을 운영했다. 1962년 5월부터 1969년 9월까지는 원호병원이었다. 1976년 12월부터 1981년 11월까지 국립직업재활원을, 1963년 6월부터 1976년 12월까지 직업재활원을, 1962년 4월부터 1963년 6월까지는 직업보도원을 운영했다. 종합원호원은 1962년 4월부터 1969년 8월까지 운영되었다.
그 외에도 감사담당관, 공보관/공보담당관, 기획조정관/기획관리관, 단체지도관/단체지도담당관, 비상계획관/비상계획담당관 등의 조직을 운영했다.
4. 1. 중앙 조직
대한민국 원호처는 1962년 5월부터 1984년 12월까지 다양한 중앙 조직을 운영했다. 관리국, 원호국, 회계국(1962.05 ~ 1978.06), 운영국(1978.06 ~ 1984.12)과 같은 국 단위 조직과, 기획관리실(1978.06 ~ 1984.12), 총무과(1962.05 ~ 1984.12) 등이 있었다.1962년 5월부터 1984년 12월까지 광주, 대구, 대전, 부산, 서울에 지방원호청을 두었다. 제주시에는 1962년 5월부터 1981년 11월까지 지방원호지청을, 1981년 11월부터 1984년 12월까지는 원호지청을 운영했다.
1981년 11월부터 1984년 12월까지 강릉, 강진, 경주, 김천, 마산, 목포, 부여, 상주, 서울남부, 서울북부, 수원, 순천, 안동, 울산, 의정부, 이리, 인천, 전주, 진주, 천안, 청주, 춘천, 충주, 함양, 홍성에 원호지청을 설치하여 운영했다. 서울동부 및 서울서부 원호지청은 1969년 9월부터 1981년 11월까지 운영되었다.
1969년 9월부터 1981년 11월까지 국립원호병원을, 1969년 9월부터 1984년 12월까지 국립원호원을 운영했다. 1962년 5월부터 1969년 9월까지는 원호병원이었다. 1976년 12월부터 1981년 11월까지 국립직업재활원을, 1963년 6월부터 1976년 12월까지 직업재활원을, 1962년 4월부터 1963년 6월까지는 직업보도원을 운영했다. 종합원호원은 1962년 4월부터 1969년 8월까지 운영되었다.
그 외에도 감사담당관, 공보관/공보담당관, 기획조정관/기획관리관, 단체지도관/단체지도담당관, 비상계획관/비상계획담당관 등의 조직을 운영했다.
4. 2. 지방 조직
대한민국 원호처는 1962년 5월부터 1984년 12월까지 광주, 대구, 대전, 부산, 서울지방원호청과 제주지방원호지청을 운영하였다. 1969년 9월부터 1981년 11월까지는 국립원호병원을, 1969년 9월부터 1984년 12월까지는 국립원호원을 운영하였다.1981년 11월에는 강릉, 강진, 경주, 김천, 마산, 목포, 부여, 상주, 서울남부, 서울북부, 수원, 순천, 안동, 울산, 의정부, 이리, 인천, 전주, 제주, 진주, 천안, 청주, 춘천, 충주, 함양, 홍성원호지청을 설치하여 운영하였다.
1969년 9월부터 1981년 11월까지는 서울동부원호지청과 서울서부원호지청을 운영하였다.
4. 3. 소속 기관
대한민국 원호처는 1962년 5월부터 1984년 12월까지 존속했던 기관으로, 관리국, 원호국, 운영국, 기획관리실, 총무과 등을 두었다. 1962년 5월부터 1984년 12월까지 광주지방원호청, 대구지방원호청, 대전지방원호청, 부산지방원호청, 서울지방원호청을 두었다. 1981년 11월부터 1984년 12월까지 강릉, 강진, 경주, 김천, 마산, 목포, 부여, 상주, 서울남부, 서울북부, 수원, 순천, 안동, 울산, 의정부, 이리, 인천, 전주, 제주, 진주, 천안, 청주, 춘천, 충주, 함양, 홍성원호지청을 두었다.1969년 9월부터 1981년 11월까지 국립원호병원을, 1969년 9월부터 1984년 12월까지 국립원호원을 두었다. 1976년 12월부터 1981년 11월까지 국립직업재활원을 두었다.
5. 역대 처·차장
5. 1. 역대 원호처장
(현 평남과 분리)(현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