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주시는 제주특별자치도의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과거 탐라국으로 불리며 백제와 신라의 영향을 받다가 고려 시대에 고려에 복속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제주목으로 통치되었으며, 1955년 북제주군 제주읍이 제주시로 승격되었다. 2006년 제주특별자치도 출범과 함께 북제주군과 통합되었다. 현재 제주도는 행정, 경제,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며, 제주국제공항, 제주항을 통해 교통의 요충지 역할을 한다. 주요 관광지로는 삼성혈, 한라산국립공원, 우도 등이 있으며, 습윤 아열대 기후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주특별자치도의 도시 - 서귀포시
서귀포시는 제주도 남부에 위치하며, 천혜의 자연경관과 다양한 관광 명소를 자랑하고, 제주 유나이티드 FC의 연고지이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대한민국 기후 정보 - 서귀포시
서귀포시는 제주도 남부에 위치하며, 천혜의 자연경관과 다양한 관광 명소를 자랑하고, 제주 유나이티드 FC의 연고지이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대한민국 기후 정보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는 대한민국 최남단에 위치한 특별자치도로, 광범위한 자치권을 행사하며 국제자유도시를 지향하고,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독특한 문화를 지닌 관광 산업이 주요 경제 기반인 곳이다. - 제주시의 행정 구역 - 구좌읍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동쪽에 위치한 구좌읍은 12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름다운 해안 경관과 김녕항, 월정리 해변 등의 관광 명소가 있고, 당근, 마늘, 김 등의 농업 및 어업이 활발한 지역이다. - 제주시의 행정 구역 - 조천읍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동쪽에 있는 조천읍은 11개의 법정리와 여러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으며, 함덕해수욕장, 산굼부리, 제주 항일기념관 등 다양한 관광 명소와 역사적인 장소를 포함하고 있다.
제주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제주 |
한글 표기 | 제주시 |
한자 표기 | 濟州市 |
로마자 표기 | Jeju-si |
맥큔-라이샤워 표기 | Cheju-si |
위치 |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
행정 구역 종류 | 대한민국 시 |
면적 | 977.8 km² |
인구 (2024년) | 488,844명 |
인구 밀도 (km²당 2020년) | 503.18명 |
방언 | 제주어 |
공식 웹사이트 | 제주시 공식 웹사이트 |
![]() | |
![]() | |
![]() | |
![]() | |
![]() | |
![]() | |
![]() | |
행정 구역 | |
하위 행정 구역 | 19개 동, 4개 읍, 3개 면 |
정치 | |
정치 체제 | 시장 임명 (도지사 임명), 시의회 없음 (제주 특별 자치도 특성) |
시장 | 김완근 (무소속) |
기타 | |
지역 번호 | 064 |
2. 역사
제주시는 기록된 역사 이전부터 제주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해왔다. 제주 사람들의 세 조상이 나왔다고 하는 삼성혈은 제주시 시내에 위치해 있다.
연도 | 내용 |
---|---|
1416년 | 태종 16년, 목제에 따라 제주목(지방 장관 소재지)을 설치. |
1895년 | 제주군으로 개칭하고, 제주부의 관할이 됨. |
1896년 | 제주목으로 복귀하고, 전라남도의 관할이 됨. |
1906년 | 목제 폐지에 따라 제주군을 설치. |
1909년 | 제주군 중면을 설치. |
1914년 | 4월 1일, 제주군 제주면으로 개칭. |
1931년[7] | 4월 1일, 제주면이 제주읍으로 승격. |
1955년[7] | 9월 1일, 북제주군 제주읍이 제주시로 승격. |
2006년[7] | 7월 1일, 제주시·북제주군이 합병하여 행정시 제주시가 발족(4읍 3면). |
2. 1. 고대 ~ 고려 시대
고대에는 탐라란 이름으로 불린 독립된 지역이었지만 백제와 신라에 조공을 바치는 등 간접적인 지배를 받기도 하였다.938년 고말로가 고려에 입조하여 복속하였다. 1105년 고려는 탐라라는 국호를 폐지하고 탐라군을 설치하여 직접적인 지배를 하였으나, 기존 지배층의 지방 통치는 인정되었다. 13세기 원 간섭기에는 몽골의 직할령이 되었다가 1294년 다시 고려에 귀속되었다.
2. 2. 조선 시대 ~ 일제강점기
938년 고려에 고말로가 복속하였다. 1105년 고려는 탐라국호를 폐지하고 탐라군을 설치하였으나, 구 지배층의 지방 지배는 인정되었다. 13세기 원 간섭기에 제주도는 몽골의 직할령이 되었다가 1294년 다시 고려에 귀속되었다.1402년(조선 태종 2년)부터 조선의 행정권에 포함되었으며, 1416년(태종 16년) 한라산을 경계로 산북을 제주목(濟州牧)으로 고치고 목사를 파견해 통치하였다. 1895년 지방제도 개정으로 23부의 하나인 제주부가 설치되었다가 1896년 13도제 실시로 전라남도에 소속되었다. 근대에 들어와 1901년 이재수의 난이 일어나기도 했다.
일제강점기에는 제주가 사슈(Saishū)로 개칭되었다.[7]
2. 3. 광복 이후 ~ 현재
1931년 4월 1일 제주면이 제주읍으로 승격되었다.[7] 1955년 9월 1일 북제주군 제주읍이 '''제주시'''로 승격되었다.[7]1999년까지 사용된 제주시의 기는 --이고, 2000년부터 2006년까지 사용된 제주시의 기는 --이다.
제주시는 1970년대 이후 매우 빠르게 성장했다. 신제주는 수십 년 전 공항 언덕 위에 조성되었으며 많은 정부 건물이 있다. 1970년대까지 제주시 전역에 흔했던 초가집들은 점차 사라지고 있다.[7]
2005년 제주도민들은 제주시와 북제주군을 통합하고 서귀포시와 남제주군을 통합하여 도에서 직접 관리하는 두 개의 큰 도시를 만드는 제안을 승인했다. 이러한 변화는 2006년 7월 1일에 시행되었다.[7] 즉, 2006년 7월 1일 제주시·북제주군이 합병하여 행정시 '''제주시'''가 발족했다.[7]
2012년 김상오가 시장이 되었는데, 그는 이전에 농협중앙회 제주지역본부장을 지냈다.[8]
3. 지리
제주시는 한라산 북쪽 기슭 중앙에 위치하며, 화산 활동으로 형성되었다. 크게 5회의 주요 화산 활동과 79회 정도의 소규모 용암 분출 및 화산쇄설물 분출이 있었다.[35]
지형은 남쪽으로 서귀포시와 접하고, 북쪽으로는 제주해협에 면한다. 기존 행정구역 기준으로 동서 19.3km, 남북 10.2km였다. 북쪽으로는 한국 해협을 건너 전라남도 남해안과 마주한다.
3. 1. 기후
제주시는 매우 더운 여름과 서늘한 겨울을 가진 습윤 아열대 기후(쾨펜: ''Cfa'')를 나타낸다. 홀드리지 분류에 따르면 온난 습윤 온대림 기후에 속한다.[35] 연평균 기온은 16.2°C로 비슷한 위도의 다른 도시에 비해 비교적 낮다. 이는 대륙 동안(東岸)의 해양 도시로서 겨울에는 대륙의 영향을 받아 기온이 낮아지고, 여름에는 해양의 영향을 받아 고온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제주시는 한국에서 비가 가장 많이 내리는 지역 중 하나이다. 6월 말부터 7월 중순까지의 장마, 9월 초부터 중순까지의 가을비, 7~8월 태풍으로 인한 폭우 등이 주요 강수 원인이다. 겨울에는 북서 계절풍의 영향으로 지형적인 강설이 빈번하다.[35] 2020년 1월 7일에는 23.6°C로 대한민국 1월 관측 사상 최고 기온을 기록하기도 했다.[36]
강수량은 연중 상당하지만 여름에 훨씬 더 많으며, 6월부터 9월까지 매달 180mm가 넘는 비가 내린다. 1942년 7월 25일 최고 기온 37.5°C, 1977년 2월 16일 최저 기온 -6°C를 기록하였다.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평균 |
---|---|---|---|---|---|---|---|---|---|---|---|---|---|
평균 최고 기온 (°C) | 8.6 | 9.9 | 13.3 | 18.0 | 22.1 | 24.9 | 29.3 | 30.1 | 26.1 | 21.6 | 16.4 | 11.0 | 19.3 |
평균 최저 기온 (°C) | 3.7 | 4.0 | 6.6 | 10.8 | 15.0 | 19.1 | 23.7 | 24.8 | 20.9 | 15.7 | 10.4 | 5.6 | 13.4 |
평균 강수량 (mm) | 67.5 | 57.2 | 90.6 | 89.7 | 95.6 | 171.2 | 210.2 | 272.3 | 227.8 | 95.1 | 69.5 | 55.6 | 1502.3 |
평균 상대 습도 (%) | 64.0 | 63.3 | 63.2 | 64.8 | 68.4 | 77.9 | 78.3 | 76.2 | 73.7 | 66.4 | 65.0 | 64.1 | 68.8 |
4. 행정
제주시는 제주도의 행정, 경제, 문화의 중심지이며, 제주도 유일의 개항장인 제주항이 있다. 제주항은 1926년부터 1942년까지 동서 양측에 방파제를 구축하여 항구 기능을 강화하였으며, 무역항이자 어항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41] 1947년 산지항을 제주항으로 개칭하고, 1955년 9월 1일 북제주군 제주읍을 제주시로 승격하였다. 2006년 7월 1일 제주특별자치도 출범과 함께 북제주군과 통합하여 행정시가 되었다.[42]
제주시는 한라산 북쪽 용암대지 말단부에 위치하며, 용천이 있어 인구가 밀집되어 있다. 시가지는 해안을 따라 발달하였으며, 인구 증가에 따라 서부지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시내에는 도청, 시청, 제주대학교를 비롯한 여러 교육기관, 문화, 언론, 금융 기관 등이 있다.
제주시는 교통의 중심지로, 많은 관광객들이 항만터미널이나 공항을 통해 제주시에 도착한다. 용두암, 삼성혈, 한라산국립공원 등 다양한 관광 명소가 있으며, 8,500석 규모의 제주종합경기장도 시 중심부 근처에 있다.
제주시는 감귤 주산지 중 하나이며, 제주항공의 본사가 위치해 있다.
4. 1. 행정 구역
제주시는 4개의 읍, 3개의 면, 19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2년 6월 기준 인구는 493,538명이다.[43]

읍·면·동 | 한자 | 면적(km²) | 인구(명) | 세대 |
---|---|---|---|---|
한림읍 | 翰林邑 | 91.09 | 21,156 | 10,689 |
애월읍 | 涯月邑 | 202.16 | 37,601 | 17,341 |
구좌읍 | 舊左邑 | 185.93 | 15,434 | 8,000 |
조천읍 | 朝天邑 | 150.64 | 25,720 | 11,834 |
한경면 | 翰京面 | 79.03 | 9,419 | 5,065 |
추자면 | 楸子面 | 7.05 | 1,566 | 942 |
우도면 | 牛島面 | 6.18 | 1,685 | 909 |
일도1동 | 一徒洞 | 0.33 | 2,361 | 1,402 |
일도2동 | 一徒洞 | 2.18 | 32,133 | 13,376 |
이도1동 | 二徒洞 | 0.69 | 7,627 | 3,885 |
이도2동 | 二徒洞 | 5.4 | 49,202 | 21,263 |
삼도1동 | 三徒洞 | 1.27 | 13,321 | 6,078 |
삼도2동 | 三徒洞 | 0.83 | 7,947 | 4,143 |
용담1동 | 龍潭洞 | 0.61 | 6,851 | 3,444 |
용담2동 | 龍潭洞 | 4.93 | 14,349 | 6,443 |
건입동 | 健入洞 | 2.53 | 8,936 | 4,203 |
화북동 | 禾北洞 | 8.29 | 23,853 | 9,684 |
삼양동 | 三陽洞 | 9.53 | 26,182 | 10,024 |
봉개동 | 奉蓋洞 | 47.34 | 5,283 | 2,408 |
아라동 | 我羅洞 | 70.64 | 38,905 | 16,499 |
오라동 | 吾羅洞 | 28.74 | 16,063 | 6,348 |
연동 | 連洞 | 12.32 | 42,283 | 21,861 |
노형동 | 老衡洞 | 45.24 | 55,502 | 23,656 |
외도동 | 外都洞 | 8.4 | 22,384 | 8,878 |
이호동 | 梨湖洞 | 2.56 | 4,490 | 1,959 |
도두동 | 道頭洞 | 4.03 | 3,285 | 1,556 |
제주시 | 濟州市 | 977.94 | 493,538 | 221,890 |
행정동·읍·면 | 법정동·법정리 |
---|---|
일도1동 | 일도일동 |
일도2동 | 일도이동 |
이도1동 | 이도일동 |
이도2동 | 이도이동, 도남동 |
삼도1동 | 삼도일동 |
삼도2동 | 삼도이동 |
용담1동 | 용담일동 |
용담2동 | 용담이동, 용담삼동 |
건입동 | 건입동 |
화북동 | 화북일동, 화북이동 |
삼양동 | 삼양일동, 삼양이동, 삼양삼동, 도련일동, 도련이동 |
봉개동 | 봉개동, 회천동, 용강동 |
아라동 | 아라일동, 아라이동, 월평동, 녕평동, 오등동 |
오라동 | 오라일동, 오라이동, 오라삼동 |
연동 | 연동 |
노형동 | 노형동, 해안동 |
외도동 | 외도일동, 외도이동, 내도동, 도평동 |
이호동 | 이호일동, 이호이동 |
도두동 | 도두일동, 도두이동 |
한림읍 | 귀덕리, 금릉리, 금악리, 대림리, 동명리, 명월리, 상대리, 상명리, 수원리, 옹포리, 월령리, 월림리, 한림리, 한수리, 협재리 |
구좌읍 | 김녕리, 덕천리, 동복리, 상도리, 세화리, 송당리, 월정리, 종달리, 평대리, 하도리, 함덕리, 행원리 |
애월읍 | 고내리, 고성리, 곽지리, 광령리, 구엄리, 짐성리, 남읍리, 봉성리, 상가리, 상귀리, 송길리, 수산리, 애월리, 어음리, 신엄리, 유수암리, 장전리, 하가리, 하귀1리, 하귀2리 |
조천읍 | 교래리, 대흘리, 북촌리, 선흘리, 신촌리, 신흥리, 워산리, 워흘리, 조천리, 함덕리 |
한경면 | 고산리, 금등리, 낙천리, 두모리, 신창리, 용수리, 저지리, 조수리, 청수리, 판포리 |
우도면 | 연평리 |
추자면 | 대서리, 묵리, 신양리, 영흥리, 예초리 |
5. 인구
1980년대 이후 제주시의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6. 시청
7. 관광
제주시는 교통의 중심지에 위치하여 제주도 관광객의 대부분이 이곳을 찾는다. 많은 관광객들이 항만터미널이나 공항을 통해 제주시에 도착하여 신제주 지역의 관광 호텔에 머물며, 제주시 내 다양한 관광 명소를 방문한다. 해안가의 용두암, 시내에 있는 삼성혈, 내륙의 한라산국립공원과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산인 한라산, 그리고 세계 최대 규모의 식물원인 분재예술원 등이 포함된다. 8,500석 규모의 제주종합경기장 또한 시 중심부 근처에 있다.
제주시는 제주도가 유명한 감귤을 많이 판매한다. 제주시는 감귤과 밀감 농장으로 둘러싸여 있다.[10][11]
제주올레길과 제주올레걷기축제가 이 도시를 통과한다.[12][13]
제주에서 가장 인기 있는 관광지 중 하나인 우도(牛島)는 이 도시의 동쪽 해안에 위치해 있다.[14][15] 2016년에는 223만 명이 방문했다.[16] 특이하게 그릇 모양을 한 성산일출봉은 새해 첫 해돋이를 보기에 인기 있는 곳이다. 이맘때쯤에는 공연과 음식을 곁들인 해돋이 축제가 열린다.[17][18]
이 도시에는 조천에 제주돌문화공원이 있다. 이 큰 공원은 제주의 돌을 문화적으로 이용하는 방식, 신화, 그리고 무속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19][20] 국립제주박물관은 도시 중심부 근처에 위치해 있다.[21] 김녕미로공원도 이 도시에 있다.[22] 불교 사찰인 약천사는 치유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천연 광천수를 보유하고 있으며 동아시아에서 가장 큰 사찰 중 하나이다.[23] 이 사찰은 사찰에 머물며 불교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24]
국제 자유 도시로서 카지노가 허용되어 있으며, 일본, 중국, 타이완에서 온 리조트 관광객도 많다.
8. 교통
제주시는 제주특별자치도의 주요 교통 중심지이다. 제주항은 섬에서 가장 큰 항구로, 섬을 방문하는 대부분의 여객선과 화물선을 처리한다. 제주시에서 서귀포시(섬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까지 버스로 이동하는 데 일반적으로 1시간이 소요된다.[9]
- 제주국제공항
- 제주항여객터미널
8. 1. 항공
제주국제공항이 있으며, 제주-서울 노선은 세계에서 가장 분주한 항공 노선 중 하나이다.[2]8. 2. 버스
급행버스, 간선버스, 지선버스 등 3가지 종류의 시내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삼영교통, 금남여객, 극동여객, 제주여객, 삼화여객, 동진여객, 제주시 공영버스 등이 시내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과거에는 주로 제주시내와 서귀포시내에서 읍면 지역으로 빠르게 이어주는 시외버스가 운행되었으나, 현재는 모든 노선이 시내버스로 전환되어 시외버스는 운행되지 않는다.[9]
8. 3. 도로
과거 국도 제11호선, 제12호선, 제16호선, 제95호선, 제99호선 등이 있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113X번대의 지방도로 전환되었다. 국가지원지방도 제97호선과 국가지원지방도 제99호선만 국가지원지방도로 남아있다. 그래서 97번과 99번을 제외하면 전부 지방도이다. 그 외에도 지방도가 아닌 일부 지역 간선도로가 있으며, 추자도의 경우 지방도 제1114호선이 놓여 있다.[2]8. 4. 철도
과거에 순환 철도를 건설할 계획이 있었으나 현재 제주시에는 철도가 없다. 이웃 나라인 일본 오키나와현에 부설된 도시 철도인 오키나와 도시 모노레일 선과 달리 제주도에는 철도 교통이 없다. 하지만 장래에는 호남고속철도가 제주도까지 연결될 계획에 있다. 호남고속철도의 목포, 해남 땅끝마을, 보길도 등지를 거쳐 해저 터널로 연결될 예정이어서, 호남고속철도가 제주도에 진입하게 되면 제주도에는 철도 교통이 새로운 관문으로 예상된다.[2]9. 교육
제주대학교, 제주국제대학교, 제주한라대학교, 제주관광대학교 등 여러 대학교와 전문대학이 있다.
고등학교는 다음과 같다.
고등학교 목록 |
---|
이 외에도 특수학교로는 제주영송학교, 제주영지학교가 있고, 제주제일고등학교 부설 방송통신고등학교 등이 있다.
10. 자매 도시
지역 | 국가 | 도시 |
---|---|---|
대한민국한국어 | 춘천시 (강원특별자치도, 2014년) | |
수원시 (경기도, 1997년) | ||
서대문구 (서울특별시, 2003년) | ||
강화군 (인천광역시, 1989년) | ||
진도군 (전라남도, 1989년) | ||
전주시 (전북특별자치도, 2016년) | ||
청주시 (충청북도, 2015년) | ||
미국영어 | 라스베이거스 (네바다주, 1996년) | |
일본일본어 | 아라카와구 (도쿄도, 2006년) | |
벳푸시 (오이타현, 2013년) | ||
와카야마시 (와카야마현, 1987년) | ||
산다시 (효고현, 1997년) | ||
중국중국어 | 구이린시 (광시 좡족 자치구, 1999년) | |
양저우시 (장쑤성, 2000년) | ||
쿤산시 (장쑤성, 2002년) | ||
훈춘시 (지린성, 2007년) | ||
캐나다영어 | 캘거리 (앨버타주, 1997년) | |
프랑스프랑스어 | 루앙 (2004년) | |
오를리 (2009년) |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2]
웹사이트
Top flights
https://www.economis[...]
The Economist
2012-05-14
[3]
웹사이트
Jeju Island: South Korea's volcanic holiday destination
http://edition.cnn.c[...]
CNN
2014-04-17
[4]
웹사이트
The Chinese are buying up South Korea's Jeju Island, and the islanders are not too pleased
http://qz.com/259419[...]
Atlantic Media
2014-09-11
[5]
웹사이트
제주시홈페이지
https://www.jejusi.g[...]
[6]
웹사이트
KOSIS
http://kosis.kr/stat[...]
[7]
논문
Tectonic history of Jeju Island
https://jgsk.or.kr/_[...]
2014-01-01
[8]
웹사이트
'The farmers' mind' is key to accomplishment
http://www.headlinej[...]
2012-01-29
[9]
웹사이트
How to Get Around Jeju Island with Public Transit
https://blog.trazy.c[...]
2021-03-09
[10]
웹사이트
Contact Us
https://web.archive.[...]
2010-03-05
[11]
웹사이트
print_jeju.html
https://web.archive.[...]
2010-03-05
[12]
웹사이트
Route 12
https://www.jejuolle[...]
[13]
웹사이트
Jeju Olle Walking Festival (제주올레걷기축제)
https://english.visi[...]
Korea Tourism Organization
[14]
웹사이트
The Marvelous Views of Udo Island
https://www.visitjej[...]
[15]
백과사전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16]
간행물
https://oak.jejunu.a[...]
제주대학교 경영대학원
2017-08-01
[17]
뉴스
Seongsan Sunrise Peak is a great place to celebrate New Year
https://www.koreatim[...]
2010-12-28
[18]
뉴스
Seongsan Sunrise Festival to open on Jeju Island Monday
https://en.yna.co.kr[...]
2019-12-26
[19]
웹사이트
Jeju Stone Park
https://www.visitjej[...]
[20]
뉴스
[Weekender] A singular vision realized
https://www.koreaher[...]
2014-05-02
[21]
백과사전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2]
웹사이트
Kimnyoung Maze Park
http://www.visitjeju[...]
[23]
백과사전
http://www.grandcult[...]
[24]
웹사이트
Yakchunsa Temple stay program
https://web.archive.[...]
[25]
웹사이트
South Korea: Provinces and cities
http://www.citypopul[...]
[26]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7]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8]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s://web.archiv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01-01
[29]
웹사이트
Jeju Sea Temperature
https://www.seatempe[...]
seatemperature.org
[30]
웹사이트
Jeju, South Korea - Climate data
https://www.weather-[...]
Weather Atlas
[31]
웹사이트
제주시소개 - 지리정보 면적
https://web.archive.[...]
Jeju City homepage
[32]
웹사이트
일본 하다노시
https://www.jeju.go.[...]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33]
웹사이트
Jeju, Südkorea
https://www.ulm.de/r[...]
Ulm
[34]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35]
웹사이트
오라동 마을 소개
https://web.archive.[...]
2011-07-01
[36]
Youtube
https://www.youtube.[...]
[37]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제주(184)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38]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제주(184)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39]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고산(185)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40]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고산(185)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41]
법률
제주시설치에관한법률
1955-08-13
[42]
법률
제주특별자치도 설치와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
2006-02-21
[43]
간행물
인구통계
행정안전부
[44]
웹사이트
South Korea: Provinces and cities
http://www.citypopu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