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덧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덧줄은 오선보 위나 아래에 추가되어 오선보에 표기하기 어려운 음높이를 나타내는 짧은 가로선이다. 음표, 쉼표, 임시표, 조표 등에 사용되며, '위 첫째 칸', '아래 둘째 줄'과 같이 읽는다. 한국 전통 음악에서는 사용되지 않았으나, 서양 음악의 영향을 받아 현대 국악에서는 오선보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덧줄이 포함된 악보를 출판하는 주요 출판사들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음악에 관한 - 리듬
    리듬은 음악, 무용, 언어 등에서 나타나는 시간적 패턴으로, 음악에서는 펄스, 비트, 마디 등의 시간 단위가 결합하여 형성되며, 언어학에서는 강세, 음절 등을 기준으로 분류된다.
  • 음악에 관한 - 악보
    악보는 음의 높낮이와 길이, 악기, 연주법 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기호 체계로, 오선, 음표, 쉼표 등 다양한 기호를 사용하여 음악을 기록하고 전달하는 매체이다.
  • 기보법 - 리듬
    리듬은 음악, 무용, 언어 등에서 나타나는 시간적 패턴으로, 음악에서는 펄스, 비트, 마디 등의 시간 단위가 결합하여 형성되며, 언어학에서는 강세, 음절 등을 기준으로 분류된다.
  • 기보법 - 악보
    악보는 음의 높낮이와 길이, 악기, 연주법 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기호 체계로, 오선, 음표, 쉼표 등 다양한 기호를 사용하여 음악을 기록하고 전달하는 매체이다.
덧줄
음높이 체계
정의오선보에서 음표를 그릴 수 없는 음역을 나타내기 위해 오선 위나 아래에 덧붙이는 선
종류
위치오선 위 또는 아래
용도오선보의 범위를 확장하여 더 높거나 낮은 음을 나타냄
특징
시각적 특징짧은 수평선으로, 음표의 머리 또는 꼬리와 함께 사용됨
필요성음높이가 오선보를 벗어나는 경우 필수적임
표기법
사용 빈도필요한 만큼 추가 가능
일반적 사용보통 5개 이상의 덧줄은 잘 사용하지 않음
가독성
덧줄이 많을 경우음자리표를 변경하거나, 8va (옥타브 위), 8vb (옥타브 아래) 기호를 사용하여 가독성을 높임
예시
덧줄이 있는 악보 예시
덧줄을 사용한 악보 예시
관련 용어
오선음표를 그리는 다섯 개의 평행선
음자리표오선 위에 그려진 기호로, 특정 선이 어떤 음높이를 나타내는지 지정
기타
참고덧줄은 악기 연주나 노래에서 다양한 음역을 표현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임

2. 덧줄의 정의 및 읽는 법

덧줄은 오선보 위 또는 아래에 추가되는 짧은 가로선으로, 오선보에 표기하기 힘든 음높이를 나타낸다.[1] 덧줄은 오선 바로 위 또는 아래에 있는 음표부터 계산한다. 예를 들어, 높은음자리표에서 가온 도는 오선 밑에 덧줄을 하나 그리고 그 덧줄에 걸치는 음표를 그려 표기하며, '아래 첫째 줄'이라고 읽는다.

3. 덧줄의 사용

덧줄은 오선 위에 추가하여 음을 표기하는 짧은 선이다. 예를 들어, 높은음자리표에서 가온 도는 오선 밑에 덧줄을 하나 그려서 표기하며, '아래 첫째 줄'이라고 읽는다. 덧줄은 음표뿐만 아니라 쉼표, 임시표, 조표 등에도 사용될 수 있다. 덧줄은 악보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지만, 과도하게 사용될 경우 오히려 악보를 읽기 어렵게 만들 수 있다.

4. 덧줄과 관련된 음악 기호

덧줄은 오선에 추가되어 사용되는 기호로, 음자리표, 조표 등과 함께 음의 높낮이를 정확하게 나타낸다. 또한 붙임줄, 이음줄과 같이 사용하여 음의 지속과 연결을 표현하고, 스타카토 등의 아티큘레이션 기호를 통해 음의 길이를 조절한다.

4. 1. 오선보 관련 기호

덧줄은 오선보에 추가적으로 사용되는 기호이다. 예를 들어, 높은음자리표에서 가온 도는 오선 밑에 덧줄을 하나 그리고 그 위에 음표를 그려 표시한다. 이때 '아래 첫째 줄'이라고 읽는다.

4. 2. 음표 관련 기호

음표오선 위에 그려 넣어 음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기호이다. 5개의 줄만으로는 모든 음높이를 나타내기 어렵기 때문에 덧줄을 사용한다. 덧줄은 음표의 높낮이, 길이, 변화 등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어 음표의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1]

4. 3. 연주 기호

연주 기호는 덧줄에 표기된 음표를 어떻게 연주해야 하는지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5. 한국 음악에서의 덧줄

한국 전통 음악에서는 덧줄을 사용하는 기보법이 사용되지 않았다. 전통 음악 기보법인 정간보는 음의 높이를 나타내는 율자보를 사용하며, 덧줄을 사용하지 않는다. 하지만 서양 음악의 영향을 받아 현대 국악에서는 덧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현대 창작 국악에서는 오선보와 덧줄을 사용하여 서양 음악적인 요소를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6. 덧줄 관련 추가 정보

예를 들어, 높은음자리표 기준 가온 도는 오선 밑에 덧줄을 하나 그리고 거기에 걸치는 음표를 하나 그리면 된다. 읽을 때는 '아래 첫째 줄'이라고 읽는다.[1]

6. 1. 악보 출판사

출판사명
신코 뮤직 엔터테인먼트
도레미 악보 출판사
야마하 뮤직 엔터테인먼트 HD
야마하 뮤직 미디어
NHK 출판
음악지우사
교육예술사
전음악보출판사
가와이 출판
노바라사
파남지카
멜로스 악보
윈즈 스코어
블레인
뮤직 에이트
로켓 뮤직


참조

[1] 서적 Young People's Guide to Classical Music Hal Leonard
[2] 서적 Behind Bars: The Definitive Guide To Music Notation Faber Music Limite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