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데스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스만은 두더지과에 속하는 포유류의 속이다. 현존하는 종으로는 러시아데스만과 피레네데스만이 있으며, 멸종된 종을 포함하여 다양한 속과 종이 존재한다. 데스만에 대한 생태 및 보존에 대한 정보가 있으며, BBC 뉴스 등 미디어에서 다뤄진 바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생 포유류 - 오리너구리
    오리너구리는 오스트레일리아 동부와 태즈메이니아섬에 서식하며 오리 주둥이, 비버 꼬리, 수달 발을 가진 독특한 외형의 반수생 단공목 포유류로, 하천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서식지 파괴와 기후 변화로 위협받고 있다.
  • 두더지과 - 아시아두더지류
    아시아두더지류는 땃쥐와 비슷한 외형의 두더지과 포유류 분류군으로, 일부 종은 아시아 지역에서 발견되며, 과거 분류 체계와 현재 명칭 사용에 대한 논란이 있다.
  • 두더지과 - 히메히미즈
    히메히미즈는 일본 두더지와 비슷하게 생겼고 몸통과 머리 길이가 6~8cm, 꼬리 길이가 2.5~4cm 정도이며 짙은 갈색 털과 녹색 금속 광택을 띠고, 다른 두더지류와 달리 독특한 치아 구조, 특히 앞니 형태에서 차이를 보이는 작은 두더지이다.
  • 올드필드 토머스가 명명한 분류군 - 티티원숭이
    티티원숭이는 신세계원숭이의 소형 영장류로, 다양한 털 색깔을 지니고 물가 숲에 서식하며, 일부일처제 가족 무리를 이루고, 과일을 주식으로 섭취하며, 듀엣 소리로 의사소통하고, 과거 *Callicebus* 속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세 개의 속으로 나뉘며 종 수가 증가하였다.
  • 올드필드 토머스가 명명한 분류군 - 다산저녁쥐
데스만
분포 및 서식지
데스만 분포도
데스만 분포도
분포유럽
분류학적 정보
동물
척삭동물문
포유강
땃쥐목
두더지과
아과데스만아과
데스만속 (Desmana)
피레네데스만속 (Galemys)
형태 및 습성
특징수생 생활에 적응된 두더지류
서식지강과 호수
보존 상태
IUCN 적색 목록피레네데스만: 취약종(VU)
러시아데스만: 멸종위기종(EN)
학명
아과명Desmanini
명명자토마스, 1912
하위 분류
현존하는 속데스만속 (Desmana)
피레네데스만속 (Galemys)
멸종된 속상세 내용은 본문 참고

2. 현존 및 멸종 종


  • 속 ''데스마나''(Desmana)
  • * 러시아데스만 (''D. moschata'')
  • 속 ''갈레미스''(Galemys)
  • * 피레네데스만 (''G. pyrenaicus'')
  • 속 †''아스테노스켑터''(Asthenoscapter) 중신세, 유럽[6]
  • 속 †''아르케오데스마나''(Archaeodesmana) 중신세-플리오세, 유럽
  • 속 †''데스마넬라''(Desmanella) 중신세, 유럽[7][8]
  • 속 †''가이아르디아''(Gaillardia) 중신세, 북아메리카
  • 속 †''미갈리니아''(Mygalinia) 후기 중신세, 헝가리
  • 속 †''마그나탈파''(Magnatalpa) 중신세-플리오세, 북아메리카[9]
  • 속 †''루엠켈리아''(Ruemkelia)[10]
  • *†''데스마나 코왈스카에''(Desmana kowalskae)[9]
  • *†''데스마나 네링기''(Desmana nehringi)[9]
  • *†''데스마나 인플라타''(Desmana inflata)[9]
  • *†''데스마나 써멀리스''(Desmana thermalis)[9]
  • *†''데스마나 마르키''(Desmana marci)[9]

2. 1. 현존하는 종


  • 속 ''데스마나''(Desmana)
  • * 러시아데스만 (''D. moschata'')
  • * †''데스마나 코왈스카에''(Desmana kowalskae)[9]
  • * †''데스마나 네링기''(Desmana nehringi)[9]
  • * †''데스마나 인플라타''(Desmana inflata)[9]
  • * †''데스마나 써멀리스''(Desmana thermalis)[9]
  • * †''데스마나 마르키''(Desmana marci)[9]
  • 속 ''갈레미스''(Galemys)
  • * 피레네데스만 (''G. pyrenaicus'')
  • 속 †''아스테노스켑터''(Asthenoscapter) 중신세, 유럽[6]
  • 속 †''아르케오데스마나''(Archaeodesmana) 중신세-플리오세, 유럽
  • 속 †''데스마넬라''(Desmanella) 중신세, 유럽[7][8]
  • 속 †''가이아르디아''(Gaillardia) 중신세, 북아메리카
  • 속 †''미갈리니아''(Mygalinia) 후기 중신세, 헝가리
  • 속 †''마그나탈파''(Magnatalpa) 중신세-플리오세, 북아메리카[9]
  • 속 †''루엠켈리아''(Ruemkelia)[10]

2. 2. 멸종된 속


  • 속 ''데스마나''(Desmana)
  • *러시아데스만 (''D. moschata'')
  • *†''데스마나 코왈스카에''(Desmana kowalskae)[9]
  • *†''데스마나 네링기''(Desmana nehringi)[9]
  • *†''데스마나 인플라타''(Desmana inflata)[9]
  • *†''데스마나 써멀리스''(Desmana thermalis)[9]
  • *†''데스마나 마르키''(Desmana marci)[9]
  • 속 ''갈레미스''(Galemys)
  • *피레네데스만 (''G. pyrenaicus'')
  • 속 †''아스테노스켑터''(Asthenoscapter) 중신세, 유럽[6]
  • 속 †''아르케오데스마나''(Archaeodesmana) 중신세-플리오세, 유럽
  • 속 †''데스마넬라''(Desmanella) 중신세, 유럽[7][8]
  • 속 †''가이아르디아''(Gaillardia) 중신세, 북아메리카
  • 속 †''미갈리니아''(Mygalinia) 후기 중신세, 헝가리
  • 속 †''마그나탈파''(Magnatalpa) 중신세-플리오세, 북아메리카[9]
  • 속 †''루엠켈리아''(Ruemkelia)[10]

3. 생태 및 보존

3. 1. 한국의 관점

4. 미디어

BBC 뉴스 온라인은 2012년 9월 4일 피레네데스만에 대한 비디오 보고서를 통해 유럽에서 가장 이상한 동물 중 하나로 소개했다. 2006년 6월 9일에는 러시아에서 수생 포유류 보호를 위한 노력이 보도되기도 했다.

피레네데스만의 코

참조

[1] MSW3
[2] 간행물 Galemys pyrenaicus
[3] 간행물 Desmana moschata
[4] 학술지 A rare occurrence of the fossil water mole Gaillardia (Desmanini, Talpidae) from the Neogene in North America https://sdaos.org/wp[...] 2017
[5] 학술지 Early Pliocene Desmaninae (Mammalia, Talpidae) from Southern Spain and the Origin of the Genus Desmana https://www.tandfonl[...] 2020-12-01
[6] 학술지 Notes on type specimens of European Miocene Talpidae and a tentative classification of old world Tertiary Talpidae (Insectivora: Mammalia)
[7] 학술지 Evolution of bone compactness in extant and extinct moles (Talpidae): exploring humeral microstructure in small fossorial mammals 2013
[8] 웹사이트 Palaeobiology Database: Desmanella stehlini https://paleobiodb.o[...]
[9] 학술지 Fossil moles from the Gray Fossil Site (Tennessee): Implications for diversification and evolution of North American Talpidae
[10] 학술지 Ruemkelia (Mammalia, Insectivora, Talpidae) nom. nov. for Dibolia RÜMKE, 1985 (nec LATREILLE, 18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