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멸종위기종은 멸종될 가능성이 높은 종을 의미하며, 개체 수, 개체 수 변화, 번식 성공률, 위협 요소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IUCN 적색 목록은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멸종위기종 목록이며, 전 세계 종의 절반 이상이 멸종 위험에 처해 있다. 멸종위기종 보호를 위해 국제 협약과 각국의 법률이 제정되었으며, 서식지 보전, 인공 증식, 복제, 유전자 보존 등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절멸위기종 - 타카헤
타카헤는 뉴질랜드 고유종이자 현존하는 뜸부기과 조류 중 가장 큰 종으로, 한때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으나 재발견 후 뉴질랜드 정부의 보존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멸종 위기에 처해 섬 보호구역과 사육 프로그램을 통해 개체 수 회복을 도모하고 있다. - 절멸위기종 - 마란하오붉은손고함원숭이
- IUCN 적색 목록 - 취약종
취약종은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이 멸종 위기 종으로 분류하는 범주 중 하나로, 멸종위기종이나 위기종은 아니지만 멸종 위험이 높은 종을 의미하며, 개체 수 감소, 좁은 분포 범위 등을 기준으로 분류된다. - IUCN 적색 목록 - 최소관심종
최소관심종은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의 보전 등급 중 하나로 절멸 위협에 직면하지 않은 종을 의미하며, 2001년부터 LC로 약칭되고 다른 기관에서는 비위기종 등으로 불린다. - 생태학에 관한 - 핀란드
핀란드는 북유럽에 위치한 의원내각제 공화국으로, 핀란드어와 스웨덴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며, 1917년 독립하여 1995년 유럽 연합에 가입하고 2023년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 가입했으며, 노키아와 같은 첨단 기술 산업과 높은 교육 수준 및 사회 복지 시스템을 갖춘 국가이다. - 생태학에 관한 - 채텀 제도
채텀 제도는 뉴질랜드 동쪽에 위치한 섬들로, 모리오리족이 최초로 정착했고, 어업과 관광이 주요 산업이며, 자체 의회를 통해 자치적으로 운영된다.
멸종위기종 | |
---|---|
개요 | |
멸종 위협 요인 | 서식지 파괴 환경 오염 기후 변화 남획 외래종 유입 |
분류 | |
멸종 위기 등급 | 절멸 위급종(CR) 멸종 위기종(EN) 취약종(VU) |
그 외의 등급 | 준위협종(NT) 최소 관심종(LC) 정보 부족종(DD) 미평가종(NE) |
관련 정보 | |
멸종의 원인 | 환경 오염 서식지 파괴 기후 변화 |
보호 노력 | 서식지 보존 법적 보호 멸종 위기종 복원 프로그램 지속 가능한 개발 |
추가 정보 | |
예시 | 자이언트 판다 회색 긴귀 박쥐 |
참고 자료 |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 미국 지질 조사국(USGS) 세계 자연 기금(WWF) 내셔널 지오그래픽(National Geographic) 코토뱅크(kotobank) |
2. 정의
종의 보전 상태는 그 종이 멸종될 가능성을 나타낸다. 종의 상태를 평가할 때는 남아 있는 개체 수, 시간에 따른 전체 개체 수의 증가 또는 감소, 번식 성공률, 알려진 위협과 같은 통계자료가 고려된다.[7] IUCN 멸종위기종 적색 목록은 세계적으로 가장 잘 알려진 보전 상태 목록 및 순위 시스템이다.[8]
종의 보전 상태는 그 종이 멸종될 가능성을 나타낸다. IUCN 멸종위기종 적색 목록은 세계적으로 가장 잘 알려진 보전 상태 목록 및 순위 시스템이다.[8] 전 세계 종의 50% 이상이 멸종 위험에 처한 것으로 추산된다.[9]
종의 보전 상태는 그 종이 멸종될 가능성을 나타내며, 남아 있는 개체 수, 시간에 따른 전체 개체 수의 증가 또는 감소, 번식 성공률, 알려진 위협 등 여러 요소가 고려된다.[7]
IUCN 적색 목록은 "자료 부족"(DD) 종 – 상황을 판단하기 위해 더 많은 자료와 평가가 필요한 종 – 을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종의 보존 상태를 평가하는 시스템이며, IUCN의 종 평가 과정을 통해 종합적으로 평가된 종도 포함된다.[12] "위협 근접"(NT) 및 "관심 대상"(LC) 등급의 종은 평가되어 상대적으로 강건하고 건강한 개체군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러한 개체군은 감소하고 있을 수 있다.
"멸종위기종"은 넓은 의미로는 “멸종될 위기에 있는 종”을 의미하며,[58] 좁은 의미로는 IUCN 적색 목록의 “Endangered” 범주에 속하는 종을 가리킨다.[57] "멸종위기"(EN) 종은 "취약"(VU) 종과 "심각한 멸종위기"(CR) 종 사이에 있다. 2012년 IUCN 적색 목록에는 전 세계적으로 3,079종의 동물과 2,655종의 식물이 멸종위기(EN)로 등재되었다.[12]
일본 환경성은 2020년에 “환경성 적색 목록”을 공표하였으며, 이 목록에서 “멸종위기종 I류(Critically Endangered+Endangered:'''CR+EN''')”, “멸종위기종 IA류(Critically endangered:'''CR''')”, “멸종위기종 IB류(Endangered:'''EN''')”, “멸종위기종 II류 (Vulnerable:'''VU''')” 중 하나로 보전상황에 분류된 생물종이 IUCN 적색 목록의 멸종위기종에 해당한다.[59]
3. 현황 및 과제
국제적으로 195개국이 멸종 위기에 처한 종과 기타 위협받는 종을 보호할 생물다양성 행동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협정에 서명했다.
IUCN 적색 목록은 "자료 부족"(DD) 종 – 상황을 판단하기 위해 더 많은 자료와 평가가 필요한 종 – 을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종의 보존 상태를 평가하는 시스템이며, IUCN의 종 평가 과정을 통해 종합적으로 평가된 종도 포함된다.[12] "위협 근접"(NT) 및 "관심 대상"(LC) 등급의 종은 평가되어 상대적으로 강건하고 건강한 개체군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러한 개체군은 감소하고 있을 수 있다. "멸종위기"(EN) 종은 "취약"(VU) 종과 "심각한 멸종위기"(CR) 종 사이에 있다. 2012년 IUCN 적색 목록에는 전 세계적으로 3,079종의 동물과 2,655종의 식물이 멸종위기(EN)로 등재되었다.[12]
브라질은 세계에서 가장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국가 중 하나이다. 야생동물 밀거래가 문제가 되고 있다. 브라질은 헌법을 포함하여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광범위한 법적 체계를 갖추고 있다.[14] 또한 동물상과 식물상을 보호하고, 환경 범죄와 관련된 개인이나 기업에 벌금을 부과하며, 불법으로 포획된 야생동물을 몰수하는 여러 연방, 주 및 지방 정부 기관이 있다. 브라질에서 밀거래되는 종의 약 80%가 조류라고 한다.[15]
브라질 법에 따른 야생동물 밀수, 다른 환경 범죄(예: 삼림 벌채) 및 멸종 위기종 간의 관계는 특히 복잡하고 심각하다. 동식물이 희귀해질수록 암시장에서 더욱 표적이 되고 가치가 높아지기 때문에, 이는 다시 더 많은 멸종 위기종을 초래한다.[16]
일부 환경 전문가와 과학자들은 자이르 보우소나루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브라질에서 환경 기관 해체와 법률 폐지가 멸종 위기종 증가의 원인 중 하나라고 지적한다.[17]
과거 브라질은 고유종인 황금사자타마린을 멸종으로부터 성공적으로 구했다. NGO와 정부가 사람들의 인식을 높이기 위해 진행한 대규모 캠페인이 이 종을 심각한 멸종 위기 동물 목록에서 제외하는 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19][20]
미국 데이터는 인구와 멸종 위기에 처한 종 사이의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멸종 위기종의 경제 및 관리에 관한 데이터베이스(Database on the Economics and Management of Endangered Species)의 종 데이터와 멸종 위기종 보호법(Endangered Species Act, ESA)이 시행된 기간인 1970년부터 1997년까지의 자료를 사용하여 작성된 표는 인간 활동과 종의 멸종 위기 사이의 양의 상관관계를 시사한다.[21]
멸종위기종은 캐나다의 캐나다 멸종위기종 보호법 (Species at Risk Act)을 통해 다루어진다. 2021년 기준으로, 캐나다 멸종위기 야생동물 상태 위원회 (Committee on the Status of Endangered Wildlife in Canada)는 캐나다에서 369종을 멸종위기종으로 평가했다.
세계자연기금 인도(World Wide Fund-India)는 붉은판다, 벵골호랑이, 강돌고래, 아시아코끼리의 장기적인 생존에 대한 우려를 제기한다.[34]
인도는 야생동물보호법에 서명했으며, 1976년 멸종위기종 국제거래협약(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of Wild Fauna and Flora)에도 가입하여 밀렵으로 인한 야생 동물 피해를 방지하고 있다.[35]
생물의 어떤 종이 멸종하는 것 자체는 지구의 생명 역사에서 무수히 일어났던 사건이다. 하지만 인간의 경제 활동이 전례 없이 증가한 현대에는 인간 활동이 생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무시할 수 없을 만큼 크며, 그것에 의한 종의 멸종도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멸종을 막기 위해서는 서식 환경의 보전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인간의 직접 개입(보호 활동) 등이 필요할 수 있다. 보전 활동의 전제로서 어떤 종이 멸종 위기에 있는지, 어느 정도의 위기인지, 또 위기의 원인은 무엇인지 등을 알 필요가 있으며, 생물 종의 멸종 위험 정도의 평가 (종합 평가)가 이루어진다.
평가는 지구 규모와 국가나 지역별로 이루어진다. 전자에서는 세계자연보전연맹 (IUCN)에 의해 평가와 레드 리스트 작성이 이루어지고 있다. 후자에서는 일본에서 일본 환경성이 실시하여 정기적으로 레드 리스트·레드 데이터북을 발표하고 있다. 그러나 고래류의 포유류나 바닷물고기, 해양의 연체동물은 일본 수산청이 담당하기 때문에 대상에서 제외되고 있다. 바다표범 등의 기각류의 포유류는 일본 환경성과 수산청 모두에서 관리되지만, 평가 기준이 다르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일본에는 완전히 정리된 형태의 레드 데이터북 및 레드 리스트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고 우려되고 있다.[61]
1990년대부터 각 도도부현에서도 학식 경험자·현지 유식자의 의견과 서식 조사를 바탕으로 레드 데이터북이 작성·간행되고 있다.
4. 원인
멸종 위기에 처한 종의 개체 수 감소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5. 보호
종의 보전 상태는 멸종 가능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IUCN 멸종위기종 적색 목록은 세계적으로 가장 잘 알려진 보전 상태 목록 및 순위 시스템이다.[8] 전 세계 종의 50% 이상이 멸종 위험에 처한 것으로 추산된다.[9]
국제적으로 195개국이 멸종 위기에 처한 종과 기타 위협받는 종을 보호하기 위한 생물다양성 행동 계획 수립 협정에 서명했다. 미국에서는 이러한 계획을 종 복구 계획이라고 한다.
브라질은 헌법을 포함하여 환경 보호를 위한 광범위한 법적 체계를 갖추고 있다.[14] 또한 동물상과 식물상을 보호하고, 환경 범죄 관련 개인이나 기업에 벌금을 부과하며, 불법 포획된 야생동물을 몰수하는 여러 연방, 주 및 지방 정부 기관이 있다.[15]
일부 환경 전문가와 과학자들은 보우소나루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브라질에서 환경 기관 해체와 법률 폐지가 멸종 위기종 증가의 원인 중 하나라고 지적한다.[17]
과거 브라질은 고유종인 황금사자타마린을 멸종으로부터 성공적으로 구했다. NGO와 정부가 사람들의 인식을 높이기 위해 진행한 대규모 캠페인이 이 종을 심각한 멸종 위기 동물 목록에서 제외하는 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19][20]
1973년 미국 연방의 멸종위기종 보호법(Endangered Species Act, ESA)에 따라, 종들은 "멸종위기종(endangered)" 또는 "취약종(threatened)"으로 지정될 수 있다. 미국 어류 및 야생 동물 관리국(US Fish and Wildlife Service)과 국립해양어업국(National Marine Fisheries Service)은 멸종위기종의 분류 및 보호를 담당한다.[23]
부시 행정부는 멸종위기종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조치를 취하기 전에 야생 동물 전문가와 상담해야 하는 정책을 폐지했다. 오바마 행정부에서 이 정책은 복원되었다.[24]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는 것은 수집가와 밀렵꾼들에게 더욱 바람직한 종이 될 수 있다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25]
현재 1,556종의 멸종위기종이 정부 법률에 따라 보호받고 있다. 네이처서브 보존 상태(NatureServe conservation status)에 따르면, 척추동물(바다 물고기 제외)의 약 13%, 관속식물의 17%, 그리고 균류의 6~18%가 위기에 처한 것으로 간주된다.[30] 따라서 미국에 알려진 동물, 균류 및 식물의 7~18%가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30]
인류의 간섭으로 멸종된 도도, 여행비둘기 등이 있으며, 흰머리수리, 회색곰, 아메리카들소 등은 거의 멸종될 때까지 밀렵되었다. 그러나 멸종을 막기 위한 주요 노력 덕분에 흰머리수리는 현재 적색 목록에서 최소관심종(Least Concern)으로 분류된다.[31]
흰긴수염고래, 북극고래, 긴수염고래, 회색고래, 향유고래, 혹등고래와 같은 대형 고래는 현재 멸종위기종 목록에 포함된 8종의 고래 중 일부이다. 고래 사냥을 줄이고 개체 수를 늘리기 위한 조치에는 미국 영해에서 모든 고래 사냥 금지, 모든 고래를 보호하는 CITES 조약 체결, 국제포경위원회(IWC) 설립 등이 있다.[32]
캐나다는 캐나다 멸종위기종 보호법 (Species at Risk Act)을 통해 멸종위기종을 다룬다. 2021년 기준으로, 캐나다 멸종위기 야생동물 상태 위원회 (Committee on the Status of Endangered Wildlife in Canada)는 캐나다에서 369종을 멸종위기종으로 평가했다.
세계자연기금 인도(World Wide Fund-India)는 붉은판다, 벵골호랑이, 강돌고래, 아시아코끼리들의 장기적인 생존에 대한 우려를 제기한다.[34]
인도는 야생동물보호법에 서명했으며, 1976년 멸종위기종 국제거래협약(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of Wild Fauna and Flora)에도 가입하여 밀렵으로 인한 야생 동물 피해를 방지하고 있다.[35]
세계자연기금(WWF)은 지구 온난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새로운 기후 패턴에 적응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한다.[37]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인간 활동으로 인한 지구 평균 기온의 약 1°C 상승이 종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고한다. IUCN은 기후 변화가 종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를 목표로 하는 환경 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한다.[39]
기후 변화는 적대적인 환경, 침입종 및 단편화로 인해 종이 한때 번성했던 지역에서 감소하거나 이동하거나 심지어 멸종에 이르게 할 수 있다. WWF가 인용한 연구에 따르면,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종의 6분의 1이 기후 변화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고 한다.[37] 또 다른 주요 우려 사항은 대기 중 과도한 이산화탄소로 인한 해양 산성화 증가이다.[40]
예를 들어, 황제펭귄은 번식, 은신처 및 먹이를 위해 남극 해빙에 의존한다. 빙상의 융해는 그들의 생존에 직접적인 위협이 된다. 마찬가지로, 고산 꼭대기에 적응한 레이니어 산 흰꼬리뇌조는 강설 패턴과 기온 상승의 기후 변화로 인해 서식지 감소에 직면해 있다.[41]
캘리포니아의 솔턴호(Salton Sea)의 경우가 또 다른 예이다. 기후 변화로 인한 환경 변화와 주변 평야의 농업 추가로 인해 이 시스템은 거의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손상되었다.[42]
인공 증식(Captive breeding)은 야생 동물 보호구역, 동물원 및 기타 보전 시설과 같이 제한된 환경에서 희귀하거나 멸종 위기에 처한 종을 인간이 통제하는 환경에서 번식시키는 과정이다. 인공 증식은 종의 멸종을 막고 개체 수를 안정시켜 사라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43]
이 기법은 여러 종에 대해 오랫동안 효과를 거두었으며, 가장 오래된 인공 교배 사례는 아마도 유럽과 아시아 통치자들의 사냥터(menagerie)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이며, 퍼데이비드사슴이 그 예이다. 그러나 일부 철새(예: 두루미)와 물고기(예: 일라샤)와 같이 이동성이 매우 높은 종의 경우 인공 증식 기법을 적용하기가 매우 어렵다.
1981년, 미국 동물원 및 수족관 협회(AZA, Association of Zoos and Aquariums)는 인공 증식을 통해 특정 멸종 위기종과 위협종을 보존하기 위해 종 보존 계획(SSP, Species Survival Plan)을 수립했다.[44]
밀렵은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 개체 수를 크게 감소시키는 반면, 이익을 목적으로 하는 합법적인 사유 농장은 그 반대의 효과를 낸다. 사유 농장은 남방 검은코뿔소와 남방 흰코뿔소의 개체 수를 크게 증가시켰다.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의 과학 담당관인 리처드 엠슬리는 이러한 프로그램에 대해 "동물들이 대부분 사유 재산이 된 지금은 효과적인 법 집행이 훨씬 쉬워졌습니다... 우리는 지역 사회를 보전 프로그램에 참여시킬 수 있었습니다."라고 말했다.[45]
보전 전문가들은 중국의 거북 양식이 중국과 동남아시아의 야생 거북 개체군(많은 종이 멸종 위기에 처해 있음)에 미치는 영향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46]고 보고 있다.
2015년 호주 연구원들은 육지의 수조에서 남방참다랑어의 번식을 유도하는 데 성공하여 양식이 이 종을 남획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했다.[48]
멸종위기종 보호의 성공 사례는 다음과 같다.
- 하와이 수도사 물개 재활: 개체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49]
- 흰머리수리 복원: 2020년까지 번식 쌍의 수는 71,400쌍으로 급증했다. 서식지 보호, 법적 보호 및 DDT 사용 금지 노력 덕분에 흰머리수리는 멸종 위기종 목록에서 제외되었다.[50][51]
- 회색늑대 개체수 회복: 2017년까지 몬태나, 아이다호, 와이오밍에서는 회색늑대가 멸종 위기종 목록에서 제외되었다.[52][53]
- 채널제도여우 회복: 미국 내무부는 이 회복을 미국 멸종위기종보호법에 등재된 포유류 중 가장 빠른 회복으로 공식 인정하고 2016년 세 가지 섬여우 아종의 목록 삭제를 발표했다.[54][55]
생물의 어떤 종이 멸종하는 것 자체는 지구의 생명 역사에서 무수히 일어났던 사건이다.
하지만 인간의 경제 활동이 전례 없이 증가한 현대에는 인간 활동이 생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무시할 수 없을 만큼 크다.
이러한 멸종을 막기 위해서는 서식 환경의 보전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인간의 직접 개입(보호 활동) 등이 필요할 수 있다.
보전 활동의 전제로서 어떤 종이 멸종 위기에 있는지, 어느 정도의 위기인지, 또 위기의 원인은 무엇인지 등을 알 필요가 있으며, 생물 종의 멸종 위험 정도의 평가 (종합 평가)가 이루어진다.
평가는 지구 규모와 국가나 지역별로 이루어진다.
전자에서는 세계자연보전연맹 (IUCN)에 의해 평가와 레드 리스트 작성이 이루어지고 있다. 후자에서는 일본에서는 일본 환경성이 실시하여 정기적으로 레드 리스트·레드 데이터북을 발표하고 있다. 그러나 고래류 포유류나 바닷물고기, 해양의 연체동물은 일본 수산청이 담당하기 때문에 대상에서 제외되고 있다. 바다표범 등의 기각류 포유류는 일본 환경성과 수산청 모두에서 관리되지만, 평가 기준이 다르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일본에는 완전히 정리된 형태의 레드 데이터북 및 레드 리스트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고 우려되고 있다.[61]
또한, 1990년대부터 각 도도부현에서도 레드 데이터북이 작성·간행되고 있다.
절멸위기종의 남획은 개체 수 감소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기 때문에, 1975년 4월 워싱턴 조약(CITES)이 발효되었고, 체결국에서는 절멸위기종의 거래에 제한이 가해지고 있다.[63] 그러나 가맹국은 일부 종에 대해 예외 조항을 둠으로써 해당 종을 조약의 적용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으며, 등록된 동물의 취급에 대해서도 가맹국 간에 논쟁이 끊이지 않고 있다.[64]
또한, 세계 각국에서 국내법으로도 절멸위기종의 보호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에서는 1993년 종 보전법이 시행되어, 워싱턴 조약을 대표로 하는 개체 거래 규제 외에도, 서식지 보호 및 증식에 관해서도 다양한 조치가 마련되었다.[65]
절멸위기종 보호 방법으로는, 우선 그 서식지의 보전을 실시하여 개체 수 감소를 막고 증가시키는 것이 기본이 된다. 자연보호구역 설정은 절멸위기종 보호에서 보편적인 방법이며, 적절한 보호구역 설정이 이루어진 경우 절멸을 막는 데 큰 효과를 발휘한다.[66] 보호구역을 설정하는 경우, 면적이 넓고 수도 많으며, 여러 보전 지역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보전 지역 간의 연결 통로 등으로 양자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전 지역의 주변부는 외부의 영향을 받기 쉬우므로, 가능한 한 원형에 가까운 형태가 바람직하며, 보호구역 주변에는 완충 지대가 설치되는 경우도 많다.[67] 또한, 보호구역이 설정되어 있어도 적절한 예산 배분 및 관리 정책이 이루어지지 않아 형해화되고 있는 곳도 많다.[68]
서식지에서 대규모 환경 변화나 개발이 진행되거나, 개체 수가 감소하여 자연 상태에서의 회복이 어려운 경우에는, 동물원이나 수족관 등의 시설에서 번식 계획을 실시하여 종을 보존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계획은 단일 시설에서만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세계 각국의 시설 간에 개체를 주고받으며, 전체적인 절멸 회피를 목표로 한다.[69] 번식 계획이 성공하고, 서식지의 자연 환경도 회복되어 다시 자연적으로 증식할 수 있다고 판단되면, 해당 지역에 야생 복귀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지만, 실패로 끝난 사례도 존재하며, 계획 실시에는 장기적인 관리 계획이 필수적이다.[70]
절멸위기종의 복제를 만들어 개체 수를 늘려 절멸을 회피하려는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지만, 복제 기술은 아직 불안정하기 때문에 성공 사례는 적다.[71] 또한, 미래의 절멸에 대비하여 유전자 은행 등에 절멸위기종의 유전자를 보존하는 것도 이루어지고 있다.[72]
6. 한국의 멸종위기종
대한민국은 다양한 멸종위기 야생생물을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멸종위기종 보전을 위한 정책 및 예산 확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한국 내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종으로는 다음이 알려져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Why do animals and plants become endangered?
https://www.usgs.gov[...]
U.S. Geological Survey
2024-01-14
[2]
웹사이트
Giant Panda WWF
https://www.worldwil[...]
2022-09-19
[3]
웹사이트
Grey Long-Eared Bat Mammal Society
https://www.mammal.o[...]
2022-09-19
[4]
웹사이트
Endangered Species
https://education.na[...]
National Geographic
2023-09-27
[5]
논문
Humans are driving one million species to extinction
2019-05-06
[6]
웹사이트
Saimaa Ringed Seal
https://wwf.fi/en/sa[...]
2018-12-22
[7]
웹사이트
NatureServe Conservation Status
http://www.natureser[...]
NatureServe
2007-04-01
[8]
웹사이트
Red List Overview
https://web.archive.[...]
IUCN
2011-02-01
[9]
웹사이트
Threatened Species
https://web.archive.[...]
Conservation and Wildlife
[10]
뉴스
Species Missing in Action - Rare or Already Extinct?
https://www.research[...]
2012-10-01
[11]
웹사이트
The Tiger
https://archive.toda[...]
Sundarbans Tiger Project
[12]
웹사이트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s://www.iucn.org[...]
2018-02-07
[13]
웹사이트
The top 10 most biodiverse countries
https://news.mongaba[...]
2016-05-21
[14]
웹사이트
Brazilian Constitution of 1988 - Article 23
https://www.oas.org/[...]
2010-01-01
[15]
웹사이트
A máfia dos bichos: Muito além de reality, tráfico de animais no Brasil tira 38 milhões de bichos da mata por ano e gira R$ 3 bi
https://www.uol.com.[...]
2022-12-03
[16]
웹사이트
Wildlife, Forest & Fisheries Crime Module 1 Key Issues: Implications of Wildlife Trafficking
https://www.unodc.or[...]
2022-12-04
[17]
웹사이트
In COVID's Shadow, Illegal Fishing Flourishes
https://hakaimagazin[...]
2022-12-06
[18]
웹사이트
Ato do governo Bolsonaro deve anular até R$ 16 bilhões em multas ambientais
https://noticias.uol[...]
2022-12-04
[19]
웹사이트
Mico-leão-dourado é "case" de sucesso para preservação, mas vê nova ameaça
https://www.uol.com.[...]
2022-12-04
[20]
웹사이트
How Brazil is working to save the rare lion tamarins of the Atlantic Forest
https://news.mongaba[...]
2022-06-01
[21]
서적
Protecting Endangered Species in the United States: Biological Needs, Political Realities, Economic Choice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
웹사이트
Climate Change Endangers Wildlife
https://www.nps.gov/[...]
US National Park Service
2020-03-25
[23]
논문
How Many Endangered Species are there in the United States?
https://www.jstor.or[...]
2005-01-01
[24]
뉴스
Reversing Bush Rule, Obama Resumes Safeguards for Endangered Species
https://www.pbs.org/[...]
2009-03-03
[25]
논문
Rarity Value and Species Extinction: The Anthropogenic Allee Effect
2006-01-01
[26]
논문
Endangered Species issues affecting turtles and tortoises used in Chinese medicine
Institute for Traditional Medicine, Portland, Oregon
2006-01-01
[27]
웹사이트
Shoot, Shovel and Shut Up
https://web.archive.[...]
Reason Magazine
2003-12-31
[28]
웹사이트
USFWS Threatened and Endangered Species System (TESS)
https://web.archive.[...]
U. S. Fish & Wildlife Service
[29]
웹사이트
ESA Successes
http://www.esasucces[...]
[30]
논문
2005-01-01
[31]
IUCN
Haliaeetus leucocephalus
2016-01-01
[32]
논문
Endangered species
[33]
웹사이트
Species at Risk Act: recovery strategies
https://www.canada.c[...]
2018-02-26
[34]
웹사이트
The endangered animals of India
https://www.thegazet[...]
[35]
웹사이트
India's Wildlife Trade: Success and Failures of Protecting Endangered Species
https://web.archive.[...]
2019-04-29
[36]
논문
Invader Species
https://web.archive.[...]
2015-03-04
[37]
웹사이트
Impact of climate change on species
https://wwf.panda.or[...]
2024-02-03
[38]
웹사이트
Protecting threatened and endangered species in a changing climate U.S. Fish & Wildlife Service
https://www.fws.gov/[...]
2024-02-03
[39]
웹사이트
Species and climate change
https://www.iucn.org[...]
2024-02-03
[40]
논문
Coral Reefs Under Rapid Climate Change and Ocean Acidification
https://www.science.[...]
2007-12-14
[41]
웹사이트
Preventing Extinctions in a Changing Climate U.S. Fish & Wildlife Service
https://www.fws.gov/[...]
2024-02-03
[42]
논문
The Salton Sea as critical habitat to migratory and resident waterbirds
https://doi.org/10.1[...]
2002-04-01
[43]
웹사이트
Captive Breeding Populations – National Zoo
http://nationalzoo.s[...]
Nationalzoo.si.edu
2009-12-06
[44]
웹사이트
Association of Zoos and Aquariums Species Survival Programs
https://wayback.arch[...]
[45]
뉴스
He's black, and he's back! Private enterprise saves southern Africa's rhino from extinction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08-06-17
[46]
논문
Evidence for the massive scale of turtle farming in China
http://journals.camb[...]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12-26
[47]
뉴스
Turtle farms threaten rare species, experts say
http://www.fishfarme[...]
Fish Farmer
2007-03-30
[48]
뉴스
The Top 10 Everything of 2009: Top 10 Scientific Discoveries: 5. Breeding Tuna on Land
https://web.archive.[...]
Time magazine
2009-12-08
[49]
웹사이트
Endangered Species Conservation
https://www.fisherie[...]
NOAA
2024-04-11
[50]
웹사이트
Bald Eagle Decline & Recovery American Eagle Foundation
https://eagles.org/w[...]
2024-04-11
[51]
웹사이트
Saving the Bald Eagle – a Conservation Success Story Defenders of Wildlife
https://defenders.or[...]
2024-04-11
[52]
웹사이트
Wolf Restoration - Yellowstone National Park (U.S. National Park Service)
https://www.nps.gov/[...]
2024-04-11
[53]
웹사이트
Yellowstone wolf restoration U.S. Geological Survey
https://www.usgs.gov[...]
2024-04-11
[54]
웹사이트
Interior Announces Fastest Successful Recovery of an Endangered Species Act-Listed Mammal; Three Island Fox Subspecies Now Fully Delisted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https://www.doi.gov/[...]
2024-04-11
[55]
웹사이트
Island Fox - Channel Islands National Park (U.S. National Park Service)
https://www.nps.gov/[...]
2024-04-11
[56]
웹사이트
絶滅危惧種
https://kotobank.jp/[...]
The Asahi Shimbun Company / VOYAGE GROUP, Inc.
2017-03-09
[57]
웹사이트
WWF-Japan
http://www.wwf.or.jp[...]
[58]
웹사이트
環境省レッドリストカテゴリーと判定基準 (2013.2)
https://www.env.go.j[...]
2017-03-10
[59]
웹사이트
環境省レッドリスト2020の公表について (2020.3.27)
https://www.env.go.j[...]
[60]
웹사이트
IUCNレッドリストカテゴリ―と基準 3.1版
http://www.jwrc.or.j[...]
一般財団法人 自然環境研究センター
2017-03-10
[61]
웹사이트
レッドリストについて
http://www.wwf.or.jp[...]
[62]
서적
地球環境論 緑の地球と共に生きる
電気書院
2014-04-10
[63]
웹사이트
ワシントン条約について(条約全文、附属書、締約国など)
https://www.meti.go.[...]
日本国経済産業省
2021-08-24
[64]
웹사이트
ワシントン条約会議が浮き彫りにした9つの現実
https://natgeo.nikke[...]
NATIONAL GEOGRAPHIC 日本版
2021-08-24
[65]
웹사이트
種の保存法の概要
https://www.env.go.j[...]
日本国環境省
2021-08-24
[66]
웹사이트
分布が狭い植物ほど、自然保護区で守れない!? 無計画な保護区設置が導く絶滅への悪循環(お知らせ)
https://www.nies.go.[...]
国立環境研究所
2021-08-24
[67]
서적
造園学概論
朝倉書店
2021-09-01
[68]
웹사이트
世界の自然保護区、約3割に「強い人的圧力」 研究
https://www.afpbb.co[...]
AFPBB
2021-08-24
[69]
웹사이트
種の保存・自然保護
https://www.jaza.jp/[...]
日本動物園水族館協会
2021-08-24
[70]
웹사이트
第2回 絶滅危惧種の「野生復帰」とはどんな取り組みなのか
https://natgeo.nikke[...]
NATIONAL GEOGRAPHIC 日本版
2021-08-24
[71]
서적
ビジュアル・バイオテクノロジー
(株)化学同人
2017-04-10
[72]
서적
ビジュアル・バイオテクノロジー
(株)化学同人
2017-04-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