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스 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스 셸은 MS-DOS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셸로, 크게 고유 명사, 좁은 의미, 넓은 의미로 분류된다. 고유 명사로서의 도스 셸은 MS-DOS 4.0부터 제공되는 파일 관리자 프로그램 `DOSSHELL.EXE`를 지칭하며, 명령 줄 인터페이스(CLI)를 제공하는 유틸리티를 좁은 의미의 도스 셸로, CLI뿐만 아니라 텍스트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하는 유틸리티를 넓은 의미의 도스 셸로 정의한다. 도스 셸은 파일 관리 기능, 도움말 시스템, 프로그램 목록, 작업 전환기 등을 제공하며, 32비트 CPU 환경에서 가상 86 모드를 통해 유사 멀티태스킹을 지원하기도 했다. 그러나 완전한 멀티태스킹을 지원하지 못하고, 일본어 입력 시스템과의 호환성 문제, 펑션 키 사용 애플리케이션과의 충돌 등으로 인해 널리 보급되지 못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일 관리자 - 파일 탐색기
파일 탐색기는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파일, 폴더 등을 관리하는 시스템 유틸리티로, 윈도우 95부터 시작하여 리본 인터페이스, 다크 모드, 탭 기능 추가 등 지속적인 개선을 거쳐 사용자 편의성을 높여왔다. - 파일 관리자 - 파인더 (소프트웨어)
파인더는 macOS의 기본 파일 관리자로서, 데스크톱 은유를 통해 파일과 폴더를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탭과 사이드바를 활용하여 파일 탐색 및 관리를 지원하며, 퀵 룩, 미리보기, 파일 공유 기능 등을 제공한다. - 도스 소프트웨어 - 터보 파스칼
필립 칸이 개발하고 안데르스 헤일스베르그가 기반을 다진 터보 파스칼은 저렴한 가격, 빠른 컴파일, 사용하기 쉬운 IDE를 특징으로 1980년대 PC 프로그래밍에 혁신을 가져왔으며, 여러 기능 추가를 거쳐 델파이 등장 후 레거시 기술이 되었고 일부 버전은 프리웨어로 배포된다. - 도스 소프트웨어 - 한/글
한/글은 1980년대 후반부터 개발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워드프로세서로, 다양한 운영체제 지원, 정부 전자 문서 시스템에서의 역할, 꾸준한 기능 발전과 사용자 편의성 및 국제 표준을 고려한 업데이트를 통해 발전해왔다.
도스 셸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유형 | 파일 관리자 |
개발 | 마이크로소프트 |
최초 출시 | 1988년 6월 |
대체 | 파일 관리자, 윈도우 탐색기 |
운영 체제 | MS-DOS, PC DOS |
플랫폼 | x86 |
라이선스 | 상용 소프트웨어 |
2. 분류
도스 셸은 크게 세 가지 의미로 분류할 수 있다.
- '''고유 명사''': MS-DOS 4.0부터 제공되는 파일 관리자 프로그램 이름(DOSSHELL.EXE)
- '''좁은 의미''': 도스 환경에서 명령 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유틸리티 (예: COMMAND.COM, 4DOS)
- '''넓은 의미''': 명령 줄 인터페이스뿐만 아니라, 텍스트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유틸리티 포함 (예: DOSSHELL.EXE, Mdir, 노턴 커맨더)
2. 1. 고유 명사로서의 도스 셸
고유 명사로서의 '''도스 셸'''은 MS-DOS 4.0부터 제공되는 파일 관리자 프로그램인 `DOSSHELL.EXE`를 가리킨다. 도스 설치 시 기본으로 설치되며, 부팅 시 자동 실행될 수 있다.MS-DOS 4.x 및 5.x에서는 이 프로그램이 COM 파일(`DOSSHELL.COM`)로 구현되었다. MS-DOS 6에서는 실행 파일이 .EXE 파일 확장자(`DOSSHELL.EXE`)를 가졌다.
DOS 셸은 1988년 DOS 4.0부터 다음 DOS에 표준 탑재되었다.
DOS 4.0은 IBM 주도로 개발되었으며, 마이크로소프트를 통해 각사에 OEM 공급되었다. DOS 5.0까지 IBM과 마이크로소프트는 운영 체제 공동 개발 계약이 존재했다.
DOS 셸은 문자 모드 및 그래픽 모드의 화면 표시를 가지며, 프로그램 실행이나 간단한 파일 조작을 할 수 있다. 두 모드 모두 키보드와 마우스로 조작할 수 있었다. DOS 셸은 DOS에 간단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했다.
DOS 셸의 화면은 기본적으로 상단에 파일 조작 화면이 있고, 하단에 프로그램 실행용 "메인" 화면이 있었다. 파일 조작 화면에서는 드라이브 선택, 파일 열기(실행)·복사·삭제 등의 디스크 조작을 할 수 있었다. "메인" 화면은 미리 등록한 프로그램을 화면상의 조작(커서 키와 엔터 키 또는 마우스)으로 실행할 수 있었다. 프로그램 런처이자 작업 전환기였다. DOS 셸에서 호출된 프로그램들은 자식 프로세스로 작동하며, 단일 태스크였다.
32비트 CPU에서 작동 중에는 가상 86 모드를 통해 여러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한 채 Alt + Tab(PC-9800/9821) 키를 사용하여 전환할 수도 있었다. 이 경우에는 특정 응용 프로그램이 활성화된 동안 다른 응용 프로그램은 작동을 멈추는 유사 멀티태스킹이었다.
DOS 셸의 화면·기능·조작성은 1987년 Microsoft Windows 2.0 및 OS/2 버전 1.1의 프레젠테이션 매니저(PM)와 매우 유사했는데, 이는 이 세 제품이 IBM SAA의 CUA'87을 준수했기 때문이다.
2. 2. 좁은 의미 (명령 프롬프트)
좁은 의미로서의 '''도스 셸'''은 도스 환경에서 명령 줄 인터페이스(CLI)를 제공하는 유틸리티를 뜻한다. 일반적으로는 도스 초기 버전부터 기본으로 내장된 COMMAND.COM을 말하며, 4DOS 등의 변형된 명령 프롬프트를 제공하는 유틸리티도 여기에 해당한다.2. 3. 넓은 의미
넓은 의미에서 '''도스 셸'''은 명령 줄 인터페이스뿐만 아니라, 텍스트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하는 유틸리티도 포함한다. 도스가 기본 제공하는 도스 셸(DOSSHELL.EXE) 및 Mdir, 노턴 커맨더 등도 이에 포함된다. DOS 셸은 DOS에서 기본적인 GUI 형식의 파일 관리자를 만들기 위한 최초의 성공적인 시도 중 하나였지만, 그래픽 모드가 지원되는 하드웨어(VGA)에서 사용 가능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이것은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TUI) 또는 문자 지향 윈도(COW)로 불린다. 이 셸은 Windows 3.11 및 Windows NT 3.51까지의 Windows에서 제공되던 파일 관리자 및 이후 버전의 파일 탐색기와 매우 유사하다.3. 특징
도스 셸은 1988년 DOS 4.0부터 표준으로 탑재된 프로그램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 IBM과 마이크로소프트의 협력: DOS 4.0은 IBM 주도로 개발되었고, 마이크로소프트를 통해 각 회사에 OEM 방식으로 공급되었다. 당시 IBM과 마이크로소프트는 DOS 5.0까지 운영 체제 공동 개발 계약을 맺고 있었다.
-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GUI) 제공: 도스 셸은 문자 모드와 그래픽 모드를 모두 지원하며, 키보드와 마우스를 이용해 조작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간단한 GUI 환경을 제공했다.
- 화면 구성:
- 상단: 파일 조작 화면 (드라이브 선택, 파일 열기/실행, 복사, 삭제 등 디스크 조작)
- 하단: 프로그램 실행용 "메인" 화면 (미리 등록된 프로그램을 커서 키, 엔터 키, 마우스로 실행). 프로그램 런처이자 작업 전환기였다.
- 프로그램 실행 방식: 도스 셸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들은 자식 프로세스로 작동하며, 단일 태스크 방식으로 실행되었다.
- 유사 멀티태스킹: 32비트 CPU 환경에서는 가상 86 모드를 통해 여러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Alt + Tab (PC-9800 시리즈/9821에서는 다른 키)을 눌러 전환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는 한 응용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면 다른 응용 프로그램은 작동을 멈추는 유사 멀티태스킹 방식이었다.
- CUA'87 준수: 도스 셸의 화면, 기능, 조작성은 1987년의 Microsoft Windows 2.0 및 OS/2 버전 1.1의 프레젠테이션 매니저(PM)와 매우 유사했는데, 이는 세 제품 모두 IBM SAA의 CUA'87 표준을 따랐기 때문이다.
3. 1. 기본 기능
도스 셸은 파일 복사, 이동, 이름 변경 및 더블 클릭을 통한 애플리케이션 실행 등 일반적인 파일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DOSSHELL" 명령어로 실행할 수 있었으며, 간단한 색상과 스타일 설정이 가능했다.또한 도움말 시스템, 프로그램 목록, 작업 전환기를 갖추고 있었다. 다른 현대적인 파일 관리자처럼, 좌우 분할 창에 디렉토리 내용 목록과 현재 작업 디렉토리의 계층적 파일 경로를 표시하는 이중 계층 구조 디렉토리 및 파일 목록 표시 기능이 있었다. 컴퓨터 마우스가 지원되었지만, 다른 DOS 응용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적절한 장치 드라이버가 필요했다.
하드 드라이브의 모든 파일을 경로 및 기타 속성과 함께 단일 알파벳순 목록으로 나열하는 기능이 있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다른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의 버전을 속성별로 비교하고 중복 파일을 쉽게 찾아낼 수 있었다.
3. 2. 인터페이스
셸은 파일 복사, 이동, 이름 바꾸기, 애플리케이션을 더블 클릭으로 실행하는 기능 등 다른 파일 관리자에서 볼 수 있는 일반적인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셸은 "DOSSHELL
" 명령어로 실행할 수 있었다. 간단한 색상과 스타일을 설정할 수 있었다.또한 셸은 도움말 시스템, 프로그램 목록, 작업 전환기를 갖추고 있었다. 많은 현대적인 파일 관리자와 마찬가지로, 좌우 분할 창에 디렉토리 내용 목록과 현재 작업 디렉토리의 계층적 파일 경로를 모두 표시하는 이중 계층 구조 디렉토리 및 파일 목록을 표시하는 기능이 있었다. 컴퓨터 마우스가 지원되었지만, 다른 DOS 응용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적절한 장치 드라이버가 필요했다.
한 가지 기능은 하드 드라이브의 모든 파일을 경로 및 기타 속성과 함께 단일 알파벳순 목록으로 나열하는 기능이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다른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의 버전을 속성별로 비교하고 중복 파일을 쉽게 찾아낼 수 있었다.
4. 명령어 실행 우선순위
사용자가 도스 프롬프트에서 어떤 명령을 입력하면, 도스 셸은 다음 순서로 확인한다.
\# 내부 명령인가?
\# 현재 디렉터리 안에 실행 파일이 존재하는가?
\# 경로에 지정된 디렉터리 안에 실행 파일이 존재하는가?
실행 파일의 확장자 우선순위는 .COM, .EXE, .BAT(그밖에 .BTM도 있다) 순이다. 예를 들어 같은 디렉터리에 A.COM과 A.EXE 두 실행 파일이 존재할 때, A(엔터)를 치면 A.COM이 실행된다.
5. 한계
도스 셸은 완전한 멀티태스킹을 할 수 없었다. 기본적인 작업 전환은 가능했지만, 성능 저하를 감수하고 메모리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 간 전환을 해야 했다. 실행 중인 모든 프로그램은 기본 메모리 영역 안에 있어야 했는데, 스왑을 지원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후, 자체적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춘 윈도우 3.1x가 컴퓨터 사용자들 사이에서 훨씬 더 인기를 얻게 되었다. 윈도우는 멀티태스킹이 가능했고, 확장 메모리에 대한 접근 권한을 통해 시스템 성능이 향상되었다.
6. 영향 및 평가
IBM PC DOS에서는 버전 4.0부터 도스 셸이 기본으로 탑재되어 설치 후 표준 셸로 실행되었다. 이는 DOS의 최종 버전인 PC DOS 2000까지 계속되었다. 사용자는 Config.sys 파일에서 'Shell=DOSSHELL.EXE'라는 부분을 삭제하거나 주석 처리하여 기존의 COMMAND.COM을 표준 셸로 사용할 수도 있었다. 또한, IBM을 포함한 여러 PC 제조사들이 자체적인 셸을 기본으로 제공하는 경우도 많았다.
하지만 MS-DOS, 특히 일본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도스 셸이 널리 사용되지 않았고, 표준 셸로 채택되는 경우가 드물었다.
- 컨벤셔널 메모리를 많이 사용하여 사용 가능한 공간이 부족해졌다. 특히 일본에서는 일본어 입력 시스템 때문에 실행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이 많았다.
- 버전 4는 IBM 주도로 개발되어, 대부분의 일본 PC 제조사들은 버전 3을 계속 사용했다.
- 일본에서는 MS-DOS 환경에서 펑션 키를 많이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도구가 많았고, 1990년 Microsoft Windows 3.0이 나오기 전까지는 본격적인 그래픽 환경이 주류가 아니었다.
1993년 MS-DOS 버전 6부터는 도스 셸이 기본 디스크 세트에서 빠졌다. (IBM과 마이크로소프트의 OS 공동 개발 계약은 버전 5까지였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NEC의 PC-9800 시리즈용과 세이코 엡손의 EPSON PC용 MS-DOS 6.2에는 기본 디스크 세트에 포함되어 있었다.
6. 1. 국제적 영향
도스 셸은 1987년의 Microsoft Windows 2.0과 1987년의 OS/2 버전 1.1의 프레젠테이션 매니저(PM)와 매우 유사한 화면, 기능, 조작성을 제공했는데, 이는 세 제품 모두 IBM SAA의 CUA'87을 준수했기 때문이다. 시간이 지나면서 자체적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갖춘 윈도우 3.1x가 컴퓨터 사용자들 사이에서 훨씬 더 인기를 얻게 되었다. 윈도우는 멀티태스킹이 가능했고, 확장 메모리에 대한 완벽한 접근 권한을 통해 시스템 성능이 훨씬 향상되었다.6. 2. 한국에서의 평가
한국에서는 MS-DOS 환경에서 펑션 키를 많이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도구가 많았기 때문에 도스 셸이 널리 보급되지 못했다. 1993년 MS-DOS 버전 6부터는 표준 디스크 세트에서 제외되었지만, NEC의 PC-9800 시리즈용과 세이코 엡손의 EPSON PC용 MS-DOS 6.2에는 표준 디스크 세트에 포함되어 있었다.IBM PC DOS에서는 DOS 셸이 버전 4.0 이후 모든 버전에 탑재되어 DOS 설치 후 표준 셸로 기동되었다. 이는 DOS 전체의 최종 버전인 PC DOS 2000까지 이어졌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