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글은 1993년 6월에 출시된 대한민국 워드 프로세서로, 윈도우 3.1 환경에서 처음 선보였다. 2000년대에 들어서는 한/글 워디안, 한/글 2002, 한/글 2004, 한/글 2005, 한/글 2006 for 맥, 한/글 2007, 한/글 2008 for 리눅스 등 다양한 버전이 출시되었으며, 2010년 이후에도 한/글 2010, 한컴 오피스 2014, 한컴 오피스 NEO, 한컴 오피스 2018, 한컴 오피스 2020, 한컴 오피스 2022, 한컴 오피스 2024가 출시되었다. 현재 대한민국 워드 프로세서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양한 기능과 한글 관련 기능을 지원하지만, 타 프로그램과의 호환성 문제, 미흡한 전자 출판 기능, 성능 저하 등의 단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글과컴퓨터 - 한컴 오피스
한컴 오피스는 한글과컴퓨터에서 개발한 오피스 제품군으로, 한글, 한셀, 한쇼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한민국에서 널리 사용되는 워드 프로세서인 한글을 포함하고,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한글 오피스 문서를 열람할 수 있다. - 한글과컴퓨터 - 한글 1.0
제공된 내용이 없어 요약할 수 없습니다. - 1989년 소프트웨어 -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사무용 소프트웨어 제품군으로, 워드 프로세서, 스프레드시트, 프레젠테이션 도구 등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1989년 맥용으로 처음 출시된 이후 다양한 플랫폼에서 사용 가능하며, 구독형 서비스인 마이크로소프트 365로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 1989년 소프트웨어 - 프로 툴스
프로 툴스는 아비드 테크놀로지에서 개발한 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으로, 테이프리스 레코딩 시스템에서 발전하여 전문적인 오디오 작업에 널리 사용되며 확장성을 제공한다. - 워드 프로세서 - 마이크로소프트 워드
마이크로소프트 워드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워드 프로세싱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플랫폼에서 여러 버전으로 출시되었으며, WYSIWYG 편집, 맞춤법 검사, 매크로 지원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doc 및 .docx 파일 형식을 통해 문서 공유의 표준으로 자리매김하였다. - 워드 프로세서 - 전자 문서
전자 문서는 19세기 전신 기술에서 시작되어 컴퓨터 기술 발전과 함께 발전해 온, 정보를 전자적인 형태로 기록한 문서를 의미하며, 파일 포맷 비호환성 등의 과제 해결 노력과 함께 대한민국에서는 법적 효력을 인정받고 신뢰성을 높이는 제도들이 시행되고 있다.
한/글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개발사 | 한컴 |
출시일 | 1988년 |
최신 버전 | 한글 오피스 2024 |
운영체제 | 윈도우 macOS 리눅스 iOS 안드로이드 |
언어 | 한국어, 영어 |
표준 | 오피스 오픈 XML OpenDocument |
장르 | 워드 프로세서 |
라이선스 | 상용 (리눅스 제외)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명칭 | |
한국어 | 한글 아래아한글 한/글 |
로마자 표기 | Han/geul Arae Han-geul Araea Han-geul |
영어 | Hangul Word Processor Hanword |
일본어 (가타카나) | 한/그루 아레한그루 아레아한그루 |
상세 정보 | |
특징 | 옛 한글 지원 |
2. 역사
한/글은 대한민국에서 개발된 대표적인 워드프로세서로, 1989년 첫 버전 출시 이후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해왔다.
초창기 한/글은 영문 MS-DOS 환경에서도 한글 문서 작성을 가능하게 해 큰 인기를 얻었다. 1990년대에는 윈도우 환경으로 이식되면서 멀티태스킹, OLE 등의 기능을 지원하며 발전을 계속했다. 1990년대 후반에는 아시아 통화 위기와 마이크로소프트와의 협력 무산 등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2000년대에는 한/글 워디안을 시작으로, 한/글 2002, 한/글 2004, 한/글 2005, 한/글 2007 등 다양한 버전이 출시되었다. 이 시기에는 XML 문서 편집, 공개 키 기반 암호화, 버전 관리, ODBC 연동, 앤티에일리어스 적용 등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었다.
2010년 이후에는 한/글 2010을 시작으로, 한/글 2014, 한/글 NEO, 한/글 2018, 한/글 2020, 한/글 2022, 그리고 한/글 2024가 출시되었다. 이 시기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선, 다양한 파일 형식 지원, 모바일 환경 지원 등 변화하는 사용자 환경에 발맞춘 발전이 이루어졌다. 특히, 한/글 2010은 HWP 문서 파일 형식을 공개하고, ODF/OOXML 문서를 지원하는 등 개방성과 표준화를 강화했다.
일본에서는 한/글이 "한국판 이치타로"라고 불리기도 한다.[5]
버전 | 출시 연도 | 주요 특징 |
---|---|---|
한/글 1.0 | 1989 | 최초 버전, MS-DOS 환경에서 한글 문서 작성 지원 |
한/글 2.0 | 1992 | 스타일, 레이아웃, 교정 기능 지원 |
한/글 2.5 | 1994 | Windows 버전, 마우스 지원, 미리보기 기능 추가 |
한/글 3.0 | 1995 | Windows 3.1 버전, 독자적 GUI, 멀티태스킹, OLE 지원 |
한/글 96 | 1996 | HTML 편집 지원, 중국어, 일본어 지원 (국제판, 일본어판) |
한/글 97 | 1998 | 교정 기능 강화, 815 특별판 출시 |
한/글 워디안 | 2000 | 새로운 소스 코드, 이전 버전과 호환성 문제 |
한/글 2002 | 2001 | 한/글 워디안 기반, 호환성 및 안정성 문제 해결 |
한/글 2004 | 2003 | XML 문서 편집, 공개 키 기반 암호화, 스킨 지원 |
한/글 2005 | 2004 | 버전 관리, ODBC 연동 |
한/글 2007 | 2006 | 앤티에일리어스, 반투명 테두리, MS 워드와 호환성 향상 |
한/글 2010 | 2010 | 리본 메뉴 UI, ODF/OOXML 문서 지원, HWP 문서 형식 사양 공개 |
한/글 2014 | 2013 | .hwpx 파일 형식, 윈도우 8 터치 인터페이스 지원 |
한/글 NEO | 2016 | 다양한 파일 형식 지원 |
한/글 2018 | 2017 | 한컴오피스 2018에 포함 |
한/글 2020 | 2019 | 한/글 2020 출시 |
한/글 2022 | 2021 | 한컴오피스 2022에 포함 |
한/글 2024 | 2023 | 한컴오피스 2024에 포함 |
2. 1. 1999년 이전
1989년 당시 한국에서는 한글 표시 기능이 없는 IBM PC 호환 기종이 널리 보급되었고, MS-DOS 역시 영문판이 많이 사용되었다. 아래아 한글은 그래픽 화면에서 동작하며, 한글 표시와 입력 기능을 자체적으로 내장하여 영문 DOS PC에서도 한글 문서 작성을 가능하게 해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다. 개인 사용자부터 관공서 및 기업까지 널리 보급되었다. 아래아 한글의 인기로 인해, 많은 DOS 시대의 한국 한글 워드프로세서 소프트웨어와 "이야기"로 대표되는 범용 PC 통신 소프트웨어는 그래픽 화면에서 동작하는 한글 표시 및 입력 내장형으로 발전했다. Windows로 이식된 후에도 아래아 한글 97 버전까지 모든 GUI 리소스와 입력 기능을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어, Windows의 언어 종류에 상관없이 한글 입출력이 가능했다.MS-DOS용 한/글은 0.9 베타 버전을 시작으로, 1989년 4월 정식판인 1.0 버전이 출시되었다. 이후 지속적인 기능 개선과 레이저 프린터 지원, 완성형/조합형 문자 코드 지원 등을 거쳐 1992년 한/글 2.0, 1993년 한/글 2.1이 출시되며 한국 시장을 독점하게 되었다. 1994년에는 Windows 버전 한/글 2.5가 출시되었고, 1995년 6월에는 DOS 최종 버전인 한/글 3.0, 3.01이 출시되었다.
최초의 Windows 3.1 버전인 한/글 3.0, 3.0a는 1995년 3월에 출시되었다. NEXTSTEP이나 Windows 95와 유사한 독자적인 GUI를 탑재했으며, 멀티태스킹, OLE 등을 지원했다. 1995년에 출시된 한/글 3.0b는 Windows 95를 지원하며 큰 인기를 얻어 DOS 버전 4.0 개발이 중단되기도 했다.
1996년에는 HTML 편집을 지원하는 한/글 96이 출시되었으나, MS 오피스의 공세로 점유율이 하락했다. 같은 해 중국어와 일본어를 지원하는 한/글 96 국제판과 일본어판이 출시되었다.
1998년에는 한/글 97, 97 강화판, 815 특별판이 출시되었다. 아시아 통화 위기 등으로 한글과컴퓨터의 경영이 어려워지자, 마이크로소프트와 협력 계약을 체결했지만 한국 내 논란으로 철회되었다.
2. 1. 1. 한/글 1.0 ~ 2.1
한/글 1.0은 1989년 4월에 출시된 정식판으로, 4만 7천 원에 판매되었다. 도트 매트릭스 프린터를 지원했다. 1989년 6월에는 각주 기능, 금칙 처리 기능 등이 추가되고 매뉴얼이 종이에서 파일로 변경된 한/글 1.1이 출시되었다. 1989년 12월에는 데이터 압축 기능 등이 추가된 한/글 1.2가 출시되었다.1990년 6월에는 레이저 프린터를 지원하는 한/글 1.2L이 별도 패키지로 판매되었다. 1990년 9월에는 SVGA 모니터를 지원하는 한/글 1.3L이 출시되었다. 1990년 12월에는 완성형과 조합형 문자 코드를 모두 지원하는 한/글 1.5, 1.51, 1.52, 1.53D가 출시되었다.
1992년에는 한/글 2.0 Pro/Basic이 출시되었다. 127포인트까지 글자 크기를 지정할 수 있었고, 각종 스타일(자간, 행간, 여백 등) 지정, 아웃라인, 제2수준 확장 한자(프로 버전만, 별도 판매)를 지원했다. 단 나누기, 텍스트 상자, 이미지 등의 레이아웃과 교정 기능도 지원했다. 레이저 프린터 버전과 도트 매트릭스 버전의 구분이 없어지고 프로 버전과 베이직 버전으로 나뉘었다. 이 시기부터 한국 시장을 독점하게 되었다.
1993년에는 80386 32bit 네이티브를 지원(프로 버전만)하고 GUI화 및 가상 메모리를 지원하는 한/글 2.1 Pro/Basic/Test/Little이 출시되었다.
다음은 MS-DOS용 한/글의 주요 버전 출시 이력을 정리한 표이다.
버전 | 출시일 | 주요 특징 |
---|---|---|
한/글 0.9 (베타) | 1989년 | 베타 버전 |
한/글 1.0 | 1989년 4월 | 정식판, 도트 매트릭스 프린터 지원 |
한/글 1.1 | 1989년 6월 | 각주, 금칙 처리 기능 추가, 매뉴얼 파일 제공 |
한/글 1.2 | 1989년 12월 | 데이터 압축 기능 추가 |
한/글 1.2L | 1990년 6월 | 레이저 프린터 지원 (별도 패키지) |
한/글 1.3L | 1990년 9월 | 레이저 프린터 지원, SVGA 모니터 지원 |
한/글 1.5, 1.51, 1.52, 1.53D | 1990년 12월 | 완성형/조합형 문자 코드 지원 |
한/글 2.0 Pro/Basic | 1992년 | 127포인트 글자 크기, 스타일, 아웃라인, 제2수준 확장 한자(Pro), 레이아웃, 교정 기능 지원, 프로/베이직 버전 구분 |
한/글 2.1 Pro/Basic/Test/Little | 1993년 | 80386 32bit 지원(Pro), GUI, 가상 메모리 지원 |
2. 1. 2. 멀티미디어와 윈도 환경의 보편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1992년 4월에 개발한 윈도우 3.1이 1993년 6월에 한글 윈도우 3.1로 출시되면서, 멀티미디어 PC/홈 PC라는 개념이 한국에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PC의 등장은 한/글의 미래에 큰 영향을 주었다. 한/글이 2.1판을 출시하고 도스용 2.5판을 개발하던 시기에, 한글 윈도우 3.1에서 작동하는 다양한 한글 워드프로세서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당시 한메소프트의 파피루스, 금성소프트의 윈워드, 마이크로소프트의 워드 5.0, 삼성전자의 훈민정음, 핸디소프트의 아리랑, 휴먼컴퓨터의 글사랑 등이 경쟁하며, 윈도우용 워드프로세서 시장은 춘추전국시대를 맞이했다.[23]
이들 경쟁 업체들은 윈도우 3.1의 장점을 활용하여 멀티태스킹(다중 작업), OLE(다른 프로그램에서 만든 개체의 삽입 수정), 3차원 글꼴 다듬기(글맵시/워드아트), 윈도우용 트루타입 글꼴(화면과 인쇄 글꼴 모양이 동일한 서체) 호환, 9개까지의 다중 문서 편집 등의 기능을 제공하며 시장을 넓혀갔다. 반면, 한글과컴퓨터는 도스용 워드프로세서인 한/글 2.5 개발에 집중하며 시간을 끌었다. 윈도우용 한/글도 개발 중이라고 밝혔지만, 윈도우 3.1용 워드프로세서 개발에는 소극적이었다.
2. 1. 3. 한/글 2.5 ~ 3.0b
Windows 버전 한/글 2.5는 1994년에 출시되었다. 프로 버전과 베이직 버전 구분이 없어지고, 애드온 기능 확장, 마우스 지원, 미리보기 기능이 추가되었으며, 복사 방지 동글이 필요 없어졌다. 개발 중이던 Windows 지원 버전으로 무료 업그레이드 쿠폰이 포함되었다.[5]1995년 6월에는 MS-DOS 버전 한/글 3.0과 3.01이 출시되었다. 이는 DOS 최종 버전으로, Windows 버전 파일 가져오기 지원, 인터페이스 개선, 하이퍼텍스트 기능 등이 추가되었다.[5]
최초의 Windows 3.1 버전인 한/글 3.0과 3.0a는 1995년 3월에 출시되었다. NEXTSTEP이나 Windows 95와 유사한 독자적인 GUI를 탑재했으며, 완성형과 조합형 문자 코드를 모두 지원했다(Windows 3.1 자체는 완성형만 지원). 멀티태스킹, OLE, Windows 프린터 드라이버를 지원했으며, Win32 API로 개발되어 Win32s 런타임 라이브러리가 필요했다.[5]
한/글 3.0b는 1995년에 출시되어 Windows 95를 지원했다. 이 버전의 큰 인기로 DOS 버전 4.0 개발이 중단되었다.[5]
2. 1. 4.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의 공략과 한/글 오피스
윈도우 95 출시 이후,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의 국내 기업체 공략이 거세졌다. 1980년대 미국에서 널리 쓰였던 로터스 1-2-3와 워드퍼펙트를 1990년부터 이겨낸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는 95 버전까지만 해도 한글판의 불완전한 번역과 잦은 버그, 한/글 문서와의 비호환 문제 등으로 고전을 면치 못했다. 그러나 97 버전에서부터 VBA를 이용한 특유의 확장성, 네트워크를 통한 다중 사용자의 작업 공유 기능, 강화된 도움말, 다량의 클립아트와 글꼴 번들, 여러 가지 사용자 편의 기능, 온페이지 드로잉 기능의 강화, 전 세계 문서 호환, 엑셀, 파워포인트와의 통합 등을 앞세워 점차 기업체를 중심으로 사용자 수를 늘려가기 시작하였다.한편, 한글과컴퓨터도 한/글을 기반으로 한컴 오피스 스위트(Haancom Office Suite)를 출시했다. 이 첫 주자는 한/글 3.0b의 초기판에 저가로 번들(한/글 3.0b 구입자에 한해 3만원의 가격에 판매)된 윈도용 로터스 1-2-3(스프레드시트)와 프리랜스 그래픽스(프레젠테이션 소프트웨어)였다. 서로 다른 회사의 제품을 패키지만 통합한 것이었기에 호환성에 약간에 문제가 있었고, 로터스 1-2-3, 프리랜스 그래픽스가 이미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와의 경쟁에서 밀려나 버린 제품들이라 그 파급력이 덜했지만, 한컴이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와의 경쟁을 위해 어느 정도 준비를 해나가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작품들이었다.
2. 1. 5. 한/글 96의 출시와 한글과컴퓨터의 부진
1996년 한/글 96이 출시되었다. 한/글 96은 HTML 편집을 지원하고 주소록, 타자 연습 소프트웨어, 메일러, Lotus 1-2-3 등을 함께 제공하였다. 그러나 MS 오피스가 비즈니스 시장에 보급되면서 한/글의 점유율은 하락했다.[5]같은 해, 중국어와 일본어를 지원하는 한/글 96 국제판과 일본어 전용 일본어판이 출시되었다.[5]
1998년에는 한/글 97, 97 강화판, 815 특별판이 출시되었다. 한/글 97은 국제판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교정 기능이 강화되었다. 아시아 통화 위기 등으로 인해 개발사인 한글과컴퓨터의 경영이 부실해져, 마이크로소프트와 아래아 한글 개발을 중단하고 소스를 제공하는 대가로 자금 지원을 받는 계약을 체결했지만, 한국 내에서 큰 논란이 되어 철회되었다. 815 특별판은 1년 사용권을 1만 원이라는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했으며, 한/글 96과 한/글 97을 사용할 수 있었다.[5]
2. 1. 6. 한/글 97

한/글 97은 국제판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교정 기능이 강화되었다. 아시아 통화 위기 등을 원인으로 개발사인 한글과컴퓨터의 경영이 부실해지자, 한글과컴퓨터는 아래아 한글 개발을 중단하고 소스를 마이크로소프트에 제공하는 대가로 자금을 지원받는 계약을 마이크로소프트와 체결했지만, 한국 내에서 큰 논란이 되어 철회되었다.[5] 815 특별판은 1년 사용권을 1만 원이라는 저가로 판매했으며, 한/글 96~97을 사용할 수 있었다.
2. 2. 2000년대
2000년대에는 한/글 워디안, 한/글 for Kids, 한/글 2002, 한/글 2004, 한/글 2005, 한/글 2007, 한/글 2010 등이 출시되었다. 각 버전별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버전 | 출시년도 | 주요 특징 |
---|---|---|
한/글 워디안, 한/글 for Kids | 2000 | 이전 버전과 호환성 문제, 프로그램 안정성 문제, 인터페이스 변화 등으로 큰 인기를 얻지 못함. |
한/글 2002 | 2001 | 정부 e-문서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 이전 버전과 호환성 향상. |
한/글 2004 | 2003 | XML 문서 편집 지원, 공개 암호 키 지원, 스킨 지원. |
한/글 2005 | 2004 | 버전 관리 및 공동 작업 기능, ODBC 연동. |
한/글 2007 | 2006 | 안티 앨리어싱, 반투명 테두리 지원, MS 워드와 호환성 향상, 세로쓰기 지원. |
한/글 2010 | 2010 | 리본 메뉴 UI 채택, ODF/OOXML 문서 지원, MetaBlog API 지원, HWP 문서 형식 사양 공개, iOS용 문서 뷰어 출시, 유니코드로 문자 코드 변경.[5] |
2000년대에는 다양한 버전의 한/글이 출시되면서 기능 개선 및 변화가 이루어졌으며, 특히 한/글 201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문서 형식 등에서 큰 변화를 보였다.
2. 2. 1. 한/글 워디안
2000년에 출시된 한/글 워디안은 한/글 2.1부터 한/글 97까지의 커널 기반에서 벗어나 모든 소스 코드를 새로 작성하여 이전 버전과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는 마이크로소프트가 한/글 97의 소스 코드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 한글과컴퓨터에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한/글 워디안은 256단계의 다단계 되돌리기/반복(실행 취소) 기능, 변형 다단 편집[31], 강화된 표 서식 기능, 엣센스 영한사전과 표준 국어 대사전 삽입 등 큰 개선이 있었다. 그러나 워디안에서 작성한 문서를 이전 버전에서 읽을 수 없고[32], 이전 버전 문서를 워디안에서 제대로 읽을 수 없는 문제, 프로그램 안정성 문제가 지적되었다. 또한, 바뀐 인터페이스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이 한/글 97을 계속 사용하면서 큰 인기를 얻지 못했다.
가장 큰 문제는 기존 제품과 많이 달라진 단축키였다. 또한, 마이크로소프트 워드나 메모장처럼 편집창 글자 아랫부분이 부분적으로 지워져 보이는 현상이 발생하는 등 화면 출력 기능 문제도 있었다.
한글과컴퓨터는 한/글 워디안의 패치 파일을 매달 제공하는 등 프로그램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했고, 1729 빌드의 서비스 팩을 발표하며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었지만, 여전히 문제는 남아 있었다.
2. 2. 2. 한/글 2002
한/글 워디안을 기반으로 이전 버전 파일과의 호환성 문제 및 안정성 문제를 해결하여 2001년에 출시된 제품이다. 이후 프로그램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한/글 2002 SE로 무상 업그레이드되었다. 한/글 2002는 한/글 워디안 사용자들을 위해 업데이트 다운로드와 정품 CD가 무상 배포되기도 하였다. 윈도우 비스타까지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하다. 이후 외국계 펀드와 당시 경영진과의 한글과컴퓨터사의 경영권 분쟁이 발생하였으며, 한글과컴퓨터는 프라임산업개발의 자회사로 편입되었다.[5]2. 2. 3. 한/글 2004
XML 문서 원본과 공개 키 기반 암호화, 스킨, 작업창 기능이 추가된 제품이다. 한/글 2004와 함께 출시된 한컴오피스 2004는 국산 스프레드시트인 넥셀과 자체 개발한 프레젠테이션 프로그램인 한컴 슬라이드 2004를 포함함으로써 토종 오피스 스위트로의 제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기능 면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에 비해 아직 부족하지만 가격이 저렴하고 엑셀, 파워포인트와 사용법이 비슷하며, 파일 호환도 가능해 주목을 받았다.2. 2. 4. 한/글 2005
협동 작업을 위한 버전 관리 기능, 메모 기능이 추가되었다. XML로 작성된 한/글 서식과 ODBC의 연동, 표의 가로 세로 대칭 뒤집기, 아랍어 등의 기능이 추가되었다. 이 한/글 2005는 itq 워드와 같은 컴퓨터 문서에 관한 자격증 시험 정식 프로그램으로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다. 윈도우용과 리눅스용이 함께 있다.[5] 2000년도부터 2011년도 당시에는 컴퓨터 공간 용량 문제 때문에 대한민국에서 2002, 2004, "2005", 2007 버전은 컴퓨터 실기 자격증 표준 소프트웨어로 잘 알려져 있다.2. 2. 5. 한/글 2006 for 맥
애플컴퓨터코리아의 기술 지원으로 2005년에 OS X용 한/글 2006이 출시되었다. 기존의 한/글이 가진 기능을 Mac OS X 환경에서 구현하였다. 트루타입과 한/글 전용 글꼴을 지원하며, 지원 사양은 OS X 10.3/10.4 이상, 파워PC G4와 G5이다. 인텔 CPU에서는 로제타 기술로 실행되나, 속도가 느리고 512MB 이상 메모리가 필요하다.2. 2. 6. 한/글 2007
선과 도형에 앤티에일리어스가 적용되었고, 반투명한 선을 그릴 수 있게 되었다. 그밖에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와의 호환성이 향상되었고, 워터마크[33], 암호화 기능, 세로쓰기, 공인 인증서 암호화 기능, 개체 연결선, 개체 그림자 삽입 등 보안 기능이 강화되었다. 또한 추가로 ValuePack을 설치하면 다양한 기능과 더불어 PDF 문서를 쉽게 생성할 수 있는 무료 Haansoft PDF 문서 변환 드라이버를 설치할 수 있어 편리한 문서 변환 기능을 제공한다.2. 2. 7. 한/글 2008 for 리눅스
한/글 2007을 기반으로 리눅스 사용자를 위해 만들어졌다. 그러나 운영체제 특성 차이로 인해 일부 기능이 제한된다. 예를 들어, 응용 프로그램 간 복사 및 붙이기나 ActiveX 및 윈도용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기능은 지원되지 않는다. 또한, 문서 인쇄 시 프린터 드라이버에 따라 인쇄가 안 될 수 있는데, 이는 해당 프린터의 리눅스용 드라이버가 없기 때문이다. 파일 형태가 .rpm이므로, rpm 패키지를 사용하지 않는 리눅스 배포판(특히 우분투)에서는 몇 가지 설정을 해야 했다.[5]2. 3. 2010년 이후
한/글은 2010년 이후 꾸준히 새로운 버전을 출시하며 기능을 발전시켜 왔다. 주요 버전으로는 2010, 2014, NEO, 2018, 2020, 2022, 그리고 2024가 있다.{|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 2010 !! 2014 !! NEO !! 2018 !! 2020 !! 2022 !! 2024
|-
! 데스크톱
|
Windows 2000 | colspan=6 | | ||
---|---|---|---|
Windows XP | colspan=5 | | ||
Windows Vista | colspan=2 | | colspan=5 | | |
Windows 7 | colspan=5 | | ||
Windows 8 | colspan=5 | | colspan=2 | | |
Windows 8.1 | colspan=6 | | ||
Windows 10 | colspan=7 | | ||
Windows 11 | colspan=7 | | ||
리눅스 | colspan=4 | | colspan=3 | |
|-
! 모바일
|
iOS | colspan=2 | | colspan=5 | |
---|---|---|
안드로이드 | colspan=2 | | colspan=5 | |
|}
각 버전별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2. 3. 1. 한/글 2010
2010년 3월 3일에 출시된 한/글 2010은 한/글 2007의 다음 버전으로, 리본 메뉴[35]와 비슷한 인터페이스를 도입했다. ODF 문서를 읽고 저장할 수 있으며[36], MetaBlog API를 적용하여 한/글로 작성한 문서를 블로그에 올릴 수 있다. 개인정보 유출 방지 기능도 추가되었다. 또한 한/글 2007에서 제공하던 Haansoft PDF의 이름이 회사 영문 표기법 변경에 따라 Hancom PDF로 바뀌었다.2010년 6월 29일, HWP 문서 파일 형식을 공개하여, ISO 국제 표준 문서 형식인 ODF와 OOXML 지원과 함께 표준화 및 개방성 강화에 대한 의지를 보였다.[37]
2010년 7월 29일에는 아이폰과 아이패드에서 2010 기반의 한컴오피스를 볼 수 있는 한컴오피스 뷰어를 출시했으며, 이 프로그램은 앱스토어에서 무료로 내려받을 수 있다.[38]
옛 한글 표현 방식으로는 2008까지 사용하던 한양 PUA 코드를 버리고 유니코드 표준인 첫가끝 코드를 사용한다.
시스템 구성이 이전 2000 시리즈와는 완전히 다른 새로운 형태로 바뀌었다. 이전 버전 하위 호환 기능이 삭제되었는데, 특히 차트에 복잡한 선을 그리는 기능이 삭제되어 워드프로세서 자격증 시험을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많은 비판을 받았다. 다만, 그림에 복잡한 선을 넣는 기능은 남아있다.
2. 3. 2. 한/글 2014
2013년 10월 10일에 한컴 오피스 2014가 출시되었다. .hwpx 파일을 처음 적용하였고 윈도우 8의 터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5]2. 3. 3. 한/글 NEO
2016년 1월 26일에 한컴 오피스 NEO가 출시되었다. 지원하는 파일 형식이 많아진 것이 특징이다. '2016'이라는 연도 표시 대신 'NEO'로 대체되었다.[5]2. 3. 4. 한/글 2018
2017년 11월 2일에 한컴오피스 2018이 출시되면서 한/글 2018이 공개되었다.[5]2. 3. 5. 한/글 2020
한/글한국어 2020은 2019년 10월 10일에 출시된 한/글의 한 버전이다.[5]2. 3. 6. 한/글 2022
2021년 10월 8일에 한컴오피스 2022(버전 12.0)가 출시되었다.[5]2. 3. 7. 한/글 2024
한/글한국어 2024는 2023년 10월 12일에 출시된 한컴오피스 2024의 일부이다.[5]3. 한글뷰어
한글과컴퓨터(한컴)는 2010년도를 전후해 꾸준히 윈도우, 맥, 리눅스(페도라, 우분투), 안드로이드, 아이폰 등 다양한 컴퓨터 및 스마트폰 운영체제에서 한글 문서를 열어볼 수 있는 한글뷰어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39] 한글과컴퓨터는 한/글 뷰어에서 PDF 파일이나 SVG 형식 포스트스크립트 등의 파일 형식으로 인쇄 출력을 지원한다.
2011년 4월 현재, 한국판 한글 시리즈로 작성된 HWP 파일을 일본 PC 환경에서 열려면, 무료로 배포되는 "한글 뷰어"를 사용해야 한다. 현재 "Hancom Office 2010 viewer"가 제공되고 있으며, 2010 버전까지의 파일을 열 수 있지만, 메뉴와 도움말은 모두 한글이다([http://www.hancom.co.kr/hancom/eng/product/product01_01.jsp 다운로드 사이트]).
한글 뷰어, 한글 2010 등은 운영 체제한국어뿐만 아니라 일본어 OS에도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다.
4. 관련 제품
한/글과 관련된 주요 제품은 다음과 같다.
- 한/글 815: 8·15 광복을 기념하여 출시된 한/글 97 기반(R4) 제품이다. CD와 함께 1년 사용권이 판매되었으며, 한/글 96 기반 국제판도 포함되었다.[1]
- 넷 한/글: 매달 사용료(개인 월 2500KRW)를 내고 인터넷 인증을 받아 사용하는 제품이다. 한/글 2002 SE의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었으나, 사전, 클립아트, 일부 글꼴은 제공되지 않았다. 10MB 용량의 원격 저장소를 제공했다.
- 한/셀: 넥스소프트 사가 개발하여 한글과컴퓨터에 매각한 스프레드시트 제품이다. 마이크로소프트 엑셀과 유사하지만 일부 고급 기능은 없으며, 저렴한 가격으로 중소기업 등에서 인기를 얻었다. 한컴오피스 제품군에 포함되어 있으며, 한컴오피스 2007까지는 '넥셀'로, 한컴오피스 2010부터는 '한/셀'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고 있다.
- 한/쇼: 마이크로소프트 파워포인트와 유사한 프레젠테이션 제품으로, 한컴오피스 제품군 중 하나이다. 한컴오피스 2007까지는 '한컴 슬라이드'로, 한컴오피스 2010부터는 '한/쇼'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고 있다.
4. 1. 한/글 815
8·15광복을 기념하여 출시된 제품이다. 한/글 97 기반(R4) 제품으로, 제품이 담긴 CD와 함께 1년간의 사용권을 판매하였다. 이 제품에 포함된 한/글 97은 표 아이콘을 제공하는 등 개선점이 있고, 한/글 96 기반 국제판도 함께 포함되었다.[1]4. 2. 넷 한/글
넷 한/글은 매달 사용료(개인 월 2500KRW)를 내고 인터넷에서 인증을 받아 사용하는 한/글 제품이다. 한/글 2002 SE의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나 사전, 클립아트, 일부 글꼴 데이터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인터넷이 연결된 곳이라면 어디에서든지 이용할 수 있고, 원격 저장소(10MB)도 제공하였다.4. 3. 다큐맨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다큐맨'이라는 제품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섹션 제목에 해당하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이 부분은 이전 답변과 동일하며,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4. 4. 한/셀
넥스소프트 사가 개발한 스프레드시트 제품으로, 마이크로소프트 엑셀과 비슷한 인터페이스와 사용법을 가지고 있으며, 한글과컴퓨터에 '''넥셀'''을 매각하였다. 마이크로소프트 엑셀의 일부 고급 기능이 없는 대신 저가로 공급되어, 중소기업 등을 대상으로 인기를 끈 제품으로 현재 한컴오피스 제품군에 포함되어 판매되고 있다. 한컴오피스 2007 버전까지는 '''넥셀'''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으나, 한컴오피스 2010 버전부터 '''한/셀'''이라는 이름으로 변경되었다.4. 5. 한/쇼
마이크로소프트 파워포인트와 비슷한 기능을 지닌 프레젠테이션 제품으로 한컴오피스 제품군의 하나이다. 한컴오피스 2007 버전까지는 '''한컴 슬라이드'''라는 명칭을 사용하였으나, 한컴오피스 2010 버전부터 '''한/쇼'''라는 이름으로 변경되었다.5. 장점
한/글은 한국에서 개발된 워드프로세서로, 사용자 편의성과 다양한 기능 덕분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에서 많이 사용하며, 문서 작성, 편집, 출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한/글은 외래어 지원, 간이 전자 출판, 책 제작 기능, 맞춤법 검사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일본어, 노르웨이어, 라틴어, 히브리어 등 다양한 외래어를 지원하며, 정체자, 간체자, 번체자, 일본 한자 및 가나[40] 뿐만 아니라 구결 및 옛 한글(한양 사용자 정의)도 지원한다. 또한, 헬라어를 로마자로 표기할 수 있어 성서학자, 신학생, 기독교 성직자 등에게 유용하다.
한/글은 스타일, 바탕쪽, 도형 그리기 등의 기능을 제공하여 책 제작을 돕는다. 자간, 행간 조절, 그림 위치 조정, 글꼴 설정 등 세부적인 기능도 지원한다. 맞춤법 기능은 오자(誤字)를 수정하여 교정/교열 작업을 돕는다.
하지만, 한/글은 문서 작성에 특화된 워드프로세서이므로, 북 디자인, 카드, 달력 등 디자인 요소가 중요한 작업에는 쿼크 익스프레스, 인디자인 등의 레이아웃 소프트웨어가 더 적합하다.
5. 1. 다양한 기능
한/글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문서를 효율적으로 작성하고 편집할 수 있도록 돕는다.- 외래어 지원: 한/글은 일본어, 노르웨이어, 라틴어, 히브리어, 프랑스어, 그리스어(헬라어), 독일어 등 다양한 외래어를 지원한다. 정체자, 간체자, 번체자, 일본 한자 및 가나[40] 뿐만 아니라 구결 및 옛 한글(한양 사용자 정의)도 지원한다. 특히 헬라어를 로마자로 표기할 수 있어 성서학자, 신학생, 기독교 성직자 등에게 유용하다.
- 간이 전자 출판: 한/글은 사용자가 원하는 문서를 정확하고 깔끔하게 만들 수 있도록 돕는다. 고급 사용자들은 수식이 많은 수학 교재, 각주와 표가 많은 논문, 교회 주보나 소식지, 외국어 또는 성서 교재 등 텍스트 위주의 간이 전자 출판에 활용한다.
- 책 제작 기능: 한/글은 스타일, 바탕쪽, 도형 그리기 등의 기능을 제공하여 책 제작을 돕는다. 자간, 행간 조절, 그림 위치 조정, 글꼴 설정 등 세부적인 기능도 지원한다.
- 맞춤법 검사: 한/글의 맞춤법 기능은 오자(誤字)를 수정하여 교정/교열 작업을 돕는다.
- 공공기관 사용: 한/글은 공공기관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우체국에서는 문서 작성과 표 계산에 한/글과 한/셀을 사용한다.
하지만, 한/글은 문서 작성에 특화된 워드프로세서이므로, 북 디자인, 카드, 달력 등 디자인 요소가 중요한 작업에는 쿼크 익스프레스, 인디자인 등의 레이아웃 소프트웨어가 더 적합하다.
5. 1. 1. 책 만들기
다른 한글과컴퓨터 제품처럼 한/글은 마이크로소프트 워드 같은 외국 소프트웨어의 훌륭한 대체품이 되고 있다. 실제로 많은 한국인이 한/글로 워드 프로세싱 작업을 하고 있으며, 일부 출판 기획자는 미적 감각이 그다지 필요하지 않은 텍스트 위주의 전자 출판이나 수식이 많이 들어가는 수학 교재 편집 등에 활용하고 있다. 그 실례로 한/글을 이용한 전자 출판은 모민원 씨, 위형복 씨 등의 고급 사용자들에 의해 널리 알려지기도 했으며, 한컴에서 발행하던 월간지 '월간 한글과 컴퓨터'에는 한/글 2.1을 이용한 악보 만들기, 문서 클리닉 등의 한/글을 이용한 전자 출판 노하우들이 독자 기고 등으로 실려서 출판 기획자들의 사랑을 받았다.5. 1. 2. 외래어
한/글은 일본어, 노르웨이어, 라틴어, 히브리어, 프랑스어, 그리스어(헬라어), 독일어 등 외래어를 쓸 수 있다. 한국에서 사용하는 한자인 정체자, 중국어 간체자 및 번체자, 일본 한자 및 가나[40] 뿐만 아니라 구결 및 옛 한글(한양 사용자 정의) 지원 글꼴과 같이 배포한다. 또한 한/글에서는 신약성서 저자들이 사용한 말인 헬라어를 로마자로 쓸 수 있기 때문에, 신약성서 연구를 위해 헬라어를 사용해야 하는 성서학자, 신학생, 기독교 성직자, 신학서적 기획자들에게 도움이 된다.5. 1. 3. 간이 전자 출판
한/글은 사용자가 원하는 문서를 정확하고 깔끔하게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프로그램이며, 고급 사용자들은 한/글을 이용하여 간이 전자 출판을 하기도 한다. 한/글을 이용하면 좋은 전자출판 항목은 다음과 같다.- 수식이 많이 들어가는 수학 교재
- 각주와 표가 많이 들어가는 논문
- 교회 주보, 소식지처럼 화려한 디자인을 하지 않아도 되고 표와 텍스트가 많이 들어가는 문서
- 일본어 가나, 헬라어 등을 빠르게 입력해야 하고 화려한 디자인을 하지 않아도 되는 간단한 외국어나 성서 교재
5. 1. 4. 책 만드는데 유용한 기능들
한/글은 스타일 기능, 반복되는 글자나 그림을 넣을 수 있는 바탕쪽, 간단한 도형 그리기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는 쿼크익스프레스 등의 레이아웃 소프트웨어를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한/글의 바탕쪽 기능은 한 개의 파일 내에서 페이지마다 들어가는 글자와 그림을 각 페이지마다 다르게 넣을 수 있는 레이아웃 소프트웨어에 비하면 미흡하지만, 페이지마다 들어가야 하는 글자나 그림을 한 번에 넣을 수 있다는 점에서 레이아웃 소프트웨어의 마스터 기능과 거의 비슷하다. 그 외 자간, 행간 조절, 그림 위치 조정, 한글, 로마자, 숫자와 특수 문자에 맞춘 다른 글꼴 사용 및 자간 조절 등 간이 전자 출판에 필요한 기능들을 세심하게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글은 한글 글꼴인 윤명조, 영문은 영문 서체인 Garamond를 쓸 수 있는 것이다.또한 한/글의 맞춤법 기능은 교정/교열의 수고를 일부 덜어준다. 물론 한/글의 맞춤법은 오자(誤字)를 고치는 수준의 기계적 맞춤법 기능이므로, 편집자는 원고를 인쇄하여 여러 번에 걸친 교정 교열을 보는 수고를 해야 한다.
하지만 한/글은 문서 작성을 위해 개발된 워드프로세서이기 때문에, 북 디자인, 카드, 달력, 편지지 등의 팬시(Fancy) 디자인에는 쿼크 익스프레스, 인디자인 등의 레이아웃 소프트웨어가 더 적합하다.
5. 1. 5. 공공기관에서 널리 사용
한/글은 공공기관에서 널리 쓰고 있다. 예를 들어 우체국에서 문서 작성과 표 계산을 할 때에 한/글과 한/셀을 사용한다.6. 단점
한/글은 여러 기술적인 단점들을 안고 있다.
호환성 문제는 한/글이 널리 사용되는 데 걸림돌이 된다. HWP 형식은 한국에서 널리 쓰이지만, 한국 밖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대부분의 프로그램에서 HWP 파일을 읽지 못하고, 열더라도 내용이 완벽하게 표시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글과컴퓨터 뷰어'가 무료로 제공되고, 2010년에는 HWP 파일 형식이 공개되었다.[37] 또한 개방형 문서 포맷인 OWPML을 KS에 등록하여 지원하고 있다. 최근에는 네이버 오피스나 MS 워드에서도 HWP 파일을 부분적으로 지원한다. 파일 이름에 특정 문자가 포함된 경우 오류가 발생하던 문제는 한/글 2010 이후 버전에서는 해결되었다.
전자 출판 기능도 미흡하다. 전문적인 전자 출판 소프트웨어에 비해 인쇄 기능이 부족하다. 예를 들어, CMYK 색 조합 기능이나, 마스터 인쇄, 오프셋 인쇄 등 인쇄 방식에 따른 망점 조정 기능은 제공되지 않는다.
새로운 버전이 나올수록 프로그램이 무거워져 성능 저하를 일으킨다는 사용자들의 불만도 있다.
6. 1. 호환성 문제
비록 HWP 형식이 한국 내부에서는 DOC, PDF[42], RTF 파일 대신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편이지만, 이 프로그램이 한국 밖에서 잘 사용되지 않는다. 가장 큰 이유는 대다수 프로그램에서 HWP 형식의 문서를 읽어들이지 못하며, 여는 데 성공한다 하더라도 문서의 내용이 완벽하게 표현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한글과컴퓨터 뷰어'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또 2010년 6월 29일 한/글 문서 파일형식(hwp)을 공개하였고[37], 개방형 문서포맷인 OWPML은 KS에 등록하여 지원하고 있다. 최근에 완벽하지는 않지만, 네이버오피스나 MS-WORD에서 HWP파일을 지원한다.한때 파일 이름에 컴퓨터의 고유 코드 페이지(한국어 윈도의 경우 KS X 1001)에 없는 문자가 포함되어 있으면 오류를 표시하고 파일을 읽고 쓸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예를 들어 약자나 속자로 된 한자 이름이 포함된 파일). 이 문제는 한/글 2010 이상에선 나타나지 않는다.
버전 간 호환성도 문제가 있다. 예를 들자면 한/글 2022에서 wmf 파일을 삽입하고 한/글 내부에서 그림 자르기를 한 이미지가 있다면, 다른 버전의 한/글에서는 거의 예외 없이 이미지가 왜곡되어 깨진 이미지로 보일 것이다. 동일 한/글 2022 버전의 패치 상태나 윈도우 OS의 버전, 심지어 32비트인지 64비트인지에 따라서도 이미지 변형이나 잘림이 발생한다. 출력이나 인쇄 시 wmf나 emf, png 등의 그림 이미지에 투명도가 있다면 이미 문제가 생긴다는 것을 차치하고 말이다(예전에 작업했던 한/글 파일을 최근에 다시 열면 자주 이런 문제를 겪을 것이다). 제대로 지원이 되지 않는다면 해당 파일 형식을 삽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도 방법일 텐데 이 부분의 대응이 너무 아쉽다.
출력이나 인쇄, PDF 변환 등에서도 역시 문제가 있다. 이미지나 글자 등에 투명도 효과를 주거나 그림자 효과를 준다면 예외 없이 원하는 깔끔한 결과물을 얻을 수 없을 것이다. (MS 오피스 시리즈에도 동일한 에러가 있었지만 현재는 많이 개선된 상태)
클립보드를 이용한 작업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를 다른 응용 프로그램에서 인식할 수 없는 경우가 많지만, 근래에 들어 아래아 한/글의 클립보드 데이터 호환성 문제에 많은 진전이 있었고, 아래아 한/글 마크업 언어 체계의 정비 등을 통하여 호환성에서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6. 2. 미흡한 전자 출판 기능
한/글은 전자 출판 소프트웨어와 비교하면 인쇄 기능에 미흡한 부분이 많다. 전자 출판 소프트웨어에서 제공되는 CMYK 색 조합 기능, 마스터 인쇄, 오프셋 인쇄 등 인쇄 방식에 따라 망점의 개수를 다르게 조정해 주는 망점 조정 기능 등은 한/글에서 제공되지 않는다.6. 3. 성능 저하
한/글은 새로운 판이 출시될 수록 프로그램이 차지하는 용량이 증가하고 있다.7. 기타
한/글은 다른 워드프로세서와 달리 자체적인 자동 저장 파일 형식(ASV)을 가지고 있어, 컴퓨터나 프로그램이 예기치 않게 종료될 때 작업 내용을 자동 저장한다.[1] 한/글 3.0b 버전 설치 CD에는 노래를 찾는 사람들의 민중가요 《사계》가 수록되기도 했다.[2]
7. 1. ASV 파일 형식
ASV는 Auto Save File(자동 저장 파일)의 준말로, 한/글 문서 작업 도중에 컴퓨터(혹은 프로그램)가 갑자기 잘못된 종료가 되었을 경우에 자동으로 저장(백업)되는 파일이다. ASV 형식의 파일은 잘못된 종료 이후 한/글 최초 실행 시에 자동으로 로드되며, 로드 즉시 삭제된다.7. 2. 3.0b 부록 민중가요
3.0b 제품은 CD-ROM 1장으로 설치 프로그램이 제공되었다. CD-ROM은 PC에서 읽고 쓰는 형식이지만 일반 오디오 CD 트랙을 PC에서 읽고 쓰는 데이터와 함께 제공할 수 있었다. 3.0b 제품 설치 CD가 그랬는데, PC에서는 CD-ROM으로 인식되었으나 오디오에 오디오 CD처럼 넣으면 민중가요 한 곡을 감상할 수 있었다. 그 곡은 가수 노래를 찾는 사람들의 《사계》였다.8. 점유율
2014년 기준 대한민국 내 한/글 점유율은 20% 정도이며,[10] 전 세계 점유율은 0.4%이다.[43] 대한민국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의 마이크로소프트 워드를 제치고 국내 1위의 점유율을 자랑하는 국민 워드 프로세서로, 일설에는 70% 전후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대한민국 관공서를 포함하여 많은 문서가 HWP 형식(아래아 한글 형식)으로 작성된다. 세계에서 유일하게 마이크로소프트 워드가 점유율 1위가 아닌 나라는 대한민국이다.
9. 수출
일본에 수출한 적이 있으나, 매출이 좋지 않아 철수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HWP file format is additionally disclosed with Hancom Office
https://www.hancom.c[...]
Hancom
2010-06-29
[2]
뉴스
[아주경제 오늘의 뉴스 종합] "정경심, '아래아한글' 못써"...'ᄒᆞᆫ글'로 위조했다는 검찰 공소장 흔들 外
https://www.ajunews.[...]
2020-07-21
[3]
뉴스
한컴, 아래아한글 기술세미나 개최
https://news.naver.c[...]
2006-02-21
[4]
웹사이트
Hancom Takes Vision of Information Independence to the Globe
http://www.koreaitti[...]
[5]
웹사이트
한컴 오피스, 3월 3일 출시
http://www.bloter.ne[...]
Bloter.net
2010-02-04
[6]
문서
Araea Han-geul
[7]
문서
Han/gul
[8]
문서
페도라와 데비안에서의 한글 지원
[9]
문서
한글 표기법에 대한 설명
2021-08-08
[10]
뉴스인용
한글 VS 워드, 과연 승자는?
http://www.sisunnews[...]
[11]
문서
한글과 폴라리스 오피스, 네이버 웨일과의 호환성
[12]
문서
NC SOFT 창업자와 한글 1.0 팩스 드라이버
[13]
웹사이트
http://www.economy21[...]
[14]
문서
한글의 각주와 미주 기능
[15]
문서
한글 1.53D의 글자 크기 확대 기능
[16]
문서
글자간 간격 조정 기능
[17]
문서
글자의 가로, 세로 비율 조정 기능
[18]
문서
점 단위로 구성된 글꼴
[19]
문서
수학적 계산으로 구성된 글꼴
[20]
문서
잉크젯 프린터 출력
[21]
문서
도스 시절 한글 2.1
[22]
문서
포스트스크립트 서체
[23]
웹인용
트루아트에 대한 설명
http://vepachoi.gsnd[...]
2007-10-06
[24]
문서
한글과 함께 사용할 수 있었던 프로그램
[25]
문서
2장 이상 문서 축소 인쇄 기능
[26]
문서
문서 분량 나누어 인쇄 기능
[27]
간행물
탁연상의 한글과 컴퓨터 기고문
한글과 컴퓨터
1994-10
[28]
뉴스
한글 815 태극문양 전도, 지도 등 오류
https://imnews.imbc.[...]
1998-09-14
[29]
문서
PC 문서 확인 방법 (Simple Text, QuarkXPress)
[30]
서적
너희가 한/글 97을 아느냐
도서출판 혜지원
[31]
문서
문장별 단수 다르게 편집하는 기능
[32]
문서
한글 97과 워디안,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호환성 문제
[33]
문서
문서 보안을 위한 반투명 문자/그림 기능
[34]
웹사이트
한컴오피스 2010 정식 출시
http://www.dt.co.kr/[...]
[35]
문서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2007 메뉴 방식
[36]
문서
한컴오피스 2010 유의사항. hwp 파일을 odf 변환하는 변환기를 사용하여 속도가 느리다고 한다
[37]
웹사이트
한글과컴퓨터
http://www.hancom.co[...]
[38]
뉴스
헤럴드경제-뉴스
http://biz.heraldm.c[...]
[39]
웹사이트
한컴오피스뷰어 다운로드
https://www.hancom.c[...]
[40]
문서
일본어를 읽고 쓸 수 있다면, 로마자로 가나를 입력할 수 있다.
[41]
문서
키눌림 Alt+F2
[42]
문서
Portable Document File
[43]
뉴스인용
한글과컴퓨터 - 토종 소프트웨어의 역사
http://news.mt.co.kr[...]
머니투데이
2019-02-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