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쿠히메 (1559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쿠히메는 1559년 오다 노부나가의 딸로 태어나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아들 마쓰다이라 노부야스와 결혼했다. 결혼 후 시어머니와의 갈등과 남편의 죽음을 겪었으며, 이후 아버지와 오빠의 죽음으로 인해 여러 인물들의 지배를 받으며 교토에서 은거 생활을 하다 1636년에 사망했다. 그녀는 당시 시대 상황 속에서 권력 다툼의 희생양으로 묘사되며, 다양한 대중 매체에서 다뤄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59년 출생 - 정기원 (1559년)
    정기원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1585년 문과 급제 후 임진왜란 때 사은사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정유재란 남원성 전투에서 순절하여 예조판서에 추증되고 충렬사에 배향, 시호는 충의이며 저서로 《현산집》, 《현산실기》가 있다.
  • 1559년 출생 - 모리 다카마사
    모리 다카마사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 다이묘로 하시바 히데요시를 섬기다 모리 데루모토의 양자가 되었으며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에 참전, 세키가하라 전투 후 분고 사이키 번주가 되어 성 축조와 성하마을 건설을 추진하고 막부의 여러 공사에 참여했다.
  • 안조 마쓰다이라씨 - 도쿠가와 이에야스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센고쿠 시대 말기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이자 에도 막부 초대 쇼군으로, 탁월한 정치력과 군사적 재능으로 혼란기를 극복하고 에도 막부를 건설하여 일본 역사에 중요한 전환점을 만들었다.
  • 안조 마쓰다이라씨 - 모리야마의 변
    모리야마의 변은 1535년 마쓰다이라 기요야스가 가신에게 암살당한 사건으로, 마쓰다이라 가문의 세력 다툼과 주변 가문과의 복잡한 관계 속에서 발생하여 가문의 혼란을 초래했다.
  • 1636년 사망 - 다테 마사무네
    다테 마사무네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이자 다이묘이며 센다이 번의 초대 번주로, '독안룡'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오슈 지역을 장악하고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복속, 임진왜란과 오사카 전투에 참전, 센다이 번 건설과 스페인과의 통상 추진, 문화 예술에도 힘썼다.
  • 1636년 사망 - 존 던
    존 던은 1572년 런던에서 태어나 17세기 형이상학파 시인들에게 영향을 미친 영국의 시인, 설교가이며, 옥스퍼드 대학교와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공부하고 다양한 경험을 거쳐 성공회 사제가 되어 종교 작품과 설교로 명성을 얻었다.
도쿠히메 (1559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오다 가문의 문장
오다 가문의 문장
다른 이름고토쿠히메(五徳姫)
레이디 도쿠
오카자키-도노(岡崎殿)
출생일1559년 11월 11일
사망일1636년 2월 16일
국적일본인
배우자마쓰다이라 노부야스
자녀도쿠히메 (도쿠가와)
구마히메
어머니기쓰노
아버지오다 노부나가
가문오다 씨([[File:Mon-Oda.png|15px]])
도쿠가와 씨([[File:Tokugawa family crest.svg|15px]])

2. 생애

1559년 (에이로쿠 2년) 오다 노부나가의 장녀로 태어났다.[7] 1567년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아들 노부야스와 결혼하여 1576년1577년에 두 딸을 낳았으나, 시어머니 쓰키야마도노 및 남편과의 불화를 겪었다.

1579년 쓰키야마도노와 노부야스가 다케다 가문과 내통했다는 혐의를 아버지 오다 노부나가에게 알렸고, 노부나가의 명령으로 쓰키야마도노는 살해되고 노부야스는 할복했다.[3][4][5]

1580년 오카자키성을 떠나 미노로 돌아갔으며, 혼노지의 변, 고마키·나가쿠테 전투 등을 겪으며 여러 곳을 전전했다.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마쓰다이라 다다요시로부터 영지를 받고 교토에서 은거하다 1636년 (간에이 13년)에 사망했다.[7]

2. 1. 어린 시절

도쿠히메는 1559년 (에이로쿠 2년) 오다 노부나가의 장녀로 태어났다.[7] 출생년도와 생모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존재한다. 생모는 이코마 요시노로 알려져 있으나, 『오다 가 잡록』에는 오다 노부타다의 누나로 기록되어 있는 등 이코마 씨가 생모라는 것에 대한 모순을 지적하는 사료도 있다.

1563년 (에이로쿠 6년) 3월, 도쿠가와 이에야스오다 노부나가의 동맹 강화 목적으로 이에야스의 아들 노부야스와 약혼했다.

1567년 (에이로쿠 10년) 노부야스와 정식으로 결혼했다.

2. 2. 결혼 생활과 갈등

1567년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아들 노부야스와 결혼했다.[7] 1576년1577년에 두 딸(도쿠히메, 구마히메)을 낳았다. 그러나 아들이 없다는 이유로 시어머니 쓰키야마도노와 갈등을 겪었다.

마쓰다이라 이에타다의 『이에타다 일기』에는 도쿠히메와 남편 노부야스 사이에 불화가 있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이에야스가 이들의 불화를 중재하기 위해 오카자키성을 방문하기도 했다.

1579년, 도쿠히메는 쓰키야마도노와 노부야스가 다케다 가문과 내통했다는 혐의를 담은 12개 조항의 편지를 아버지 오다 노부나가에게 보냈다. 노부나가의 명령으로 쓰키야마도노는 살해되고, 노부야스는 할복했다.[3][4][5] 이 사건의 진상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존재하며, 최근에는 이에야스와 노부야스의 대립이 원인이었다는 설도 제기되고 있다.

2. 3. 남편 사후

1580년, 도쿠히메는 오카자키성을 나와 미노로 돌아갔다. 이때 두 딸은 도쿠가와 이에야스 슬하에 남겨졌다.[7] 1582년 혼노지의 변으로 아버지 오다 노부나가와 오빠 오다 노부타다를 잃고, 둘째 오빠 오다 노부카쓰에게 의탁했다. 그러나 고마키·나가쿠테 전투 이후에는 인질로서 교토에서 생활하게 되었다.

1590년, 노부카쓰가 도요토미 히데요시에 의해 영지를 잃게 되자, 도쿠히메도 히데요시의 지배하에 놓이게 되었다.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에는 이에야스의 아들 마쓰다이라 다다요시로부터 1761석의 영지를 받았다. 그 후 교토에서 은거 생활을 하다가 1636년에 사망했다.

3. 가족 관계


  • 아버지: 오다 노부나가
  • 어머니: 이코마 요시노 (생모에 대한 이설 존재)
  • 형제:

이름출생-사망
오다 노부타다1557년 - 1582년
오다 노부카쓰1558년 - 1630년
오다 노부타카1558년 - 1583년
하시바 히데카쓰1567년 - 1585년
오다 가쓰나가1568년 - 1582년
오다 노부히데1571년 - 1597년
오다 노부타카1576년 - 1602년
오다 노부요시1573년 - 1615년
오다 노부사다1574년 - 1624년
오다 노부요시? - 1609년
오다 나가쓰구? - 1600년
오다 노부마사1554년 - 1647년


  • 자매:

이름출생-사망비고
후유히메1561년 - 1641년가모 우지사토의 부인
히데코? - 1632년
에이히메1574년 - 1623년
호닌? - ?
산노마루도노? - 1603년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측실 중 한 명
쓰루히메? - ?


  • 남편: 마쓰다이라 노부야스 (1559년 - 1579년)
  • 자녀:

이름출생-사망비고
도쿠히메1576년 - 1607년오가사와라 히데마사와 결혼
구마히메1577년 - 1626년혼다 다다마사와 결혼


4. 평가 및 대중 매체

도쿠히메는 당대의 정치적 격변과 권력 다툼 속에서 희생된 비극적인 여성으로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 그녀의 삶은 오다 가문과 도쿠가와 가문의 동맹이라는 정치적 목적에 의해 좌우되었으며, 시어머니 쓰키야마 부인과의 갈등, 남편 노부야스와 시어머니의 죽음 등 고통스러운 사건들을 겪어야 했다.[6]

대중 매체에서는 도쿠히메를 다양한 관점에서 묘사하고 있다. 몇몇 작품에서는 그녀를 비극적인 운명의 주인공으로, 또 다른 작품에서는 권력 암투에 적극적으로 가담한 인물로 그리기도 한다.


  • 영화
  • * 반역아 (1961년): 배우 이와사키 가네코
  • NHK 대하드라마
  • * 도쿠가와 이에야스 (1983년): 배우 다나카 미사코
  • * 노부나가 KING OF ZIPANGU (1992년): 배우 나리타 메구미
  • * 어떻게 할까 이에야스 (2023년): 배우 쿠보 시오리 (설정 이름은 "고토쿠")[6]
  • 도쿠가와 이에야스 (1988년, TBS): 배우 모리나가 나오미

참조

[1] 웹사이트 Kanji Lookup: 姫 http://www.csse.mona[...] Electronic Dictionary Research and Development Group, Monash University 2011-05-30
[2] 서적 Genius Japanese-English Dictionary
[3] 서적 家康、封印された過去 なぜ、長男と正妻を抹殺したのか PHP研究所
[4] 서적 松平家忠日記 KADOKAWA/角川学芸出版 1999-03-24
[5] 서적 信長と消えた家臣たち 失脚・粛清・謀反 中央公論新社
[6] 웹사이트 【第7弾】出演者「家康の新たな家族」を発表! 大河ドラマ どうする家康 https://web.archive.[...] 일본방송협회 2022-12-20
[7] 문서 이 설은 야마오카 소하치(山岡荘八)의 소설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나오는 설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