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67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567년은 명나라 융경 원년, 일본 에이로쿠 10년, 조선 명종 22년에 해당한다. 주요 사건으로 7월 조선 선조 즉위, 스코틀랜드 메리 여왕 퇴위, 명나라 해금 해제, 80년 전쟁 시작 등이 있었다. 주요 인물로는 다테 마사무네, 김덕령 등이 태어났으며, 명나라 가정제, 조선 명종, 헨리 스튜어트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567년 | |
---|---|
개요 | |
연도 | 1567년 |
발생한 사건 | |
유럽 | 1월 18일: 잉글랜드의 헨리 스튜어트, 그의 아내인 메리 여왕이 살고 있는 커크 오 필드에서 살해됨. 2월 10일: 핑크키 전투에서 포로로 잡힌 후 풀려난 보슬웰 백작 제임스 헵번, 살인 혐의로 무죄 판결을 받음. 4월 19일: 보슬웰 백작 제임스 헵번, 메리 여왕과 결혼. 5월 15일: 랭사이드 전투에서 메리 여왕의 군대가 패배. 7월 24일: 메리 여왕, 퇴위하고 그녀의 어린 아들 제임스 6세가 왕위에 오름. 프랑스 내전: 미셸로이드 전투에서 위그노가 패배. |
아시아 | 미얀마의 바인나웅, 아유타야 왕국을 침공. |
아메리카 | 스페인, 베네수엘라의 카라카스를 정복. |
탄생 | |
날짜 미상 | 혼다 마사노부, 센고쿠 시대에서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이자 다이묘 (사망: 1647년) |
1월 | 1월 3일: 기무라 시게나리,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 (사망: 1615년) |
5월 | 5월 15일: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 이탈리아 작곡가, 바이올리니스트, 가수 (사망: 1643년) |
12월 | 12월 21일: 성 페트루스 카니시우스, 네덜란드 예수회 사제 (사망: 1597년) |
사망 | |
1월 | 1월 18일: 헨리 스튜어트 (올버니 공작), 메리 여왕의 남편 (탄생: 1545년) |
5월 | 5월 2일: 마린, 알바니아의 가톨릭 주교 |
11월 | 11월 10일: 에라스무스 슈미트, 독일 학자이자 수학자 (탄생: 1534년) |
2. 연호
3. 기년
4. 사건
- 7월 3일 - 조선(음력) 14대 국왕 선조가 즉위했다.
- 명나라 복건순무(福建巡撫) 도택민(塗澤民)이 거의 200년간 실시되던 해금 해제를 건의하여, 복건 장주의 월항(月港) 한 곳이 교역항으로 개방되었다.
- 1월 – 후안 파르도가 이끄는 스페인 군대가 조아라의 원주민 정착지에 포트 산 후안을 건설했다. 이 요새는 현재의 노스캐롤라이나에 세워진 최초의 유럽인 정착지이다.
- 4월 9일 – 현재 인도 하리아나주에서 타네사르 전투가 벌어졌다. 무굴 제국 황제 아크바르는 300명의 병력으로 7,000명 이상의 산야사 힌두교 전사들을 상대로 승리했다. 아크바르의 군대는 대포 2문, 소총 400정, 코끼리 75마리를 보유하고 있었다.
- 4월 10일 – 콩고 왕국의 새 통치자로 엔리케 1세 네리카 아 무디가 즉위했다. 현재 콩고 민주 공화국 서부와 앙골라 북부에 해당한다. 엔리케는 조카 콩고의 베르나르도 1세의 뒤를 이었다.
- 7월 25일 - 디에고 데 로사다가 산티아고 데 레온 데 카라카스를 건설했다.
- 12월 4일 – 포르투갈령 인도(고아주)의 안타우 드 노로냐 부총독은 결혼, 화장, 성스러운 실 착용을 위한 힌두교 의식의 공개 수행을 금지했다. 또한 15세 이상 원주민은 기독교 종교 의식에 참석해야 했다.[6]
- 명나라는 일본을 제외한 모든 국가와의 대외 무역을 재개하며 ''해금'' 해상 무역 금지를 철회했다.[9]
4. 1. 동아시아
- 2월 4일 - 명나라 황제 가정제의 아들 주재기가 융경제로 즉위했다.[1]
- 9월 27일 - 이나바야마성 전투 2주 후, 오다 노부나가가 이끄는 오다씨 군대가 일본에서 사이토 다쓰오키의 사이토씨로부터 기후성을 점령했다.
- 음력 12월 29일(2월 8일) - 마쓰다이라 이에야스가 일본 조정으로부터 도쿠가와 성 사용을 허가받아 도쿠가와 이에야스로 개명하고, 종5위하 미카와노카미 관위를 받았다.
- 음력 10월 10일(11월 10일) - 마쓰나가 히사히데와 미요시 산닌슈 간의 권력 투쟁으로 야마토국(현재의 나라현) 도다이지의 대불전이 불에 타 소실되었다.
- 음력 10월 19일(11월 19일) - 다케다 신겐의 아들 다케다 요시노부가 가이국(현재의 야마나시현) 도코지에서 사망했다.[13][14][15][16]
4. 2. 유럽
- 1월 20일 – 리오 데 자네이루 전투: 에스타시우 드 사가 지휘하는 포르투갈 군대가 리우데자네이루에서 프랑스군을 결정적으로 몰아냈다.[1]
- 2월 10일 – 스코틀랜드의 메리 여왕의 남편인 헨리 스튜어트가 킬크 오 필드의 교구장 관저에서 살해되었다.[2]
- 3월 13일 – 오스테르베 전투: 스페인 용병 부대가 합스부르크 네덜란드의 앤트워프 인근에서 반군을 기습하여 살해함으로써 80년 전쟁이 시작되었다.
- 4월 12일 – 보스웰 백작은 던리 경 살해 혐의에 대해 무죄 판결을 받고, 메리 여왕의 새로운 남편이 되기 위한 계획을 세운다.
- 4월 20일 – 스코틀랜드 성직자와 귀족 그룹이 에인슬리 여관 결의에 서명하여 보스웰을 메리 여왕의 적절한 남편으로 추천하고, 그의 무죄 판결을 승인했다.
- 4월 24일 – 보스웰은 메리 여왕이 궁전에서 에든버러로 이동하는 것을 막은 후, 던바 성에서 그녀를 포로로 잡고 강간했다.
- 5월 15일 – 스코틀랜드의 메리 여왕은 강압에 의해 보스웰 백작과 결혼했다.
- 5월 24일 – 스투레 살해 사건: 정신적으로 불안정한 스웨덴의 에릭 14세 국왕과 그의 경호원들이 웁살라 성에서 수감된 귀족 5명을 살해했다.
- 6월 15일 – 스코틀랜드 귀족들이 카버리 언덕 전투에서 메리 여왕을 격파하고, 로치레번 성에 투옥했다.
- 7월 24일 - 스코틀랜드의 메리 여왕은 강제로 퇴위당하고, 1살 된 아들 제임스 6세가 왕위를 계승한다.
- 7월 29일 - 제임스 6세가 스털링에서 즉위하다.
- 8월 22일 - 페르난도 알바레스 데 톨레도, 3대 알바 공작이 네덜란드의 소요 사태를 진압하기 위해 강력한 스페인 군대와 함께 네덜란드로 파견되어 파르마의 마르가레트를 네덜란드 총독으로 대체한다. 오렌지 공 빌헬름 1세은 불법화되고, 에그몬트 백작 라모랄은 투옥된다.
- 9월 9일 - 페르난도 알바레스 데 톨레도, 3대 알바 공작은 만찬에서 반역죄로 에그몬트 백작 라모랄과 필리프 드 몽모렌시, 호른 백작을 체포한다.
- 9월 29일 - 제2차 위그노 전쟁이 프랑스에서 시작된다. 콩데 공 루이와 가스파르 드 콜리니가 샤를 9세와 그의 어머니를 모(Meaux)에서 체포하려다 실패한다. 위그노는 여러 도시(오를레앙 포함)를 점령하고 파리로 진격한다.
- 10월 7일 – 웨일스어 성경 번역: 신약 성경이 윌리엄 세일즈베리의 그리스어 번역본으로 웨일스어로 처음 출판되었다.
- 11월 10일 – 생드니 전투: 앤 드 몽모렌시는 16,000명의 왕당파를 이끌고 콩데의 3,500명의 위그노에게 덤벼들었다. 위그노는 몇 시간 동안 버텼지만 결국 밀려났고, 몽모렌시는 치명상을 입었다.[5]
- 12월 12일 – 스코틀랜드 의회는 군주에게 유리한 왕위 사임 행위 및 국왕 폐하의 대관 1567년을 승인, 메리 여왕이 아들 제임스 6세에게 왕위를 물려주는 것에 관한 법률이며, 제임스를 합법적인 통치자로 확정했다.[7] 메리의 이복 형제인 모레이 백작 제임스 스튜어트는 18개월 된 스코틀랜드 국왕을 대신하여 섭정으로 임명되었다. 모레이는 당시 스코틀랜드에 부재했기 때문에 의회는 제임스 국왕을 대신하여 통치할 모레이의 권력을 대신할 7명의 부섭정 위원회를 임명했다.
- 덴마크와 노르웨이의 국왕 프레데리크 2세가 노르웨이에 프레드릭스타를 건설하다.
- 안드레아 팔라디오가 설계한 빌라 카프라 "라 로톤다"의 건설이 이탈리아 비첸차에서 시작되다. 이 건물은 건축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설계 중 하나가 될 것이다.[8]
- 잉글랜드에서 가장 오래된 사립학교 중 하나인 럭비 스쿨이 설립되다.
5. 탄생
- 5월 15일 -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 이탈리아의 작곡가, 바이올리니스트, 가수.[15]
- 8월 21일 - 프란치스코 살레시오, 스위스의 가톨릭 주교이자 성인.
- 12월 29일 - 김덕령, 조선의 의병장.
- 사나다 노부시게 - 일본 센고쿠 시대의 무장.
- 1월 1일 – 파비오 콜론나, 이탈리아 과학자[1]
- 1월 4일 – 프랑수아 다길론, 벨기에 예수회 수학자[2]
- 1월 25일 – 오스트리아의 마르가레테 대공녀[3]
- 1월 27일 – 헤센-카셀의 안나 마리아, 나사우-자르브뤼켄의 백작 부인[4]
- 2월 3일 – 브란덴부르크의 안나 마리아, 포메라니아 공작 부인[5]
- 2월 12일 – 토머스 캠피언, 잉글랜드 시인이자 작곡가[6]
- 2월 23일 –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의 엘리자베스, 홀슈타인-샤우엔부르크 백작 부인, 브라운슈바이크-하르부르크 공작 부인[7]
- 2월 24일 – 인드르지흐 마티아스 투른, 스웨덴 장군[8]
- 3월 13일 (세례) – 야코프 판 헤임스케르크, 네덜란드 제독이자 탐험가[9]
- 3월 17일 – 아키즈키 타네나가, 일본 사무라이이자 군인
- 4월 10일 – 나사우-비즐바덴-이츠슈타인의 요한 루이 1세, 독일 귀족[10]
- 4월 26일 – 니콜라 포르메, 프랑스 작곡가[11]
- 5월 2일 – 세발트 데 베르트, 네덜란드 선장,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부제독[12]
- 5월 9일 – 안할트-데사우의 요한 게오르크 1세[13]
- 5월 13일 – 조반니 데 메디치, 이탈리아 군 지휘관이자 외교관[14]
- 6월 25일 – 야콥 울펠트, 덴마크 정치가[16]
- 8월 14일 – 루이지 카포나로, 이탈리아 치유사
- 8월 15일 – 바덴-로데마케른의 필리프 3세
- 9월 – 더들리 남작 에드워드 서튼 5세, 잉글랜드 지주
- 9월 2일 – 죄르지 투르조, 헝가리 팔라틴
- 9월 5일 - 다테 마사무네, 일본 센고쿠 시대 장수
- 9월 24일 – 마르탱 프레미네, 프랑스 화가
- 10월 10일 – 스페인의 카탈리나 미셸 공주
- 11월
- * 토머스 내시, 잉글랜드 시인
- * 아바의 민예 쿄스와 2세, 투웅구 제국 (버마)의 마지막 황태자
- 11월 1일 – 디에고 사르미엔토 데 아쿠냐, 곤도마르 백작 1세, 스페인 외교관
- 11월 7일 – 마르게리타 파르네세, 베네딕토회 수녀
- 11월 14일 – 오렌지 공 마우리츠
- 11월 16일 – 작센의 안나, 독일 귀족
- 11월 21일 – 안 드 생통주, 프랑스 수녀
- 12월 15일 – 크리스토프 데만티우스, 독일 작곡가
- 12월 18일
- * 코르넬리우스 아 라피데, 예수회 성경 해석가
- * 다치바나 무네시게, 일본 사무라이이자 군인
- ''날짜 불명''
- * 이사벨 바레토, 스페인 제독
- * 피에르 비아르, 프랑스 정착민이자 예수회 선교사
- * 아드리안 블록, 네덜란드 모피 상인 및 항해사
- * 자크 클레망, 프랑스인으로 프랑스의 앙리 3세 암살자
- * 아리마 하루노부, 일본 기독교 다이묘
- * 존 파킨슨, 잉글랜드 본초학자이자 식물학자
- * 빌럼 스하우턴, 네덜란드 항해사
- * 토리이 타다마사, 일본 귀족
- * 반 나오유키, 일본 사무라이이자 군인
- * 고바야카와 히데카네, 일본 센고쿠 시대 무장
- * 스가 마사토시, 일본 센고쿠 시대 무장
- * 도가와 다쓰야스, 일본 센고쿠 시대 무장
- * 나루세 마사나리, 일본 센고쿠 시대 무장
- * 오야도 마사토모, 일본 센고쿠 시대 무장
- * 스다 미쓰타네, 일본 센고쿠 시대 무장
5. 1. 동아시아
- 2월 8일 (에이로쿠 9년 12월 29일) - 마쓰다이라 이에야스가 조정으로부터 도쿠가와 성을 허가받아 도쿠가와 이에야스로 개명하고, 종5위하 미카와노카미의 관위를 수여받았다.
- 9월 5일 (에이로쿠 10년 8월 3일) - 다테 마사무네, 무쓰국 센다이 번 초대 번주 (+ 1636년)
- 9월 20일 (에이로쿠 10년 8월 18일) - 다치바나 무네시게, 지쿠고국 야나가와 번 초대 번주 (+ 1643년)
- 11월 10일 (에이로쿠 10년 10월 10일) - 마쓰나가 히사히데와 미요시 산닌슈의 권력 투쟁으로 야마토 도다이지의 대불전이 소실되었다.
- 11월 19일 (에이로쿠 10년 10월 19일) - 다케다 요시노부, 가이 도코지에서 병사[13][14][15][16]
- 아리마 하루노부, 기리시탄 다이묘 (+ 1612년)
- 사나다 노부시게, 무장이자 전국 시대 무장 (+ 1615년)
- 스다 미쓰타네, 전국 시대 무장 (+ 몰년 미상)
- 고바야카와 히데카네, 전국 시대 무장 (+ 1601년)
- 스가 마사토시, 전국 시대 무장 (+ 1625년)
- 도가와 다쓰야스, 전국 시대 무장 (+ 1628년)
- 나루세 마사나리, 전국 시대 무장 (+ 1625년)
- 하나와 나오유키, 전국 시대 무장 (+ 1615년)
- 오야도 마사토모, 전국 시대 무장 (+ 1615년)
5. 2. 유럽
- 1월 1일 – 파비오 콜론나, 이탈리아 과학자[1]
- 1월 4일 – 프랑수아 다길론, 벨기에 예수회 수학자[2]
- 1월 25일 – 오스트리아의 마르가레테 대공녀[3]
- 1월 27일 – 헤센-카셀의 안나 마리아, 나사우-자르브뤼켄의 백작 부인[4]
- 2월 3일 – 브란덴부르크의 안나 마리아, 포메라니아 공작 부인[5]
- 2월 12일 – 토머스 캠피언, 잉글랜드 시인이자 작곡가[6]
- 2월 23일 –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의 엘리자베스, 홀슈타인-샤우엔부르크 백작 부인, 브라운슈바이크-하르부르크 공작 부인[7]
- 2월 24일 – 인드르지흐 마티아스 투른, 스웨덴 장군[8]
- 3월 13일 (세례) – 야코프 판 헤임스케르크, 네덜란드 제독이자 탐험가[9]
- 4월 10일 – 나사우-비즐바덴-이츠슈타인의 요한 루이 1세, 독일 귀족[10]
- 4월 26일 – 니콜라 포르메, 프랑스 작곡가[11]
- 5월 2일 – 세발트 데 베르트, 네덜란드 선장,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부제독[12]
- 5월 9일 – 안할트-데사우의 요한 게오르크 1세[13]
- 5월 13일 – 조반니 데 메디치, 이탈리아 군 지휘관이자 외교관[14]
- 5월 15일 –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 이탈리아 작곡가[15]
- 6월 25일 – 야콥 울펠트, 덴마크 정치가[16]
- 8월 14일 – 루이지 카포나로, 이탈리아 치유사
- 8월 15일 – 바덴-로데마케른의 필리프 3세
- 8월 21일 – 프란치스코 드 살레스, 사보이 출신 제네바 주교이자 성인
- 9월 – 더들리 남작 에드워드 서튼 5세, 잉글랜드 지주
- 9월 2일 – 죄르지 투르조, 헝가리 팔라틴
- 9월 24일 – 마르탱 프레미네, 프랑스 화가
- 10월 10일 – 스페인의 카탈리나 미셸 공주
- 11월
- * 토머스 내시, 잉글랜드 시인
- 11월 1일 – 디에고 사르미엔토 데 아쿠냐, 곤도마르 백작 1세, 스페인 외교관
- 11월 7일 – 마르게리타 파르네세, 베네딕토회 수녀
- 11월 14일 – 오렌지 공 마우리츠
- 11월 16일 – 작센의 안나, 독일 귀족
- 11월 21일 – 안 드 생통주, 프랑스 수녀
- 12월 15일 – 크리스토프 데만티우스, 독일 작곡가
- 12월 18일
- * 코르넬리우스 아 라피데, 예수회 성경 해석가
- ''날짜 불명''
- * 이사벨 바레토, 스페인 제독
- * 피에르 비아르, 프랑스 정착민이자 예수회 선교사
- * 아드리안 블록, 네덜란드 모피 상인 및 항해사
- * 자크 클레망, 프랑스인으로 프랑스의 앙리 3세 암살자
- * 존 파킨슨, 잉글랜드 본초학자이자 식물학자
- * 빌럼 스하우턴, 네덜란드 항해사
6. 사망
- 1월 12일 - 에바 폰 트로트, 독일 귀족이자 궁정인 (1505년 출생)
- 1월 17일 - 삼피에로 코르소, 코르시카 용병 지도자 (1498년 출생)
- 1월 26일 - 니콜라스 워튼, 잉글랜드 외교관 (1497년 경 출생)
- 2월 10일 - 헨리 스튜어트, 로드 던리, 스코틀랜드의 메리 여왕의 배우자 (1545년 출생)
- 2월 20일 - 에스타시우 드 사, 포르투갈 장교, 리우데자네이루의 창립자 (1520년 출생)
- 3월 31일 - 필리프 1세, 헤센 방백 (1504년 출생)
- 4월 1일 - 얀 크르지슈토프 타르노프스키, 폴란드 귀족 (1537년 출생)
- 4월 2일 - 에른스트 3세, 브라운슈바이크-그루벤하겐 공작 (1518년 출생)
- 4월 18일 - 빌헬름 폰 그룸바흐, 독일 모험가 (1503년 출생)
- 4월 19일 - 미하엘 슈티펠, 독일 수학자 (1487년 출생)
- 5월 2일 - 마린 드르지치, 크로아티아 작가 (1508년 출생)
- 6월 2일 - 셰인 오닐, 아일랜드 족장 (1530년 출생)
- 6월 12일 - 리처드 리치, 잉글랜드의 재상 (1490년 출생)
- 6월 19일 - 안나 폰 브란덴부르크, 메클렌부르크 공작 부인 (1507년 출생)
- 8월 18일 - 에네아 비코, 이탈리아 조각가 (1523년 출생)
- 10월 1일 - 피에트로 카르네세키, 이탈리아 인문주의자 (1508년 출생)
- 10월 31일 - 마리아 폰 브란덴부르크-쿨름바흐, 브란덴부르크-쿨름바흐의 공주이자 결혼을 통해 팔츠 선제후 (1519년 출생)
- 11월 12일 - 안 드 몽모렌시, 프랑스 대원수 (1493년 출생)
- 11월 13일 - 페드로 데 라 가스카, 페루 부왕 (1485년 출생)
- 11월 19일 - 아카가와 모토야스, 일본 사무라이
- ''날짜 불명''
- * 토마스 베컨, 잉글랜드 개신교 종교 개혁가 (1511년 출생)
- * 페테르 에르되디, 크로아티아의 반 (1504년 출생)
- * 샤갈리, 카심 칸 (1505년 출생)
- * 로렌스 셰리프, 잉글랜드 신사이자 엘리자베스 1세의 식료품 상인 (1510년 출생)
6. 1. 동아시아
- 1월 23일 - 중국 명나라의 제11대 황제 가정제 (1507년~)
- 6월 24일 - 조선 최초의 부대부인 하동부대부인 (1530년~)
- 8월 3일 - 조선 13대 국왕 명종 (1534년~)
- 심강 - 조선 중기의 문신, 인순왕후의 아버지, 명종의 장인 (1514년~)

6. 2. 유럽
- 1월 12일 - 에바 폰 트로트, 독일 귀족이자 궁정인 (1505년 출생)
- 1월 17일 - 삼피에로 코르소, 코르시카 용병 지도자 (1498년 출생)
- 1월 23일 - 가정제, 중국 명나라의 황제 (1507년 출생)
- 1월 26일 - 니콜라스 워튼, 잉글랜드 외교관 (1497년 경 출생)
- 2월 10일 - 헨리 스튜어트, 로드 던리, 스코틀랜드의 메리 여왕의 배우자 (1545년 출생)
- 2월 20일 - 에스타시우 드 사, 포르투갈 장교, 리우데자네이루의 창립자 (1520년 출생)
- 3월 31일 - 필리프 1세, 헤센 방백 (1504년 출생)
- 4월 1일 - 얀 크르지슈토프 타르노프스키, 폴란드 귀족 (1537년 출생)
- 4월 2일 - 에른스트 3세, 브라운슈바이크-그루벤하겐 공작 (1518년 출생)
- 4월 18일 - 빌헬름 폰 그룸바흐, 독일 모험가 (1503년 출생)
- 4월 19일 - 미하엘 슈티펠, 독일 수학자 (1487년 출생)
- 5월 2일 - 마린 드르지치, 크로아티아 작가 (1508년 출생)
- 6월 2일 - 셰인 오닐, 아일랜드 족장 (1530년 출생)
- 6월 12일 - 리처드 리치, 잉글랜드의 재상 (1490년 출생)
- 6월 19일 - 안나 폰 브란덴부르크, 메클렌부르크 공작 부인 (1507년 출생)
- 8월 18일 - 에네아 비코, 이탈리아 조각가 (1523년 출생)
- 10월 1일 - 피에트로 카르네세키, 이탈리아 인문주의자 (1508년 출생)
- 10월 31일 - 마리아 폰 브란덴부르크-쿨름바흐, 브란덴부르크-쿨름바흐의 공주이자 결혼을 통해 팔츠 선제후 (1519년 출생)
- 11월 12일 - 안 드 몽모렌시, 프랑스 대원수 (1493년 출생)
- 11월 13일 - 페드로 데 라 가스카, 페루 부왕 (1485년 출생)
- ''날짜 불명''
- * 토마스 베컨, 잉글랜드 개신교 종교 개혁가 (1511년 출생)
- * 페테르 에르되디, 크로아티아의 반 (1504년 출생)
- * 샤갈리, 카심 칸 (1505년 출생)
- * 로렌스 셰리프, 잉글랜드 신사이자 엘리자베스 1세의 식료품 상인 (1510년 출생)
참조
[1]
서적
Dictionary of Ming Biography, 1368-1644
Columbia University Press
[2]
서적
Mary, Queen of Scots and the Murder of Lord Darnley
Random House
[3]
간행물
The Ainslie Bond
Edinburgh
[4]
서적
The Reign of Elizabeth
https://books.google[...]
Heinemann
[5]
서적
European Warfare, 1494-1660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6]
서적
The Marrano Factory: The Portuguese Inquisition and Its New Christians, 1536–1765
Brill
[7]
간행물
The Records of the Parliaments of Scotland to 2007
St Andrews University
[8]
서적
Precedents in architecture : analytic diagrams, formative ideas, and partis
Wiley
[9]
서적
L'Histoire à parts égales
Seuil
[10]
웹사이트
Thomas Campion {{!}} English poet and musician
https://www.britanni[...]
2021-04-20
[11]
서적
A Cup of News: The Life of Thomas Nashe
Routledge & Kegan Paul
[12]
서적
Jugoslovenski književni leksikon
Matica srpska
1971
[13]
뉴스
平山優氏「切腹だったのか、病死だったのか、これまで二説に分かれていましたが、このほど大河ドラマ『真田丸』でも時代考証を担当されていた黒田基樹氏により新史料が発掘されまして病死だという事が明らかになりました」 NHK大河ドラマ「どうする家康」コラム 大河と歴史の裏話『文化人としての 武田信玄・今川義元を描く』2023年6月25日
[14]
웹사이트
『「時代を駆け抜けた戦国武将たち~武田信玄の新研究・義信事件を考える」講師は、2016年NHK大河ドラマ「真田丸」の時代考証を担当された駿河台大学教授の黒田基樹先生。重要史料によれば、義信は病死であった。これにより事件の背景や事件への信玄の処置についての理解は、大きく考え直さなければならない。事件について新たな見解を提示し、真実に迫る。』武田信玄の新研究【NHKカルチャーオンデマンド講座】
https://b2b-ch.infom[...]
2022-04-22
[15]
뉴스
「永禄10年というと、甲斐国の武田信玄の嫡男・義信が病死した年でもありました。」【豊臣秀頼が出馬していれば家康を打ち取れたかもしれない家康に切腹を覚悟させた真田信繁のツワモノぶり…大坂夏の陣で家康本陣を切り崩したラストサムライの最期】
https://president.jp[...]
2023-12-04
[16]
뉴스
「永禄10年(1567年)に病死。」【徳川家康が「武田信玄」に心開かなかった複雑事情】
https://toyokeizai.n[...]
2023-02-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